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798U -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798U
KR19990008798U KR2019970021937U KR19970021937U KR19990008798U KR 19990008798 U KR19990008798 U KR 19990008798U KR 2019970021937 U KR2019970021937 U KR 2019970021937U KR 19970021937 U KR19970021937 U KR 19970021937U KR 19990008798 U KR19990008798 U KR 19990008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tank
scaffold
cylinde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1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798U/ko
Publication of KR19990008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798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탱크로리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탱크(1) 상부의 전후,좌우에 안전브라켓트(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1)에 안전발판(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에 스테이(4)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3) 하부를 받쳐주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탱크(1)에 실린더(6)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3)을 회동시켜서 접거나 펼쳐주는구성으로 되어, 작업자가 탱크상부에 올라가 작업을 할 때 그 면적이 넓은 안전발판를 밟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탱크로리용 작업발판(Step tread for a tank lorry)
본 고안은 탱크로리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탱크 상부에 절첩가능한 안전판을 설치하여 탱크위에서 작업할 때에 미끄러저서 낙상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탱크로리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는 트럭에 탱크를 설치하고, 이 탱크에 액화석유가스, 연료, 오일 등 액체를 담아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 탱크에 오일을 주입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는 통상 탱크상부로 올라가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에서 미끄러져서 낙상사고가 빈발하였고, 또한 탱크는 통상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차량전복되거나 탱크가 차체로부터 이탈될 때 구르기 쉬워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종래에는 탱크상부에서 작업할 때 낙상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차량사고시 구름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101)상부 전후,좌우에 안전브라켓트(102)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발판은 브라켓트(102)사이의 간격이 너무 커서 브라켓트(102)사이를 이동하면서 작업하기가 어렵고, 또한 브라켓트(102) 상면의 넓이가 너무 협소하여, 작업자가 몸의 균형을 잡으면서 작업하기가 어려워 미끄럼 등에 의한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데 충분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브라켓트사이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탱크상부에서 작업시 낙상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의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탱크 상부의 전후,좌우에 안전브라켓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브라켓트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에 안전발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브라켓트 사이에 스테이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탱크에 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을 회동시켜서 접거나 펼쳐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탱크로리용 작업발판에 의하면, 전후 안전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된 안전발판은 그 면적이 넓으로므로 작업자가 몸의 균형을 잡으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탱크로리의 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판이 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판을 안내이동하는 로울러와 로울러가이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실린더가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압회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발판을 도 1과 같이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탱크 2 : 안전브라켓트
3 : 안전발판 4 : 스테이
5 : 경첩 6 : 실린더
7 : 엔진 8 : 펌프
9 : 방향제어밸브 10 : 공기탱크
11 : 스위치 12 : 로울러
13 : 로울러가이드 14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탱크로리의 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와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판이 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와 공압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탱크(1) 상부의 전후,좌우에 안전브라켓트(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의 탱크(1)에 안전발판(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에 스테이(4)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3)이 회동시 발판(3)하부에서 받쳐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발판(3)은 두 개의 분할판(3a,3b)으로 이루어지고, 이 두 분할판(3a,3b)은 경첩(5)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회동할 때에 접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1)에 안전발판(3)을 회동시켜 접거나 펼쳐주는 실린더(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실린더(6)가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압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엔진(7)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8)에서 토출된 압축공기가 공기탱크(10)에 일시저장된 다음 방향제어밸브(9)를 거쳐 상기 실린더(6)에 공급되어져, 이 실린더(6)를 제어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어밸브(9)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되어 있고, 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예컨대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스위치(11)를 매개하여 전원(B+)과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판을 안내이동하는 로울러와 로울러가이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로서, 상기 안전발판(3) 양측단에는 로울러(1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안전브라켓(2)에는 상기 로울러(1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로울러가이드(13)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3)이 원활하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발판(3)에는 폭방향으로 슬로트(slot,3c)가 형성되어, 회동할 때에 상기 액튜에이터(6)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작업발판(3)에 따르면, 안전발판(3)이 접혀진 상태에서 탱크(1)위에 올라가 작업을 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11)를 온시켜 방향제어밸브(9)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방향제어밸브(9)는 일단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4)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절환되어 압축탱크(10)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절환된 방향제어밸브(9)를 거쳐 실린더(6)에 공급되어져, 이 실린더(6)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제어작동되게 된다.
이 실린더(6)가 수축됨에 따라 접혀져 있던 안전발판(3)의 로울러(12)는 로울러가이드(13)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게 되고, 이 로울러(12)의 이동에 따라 안전발판(3)은 서서히 펼쳐지면서 실린더(6)가 최대로 수축되는 지점에서 완전히 펼쳐져 상기 스테이(4)에 안착되게 되어, 작업자는 이 안전발판(3)위를 이동하면서 탱크(1)에 액체를 충진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탱크(1)위에서의 작업이 완료되어 스위치(11)를 오프시키면, 상기 방향제어밸브(9)는 스프링(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압축탱크(10)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절환된 방향제어밸브(9)를 거쳐 실린더(6)에 공급되어져, 이 실린더(6)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제어작동하게 된다.
이 실린더(6)가 신장됨에 따라 펼쳐져 있던 안전발판(3)은 로울러(12)와 로울러가이드(13)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어 서서히 접혀지면서 실린더(6)가 최대로 신장되는 지점에서 완전히 접혀져 탱크(1) 측벽에 밀착되어, 차량운행시 공기저항이나 소음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탱크로리용 작업발판에 의하면, 전후 안전브라켓트 사이에 안전발판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안전발판은 그 면적이 넓으로므로 작업자가 몸의 균형을 잡으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 낙상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탱크(1) 상부의 전후,좌우에 안전브라켓트(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1)에 안전발판(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브라켓트(2) 사이에 스테이(4)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3)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된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3)이 두 개의 분할판(3a,3b)으로 이루어지고, 이 두 분할판(3a,3b)이 경첩(5)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회동할 때에 접첩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와 상기 안전발판(3)을 회동시켜서 접거나 펼쳐주는 실린더(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실린더(6)는 엔진(7)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8)에서 토출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제어작동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KR2019970021937U 1997-08-12 1997-08-12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KR199900087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37U KR19990008798U (ko) 1997-08-12 1997-08-12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37U KR19990008798U (ko) 1997-08-12 1997-08-12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798U true KR19990008798U (ko) 1999-03-05

Family

ID=6967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937U KR19990008798U (ko) 1997-08-12 1997-08-12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79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57B1 (ko) * 2004-06-28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트 리플리케이터
KR102658624B1 (ko) 2023-04-20 2024-04-18 김명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탱크로리 레일식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57B1 (ko) * 2004-06-28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트 리플리케이터
KR102658624B1 (ko) 2023-04-20 2024-04-18 김명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탱크로리 레일식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6724A (en) Hydraulically operated operator's step for large machinery
US4134501A (en) Tilting service lift for automotive equipment with folding lift unit
KR19990008798U (ko) 탱크로리용 작업발판
US20020187032A1 (en) Two-speed passenger lift and pump assembly therefor
KR200435429Y1 (ko)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US3125898A (en) Portable brake lock
JP3638485B2 (ja) 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JP2542539B2 (ja) アウトリガ付き車輌の水平矯正方法
JPH11140816A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の複数ステージ兼用ルーフ
JP4931336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レベリング装置
KR20021661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의 파킹브레이크의 안전장치
JP7036631B2 (ja)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JPH08301015A (ja) 可動式昇降用ラダー装置
JPH09175797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030082901A (ko) 작업차량의 안전장치 및 안전작업방법
JP3781662B2 (ja) 高所作業車のポスト伸長ロック装置
JPH09227099A (ja) 昇降作業装置の安全装置
KR200431799Y1 (ko) 고소작업용 차량
JP2002255490A (ja) 作業用車両のジャッキ作動制御装置
KR0134489Y1 (ko) 폴딩형 사다리
JPS58180331A (ja) ダンプトラツクにおける荷箱傾動角規制装置
JP2558941Y2 (ja) スライドデッキ式高所作業車のスライド規制装置
JP3068419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H038544Y2 (ko)
KR19990031042U (ko) 차량용 절첩식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