KR19990008837U -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837U
KR19990008837U KR2019970021978U KR19970021978U KR19990008837U KR 19990008837 U KR19990008837 U KR 19990008837U KR 2019970021978 U KR2019970021978 U KR 2019970021978U KR 19970021978 U KR19970021978 U KR 19970021978U KR 19990008837 U KR19990008837 U KR 19990008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ust collector
dust
filter bag
rotar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8268Y1 (ko
Inventor
유정관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21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진 배출시설로 부터 오염된 가스내의 분진을 포집하여 분리처리하는 여과포 집진기에서 집진내부의 발생분진을 배출처리하면서 동시에 로타리밸브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로타리밸브의 상부 벽면에 분진이 퇴적되지 않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고, 하단부에 고무부재를 갖는 복수개의 실링용 벽체를 갖추고, 상기 여과포 집진기의 일측 벽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굴절용플레이트와 다수개의 경첩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실링용벽체의 각 하단부에 밀착되는 개폐용 플레이트를 갖춘 실링부;와, 상기 여과포 집진기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블록사이에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의 하부측에서 회전가능하며, 다수개의 요철부위에 베어링을 갖는 중심축을 갖추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 중량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웨이트와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편심캠의 편심부에 접하는 개폐용 롤을 각각 갖추어 쌓여진 분진을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와, 상기 중심축 일측에 설치된 타원형 원반의 장변과 접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일측 베어링블록에 갖추어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의 초기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본 고안은 분진 배출시설로 부터 오염된 가스내의 분진을 포집하여 분리처리하는 여과포 집진기에서 집진내부의 발생분진을 배출처리하면서 동시에 로타리밸브(Rotary Valve)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철소의 배출시설인 오염원(130)으로 부터 분진가스를 포집하여 분리처리하는 여과포 집진기(100)는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서 집진기내부의 기밀유지와 발생분진의 처리과정이 가장 중요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의 하부측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미도시)로서 회전구동이 가능한 회전축(122)에 다수개의 날개(121)를 장착하여 이를 회전구동시킴으로서 내부의 분진을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121)의 각 단부가 양측 벽체(111)에 접하면서 외기의 유입이 없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로타리 밸브(120)를 갖추었다.
그러나, 상기 로타리 밸브(120)는 날개(121)의 회전에 의해 기로(氣路)가 형성되고, 양측 벽체(111)사이를 상기 날개(121)의 단부가 접촉되어 장시간 운전되면서 마찰 등에 의한 마로로 인하여 내부의 기밀유지가 서서히 대기압보다 낮은 상기 여과포집진기(100) 내부로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공기의 역류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의 여과포(110)로 부터 떨어지는 분진이 상기 로타리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처리되지 못하고,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 내부로 재비산되어 여과포(110)에 재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110)에 재부착된 분진을 강제로 털어내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팬(140)을 정지시킨 다음, 작업자가 강제로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내부의 분진을 털어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크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강제적인 분진털어내기는 연속적인 집진기능의 유지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아니라, 일시적이고 원시적인 방법이어서 상기 로타리밸브(120)에 설치된 날개(121)의 곡선화, 재질변경 등의 노력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현상의 발생주기를 연장시키거나 해결고자 하였으나, 일정시간 가동후에는 상기 벽체(111)의 마모에 의해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어 근본적인 해결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로타리밸브로 부터 발생되는 공기역류에 의한 집진기내부의 기밀파괴를 방지하고, 내부로 부터 발생된 분진을 원할히 배출함으로서, 연속적인 운전중에도 발생분진을 원할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완벽한 기밀유지가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여과포 집진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여과포 집진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부와 센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채용되는개폐용 롤과 편심캠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링부 11 .... 실링용 벽체
13 .... 개폐용 플레이트 14 .... 굴절용 플레이트
20 .... 작동부 21 .... 베어링블록
22 .... 중심축 24 .... 웨이트
25 .... 개폐용 롤 26 .... 편심캠
30 .... 센서부 31.... 타원형 원반
32 .... 리미트스위치 100 .... 여과포 집진기
120 .... 로타리밸브 121 .... 날개
122 .... 회전축 123 .....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개의 여과포를 갖는 여과포 집진기의 하부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하는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를 갖는 로타리밸브를 갖추어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설비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밸브의 상부 벽면에 분진이 퇴적되지 않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고, 하단부에 고무부재를 갖는 복수개의 실링용 벽체를 갖추고, 상기 여과포 집진기의 일측 벽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굴절용플레이트와 다수개의 경첩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실링용벽체의 각 하단부에 밀착되는 개폐용 플레이트를 갖춘 실링부;와,
상기 여과포 집진기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블록사이에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의 하부측에서 회전가능하며, 다수개의 요철부위에 베어링을 갖는 중심축을 갖추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 중량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웨이트와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편심캠의 편심부에 접하는 개폐용 롤을 각각 갖추어 쌓여진 분진을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와,
상기 중심축 일측에 설치된 타원형 원반의 장변과 접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일측 베어링블록에 갖추어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의 초기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센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부와 센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미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부의 개폐용 롤과 편심캠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1)는 도 2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염원으로 부터 분진가스를 포집하여 이를 분리처리하는 여과포 집진기(100)의 하부 배출통로인 로타리밸브(120)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타리밸브(120)의 날개(121)회전시 발생하는 기로형성에 의한 공기역류를 방지하여 분진의 역비산이 없도록 내부기밀을 유지하고, 발생분진의 배출이 원할하여 집진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실링부(10), 작동부(20) 및 센서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정량 쌓여진 분진의 배출을 위한 날개(121)회전시 하부로 부터의 공기역류를 차단하는 실링부(10)는 분진 배출이 이루어지는 로타리밸브(120)의 상부측에 갖추어지는바,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의 4개의 벽면에는 낙하되는 분진이 퇴적되지 않도록 일정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실링용 벽체(11)를 갖추고, 그 하단부에는 회동가능하고, 분진이 쌓여지는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상부면과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면서 접촉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고무부재(12)를 각각 갖춘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날개(121)와 나란하게 일단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굴절용 플레이트(14)를 갖추고, 그 타단에는 다수개의 경첩(15)을 매개로 상기 실링용 벽체(11)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닫힘시 점차적으로 쌓여지는 분진의 중량에 의해서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가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하강되면, 도면상 좌측의 실링용 벽체(11)의 뒷부분에서 상기 경첩(15)은 간섭없이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굴절용플레이트(14)는 상기 경첩(15)을 선회축으로 자연스럽게 굴절되면서 상부면에 쌓여진 분진을 하부측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상부면에 쌓여진 분진을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20)는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블록(21)사이에 중심축(22)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하부측에 갖추어지는 상기 중심축(22)은 길이 중간에 형성된 다수 요철부위에 아이들(Idle)구동되는 베어링(23)을 각각 설치하고,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상기 중심축(22)의 일측 단(22a)에는 장착,분리가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웨이트(24)를 갖춤에 따라, 상기 웨이트(24)의 장착수를 가감하여 개폐용 플레이트(13)가 실링용 벽체(11)의 하단에 충분히 접촉하여 밀착되도록 그 무게를 조절하고, 내부로 부터 발생되는 분진의 비중과 발생량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22)의 타측 단(22b)에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개방신호에 따른 모터(123)의 구동시 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하는 회전축(122)과 더불어 동일한 회전방향 C'로 회전하는 편심캠(26)의 편심부(26a) 외주면에 접하여 진행되는 개폐용 롤(25)을 갖추고, 이러한 개폐용 롤(25)은 상기 편심캠(26)의 회전력이 중심축(22)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일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축(22)과 고정용 나사(25b)로 연결되고,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정용 나사(25a)를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개방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123)를 구동시키는 센서부(30)는 상기 중심축(22)과 더불어 회전하도록 일단 부근에 고정되는 타원형 원반(31)을 갖추고, 일측 베어링블록(21)에는 상기 타원형 원반(31)의 장변(31a)과 접하는 리미트스위치(32)를 갖춤에 따라,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하강과 더불어 회전이 이뤄지는 상기 중심축(22)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리미트스위치(32)로서 감지하여 그 신호에 의해서 상기 로타리밸브(120)를 통한 분진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축(122)의 날개(121)를 회전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1)로서 여과포 집진기(100)의 연속된 가동운전중에 다량 발생되는 분진을 공기의 역류현상없이 배출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발생분진은 로타리밸브(1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수평상태의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상부면에 점차적으로 쌓이면서 분진하중이 커짐에 따라, 시간 경과후 분진하중이 사전에 설정된 상기 중심축(22)의 웨이트(24)의 무게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웨이트(24)에 의해서 실링용 벽체(11)하단인 고무부재(12)와 밀착되도록 수평상태이던 개폐용 플레이트(13)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서히 화살표 B방향으로 선회이동하게 되어 점선으로 도시된 B1위치에서 B2위치로 개방된다.
이어서, 이러한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선회동작이 그 하부측에 설치된 베어링(23)을 갖는 중심축(22)으로 전달되어 양측 베어링블록(21)에 조립된 상기 중심축(22)을 일방향 구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일단(22a)에 장착된 타원형 원반(31)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하는 상기 타원형 원반(31)의 장변(31a)이 일측 베어링블록(21)의 리미트스위치(32)와 접촉하여 감지되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스위치(32)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회전축(122)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123)를 구동시킴에 따라, 다수개의 날개(121)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개폐용플레이트(13)로 부터 낙하되는 분진을 하부로 배출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분진의 배출처리를 위한 상기 날개(121)의 회전구동은 상기 개폐용플레이트(13)가 B1위치정도인 개방초기에 상기 타원형 원반(31)의 장변(31a)과 접하는 리미트스위치(32)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축(22)의 타측 단(22b)에 설치되어 개폐용 롤(25)은 상기 리미트스위치(32)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도시된 화살표 C방향으로 강제회전하는 회전축(122)과 더불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편심캠(26)의 편심부(26a)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편심부(26a) 외주면과 접하여 진행되는 개폐용 롤(25)에 의해서 발생되어 전달된 상기 중심축(22)의 회전력은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를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B2위치까지 밀려지게 한다. 즉, 상기 개폐용 롤(25)은 개폐용 플레이트(13)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로 이동하는 웨이트(24)와는 반대방향으로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개폐용 롤(25)의 하강작동이 완전히 이루어져 상기 편심캠(26)의 편심부(26a)와 상기 개폐용 롤(25)와의 접촉이 완전히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상부면에 쌓여져 있던 분진은 모두 하부측으로 배출되어 날개(121)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로타리밸브(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의 분진이 완전히 제거된 후, 상기 편심캠(26)의 편심부(26a)에 접하여 하부로 회전된후 접촉이 해제되어 자유로워진 개폐용 롤(25)은 중심축(22)의 일단(22a)에 장착된 웨이트(24)의 자중에 의해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와 반대로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개폐용 롤을 일단(22b)에 갖추고,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하부면에 접하는 베어링(23)을 갖는 중심축(22)이 상기와 반대로 회전되어 복귀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를 원래대로 상기 실링용 벽체의 하단인 고무부재에 밀착되도록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그 상부면에 분진이 점차 쌓여지도록 수평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로타리밸브(120)를 통한 분진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날개(121)를 기동하였던 상기 모터(1223)는 내부 분진발생량에 따라 다르지만, 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일전시간의 운전후에, 자동정지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로타리밸브(120)를 통한 분진배출시 날개의 연속회전으로 발생되는 마모공간 발생과, 기로형성에 의한 공기의 역류현상 및, 여과포 집진기(100)내부의 기밀파괴를 개방후 닫혀지는 개폐용 플레이트(13)로서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운전중 발생된 분진을 원할하게 배출하여 집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과포집진기(100) 내부의 압력변동을 제거하고, 분진의 역비산을 방지하여 여과포(110)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오염원의 흡입에 의한 정상적인 집진기능의 유지로 최적상태의 집진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시적인 업무부하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복수개의 여과포(110)를 갖는 여과포 집진기(100)의 하부에 모터(123)의 구동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하는 회전축(122)에 복수개의 날개(121)를 갖는 로타리밸브(120)를 갖추어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설비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밸브(120)의 상부 벽면에 분진이 퇴적되지 않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고, 하단부에 고무부재(12)를 갖는 복수개의 실링용 벽체(11)를 갖추고, 상기 여과포 집집기(100)의 일측 벽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굴절용플레이트(14)와 다수개의 경첩(1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실링용벽체(11)의 각 하단부에 밀착되는 개폐용 플레이트(13)를 갖춘 실링부(10);와,
    상기 여과포 집진기(100)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블록(21)사이에는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하부측에서 회전가능하고, 다수개의 요철부위에 베어링(23)을 갖는 중심축(22)을 갖추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상기 중심축(22)의 양단(22a),(22b)에 중량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웨이트(24)와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모터(123)의 회전축(122)에 장착된 편심캠(26)의 편심부(26a)에 접하는 개폐용 롤(25)을 각각 갖추어 쌓여진 분진을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20)와,
    상기 중심축(22) 일측에 설치된 타원형 원반(31)의 장변(31a)과 접하는 리미트스위치(32)를 일측 베어링블록(21)에 갖추어 상기 개폐용 플레이트(13)의 초기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날개(121)를 회전시키는 센서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KR2019970021978U 1997-08-12 1997-08-12 여과포집진기용로타리밸브의공기역류방지장치 KR200278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78U KR200278268Y1 (ko) 1997-08-12 1997-08-12 여과포집진기용로타리밸브의공기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78U KR200278268Y1 (ko) 1997-08-12 1997-08-12 여과포집진기용로타리밸브의공기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37U true KR19990008837U (ko) 1999-03-05
KR200278268Y1 KR200278268Y1 (ko) 2002-07-18

Family

ID=5389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978U KR200278268Y1 (ko) 1997-08-12 1997-08-12 여과포집진기용로타리밸브의공기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25B1 (ko) * 2012-03-13 2014-02-03 아노텐금산주식회사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CN109107287A (zh) * 2018-10-31 2019-01-01 苏州市荣丰环保科技有限公司 滤袋布可收折或展开的集尘组件
CN114348599A (zh) * 2021-12-28 2022-04-15 南京北控工程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防止树脂粉尘扩散的吸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25B1 (ko) * 2012-03-13 2014-02-03 아노텐금산주식회사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CN109107287A (zh) * 2018-10-31 2019-01-01 苏州市荣丰环保科技有限公司 滤袋布可收折或展开的集尘组件
CN114348599A (zh) * 2021-12-28 2022-04-15 南京北控工程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防止树脂粉尘扩散的吸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68Y1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1438B1 (en) Crushing machine for comminuting laminated glass
US6149573A (en)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 clutch assembly
US3612616A (en) Textile machine fiber waste disposal system
KR200278268Y1 (ko) 여과포집진기용로타리밸브의공기역류방지장치
CN112536228A (zh) 基于动力摇晃和动力抖动的循环式葡萄干风选装置及方法
US5067662A (en) Bowl type grinding mill
CA1069763A (en) Ballast cleaner
MXPA97003803A (en) Roller mill
US7210642B2 (en) Comminuting apparatus and rotor therefor
CN114768416B (zh) 一种建筑施工除尘设备
JP2002336729A (ja) 回転網ドラム式ゴミ分別装置
JP4958341B2 (ja) シュレッダーの細断屑ならし圧縮装置
CN208003608U (zh) 一种集装箱式沥青搅拌站的布袋除尘器
KR200210063Y1 (ko) 트리퍼카내의 분진 비산 방지 장치
CN207708695U (zh) 一种集装箱式沥青搅拌站的布袋除尘器
KR20020052838A (ko) 스와프 및 연마오일 회수가 가능한 스트립 그라인더의집진장치
KR940004095Y1 (ko) 집진기의 분진(dust) 배출장치
JP3752245B2 (ja) 水路の取水口用ゴミ逃がし装置
CN117570226B (zh) 一种无阻止回阀
KR102141111B1 (ko)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포함하는 포집부에 구비된 필터청소수단
CN221015095U (zh) 一种除尘器的自动卸灰装置
CN114632470B (zh) 一种湿法制粒机用的过滤器防堵装置
CN208406495U (zh) 用于木制品加工的除尘设备
KR100696175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289927Y1 (ko) 자동간격 조절장치가 설치된 로터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