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69B1 -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69B1
KR101327169B1 KR20120029172A KR20120029172A KR101327169B1 KR 101327169 B1 KR101327169 B1 KR 101327169B1 KR 20120029172 A KR20120029172 A KR 20120029172A KR 20120029172 A KR20120029172 A KR 20120029172A KR 101327169 B1 KR101327169 B1 KR 10132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denser
discharged
pipe
pyrolysis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2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422A (ko
Inventor
배희찬
Original Assignee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노텐금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2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열분해되는 유증기 성분으로부터 오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 컨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열분해로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는 과정에 있어 오일컨덴서로 유입된 유증기 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배출될 때 그 배출구가 막힐 경우 이를 해소하여 오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 컨덴서의 오일 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A Drain Sweeping Device}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열분해되는 유증기 성분으로부터 오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 컨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열분해로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는 과정에 있어 오일컨덴서로 유입된 유증기 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배출될 때 그 배출구가 막힐 경우 이를 해소하여 오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분해란 유기물을 무산소 상태하에서 간접열을 가하여 분해시키는 것으로서, 고분자 유기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구조가 파괴됨과 동시에 이로부터 발생되는 열분해가스를 응축시켜 보다 간단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 부산물을 얻어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부산물은 고체 상태의 카본, 액체 상의 오일 및 기체상의 불응축성 가스 등이 있다.
오일과 카본을 회수하기 위한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폐고무, 비닐, 플라스틱, 피혁 슬러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열분해 시키면 열분해될 때 발생된 가스는 배기관을 따라 배출되어지고, 배출되어진 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여 오일을 얻게 된다.
이러한 열분해 반응장치는 통상적으로 열분해로를 오일을 정제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컨덴서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열분해로는 열분해된 고형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고형물 배출구, 오일성분을 함유한 가스성분을 배출하기위한 가스배출구, 처리대상인 유기물을 공급받기 위한 투입구, 열분해로의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 및 투입된 유기물을 고형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열분해로는 배치(batch)타입이어서, 투입구와 고형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어서, 로내를 열분해에 바람직한 상태인 무산소 상태로 유지하기에는 바람직하지만, 연속식 열분해로보다는 수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분해로가 연속식 타입으로 변경되어야 하지만, 열분해로에서 배출되는 연료가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혼재되어 있어서, 열분해로의 가스배출구에서 액화된 고비점 연료가스와 유기물의 열분해 후 고형성분의 카본 입자가 혼합되어 가스배출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되어, 연속으로 가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본 등과 같은 고형물은 열분해로에 구비된 고형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될 때 그 배출구를 통해 열분해로 내부로 유입되어 열분해 요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등록특허 제10-0958425호의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으로 열분해로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로에 구비되는 열분해설비(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하단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5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버너(52),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 내의 전장에 걸쳐서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챔버(53),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내의 전장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챔버(53)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배치되어 있는 제2챔버(54), 상기 제1챔버(53)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1오거(55), 상기 제2챔버(54)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상기 제1챔버(53)에서 배출된 유기폐기물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2오거(56),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하단과 상기 제2챔버(54)의 타측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연결챔버(57) 및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상단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51)의 타측 상단을 관통하여 노출된 가스배출관(58)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스배출관(58)에는 유증기 성분을 정제하여 오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컨덴서(59)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열분해설비(50)는 투입구(A)를 통해 파쇄된 유기폐기물이 상기 제1오거(55)로 유입되면서 가열되는 열에 의해 분해된 후, 가스성분은 상기 가스배출관(58)으로 빠져 나가 상기 오일컨덴서(59)로 공급되어 여기서 오일이 정제 생산되고, 고형성분인 카본 등은 상기 제2오거(56)를 거쳐 배출구(B)를 통해 빠져 나가 저장고(S)에 축적된 후 제1,2밸브(60,61)를 개방하여 방출 처리되면서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의 화합물 분해 과정이 이루어진다.
KR 10-0955425 (등록번호) 2010.04.22. KR 10-0962480 (등록번호) 2010.06.03. KR 10-2012-0005337 (공개번호) 2012.01.1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설비는 열분해 과정에서 얻어지는 가스성분이 가스배출관(58)으로 빠져 나가 오일컨덴서(59)로 공급되면서 오일이 정제 생산되고, 이어 상기 오일컨덴서(59)에 생성되는 오일은 그 바닥측에 구비된 오일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오일배출구(62)는 오일배출이 진행되는 동안 그 배출구 내벽이나 상기 오일컨덴서(59)의 바닥 등에 퇴적물이 쌓여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오일컨덴서(59)의 바닥이나 오일배출구가 막히게 되면 상기 오일컨덴서(59)를 해체하여 보수 및 수리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이로 인해 화합물의 열분해 작업에 대한 효율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분해로에 의해 유기폐기물로부터 분리 생산된 유증기가스를 유증기배출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컨덴서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오일컨덴서의 바닥측에는 유증기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오일배출구를 설치하되, 상기 오일배출구에는 볼밸브가 구비된 연통관이 근접하여 설치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컨덴서바닥부와 오일배출구 등에 퇴적물이 쌓이게 될 경우 상기 볼밸브를 개방하여 브러쉬 등을 상기 연통관에 삽설하여 이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컨덴서의 해체없이 손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과,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연통관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로 구성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컨덴서에는 그 바닥면과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면 이를 외부에서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퇴적물제거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 컨덴서의 오일 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는 열분해로에서 분해된 유증기성분을 가스 배출구를 통해 오일컨덴서로 유입시킨 후 오일컨덴서 내부에서 가스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오일배출구를 통해 배출 공급될 때, 오일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일컨덴서를 해체하지 않고 오일배출구를 보수 및 수리할 수 있어 막대한 시간과 비용 절감은 물론 이로 인해 화합물의 열분해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분해로의 운전 중에도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여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가 구비된 유기폐기물의 열분해로 장치에서 유증기 성분으로부터 오일이 생산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가 OFF된 상태와 ON되어 브러쉬수단이 삽설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가 ON되어 브러쉬수단을 이용해 배출구의 막힘상태를 해소시키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열분해로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터와 같은 열원(111)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110,heating chamber)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112)로부터 투입구(1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120)과,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2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122,auger)과,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122)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카본)이 이동되어 퇴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측에 연통관(125)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130)과,
상기 제2이송관(13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3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123)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132,auger)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141)이 삽설된 제3이송관(140)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110)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150),
상기 제3이송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160, 증류기)로 구성되는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고 고형성분과 유증기를 분리하여 카본과 오일을 추출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오일컨덴서(160)에는 그 바닥면과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161)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면 이를 외부에서 관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퇴적물제거수단(170)이 설치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 형상은 그 중앙부가 높게 형성되고 모서리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되어 있어 가스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모서리부로 흘러 고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모서리부의 바닥부측에는 가스성분으로부터 생성되어 고인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배출구(161)가 연결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배출구(161)는 한군데 이상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퇴적물제거수단(170)은 그 일단이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외부에서 이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171)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오일배출구(161)까지 설치된 연통관(1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172)의 일단에는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외부에 상기 볼밸브(171)가 설치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오일배출구(161)에 근접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볼밸브(171)를 통해 상기 오일배출구(161)에 퇴적물이 쌓였는지의 여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볼밸브(171) 이외의 장치로 설치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171)에는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손잡이(17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볼밸브(171)는 일반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개폐손잡이(173)를 시계방향으로(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밸브(171)를 ON시킬 수 있도록 되며, 이때 외부에서 상기 연통관(172)을 통해 브러쉬수단(180)을 삽설하여 상기 오일배출구(161)에 쌓여진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 상기 개폐손잡이(173)를 역으로 회전하여 OFF시키게 되면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브러쉬수단(180)이 삽설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수단(180)은 일단에는 사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퇴적물 등을 용이하게 게거할 수 있도록 브러쉬 등과 같은 제거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유기물 분해장치(200)는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폐유기물을 작은 조각으로 분쇄한 다음 컨베이어장치와 공급호퍼 등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구(113)를 통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히팅챔버(110)는 열원(111)을 이용하여 일정온도 이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구동수단(1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오거수단(122)이 회전되면서 이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오거수단(122)에 의해 이동되는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의 고온에 의해 가열 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분리되어 유증기성분은 상기 유증기배출관(150)을 통해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고, 고형성분은 상기 연통관(125)을 통해 상기 제2이송관(140)으로 떨어져 상기 구동수단(131)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2오거수단(132)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퇴출구(123)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는 유증기 성분은 상기 오일컨덴서(160)로 공급되면서 여러과정을 통해 오일과 가스 등으로 분리되어 오일은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에 구비된 상기 오일배출구(161)를 통해 배출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 처리되면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유기화합물 정제 찌꺼기가 지속적으로 고착되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정제되는 오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유기화합물 정제 찌꺼기가 쌓이게 되면, 상기 퇴적물제거수단(170)을 이용하여 이들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유기화합물 정제 찌꺼기가 쌓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개폐손잡이(173)를 상술한 방법으로 작동시켜 상기 브러쉬수단(180)을 상기 볼밸브(171)의 통로를 통해 상기 연통관(172)으로 삽설키고 이를 왕복운동 또는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퇴적된 고착물을 제거시킨다.
그리고,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퇴적된 고착물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브러쉬수단(180)을 빼내 보관하고 상기 볼밸브(171)를 차단시킨다.
이상과 같이 상기 퇴적물제거수단(170)을 정기적으로 가동시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과 상기 오일배출구(161) 등에 퇴적된 고착물을 제거시켜 줌으로써 열분해로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는 열분해로에 의해 유기폐기물로부터 분리 생산된 유증기가스를 유증기배출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컨덴서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오일컨덴서의 바닥측에는 유증기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오일배출구를 설치하되, 상기 오일배출구에는 볼밸브가 구비된 연통관이 근접하여 설치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컨덴서 바닥부와 오일배출구 등에 퇴적물이 쌓이게 될 경우 상기 볼밸브를 개방하여 브러쉬 등을 상기 연통관에 삽설하여 이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오일컨덴서의 해체없이 손쉽게 해소할 수 있어 열분해로의 운전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분해로의 운전 중에도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여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을 가능할 수 있게 한다.
100: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110:히팅챔버 111:열원
120:제1이송관 121:구동수단 122:제1오거수단 123:퇴출구
130:제2이송관 131:구동수단 132:제2오거수단
140:제3이송관 141:제3오거수단
150:유증기배출관
160:오일컨덴서 161:오일배출구
170:퇴적물제거수단 171:볼밸브 172:연통관 173:개폐손잡이
180:브러쉬수단
200:폐유기물 분해장치

Claims (4)

  1. 삭제
  2.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과,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연통관으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로 구성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컨덴서에는 그 바닥면과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면 이를 외부에서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퇴적물제거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퇴적물제거수단은 그 일단부측에 상기 오일컨덴서의 외부에서 이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가 구비되고, 타단부측에는 상기 오일컨덴서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오일배출구까지 연통되어 설치된 연통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 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컨덴서의 바닥면 형상은 그 중앙부가 높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모서리부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되며, 생성된 오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상기 오일배출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 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에는 상기 연통관으로 브러쉬수단을 삽설할 수 있도록 이를 개폐하는 개폐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 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KR20120029172A 2012-03-22 2012-03-22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KR10132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9172A KR101327169B1 (ko) 2012-03-22 2012-03-22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9172A KR101327169B1 (ko) 2012-03-22 2012-03-22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22A KR20130107422A (ko) 2013-10-02
KR101327169B1 true KR101327169B1 (ko) 2013-11-06

Family

ID=4963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29172A KR101327169B1 (ko) 2012-03-22 2012-03-22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421B1 (ko) * 2021-11-26 2023-10-30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스크래퍼를 구비한 응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74A (ja) * 1993-07-29 1995-02-10 Hitachi Zosen Corp 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装置における異物、残渣の除去方法
JP2001090934A (ja) 1999-09-22 2001-04-03 Takuma Co Ltd 熱分解ガスダクトの清掃装置
KR20090117377A (ko) * 2008-05-09 2009-11-12 구재완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74A (ja) * 1993-07-29 1995-02-10 Hitachi Zosen Corp 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装置における異物、残渣の除去方法
JP2001090934A (ja) 1999-09-22 2001-04-03 Takuma Co Ltd 熱分解ガスダクトの清掃装置
KR20090117377A (ko) * 2008-05-09 2009-11-12 구재완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22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4649B2 (en) Method for the pyrolytic extraction of hydrocarbon from oil shale
RU2532907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и
KR101817728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연속 가동식 유화설비
US6244198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yrolytic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
KR100820868B1 (ko) 탈염기능을 갖는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US11807813B2 (en)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oil, gas and char for a coal black from elastomers, especially rubber wast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pyrolysis
CN108203217A (zh) 一种油基钻屑连续式微波热解设备及工艺
US20220234086A1 (en) Thermal remediation system and process
US11518702B2 (en) Hydrothermic liquefaction outputs and fractions thereof
KR101327169B1 (ko)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KR101357013B1 (ko)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KR101175550B1 (ko) 열분해로 고형성분 배출이송관 막힘 방지 장치
WO2009130524A1 (en) Pyrolytic apparatus and method
CN108246774B (zh) 一种有机污染物环境保护热解处理系统及方法
KR101357025B1 (ko)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US20020100710A1 (en) Desorbtion process and apparatus
KR100582948B1 (ko)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US9539523B2 (en) Integrated waste catalyst cleaning apparatus for RHDS and VRDS processes and method thereof
CN211394371U (zh) 一种油田含油废弃物的高温碳化干燥设备
JPS62184034A (ja) プラスチツク廃棄物の油化装置
KR102325950B1 (ko) 탈염 효율이 향상된 폐기물원료 열분해 시스템
KR101213754B1 (ko) 열분해로
KR100817738B1 (ko) 폐플라스틱의 유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5544B1 (ko) 복수 개의 열교환부를 구비한 폐원료 이용 재생오일 생산장치
KR100718730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폐수로부터 정제유를 추출하는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