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25B1 -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025B1
KR101357025B1 KR1020120025486A KR20120025486A KR101357025B1 KR 101357025 B1 KR101357025 B1 KR 101357025B1 KR 1020120025486 A KR1020120025486 A KR 1020120025486A KR 20120025486 A KR20120025486 A KR 20120025486A KR 101357025 B1 KR101357025 B1 KR 10135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pipe
auger
air in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195A (ko
Inventor
배희찬
Original Assignee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노텐금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0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16Sealing; Means for s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화합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챔버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 하는 과정에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분리되어 각각 배출되는데 고형성분이 배출이송관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그 배출이송관의 일단부에 구비된 퇴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역으로 배출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An Air Inflow Prevention Device of a Outlet Pipe}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화합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챔버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 하는 과정에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분리되어 각각 배출되는데 고형성분이 배출이송관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그 배출이송관의 일단부에 구비된 퇴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역으로 배출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분해란 유기물을 무산소 상태하에서 간접열을 가하여 분해시키는 것으로서, 고분자 유기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구조가 파괴됨과 동시에 이로부터 발생되는 열분해가스를 응축시켜 보다 간단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 부산물을 얻어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부산물은 고체 상태의 카본, 액체 상의 오일 및 기체상의 불응축성 가스 등이 있다.
오일과 카본을 회수하기 위한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폐고무, 비닐, 플라스틱, 피혁 슬러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열분해 시키면 열분해될 때 발생된 가스는 배기관을 따라 배출되어지고, 배출되어진 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여 오일을 얻게 된다.
이러한 열분해 반응장치는 통상적으로 열분해로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열분해로는 열분해된 고형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고형물 배출구, 오일성분을 함유한 가스성분을 배출하기위한 가스배출구, 처리대상인 유기물을 공급받기 위한 투입구, 열분해로의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 및 투입된 유기물을 고형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열분해로는 배치(batch)타입이어서, 투입구와 고형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어서, 로내를 열분해에 바람직한 상태인 무산소 상태로 유지하기에는 바람직하지만, 연속식 열분해로보다는 수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분해로가 연속식 타입으로 변경되어야 하지만, 열분해로에서 배출되는 연료가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혼재되어 있어서, 열분해로의 가스배출구에서 액화된 고비점 연료가스와 유기물의 열분해 후 고형성분의 카본 입자가 혼합되어 가스배출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되어, 연속으로 가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본 등과 같은 고형물은 열분해로에 구비된 고형물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될 때 그 배출구를 통해 열분해로 내부로 유입되어 열분해요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등록특허 제10-0958425호의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으로 열분해로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로에 구비되는 열분해설비(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하단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5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버너(52),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 내의 전장에 걸쳐서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챔버(53),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내의 전장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챔버(53)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배치되어 있는 제2챔버(54), 상기 제1챔버(53)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1오거(55), 상기 제2챔버(54)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상기 제1챔버(53)에서 배출된 유기폐기물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2오거(56),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하단과 상기 제2챔버(54)의 타측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연결챔버(57) 및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상단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51)의 타측 상단을 관통하여 노출된 가스배출관(5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열분해설비(50)는 투입구(A)를 통해 파쇄된 유기폐기물이 상기 제1오거(55)로 유입되면서 가열되는 열에 의해 분해된 후, 가스성분은 상기 가스배출관(58)으로 빠져 나가고, 고형성분인 카본 등은 상기 제2오거(56)를 거쳐 배출구(B)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의 화합물 분해 과정이 이루어진다.
KR 10-0955425 (등록번호) 2010.04.22. KR 10-0962480 (등록번호) 2010.06.03. KR 10-2012-0005337 (공개번호) 2012.01.1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설비는 제2오거를 거쳐 배출구(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카본 등과 같은 고형물은 저장고(59)에 축적된 후 제1,2밸브(60,61)를 개방하여 방출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제1,2밸브(60,61)를 조작하여 개방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각 밸브(60,61)와 저장고(59)를 역으로 하여 상기 제2챔버(54) 내부로 유입되어 화합물의 열분해 작업에 대한 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고형성분과 가스성분으로 분리되어 고형성분이 오거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이송관 일단부에 카본배출구를 구비하되, 상기 카본배출구에는 카본저장고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카본저장고에는 제1,2플랩 댐퍼밸브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상기 제2플랩 댐퍼밸브에는 카본과 같은 고형성분이 축적되는 카본축적공간부와 그 하부측으로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격벽부가 형성 구비되는 실링부로 이루어진 공기유입차단장치가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배출이송관의 일단부에 구비된 퇴출구를 통해 배출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과,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카본수집이송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연통관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콘덴서수단으로 구성된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본수집이송관은 그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카본을 이송하는 카본이송오거가 구비되고, 또 그 외측으로는 이중관 형상으로 되어 이송되는 카본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도록 냉각수가 유입구로 들어와 토출구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통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카본수집이송관의 일단부에는 카본배출관을 매개로 카본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제1,2플랩댐퍼밸브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랩 댐퍼밸브의 하단에는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개의 격벽부가 형성 구비되는 실링몸통부를 갖는 공기유입차단장치를 포함하여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는 고형성분인 카본을 이송하는 배출관의 일단부측에 이들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되, 상기 배출구에는 카본저장고와 제1,2플랩 댐퍼밸브를 연이어 직렬로 연결한 다음, 다수개의 격벽부가 형성 구비되는 공기유입차단장치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카본을 배출할 때 외부의 공기가 배출이송관의 일단부에 구비된 퇴출구를 통해 배출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형성분을 분해하여 배출하는 배출이송관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서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가 구비된 유기폐기물의 열분해로 장치를 통해 고형성분과 유증기 성분을 분리시키는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열분해로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터와 같은 열원(111)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110,heating chamber)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112)로부터 투입구(1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120)과,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2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122,auger)과,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122)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카본)이 이동되어 퇴출구(123)를 통해 카본수집이송관(124)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측에 연통관(125)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130)과,
상기 제2이송관(13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3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123)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132,auger)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141)이 삽설된 제3이송관(140)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110)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150),
상기 제3이송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콘덴서수단(160, 증류기)으로 구성되는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고 고형성분과 유증기를 분리하여 카본과 오일을 추출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퇴출구(123)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카본이 유입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카본수집이송관(124)은 그 내부에 구동모터(124a)에 의해 회전되면서 카본을 이송하는 카본이송오거(124b)가 구비되고, 또 그 외측으로는 이중관 형상으로 되어 이송되는 카본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도록 냉각수가 유입구(124c)로 들어와 토출구(124d)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통로(124e)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카본수집이송관(124)의 일단부에는 카본배출관(L1)을 매개로 카본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제1,2플랩댐퍼밸브(126,127)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랩댐퍼밸브(127)의 하단에는 카본이 유입되어 축적되는 카본유입공간부(171)와 그 하부측으로 구동축(172)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격벽부(173)가 형성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실링몸통부(174)로 이루어져 외부의 공기가 카본 배출 시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는 상부측으로는 상기 제2플랩댐퍼밸브(127)와 연통되어 카본을 공급하는 연결관(L2)이 연결 설치되고 하부측으로는 상기 실링몸통부(174)가 연통되어 카본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몸통부(174)는 상부측으로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가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구동수단(175)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축(172)이 설치되며, 하부측으로는 유입되는 카본이 배출되는 배출공간부(176)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L2)에는 카본이 적재되어 쌓여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175)을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카본감지센서(S)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본감지센서(S)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175)에 연결된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관(L2) 내부에 카본이 적재되어 쌓여진 경우에만 상기 카본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175)을 작동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본 배출 시 외부의 공기가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카본감지센서(S)는 상기 연결관(L2)의 외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감지부(S1,S2)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연결관(L2)의 내부에 카본이 적재되어 쌓이게 되면 상기 감지부(S1,S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카본감지센서(S)가 ON되고, 이어 상기 구동수단(175)이 작동되면서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구동되어 카본이 배출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연결관(L2) 내부의 카본이 모두 배출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S1,S2)가 작동되지 않아 상기 카본감지센서(S)가 OFF되고, 이어 상기 구동수단(175)의 작동이 멈추면서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의 구동이 정지되어 카본 배출이 중지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간부(176)에는 열분해된 고형성분인 카본을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카본공급관(L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72)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격벽플레이트(17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실링몸통부(174)의 내벽부와 상기 격벽플레이트(177)에 의해 카본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인 상기 격벽부(173)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유기물 분해장치(200)에 구비된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100)는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폐유기물을 작은 조각으로 분쇄한 다음 컨베이어장치와 공급호퍼 등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구(113)를 통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히팅챔버(110)는 열원(111)을 이용하여 일정온도 이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구동수단(1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오거수단(122)이 회전되면서 이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오거수단(122)에 의해 이동되는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의 고온에 의해 가열 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분리되어 유증기성분은 상기 유증기배출관(150)을 통해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고, 고형성분은 상기 연통관(125)을 통해 상기 제2이송관(130)으로 떨어져 상기 구동수단(131)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2오거수단(132)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퇴출구(123)를 통해 상기 카본수집이송관(124)으로 수집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수단(124a)가 작동되면서 상기 카본이송오거(124b)의 회전에 따라 유입되는 카본이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카본수집이송관(124)은 유입 이송되는 카본으로부터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이때, 냉각수를 상기 유입구(124c)와 상기 토출구(124d)를 이용해 상기 냉각통로(124e)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카본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을 식혀준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는 유증기 성분은 상기 콘덴서수단(160)으로 공급되면서 여러과정을 통해 오일과 가스 등으로 분리되어 오일은 상기 콘덴서수단(160)의 바닥면에 구비된 드레그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125)을 통해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은 상기 제2이송관(130)으로 떨어져 상기 제2오거수단(132)에 의해 상기 퇴출구(123)로 이송되어 상기 카본수집이송관(124)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1,2플랩댐퍼밸브(126,127)의 작동으로 상기 연결관(L2)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에 구비된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랩댐퍼밸브(127)를 통해 카본이 상기 연결관(L2)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감지부(S1,S2)의 위치까지 쌓이게 되면 이를 상기 카본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175)을 작동시키고 이어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를 작동시킨다.
이어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로 유입된 카본 등의 고형물은 상기 실링몸통부(174)에 형성된 상기 격벽부(173)로 유입된다.
그이고, 상기 구동수단(175)에 의해 상기 구동축(172)가 회전되면서 상기 격벽부(173)가 회전되고 다음 격벽부(173)가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의 하부로 위치되면서 카본 등의 고형물을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카본이 유입된 상기 격벽부(173)가 상기 배출공간부(176)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되면 카본을 상기 카본공급관(L3)으로 배출 공급하면서 상기 격벽부(173)는 빈 공간의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빈 공간 상태인 상기 격벽부(173)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의 하부로 위치하게 되면 공기가 유입된 상기 격벽부(173) 내부로 고형성분인 카본이 쏟아져 유입되면서 그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카본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L2) 내부와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 및 상기 격벽부(173)에 유입 축적되는 카본에 의해 외부 공기가 역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L2) 내부로 유입되어 축적되는 카본이 상기 감지부(S1,S2)의 위치(높이)까지 쌓여지지 않을 경우, 즉 상기 연결관(L2) 내부의 카본이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로부터 상기 감지부(S1,S2)의 위치까지 쌓이지 않게 되면 상기 카본감지센서(S)는 작동되지 않아 상기 구동수단(175)이 OFF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카본이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170)와 상기 카본유입공간부(171) 및 상기 연결관(L2) 내부의 상기 감지부(S1,S2)의 위치 바로 아래까지 쌓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역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카본을 배출할 때 상기와 같은 공기유입차단장치(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이송관(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폐타이어와 같은 유기폐기물이 열분해되어 생성되는 고형성분이 상기 제2이송관(130)에서 열분해 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분해로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고형성분과 가스성분으로 분리되어 고형성분이 오거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이송관 일단부에 카본배출구를 구비하되, 상기 카본배출구에는 카본저장고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카본저장고에는 제1,2플랩 댐퍼밸브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상기 제2플랩 댐퍼밸브에는 카본과 같은 고형성분이 축적되는 카본축적공간부와 그 하부측으로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격벽부가 형성 구비되는 실링부로 이루어진 공기유입차단장치가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배출이송관의 일단부에 구비된 퇴출구를 통해 배출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열분해로의 운전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100:열분해로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110:히팅챔버 111:열원
120:제1이송관 121:구동수단 122:제1오거수단 123:퇴출구
124:카본수집이송관 125:연통관 126:제1플랩댐퍼밸브
127:제2플랩댐퍼밸브
130:제2이송관 131:구동수단 132:제2오거수단
140:제3이송관 141:제3오거수단
150:유증기배출관
160:콘덴서수단
170:공기유입차단장치
171:카본유입공간부 172:구동축 173:격벽부 174:실링몸통부
175:구동수단 176:배출공간부 177:격벽플레이트
L1:카본배출관 L2:연결관 L3:카본공급관
200:폐유기물 분해장치

Claims (4)

  1.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과,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카본수집이송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연통관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콘덴서수단으로 구성된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본수집이송관은 그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카본을 이송하는 카본이송오거가 구비되고, 또 그 외측으로는 이중관 형상으로 되어 이송되는 카본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도록 냉각수가 유입구로 들어와 토출구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통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카본수집이송관의 일단부에는 카본배출관을 매개로 카본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제1,2플랩댐퍼밸브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랩 댐퍼밸브의 하단에는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개의 격벽부가 형성 구비되는 실링몸통부를 갖는 공기유입차단장치를 포함하여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몸통부는 상부측으로는 카본이 공급되어 축적되는 카본유입공간부가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축이 설치되며, 하부측으로는 유입되는 카본이 배출되는 배출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격벽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실링몸통부의 내벽부와 상기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립댐퍼밸브로부터 상기 카본유입공간부까지 연결되어 카본을 공급하는 연결관에는 감지부와 연결 설치되는 카본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 내부로 상기 감지부의 위치까지 카본이 쌓이게 되면 상기 카본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유입차단장치를 작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KR1020120025486A 2012-03-13 2012-03-13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KR10135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86A KR101357025B1 (ko) 2012-03-13 2012-03-13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86A KR101357025B1 (ko) 2012-03-13 2012-03-13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95A KR20130104195A (ko) 2013-09-25
KR101357025B1 true KR101357025B1 (ko) 2014-02-03

Family

ID=4945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86A KR101357025B1 (ko) 2012-03-13 2012-03-13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359B1 (ko) * 2013-12-27 2015-05-19 정인수 폐열을 이용한 폐기물 열분해 장치
CN111425861A (zh) * 2020-03-05 2020-07-17 江苏阜升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处理用磁化低温热解炉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37U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KR20060096256A (ko) * 2005-03-03 2006-09-11 (주)이오스시스템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KR20090048087A (ko) * 2007-11-09 2009-05-13 (주)이앤페트로테크놀러지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37U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여과포 집진기용 로타리 밸브의 공기역류 방지장치
KR20060096256A (ko) * 2005-03-03 2006-09-11 (주)이오스시스템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KR20090048087A (ko) * 2007-11-09 2009-05-13 (주)이앤페트로테크놀러지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95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728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연속 가동식 유화설비
US20090211892A1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rubber
KR101357025B1 (ko)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KR100971024B1 (ko) 폐고무용 열분해장치
US20220234086A1 (en) Thermal remediation system and process
US20160030611A9 (en)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feedstock material
KR101446705B1 (ko) 폐원료를 이용한 재생오일 생산장치
US10094280B2 (en) Process for treating waste feedstock and gasifier for same
KR100955425B1 (ko)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
KR101175550B1 (ko) 열분해로 고형성분 배출이송관 막힘 방지 장치
KR101327169B1 (ko)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KR101357013B1 (ko)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KR101026199B1 (ko) 열풍건조수단이 구비된 폐플라스틱용 오일환원장치
KR100962480B1 (ko) 유기폐기물 열분해 장치
KR20230087649A (ko)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폐합성수지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순환 열분해 장치
KR100582948B1 (ko)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100989939B1 (ko) 폭발예방수단이 구비된 폐고무용 열분해장치
CN206279066U (zh) 一种低温连续热解处理污泥的固定床反应器
KR101632028B1 (ko) 폐타이어용 연속식 열분해 장치
CN102575170A (zh) 碳化装置
KR100573629B1 (ko)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KR101565544B1 (ko) 복수 개의 열교환부를 구비한 폐원료 이용 재생오일 생산장치
KR20130139002A (ko)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2213139B1 (ko) 열분해로 슬러지 배출장치
KR20230087648A (ko)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순환 열분해 방법 및 순환 열분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