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173B1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173B1
KR100696173B1 KR1020050024337A KR20050024337A KR100696173B1 KR 100696173 B1 KR100696173 B1 KR 100696173B1 KR 1020050024337 A KR1020050024337 A KR 1020050024337A KR 20050024337 A KR20050024337 A KR 20050024337A KR 100696173 B1 KR100696173 B1 KR 10069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upled
construction waste
foreign matte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576A (ko
Inventor
정창규
김명숙
Original Assignee
정창규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규, 김명숙 filed Critical 정창규
Priority to KR102005002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1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에 설치된 에어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가변노즐부를 통해 낙하되어지는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골재가 선별되어지도록 구성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상기 슈트는 투입구에 루버판이 결합된 슈트몸체를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드타입의 제1가이드를 갖는 이물질배출구와 소프트타입의 제2가이드를 갖는 골재배출구를 설치하되, 상기 제1가이드는 상단 내측에 반사패널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하단이 관통된 루버로 구성하되, 상기 루버는 제1가이드에 맞닿는 쪽의 두께를 이송컨베이어에 근접한 곳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구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의 상단이 결합된 슈트몸체 내측에 댐퍼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노즐부,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가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의 배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가변노즐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가변노즐부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가변노즐부의 종단면도.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슈트 11:투입구
12:루버판 13:슈트몸체
14:프레임 15:이물질배출구
16:골재배출구 17:댐퍼
151:제1가이드 152:반사패널
161:제2가이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회의 분쇄과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가운데 하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질량이 가벼운 이물질이 골재와 용이하게 분리되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에어가 분사되어지는 노즐이 가변되어지도록 하여 분쇄된 건축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에어의 분사방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골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재건축하기 위해 철거를 하는 과정에서 철골 및 벽면, 슬래브, 천정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목재, 유리, 합성수지가 포함 된 다량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등을 수거한 후 콘크리트를 분쇄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골재를 얻고, 골재를 얻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인 폐목편, 직물류조각, 프라스틱, 종이류, 비닐류는 소각으로 처분하면 된다.
상기 이물질 선별장치는 골재 및 골재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매개체의 따라 습식선별법 및 건식선별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습식선별법은 물을 이용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금속재가 분리된 콘크리트 분쇄물을 수조내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분쇄물과 이물질과의 비중 차이에 의해 이물질이 수조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하고, 그 상부로 떠오른 이물질을 별도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선별되도록 하고,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분쇄물은 다른 이송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아 놓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선별법은 콘크리트 분쇄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물이 필요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혼탁해진 물은 별도의 정수처리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정수처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 그 주변 환경을 더 오염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건식선별법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매개체를 물이 아닌 공기를 이용한 것으로 이물질이 포함된 분쇄된 콘크리트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부로 올린 후 하부로 낙하시키는 가운데 콘크리트를 향하여 블로워를 통해 에어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에 비해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이 바람에 날려 선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선별법은 습식선별법에 비해 별도의 정수처리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 운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나, 블로워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토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분쇄된 건축폐기물의 종류가 다를 경우, 이물질 분리율이나 그에 따른 골재의 생산성이 낮아지면서 양질 의 골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느 한 종류의 분쇄된 건축폐기물에 에어가 최적의 상태로 토출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기본적으로 셋팅되어 있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분쇄물 이외에 크기가 작거나 큰 분쇄물속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분쇄물의 크기가 작으면 이물질속에 많은 골재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어 골재의 생산성이 낮아지며, 분쇄물의 크기가 크면 미처 골재와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이 골재와 같이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어 골재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수회의 분쇄과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가운데 하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질량이 가벼운 이물질이 골재와 용이하게 분리되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에어가 분사되어지는 노즐이 가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된 건축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에어의 분사방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양질의 골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에 설치된 에어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가변노즐부를 통해 낙하되어지는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골재가 선별되어지도록 구성된 건설폐기 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는 투입구(11)에 루버판(12)이 결합된 슈트몸체(13)를 프레임(14)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몸체(13)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드타입의 제1가이드(151)를 갖는 이물질배출구(15)와 소프트타입의 제2가이드(161)를 갖는 골재배출구(16)를 설치하되, 상기 제1가이드(151)는 상단 내측에 반사패널(152)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가이드(161)는 상하단이 관통된 루버로 구성하되, 상기 루버는 제1가이드(151)에 맞닿는 쪽의 두께를 이송컨베이어(4)에 근접한 곳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구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가이드(151) 및 제2가이드(161)의 상단이 결합된 슈트몸체(13) 내측에 댐퍼(17)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노즐부(2)는 투입구(11)의 전방 하측으로 위치하는 프레임(14) 사이에 유입구(221)와 분사구(222)가 형성된 노즐몸체(22)를 제1베어링(23)(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분사구(222)에 다수개의 윈드가이드(223)(223')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베어링(23)은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축(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베어링(23')은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파이프(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힌지파이프(21')에 블로워(31)의 토출구(32)가 직접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축(21)과 노즐몸체(22) 사이에 가변부(24)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24)는 힌지축(21)에 제2베어링(251)이 삽입된 축지지대(25)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핸들(261)과 구동기어(262)가 양단에 결합된 회 전축(26)이 상기 제2베어링(251)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26)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고정부(27)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베어링(23)에 끼워진 노즐몸체(22)의 외측에 종동기어(28)를 결합시키되, 상기 종동기어(28)가 구동기어(262)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27)는 관통홀(271)이 형성된 지지대(272)를 힌지축(21)에 결합, 고정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271)에 직각으로 연계되어지는 안내홀(273)을 지지대(272)에 형성하되, 상기 안내홀(273)에 삽입된 유동편(274)이 캡(275)에 지지되는 스프링(27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부가 관통홀(271)의 내주연부로 돌출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중앙에 축삽입홀(276a)이 형성되며 그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위치고정홈(276b)이 형성된 디스크 스토퍼(276)가 상기 관통홀(27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축삽입홀(276a)에 회전축(26)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장치(A)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6)이 이송컨베이어(4)를 통해 슈트(1)의 내부로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1)에 설치된 에어공급부(3)에서 공급되어지는 에어가 가변노즐부(2)를 통해 낙하되어지는 분쇄된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짐으로써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골재가 선별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슈트(1)는 이송컨베이어(4)의 상단으로 내,외부가 차단된 형 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4)의 윗면을 통해 이송된 건설폐기물(6)이 하부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외기의 영향 및 간섭을 받지 않으며 하부로 용이하게 낙하 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슈트(1)는 하부만 개방된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된 슈트몸체(13)와 그 내부에 구비된 댐퍼(17)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슈트몸체(13)는 하단의 바깥쪽이 프레임(14)에 걸쳐진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방된 하부에는 그 양측을 각각 절반이 분리된 형태를 갖는 이물질배출구(15)와 골재배출구(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배출구(15)는 철판을 절곡하여 용접시킨 하드타입의 제1가이드(151)가 슈트몸체(13)의 하부로 더 연장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가이드(151)의 상부 내측으로는 만곡형태를 갖는 반사패널(152)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여 가변노즐부(2)에서 분사되어지는 에어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의 일부가 제1가이드(151)를 따라 하부로 낙하되지 않고 슈트몸체(13)의 내측 상부로 소용돌이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변노즐부(2)에서 분사된 에어가 반사패널(152)의 만곡된 부위에 부딪침과 동시에 그 입사각이 작아짐으로써, 거의 대부분의 에어가 제1가이드(151)를 따라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물질의 배출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골재배출구(16)는 건설폐기물 중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골재만이 하부로 낙하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1가이드(151)에 비하여 소정 쿠션을 갖는 소프트타입의 제2가이드(1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161)는 상하단이 관통된 직사각형의 루버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151)에 맞닿는 쪽의 두께를 이송컨베이어(4)에 근접한 곳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161)의 두께가 차이 나도록 하는 것은 이송컨베이어(4)를 통해 슈트몸체(13)로 낙하된 골재는 작용 및 원심력에 의하여 골재가 이송컨베이어(4)의 끝단에서 직하방으로 낙하되기 보다 바깥쪽 방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낙하되어지는 과정에서 제2가이드(161)의 내측벽면에 부딪치거나 접촉된 후 떨어지게 됨으로써 충격이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및 마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슈트몸체(13)에 형성된 골재배출구(16)의 모서리 상부에는 이송컨베이어(4)로부터 건설폐기물(6)이 슈트몸체(13)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11)는 상단에 이송컨베이어(4)의 윗면에 거의 밀착되는 형태를 취하는 루버판(12)이 고정되어 슈트몸체(13)의 내부로 부터 투입구(11)를 통해 외부로 이물질이 역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17)는 이물질배출구(15)와 골재배출구(16) 사이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댐퍼축(171), 댐퍼패널(172) 및 댐퍼고정구(17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댐퍼축(171)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길이가 비교적 긴 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은 슈트몸체(13)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13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댐퍼패널(172)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것으 로 댐퍼축(171)에 결합 또는 고정수단인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댐퍼고정구(173)는 댐퍼축(171)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는 것으로 나사부재(174)의 상단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손잡이는 나비 너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물질배출구(15)의 하단에는 건설폐기물(6)로 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별도의 통로(9)를 통해 함체(7)로 선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노즐부(2)는 이송컨베이어(4)로 부터 낙하되어지는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지는 에어의 분사 방향을 건설폐기물의 종류별로 조절하여 최적의 이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노즐부(2)는 투입구(11)의 전방 하측으로 위치하는 프레임(14) 사이로 노즐몸체(22)의 양측이 제1베어링(23)(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몸체(22)는 유입구(221)와 분사구(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분사구(222)에는 다수개의 윈드가이드(223)(223')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분사구(222)를 통해 분사되어지는 바람이 더 멀리 분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베어링(23)은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축(21)에 그 내륜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외륜은 유입구(22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타측의 내면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베어링(23')는 제1베어링(23)과 대향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파이프(21')에 그 내륜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외륜은 노즐몸체(22)에 형성된 유입구(221)의 내측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힌지파이프(21')의 일측은 블로워(31)의 토출구(32)에 직접 결합되어있음으로써, 블로워(31)를 통한 공기가 신속하게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21)과 노즐몸체(22) 사이에 노즐몸체(2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가변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베어링(23)과 제2베어링(23')의 외륜이 결합되어지는 노즐몸체(22)에는 내주연부에 각각의 링홈(224)을 형성하여 실링(255)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힌지파이프(21')를 통해 노즐몸체(22)로 공급된 에어가 분사구(222)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누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3)는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에어가 토출구(32)및 힌지파이프(21')를 통해 노즐몸체(22)의 분사구(222)로 분사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흡입구(33)와 토출구(32)가 형성된 블로워(3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32)가 힌지파이프(21')의 입구측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31)는 회전속도의 조절이 용이한 팬 인버터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몸체(22)를 통해 슈트몸체(13)로 공급되어지는 에어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부(24)는 제1베어링(23)(23')에 의하여 프레임(14)의 양측단에 결 합된 힌지축(21)과 힌지파이프(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노즐몸체(22)를 임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힌지축(21)에 제2베어링(251)이 삽입된 축지지대(25)가 힌지축(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핸들(261)과 구동기어(262)가 양단에 결합된 회전축(26)이 상기 제2베어링(251)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6)의 가운데 위치고정부(27)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베어링(23)이 끼워진 노즐몸체(22)의 외측에 종동기어(28)을 결합시키되, 그 결합을 억지끼워맞춤이나 키 등을 삽입하여 고정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종동기어(28)가 구동기어(262)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7)는 가변부(24)에 의하여 임의 각도로 회동되어진 노즐몸체(22)가 그 자중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관통홀(271)이 형성된 지지대(272)를 힌지축(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271)에 직각으로 연계되어지는 안내홀(273)이 지지대(27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홀(273)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동편(274)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유동편(274)은 캡(275)에 지지되는 스프링(27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부가 관통홀(271)의 내주연부로 항상 돌출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에 축삽입홀(276a)이 형성되며 그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위치고정홈(276b)이 형성된 디스크 스토퍼(276)가 상기 관통홀(27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축삽입홀(276a)에는 회전축(26)이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골재를 얻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건설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철제 등은 자석을 이용하여 수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일정한 크기 이하로 분쇄시킨다.
다음, 콘크리트의 분쇄물속에는 목재, 유리, 합성수지 및 섬유질 등의 이물질이 같이 혼합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6)은 호퍼(8)를 통해 이송컨베이어(4)에 실려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이러한 가운데 슈트몸체(13)의 상부에 고정된 에어공급부(3)의 블로워(31)가 작동됨에 따라 외기가 흡입구(33)를 통해 그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기는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토출구(32)를 통해 그 단부에 결합된 힌지파이프(21')를 경유한 후 노즐몸체(22)로 공급되고, 분사구(222)를 통해 이송컨베이어(4)의 하부에서 슈트몸체(13)의 내벽 상부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는 가운데 이송컨베이어(4)에 실려온 건설폐기물(6)이 하부로 낙하됨과 동시에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골재보다 가벼운 이물질은 슈트몸체(13)의 내벽쪽으로 날리면서 제1가이드(151)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이와 연결된 통로(9)를 통해 함체(7)로 선별된다.
이때, 노즐몸체(22)의 분사구(222)로 부터 분사되어지는 에어는 슈트몸체(13)의 내벽에 부딪친 입사각에 따라 그 진행 방향이 상부를 향하게 되나, 제1가이드(151)의 상부 내측으로는 만곡형태를 갖는 반사패널(152)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 하여 그 입사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슈트몸체(13)의 내측 상부로 소용돌이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거의 대부분의 이물질이 제1가이드(151)를 따라 하부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물질이 분리된 골재는 분사구(222)에서 분사되어지는 에어의 압력이나 이송컨베이어(4)로 부터 낙하되는 원심력에 의해 그 일부가 제2가이드(161)에 부딛치는 과정에서 마모와 동시에 소음이 발생하게 되나, 제2가이드(161)가 루버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표면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며, 골재배출구(16)를 통해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됨에 따라 이를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다음, 슈트몸체(1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댐퍼(17)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댐퍼고정구(173)를 이용하여 댐퍼축(171)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댐퍼고정구(173)에 결합된 나사부재(174)를 회전시켜 나사부재(174)가 슈트몸체(13)의 외벽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함으로써,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패널(172)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이물질배출구(15)의 단면적이 적어짐으로써, 저순도의 많은량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댐퍼패널(172)이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이물질배출구(15)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반면 골재배출구(16)의 단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송컨베이어(4)로 부터 낙하되어지는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지는 에어의 분사 방향을 공급되어지는 건설폐기물의 종류별로 조절하여 최적의 이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핸들(26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핸들(261)에 결합된 회전축(26)이 같이 회전되면서 그 단부에 고정된 구동기어(26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2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6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분사구(222)의 경사각이 커지게 됨으로써, 에어의 분사방향이 상부를 향하게 된다.
다음, 핸들(261)에서 손을 뗌과 동시에 분사구(222)의 경사각이 커진 노즐몸체(22)의 자중으로 인하여 역방향, 즉 노즐몸체(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려고 하나, 안내홀(273)에 삽입된 스프링(276)의 탄성력에 의하여 관통홀(271)의 내주연부에 항상 돌출된 형태를 취하는 유동편(274)이 디스크 스토퍼(276)에 형성된 위치고정홈(276b)이 삽입되어 걸려 있음으로써, 노즐몸체(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261)을 회전시킬 경우, 디스크 스토퍼(276)가 회전축(26)과 같이 회전됨에 따라 그 회전력에 의하여 유동편(274)이 스프링(276)을 가압하면서 안내홀(27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고, 디스크 스토퍼(276)가 더 회전하여 유동편(274)의 끝단이 디스크 스토퍼(276)에 형성된 위치고정홈(276b)과 일치할 경우, 스프링(276)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유동편(274)이 위치고정홈(276b)에 삽입되어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어 노즐몸체(22)의 분사구(221)의 분사방향이 가변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수회의 분쇄과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이물질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상부에 서 하부로 낙하되는 가운데 하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질량이 가벼운 이물질이 골재와 용이하게 분리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에어가 분사되어지는 노즐이 가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된 건축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에어의 분사방향을 조절하여 양질의 골재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물질과 분리된 골재가 하부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제1가이드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작업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건설폐기물의 골재에서 분리된 폐목편, 직물류조각, 프라스틱, 종이류, 비닐류 등의 미세 이물질이 대기중으로 확산되어 주변으로 비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슈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에 설치된 에어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가변노즐부를 통해 낙하되어지는 건설폐기물로 분사되어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골재가 선별되어지도록 구성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는 투입구(11)에 루버판(12)이 결합된 슈트몸체(13)를 프레임(14)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슈트몸체(13)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드타입의 제1가이드(151)를 갖는 이물질배출구(15)와 소프트타입의 제2가이드(161)를 갖는 골재배출구(16)를 설치하되, 상기 제1가이드(151)는 상단 내측에 반사패널(152)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가이드(161)는 상하단이 관통된 루버로 구성하되, 상기 루버는 제1가이드(151)에 맞닿는 쪽의 두께를 이송컨베이어(4)에 근접한 곳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구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가이드(151) 및 제2가이드(161)의 상단이 결합된 슈트몸체(13) 내측에 댐퍼(17)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노즐부(2)는 투입구(11)의 전방 하측으로 위치하는 프레임(14) 사이에 유입구(221)와 분사구(222)가 형성된 노즐몸체(22)를 제1베어링(23)(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분사구(222)에 다수개의 윈드가이드(223)(223')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베어링(23)은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축(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베어링(23')은 프레임(14)에 고정된 힌지파이프(2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힌지파이프(21')에 블로워(31)의 토출구(32)가 직접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축(21)과 노즐몸체(22) 사이에 가변부(24)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변부(24)는 힌지축(21)에 제2베어링(251)이 삽입된 축지지대(25)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핸들(261)과 구동기어(262)가 양단에 결합된 회전축(26)이 상기 제2베어링(251)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26)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고정부(27)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베어링(23)에 끼워진 노즐몸체(22)의 외측에 종동기어(28)를 결합시키되, 상기 종동기어(28)가 구동기어(262)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27)는 관통홀(271)이 형성된 지지대(272)를 힌지축(21)에 결합, 고정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271)에 직각으로 연계되어지는 안내홀(273)을 지지대(272)에 형성하되, 상기 안내홀(273)에 삽입된 유동편(274)이 캡(275)에 지지되는 스프링(27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부가 관통홀(271)의 내주연부로 돌출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중앙에 축삽입홀(276a)이 형성되며 그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위치고정홈(276b)이 형성된 디스크 스토퍼(276)가 상기 관통홀(27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축삽입홀(276a)에 회전축(26)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050024337A 2005-03-24 2005-03-24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9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337A KR100696173B1 (ko) 2005-03-24 2005-03-24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337A KR100696173B1 (ko) 2005-03-24 2005-03-24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76A KR20060102576A (ko) 2006-09-28
KR100696173B1 true KR100696173B1 (ko) 2007-03-20

Family

ID=3762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337A KR100696173B1 (ko) 2005-03-24 2005-03-24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48B1 (ko) * 2015-04-27 2015-12-17 용원기계공업(주) 건식 미분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97B1 (ko) * 2006-12-22 2007-10-04 (주)거산기계 경이물질 선별을 위한 다단 에어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289B1 (ko) * 2004-05-04 2004-08-12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01454B1 (ko) * 2004-12-08 2005-07-18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289B1 (ko) * 2004-05-04 2004-08-12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01454B1 (ko) * 2004-12-08 2005-07-18 유한회사 전일환경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48B1 (ko) * 2015-04-27 2015-12-17 용원기계공업(주) 건식 미분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76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83683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유기성·무기성 이물질의 선별 시스템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USRE36486E (en) Comminuting apparatus
KR10050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KR20030008203A (ko)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100696173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87222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200331312Y1 (ko)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KR100696175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100448651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50056762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모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10044428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111872030A (zh) 一种生活垃圾回收利用方法
KR20210132250A (ko)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100458286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