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036A - 노플랜트 - Google Patents

노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036A
KR19990008036A KR1019970707560A KR19970707560A KR19990008036A KR 19990008036 A KR19990008036 A KR 19990008036A KR 1019970707560 A KR1019970707560 A KR 1019970707560A KR 19970707560 A KR19970707560 A KR 19970707560A KR 19990008036 A KR19990008036 A KR 1999000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magnetic field
furnace
plant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뎀마그너스
헨릭쏜페르
칼쏜라스
노르덱비스트라스
오스카쏜페터
셀베르그구나르
탈박괴테
Original Assignee
벵트쏜마츠
아세아브라운보베리악티엔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벵트쏜마츠, 아세아브라운보베리악티엔볼라그 filed Critical 벵트쏜마츠
Publication of KR1999000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1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wherein the mixture is directly exposed to an electromagnetic field without use of a stirrer, e.g. for material comprising ferromagnetic particles or for molte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5Mixing in metallurgical processes of ferrous or non-ferrou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3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노플랜트는 측벽 (21) 과 바닥 (22) 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베셀 (2) 과,
복사와 대류로 상기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 및/또는 고체 금속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기 (31) 를 포함한다. 두 개 이상의 이중 또는 다중 측방 교반기(4, 24, 24a, 24b, 24c, 34, 34a, 34b) 가 상기 노베셀의 측벽 (21) 안 또는 근처에 배치되어, 이 측벽을 통해서 작용하고 또한 용융 금속에 교반 자기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측방 교반기는 철심 주위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페이즈 권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심은, 상기 노베셀에서 사용되는 최대 욕깊이에서 바닥과 용융 금속의 상면 사이의 영역 Dmax 을 덮게 되는 연직 높이 (H) 을 갖는다. 또한 측방 교반기는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두배 보다 큰 폴피치 τ(2dw) 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노플랜트
알루미늄을 용해 및/또는 홀딩을 할 때,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을 교반하고 또 용융 금속에서 온도와 농도구배를 줄이며 그리고 노플랜트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베셀 밑에 위치하는 전자기적 교반기 (stirrer) 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용융 금속의 상면에서의 과온도 (over temperature) 를 막아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과온도는, 용융 금속의 일부가 용해 또는 홀당시에 도달하게 되는 최대 온도와 용융 금속의 용해온도의 차를 말한다.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산화 및 찌꺼기와 슬래그의 형성으로 인해 금속의 손실이 초래된다. 또한, 작업시 에너지 이용율도 저하되게 된다. 위와 같은 금속 손실과 낮은 에너지 효율은, 오일과 가스를 써서 복사 및 대류로 금속을 용해시키는 반사로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용융 금속을 교반하면, 용융 금속에서의 온도와 농보구배가 균일하게 되어, 과도한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작업의 에너지 효율도 개선된다. 이것은, 전자기적 교반을 하게 되면 교반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용융 금속의 유효 열전도 계수가 10배 이상 커지게 된다는 사실로 부터 알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열전도 게수라는 것은, 용융 금속 및/또는 고체 금속에서의 전도 열속 및 교반을 통해 용융 금속에서 얻어지는 대류 열속 형태의 추가적인 기여 모두를 고려하여, 용해조에서의 열전달을 나타내는 열전도 계수를 말한다.
예컨데, 미국특허 제 4 294 435 호에서 볼 수 있듯이, 알루미늄의 용해 및 홀딩을 위한 노플랜트에서 바닥 교반을 행하기 위해 노 밑에 전자기적 교반기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교반기를 두면, 유효 열전도 계수를 25 ∼ 35 팩터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따라 노 밑에 또는 노바닥 근처에 바닥 교반기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될 때는, 경제적 및 구조적 복잡성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노의 에너지 효율과 생산성를 향상시키기 위해 또한 용융 금속의 온도와 농도구배를 줄이기 위해 종래의 노플랜트에 교반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특히 현저히 생기는 문제이다. 또한, 많은 경우 종래의 노플랜트에 바닥 교반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왜냐하면, 노가 플로어상에 설치되며 또한 노홀을 대폭적으로 구조변경하지 않으면 노의 바닥을 이와같은 교반기 설치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용해조들 사이에 있는 용융 금속을 펌핑함으로써 용융 금속을 교반하기 위해, 용해로에 있는 상이한 용해조들을 분리하는 벽들 안에 또는 근처에 전자기적 교반기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전자기적 수단이 노베셀의 벽 안에 또는 근처에 설치되어 양 단에서 노베셀의 용융 금속과 통하게 되는 채널과 작용하게 함으로써 교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4 294 435 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을 용해 및 홀딩하는 노플랜트에서 노벽에 설치된 전자기적 수단 근처에 소위 측방 교반기라고 하는 전자기적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방 교반기는 측방 교반이 일어나도록 벽을 통해 작용하여 교반 자기장을 노베셀의 용융 금속에 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노베셀이 그의 욕깊이에 비해 넓은 욕표면을 가질 때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을 효과적으로 교반하기 위해 측방 교반기가 어떻게 구성되고 또는 설치되는 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구성 및 경제적 관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 교반을 얻기 위해 전자기적 교반기인 측방 교반기가 노의 측벽을 통해 작용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베셀의 벽 안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는 측방 교반기를 이용한 교반은, 특히 욕깊이에 비해 넓은 욕표면을 갖는 노베셀에서는 교반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금속의 용해 및/또는 용융 금속의 홀딩을 위한 노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 용융 금속 및/또는 고체 금속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측벽과 바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베셀과,
- 복사와 대류로 상기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 및 고체 금속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기와,
-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을 교반하기 위한 전자기적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알루미늄의 용해 및/또는 홀딩을 위한 노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 용융 알루미늄 및/또는 고체 알루미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노베셀과, 벽 및 바닥, 또한 상기 노베셀 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지붕을 갖는 노챔버와,
- 상기 노지붕의 안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어 복사와 대류로 노베셀에 있는 알루미늄을 용해시키기는 하나 이상의 가열기 및,
- 상기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을 교반하기 위한 전자기적 수단을 포함한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 2b 및 2c 는 근본적으로 원형인 노베셀을 갖는 본 발명의 노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3a, 3b 는 근본적으로 사각형인 노베셀을 갖는 본 발명의 노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욕깊이에 비해 넓은 욕표면을 갖는 노베셀에서 효과적인 측방 교반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구성 및 설치되며 이중 또는 다중 전자기적 교반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노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용융 금속의 유효 열전도 계수는 10 팩터 이상 커지게 되며, 그 결과 온도와 농도구배가 줄어들며 또한 노플랜트의 에너지 효율과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효과적인 측방 교반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용융 금속의 용해 및/또는 홀딩을 위한 노플랜트에서 이루어진다.
- 용융 금속과 고체 금속을 위한 것으로, 측벽과 바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베셀로서, 바람직하게는 욕깊이에 비해 넓은 욕표면을 갖는 노베셀,
- 복사와 대류로 상기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 및/또는 고체 금속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기,
- 상기 노베셀의 측벽의 안 또는 근처에 배치되어 이 측벽을 통해서 작용하고 또한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에 이동 교번 자기장 -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 자기장 - 을 가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이중 또는 다중 측방 교반기.
상기 측방 교반기는 철심 주위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페이즈 권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심은, 상기 노베셀에서 사용되는 최대 욕깊이에서 바닥과 용융 금속의 상면 사이의 영역을 덮게 되는 연직 높이를 갖는다. 또한 측방 교반기는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두배 보다 큰 폴피치 τ(2dw) 로 배치된다.
최대 욕깊이는, 최대 욕깊이는 정상 작업조건에서 노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최대 욕깊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을 용해하고 홀딩하기 위한 노에서의 최대 욕깊이는 1 m 이하이다. 대개 이런 종류의 노에 대한 최대 욕깊이 Dmax는 0.3 내지 0.9 m 이다.
상기 측방 교반기를 통해 전류가 흘러 용융 금속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데, 이 전자자기장으로 인해 상기 용융 금속에 수직방향 전류가 유도되게 된다. 이들 전류는 용융 금속의 상면과 노베셀의 바닥에서 편향되게 된다. 원하는 효과적인 교반이 일어나도록, 사용되는 측방 교반기의 철심은, 철심으로 부터 용융 금속까지의 거리보다 큰 연직 높이를 갖고 있다. 알루미늄의 용해 및/또는 홀딩을 위한 노에서 철심의 연직 높이는 0.5 m 내지 1 m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철심은 상기 거리의 1 내지 3 배, 바람직하게는 1.5 ∼ 3 배인 연직 높이를 갖는다. 철심과 용융철 사이의 거리는 라이닝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용융철의 특성과 라이닝 재료의 종류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플랜트에 설치되는 측방 교반기들은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2.5 ∼ 5 배인 폴피치(pole pitch)로 배치된다.
교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기는 0.2 내지 2.0 Hz,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6 Hz 의 주파수를 갖는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에 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플랜트에 설치된 측방 교반기는 주기적으로 역전되는 교반 자기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용융 금속내에서의 흐름이 비교적 불활성 현상이므로, 상기 주기적인 역전의 결과 교반 능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용융 금속에 일방향으로 최대 회전속도를 부여하는데 필요한 기간이 지난 후에 교반 방향이 역전되도록, 가해진 교반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을 때, 최대의 교반 용량이 얻어진다. 역전간의 기간은, 노플랜트에 대해 알려져 있는 양, 예컨데 노베셀의 기하학적 모양, 용융 금속의 질량 및 자기장의 특성에 따라 규정된다.
측방 교반기를 사용하여 우수한 수율 (yield) 로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 에 가하기 위해, 측방 교반기에 인접한 노베셀의 벽은, 가해진 교반 자기장에 있는, 용융 금속에 소망의 교반을 일으키게 되는 자기장 강도 성분이 작은 손실로 또한 거의 감쇠가 거의 없이 상기 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것은, 측방 교반기에 인접한 노베셀의 벽에 비자성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측방 교반기에 인접한 노베셀의 금속 케이싱의 윈도우에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노베셀의 벽들이 자성재료층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들 벽의 재구성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 노플랜트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가 특히 유용하다. 벽에 있는 자성재료층과 작용하는 직접적인 자기장을 가하기 위한,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 또는 영구자석을 하나 이상 제공함으로써, 측방 교반기에 의해 용융 금속에 가해지는 교반 자기장에 있는, 용융 금속에 원하는 교반을 일으키는 자기장 강도 성분은 이 실시예에서 적은 손실로 또한 감쇠가 거의 없이 벽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실질적으로 측벽의 면에 배향되고 원하는 교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포화방향으로 비등방성 방향의 자기 포화가 측벽의 일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포화 방향에 평행하고 측벽에 수직인 면에 배향되는 자기장 강도 성분을 포함하는 저주파수 이동 교번 자기장은 작은 손실로 또한 감쇠가 거의 없는 상태로 측벽의 포화된 부분를 통과하여, 포화방향에 평행하고 수직인 방향의 성분들을 갖는 교번 자기장의 형태로, 용융된 알루미늄에 교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플랜트의 노챔버 (1) 가 도시되어 있다. 이 노챔버 (1) 는 노베셀 (2) 과 측벽 (21) 및 바닥 (22) 으로 되어 있다. 상기 노베셀은 용융된 금속 (25) 및/또는 고체 금속 (26) 으로 채워진다. 용융된 금속 위에는 노지붕 (3) 이 있으며, 이 노지붕 근처에는 버너 (3) 들이 있다. 이들 버너는 노베셀안에 있는 용융된 금속 (25) 및/또는 고체 금속 (26) 을 복사 및 대류로 가열하게 된다. 열원의 선택은 본 발명에 있어 중요치 않으며, 충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전기저항 요소와 같은 다른 종류의 열원도 사용할 수 있다. 노베셀의 벽 (21) 근처에는 이중 또는 다중 전자기 측방 교반기 (side stirrer: 4) 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벽 (21) 을 통해 작용하고 교반 자기장을 용융된 금속에 가하게 된다. 상기 측방 교반기 (4) 는 철심 (도시 안됨) 근처에 있는 페이즈 권선 (phase winding) (도시 안됨) 을 두 개 이상 갖고 있다. 상기 철심은 연직 높이 (H) 를 갖는데, 이 높이는 용융된 금속을 덮게 되는데, 다시 말해 바닥 (22) 과 용융된 금속의 상면 사이의 영역을 덮게 되며, 노베셀에서 최대 욕깊이 (bath depth) 는 Dmax이다. 이 최대 욕깊이 Dmax는, 정상 작업조건에서 노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최대 욕깊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을 용해하고 홀딩하기 위한 노에서의 최대 욕깊이는 1 m 이하이다 대개 이런 종류의 노에 대한 최대 욕깊이 Dmax는 0.3 내지 0.9 m 이다.
상기 측방 교반기 (4) 를 통해 전류가 흘러 용융 금속 (25) 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데, 이 전자자기장으로 인해 상기 용융 금속에 수직방향 전류가 유도되게 된다. 이들 전류는 용융 금속의 상면과 노베셀의 바닥에서 편향되게 된다. 도 2a, 2b, 2c, 3a 및 3b 에서 순환흐름 (250, 251, 252, 253, 350, 351, 352) 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효과적인 교반을 이루어지도록, 사용되는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의 철심은, 철심으로 부터 용융 금속까지의 거리 dw 보다 큰 연직 높이 (H) 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H 는 dw의 1 ∼ 3 배, 바람직하게는 1.5 ∼ 3 배이다. 철심과 용융철 사이의 거리 dw는 라이닝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용융철의 특성과 라이닝 재료의 종류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다. 용융금속에서 더욱 효과적인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폴피치 τ로 배치된다. 이 폴피치는 2dw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2.5dw내지 5dw이다.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곧게, 각이져서 또는 휘어져서 배치되며, 철심과 용융금속 간의 거리 dw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베셀의 외형에 맞도록 만들 수 있다.
교반 용량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0.2 ∼ 2.0 Hz 주파수의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에 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0.2 ∼ 2.0 Hz 주파수의 교반 자기장이 용융 금속에 가해진다.
교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한 용융 금속 (25) 내에서의 흐름이 비교적 불활성 현상이므로,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교반 자기장과 이에 따라 얻어진 교반 (250, 251, 252, 253, 350, 351, 352) 을 주기적으로 역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용융 금속이 일방향으로 최대 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순간에 교반 (4, 24, 24a, 24b, 24c, 34, 34a, 34b) 의 방향이 역전되도록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가 가해진 교반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을 때, 최대의 교반 용량이 얻어진다. 실제로는, 일방향으로 최대의 회전속도를 용융 금속 (25) 에 부여하는데 필요한 기간이 지난 후에 교반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역전이 적절히 이루어지게 된다. 역전간의 기간은, 노플랜트에 대해 알려져 있는 양, 예컨데 노베셀의 기하학적 모양, 용융 금속의 질량 및 자기장의 특성에 따라 규정된다.
우수한 수율 (yield) 로 자기적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 (25) 에 가하기 위해,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근처에 있는 노베셀의 벽 (21) 은, 가해진 교반 자기장에 있는, 용융 금속 (25) 에 소망의 스터링을 일으키게 되는 자기장 필드강도 성분이 작은 손실로 또한 감쇠가 거의 없는 상태로 벽 (21) 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것은,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의 근처에 있는 노베셀의 벽 (21) 에 비자성 재료 (210) 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의 노플랜트에서, 이것은,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에 인접한 노베셀의 금속쉘에 비자성 스테인레스강의 윈도우 (210) 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Claims (8)

  1. 용융 금속과 고체 금속을 위한 것으로, 측벽 (21) 과 바닥 (22) 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베셀 (2) 과,
    복사와 대류로 상기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 및/또는 고체 금속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기 (31) 및,
    상기 노베셀의 측벽 (21) 안 또는 근처에 배치되어 이 측벽을 통해서 작용하고 또한 노베셀에 있는 용융 금속에 교반 자기장을 가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이중 또는 다중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를 구비하는 노플랜트에있어서,
    상기 전자기 측방 교반기는 철심 주위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페이즈 권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심은, 상기 노베셀에서 사용되는 최대 욕깊이에서 바닥과 용융 금속의 상면 사이의 영역 Dmax 을 덮게 되는 연직 높이 (H) 을 가지며, 또한 측방 교반기는,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두배 보다 큰 폴피치 τ(2dw) 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은, 이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1 ∼ 3 배인 연직 높이 (dw H 3dw)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철심과 용융 금속 사이의 거리의 2.5 ∼ 5 배인 폴피치 (2.5dw τ 5dw)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0.25 ∼ 2.0 Hz 주파수의 교변 자기장인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5.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는 주기적으로 역전되는 교반 자기장을 용융 금속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6.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근처에 있는 측벽 (21) 은, 상기 측방 교반기에 의해 용융 금속에 가해진 교반 자기장에 있는, 용융 금속 (25) 에서 소망의 순환을 일으키게 되는 자기장 강도 성분이 작은 손실로 또한 감쇠가 거의 없는 상태로 상기 측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교반기 (4, 24, 24a, 24b, 24c, 34, 34a, 34b) 에 있는 측벽에 비자성 재료 (210)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베셀의 측벽 (21) 은 자성 재료 층으로 되어 있고, 직류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코일 또는 영구자석은, 실질적으로 측벽의 변으로 향하고 원하는 스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인 포화방향으로, 상기 측벽의 자성재료와 작용하고 측벽의 일부에서 비등방적 방향의 자기 포화를 얻기 위한 직접적인 자기장을 가하게 되며, 상기 포화 방향에 평행하고 측벽에 수직인 면에 배향되는 자기장 강도 성분을 포함하는 저주파수 마그네틱 이동 교번 필드는 작은 손실로 또한 감쇠가 거의 없는 상태로 측벽의 포화된 부분를 통과하여, 포화방향에 평행하고 수직인 방향의 성분들을 갖는 교번 자기장의 형태로, 용융된 알루미늄에 교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플랜트.
KR1019970707560A 1995-04-25 1996-04-24 노플랜트 KR19990008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1562A SE504400C2 (sv) 1995-04-25 1995-04-25 Ugnsanläggning för smältning av metall och/eller varmhållning av smält metall
SE9501562-4 1995-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36A true KR19990008036A (ko) 1999-01-25

Family

ID=2039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560A KR19990008036A (ko) 1995-04-25 1996-04-24 노플랜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936996A (ko)
EP (1) EP0824663B1 (ko)
JP (1) JPH11504106A (ko)
KR (1) KR19990008036A (ko)
CN (1) CN1120346C (ko)
AT (1) ATE194223T1 (ko)
AU (1) AU5413896A (ko)
BR (1) BR9608178A (ko)
CA (1) CA2217329C (ko)
DE (1) DE69609067T2 (ko)
ES (1) ES2150118T3 (ko)
NO (1) NO316409B1 (ko)
RU (1) RU2157492C2 (ko)
SE (1) SE504400C2 (ko)
TW (1) TW307821B (ko)
WO (1) WO19960342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60B1 (ko) * 2007-10-09 2014-11-12 에이비비 에이비 전자기 교반기에 의해 액체 금속 안으로 물질을 침지시키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5413B2 (en) * 2001-10-09 2004-01-13 Ben M. Hsia Lightweight bottom wall structure for playyard, pen, and cot
JP5163615B2 (ja) * 2008-10-29 2013-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撹拌装置、溶解装置および溶解方法
RU2465528C1 (ru) * 2011-08-01 2012-10-27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Тимофеев Печь-миксер
RU2492246C2 (ru) * 2012-09-25 2013-09-10 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Лунё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ерного металла
RU2524463C2 (ru) * 2012-11-01 2014-07-27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Тимофеев Индук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мешивания жидких металлов
RU2543022C1 (ru) * 2013-11-11 2015-0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магнитной гидродинамики" Печь-миксер
RU2731947C1 (ru) 2017-02-10 2020-09-09 Абб Швайц Аг Печной агрегат для процесса производства металлов
RU207347U1 (ru) * 2021-07-23 2021-10-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магнит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перемешивания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ванн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2440A (en) * 1950-07-18 1953-09-15 Battelle Development Corp Electric arc melting furnace
US3683094A (en) * 1971-02-18 1972-08-08 Max P Schlienger Arc positioning system for rotating electrode wheel arc furnace
JPS5487613A (en) * 1977-12-26 1979-07-12 Riyouhei Matsuno Melting tank
JPS5832025B2 (ja) * 1980-04-01 1983-07-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電磁撹拌装置
JPS58215254A (ja) * 1982-06-08 1983-12-14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鋳型の下方に配設される電磁攪拌装置
AT376459B (de) * 1983-06-01 1984-11-26 Ver Edelstahlwerke Ag Metallurgisches gefaess
US4581745A (en) * 1985-01-16 1986-04-08 Timet Electric arc mel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SE452991B (sv) * 1985-12-20 1988-01-04 Asea Ab Sett och anordning for att effektivisera slagg-/badreaktioner medelst induktiv omroring
SE460621B (sv) * 1987-04-13 1989-10-30 Asea Ab Saett att minska foderslitage vid ljusbaagsvaermning av staalsmaeltor i skaenk
SE464263B (sv) * 1988-09-21 1991-03-25 Asea Brown Boveri Metod och anordning foer omroerning av en metallsmaelta
FR2672620A1 (fr) * 1991-02-11 1992-08-14 Thermco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cuperation par fusion de metaux non ferreux sous forme divisee.
SE470435B (sv) * 1992-08-07 1994-03-07 Asea Brown Boveri Sätt och anordning att omröra en metallsmäl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60B1 (ko) * 2007-10-09 2014-11-12 에이비비 에이비 전자기 교반기에 의해 액체 금속 안으로 물질을 침지시키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501562L (sv) 1996-10-26
DE69609067T2 (de) 2001-03-08
CA2217329C (en) 2004-02-17
TW307821B (ko) 1997-06-11
NO316409B1 (no) 2004-01-19
NO974961D0 (no) 1997-10-27
RU2157492C2 (ru) 2000-10-10
US5936996A (en) 1999-08-10
CN1187878A (zh) 1998-07-15
WO1996034244A1 (en) 1996-10-31
EP0824663B1 (en) 2000-06-28
AU5413896A (en) 1996-11-18
JPH11504106A (ja) 1999-04-06
ES2150118T3 (es) 2000-11-16
CN1120346C (zh) 2003-09-03
DE69609067D1 (de) 2000-08-03
EP0824663A1 (en) 1998-02-25
CA2217329A1 (en) 1996-10-31
SE504400C2 (sv) 1997-02-03
BR9608178A (pt) 1999-05-04
SE9501562D0 (sv) 1995-04-25
NO974961L (no) 1997-12-22
ATE194223T1 (de)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501B2 (en) Cold crucible induction furnace with eddy current damping
KR19990008036A (ko) 노플랜트
JPH02287091A (ja) 誘導炉
JP4012572B2 (ja) 冷ルツボ内でガラスを溶融させるための誘導炉
US3579324A (en) Method for induction melting of fine particles
HU222124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metallurgiai üstben kezelt fémolvadék elektromágneses mezővel folytatott keverésére
RU97119726A (ru) Печная установка
US2711436A (en) Fluid material container with inclined slotted bottom having inductive stirring device adjacent thereto for an electric furnace
US3483301A (en) Horizontal coreless induction furnace
SU1091835A1 (ru) Индукционна канальна многофазна печь
EP0152679A1 (en) Channel induction furnaces
SU754708A1 (ru) Индукционная канальная печь 1
SU687550A1 (ru) Инду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грева и перемешивани жидких металлов
US3813470A (en) Horizontal coreless induction furnaces
US3335250A (en) Arrangement for electromagnetic stirring of melted metals
RU2083938C1 (ru) Индукционная канальная печь
JP2022546446A (ja) 追加の共振回路を備える誘導炉
SU970732A1 (ru) Индуктор дл нагрева расплава металла
SU1073901A1 (ru) Индукционна канальна печь
JPS5840488A (ja) 溶融金属の電磁撹拌装置
JPS58102095A (ja) 反射炉用電磁撹拌装置
UA78923C2 (en) Method of electromagnetic mixing of liquid metal by the system of rotating magnetic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