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141A - 토너 수용 용기부,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수용 용기부,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141A
KR19990007141A KR1019980023127A KR19980023127A KR19990007141A KR 19990007141 A KR19990007141 A KR 19990007141A KR 1019980023127 A KR1019980023127 A KR 1019980023127A KR 19980023127 A KR19980023127 A KR 19980023127A KR 19990007141 A KR19990007141 A KR 1999000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toner supply
container
main assembly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569B1 (ko
Inventor
아유무 무라까미
가즈아끼 아오끼
신이찌 오노데라
하지메 세끼구찌
교따 미야자끼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는,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는 토너 공급 포트, 및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된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토너 수용 용기부,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토너 공급 용기로 사용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토너 공급 용기가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식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와,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과, 모사 전송기와,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전에,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로서 미세한 토너 분말을 사용하였다.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현상기가 소모될 때,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하여 장치의 주 조립체로 공급된다.
여기에, 공지된 시스템에서, 토너는 매우 미세한 분말 또는 입자이기 때문에,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설치되어 유지되고, 토너는 토너 공급 작동 동안 작은 개구를 통해 느린 속도로 토출되어, 토너 흩뿌려짐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중력 등에 의해 토너를 낙하시키는 것이 어렵고, 그러므로 몇몇 공급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토너 공급 수단이 제공된 토너 공급 용기의 예는 일본 특허 공개 평7-113796호에 개시된다. 토너 공급 용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일단부에는 토너를 토출시키기 위한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가 제공된다. 이 용기에서,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용기의 단부의 벽을 관통하는 나선형 토너 공급 부재가 제공된다.
베어링 밀봉 기구는 구동 전달용 단부에 관통홀을 통한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데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밀봉 기구는 공급 부재의 단부에 제공된 기어 부재를 포함하고, 밀봉체는 기어 부재와 용기 벽면 사이에 개재된다. 밀봉체는 다양한 경우에 환형 울 펠트, 오일 밀봉 등이다.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유지되는 동안 사용되고, 토너는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된 토너 공급 부재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고, 토너는 개구를 통해 느린 속도로 토출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공급 수단을 갖는 다른 토너 공급 용기가 일본 특허 공개 평7-44000호에 개시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는 원통형 병의 형태이고, 내부면에는 나선형 리브가 제공되고 작은 토너 토출구는 단부에서 중심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는, 상술된 종래 예에 비교하여, 내부 공급 수단을 갖지않고,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유지되는 동안 사용되고, 용기 자체의 본체는 주 조립체에 의해 회전되어 토너를 공급시킨다. 토출구에 인접한 단부로 공급된 토너는 개구에 인접한 연장에 의해 안내되어 용기의 중심에 인접한 토출구를 향해 상승된 후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배치된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토너는 높은 신뢰성으로 주 조립체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생산비의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사용가능한 토너 수용 요기부와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가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인 전자 사진 복사기의 예시도.
도2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사시도.
도3은 전자 사진 복사기의 커버가, 토너 공급 용기의 교환을 위해, 토너 공급 용기를 선적하도록 개방된 토너 공급 용기와 전자 사진 복사기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의 (a)는 부분 정단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
도5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밀봉 해제된(개방된) 토너 공급 용기의 정단면도.
도6은 토너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6의 (a)는 정면도, (b)는 도6의 (a)의 A선을 따른 단면도, (c)는 도6의 (a)의 B선을 따른 단면도.
도7은 전자 사진 복사기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7의 (a)는 그의 측면도, (b)는 그의 정면도, (c)는 토너 공급 용기 교환용 커버가 개방된 그의 평면도.
도8은 토너 공급부 개폐 수단과 커버가 개방된 경우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토너 공급 포트 개폐 수단과 커버가 폐쇄된 경우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전자 사진 복사기용 커플링 부재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10의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단면도.
도11은 공급 부재를 도시하고, 도11의 (a)는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부재의 축부에 장착된 공급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11의 (b)는 포트가 제공된 공급 부재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부재의 사시도.
도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 부재의 조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용기의 단면도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토출 작동을 예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토출 원리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16은 본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공급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17은 본 실시예의 제3 예에 따른 공급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본 실시예의 제4 예에 따른 공급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토너 공급 포트 개폐 수단과 전자 사진 복사기의 커버가 개방된 경우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토너 공급 포트 개폐 수단과 전자 사진 복사기의 커버가 폐쇄된 경우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1의 (a)는 밀봉 부재 근처의 측면으로부터 관찰된 사시도, (b)는 손잡이에 근접한 측면으로부터 관찰된 사시도.
도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2의 (a)는 그의 정면도, (b)는 그의 단면도, (c)는 그의 좌측면도, (d)는 그의 우측면도, (e)는 그의 부분 측면도, (f)는 그의 평면도.
도23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배치된 토너 공급 용기와 그의 공급 포트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부분 정면도.
도24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배치된 토너 공급 용기와 그의 공급 포트가 밀봉해제된 상태에 있는 부분 정면도.
도2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수용부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5의 (a)는 공급 포트에 근접한 측면으로부터 관찰된 사시도, (b)는 손잡이에 근방측으로부터 관찰된 사시도.
도26은 토너 수용부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6의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좌측면도이고, (d)는 우측면도, (e)는 부분 측면도, (f)는 평면도.
도27은 밀봉 부재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7의 (a)는 정면도이고, (b)는 선 A를 따라 취해진 도면이며, (c)는 선 B를 따라 취해진 도면이고, (d)는 부분 정면도.
도28은 교반 부재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28의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도29는 강성 블레이드부의 확대도.
도30은 가요성 블레이드부의 확대도.
도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31의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저면도.
도32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33은 제1 커플링 부재의 상세도.
도34는 기어부의 상세도.
도35는 가동 부재의 상세도.
도36은 제2 커플링 부재의 상세도.
도37은 구동 전달 턱부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37의 (a)는 부분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평면도.
도38은 전달 부재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도38의 (a)는 부분 정면도, (b) 및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
도39는 밀봉 부재 및 공급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너 공급 용기
2 : 공급 부재
3 : 밀봉 부재
4 : 커플링 부재
6 : 로킹 부재
15 : 커버
100 : 주 조립체
104 : 감광 드럼
201 : 현상 스테이션
202 : 세척 스테이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는 토너 공급 포트, 및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된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합체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고려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전자 사진 복사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부호 100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호 101은 원고 지지판 유리(102) 상에 위치한 원고를 도시한다.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 화상은 복수개의 미러(M)와 광 부분(103)의 렌즈(Ln)를 통해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형성된다. 부호 105 내지 108은 카세트이다. 카세트(105 내지 108) 중에서, 원고(101)의 종이 크기 또는 작동부(100a)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절한 크기의 시트를 내장하는 카세트를 선택한다. 기록지는 종이에만 제한되지 않고 OHP 시트 등으로 될 수도 있다.
픽업 및 분리 기구(105A 내지 108A)에 의해 공급된 하나의 시트(P)는 공급 포트(109)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공급되고, 드럼(104)의 회전 및 광 부분(103)의 스캐닝 타이밍과 동기하여 공급된다. 부호 111 및 112는 전사 배출 기구 및 분리 배출 기구이다. 전사 배출 기구(111)에 의해 드럼(104)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시트(P) 상에 전사된다, 그러면, 이제 전사된 토너 화상을 갖는 시트(P)는 분리 배출 기구(112)에 의해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시트(P)는 공급부(113)에 의해 정착부(114)에 공급되고, 여기서 시트 상의 토너 화상이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된 후에 시트가 시트 배출/반전부(115)를 통과하여 일면 복사 모드의 경우에 시트 배출 롤러에 의해 시트 배출 트레이(117)에 배출된다. 양면 복사 모드의 경우에, 시트는 시트 배출/반전부(115)의 플래퍼(118)의 제어 하에서 재공급 통로(119)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공급되고, 일면 복사 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재차 공급되어 시트 배출 트레이(117)에 배출된다.
중첩 복사 모드의 경우에, 시트(P)는 시트 배출/반전부(115)를 통과하여 일시적으로 시트 배출 롤러(116)에 의해 부분적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에, 시트(P)의 말단부가 플래퍼(118)를 통과하고, 시트가 시트 배출 롤러(116)에 의해 여전히 물려 있을 때 플래퍼(118)가 제어되고, 시트 배출 롤러(116)가 반전되어 장치 안네 재공급 된다. 그러면, 시트는 재공급부(119)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공급되고, 일면 복사 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트 배출 트레이(117)에 공급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서, 현상 스테이션(201), 세척 스테이션(202) 및 주 대전기(203) 등은 드럼(104)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 스테이션(201)은 원고(101)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부분(103)에 의해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한다. 토너를 형상 스테이션(201)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1)는 조작자가 이를 착탈할 수 있는 방식으로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현상 스테이션(201)은 토너 호퍼(201a) 및 현상 기구(201b)를 갖고 있다. 토너 호퍼(201a)는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201c)를 포함한다.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토너는 자석 롤러(201d)에 의해 현상 기구(201b)에 공급된다. 현상 기구(201b)는 현상 롤러(201f) 및 공급 부재(201e)를 포함한다. 자석 롤러(201d)에 의해 토너 호퍼(201a)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공급 부재(201e)에 의해 현상 롤러(201f)에 더 공급되고, 현상 롤러(201f)에 의해 감광 드럼(104)에 공급된다.
세척 스테이션은 감광 드럼(104)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도록 마련된다. 주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을 대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조작자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토너 공급 용기를 교환하기 위해 외측 케이싱의 일부인 커버(15)를 개방하면, 용기 수용기 테이블(50)이 구동 시스템(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 위치로 발출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테이블(50) 상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용기(1)를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꺼내면, 토너 공급 용기(1)가 이미 발출된 테이블(50)로부터 제거된다. 커버(15)는 전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 및 탈거(교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으며, 용기(1)가 장착 또는 탈거될 때에만 개방 또는 폐쇄된다. 주 조립체(100)의 보수를 위하여 전방측의 커버(100c)가 개방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용기 수용 테이블(50)을 사용하지 않고 주 조립체(100)에 직접 장착 또는 이로부터 탈거될 수도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의 (a)는 이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부분 단면도, (b)는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도, (c)는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5는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탑재되어 밀봉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4의 (a) 내지 (c) 및 도5에서, 부호 1A로 도시된 것은 토너 공급 용기의 주요 부분(용기의 본체)이다. 분말 토너는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고, 1성분 토너, 2성분 토너 또는 다른 토너로도 될 수 있다. 부호 2는 용기의 본체(1A) 내에 수용된 분말 토너를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수용부인 토너 호퍼(201a)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이다. 부호 3은 밀봉 부재, 4는 결합 부재, 9는 주 조립체(100)의 토너 호퍼(201a)에 마련된 토너 수용부이다.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토출된 토너는 수용부(9)로부터 토너 호퍼(201a)에 공급된다. 상기 구조는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토출된 토너가 현상 기구(201b)에 직접 공급되고 토너 호퍼(201a)를 통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1A)는 바닥을 향해 감소하는 폭을 갖는 곡선부와, 대체로 일정한 폭을 갖는 평탄 표면부(1G)와, 평탄 표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치형 형태부(1H)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때 하부 부분을 취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바닥면,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은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때 바닥면,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이 되는 표면이다. 토너 공급 용기(1)는 도4의 (a) 내지 (c), 도5, 도14, 도15, 도16, 도21의 (a) 및 (b), 도22의 (a) 내지 (f), 도23, 도24, 도25의 (a) 및 (b), 도26의 (a) 내지 (f) 및 도39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와 동일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장치의 주 조립체(1A)의 측면(1A1)의 하부 부분에는, 토너 수용부(1n) 내에 수용된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공급하기 위한 원통형 토너 공급 포트부(1a)가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일 단부에서, 토너 공급 포트(1g)가 제공된다. 수용부(1b)는 다른 측면(1B)의 토너 공급 포트부(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 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바닥면(1D)의 외부에는, 주 조립체(100)에 제공되고 후술되는 토너 공급 포트용 개폐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c)가 제공되어 있어, 토너 공급 용기(1)를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c)는 바닥면(1D)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은못(dowel)의 형태이다. 상부면(1E)에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그리고 주 조립체(100)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부를 제공하는 리세스(1e)가 제공된다. 배면의 하부 경사면(1) 및 정면에는,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1)를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할 때 용기의 본체(1A)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리브(1f)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용기의 본체(1A)는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 취입 성형, 사출 취입 성형 등을 통해 생산될 수 있지만, 다른 제조 방법 및/또는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본체(1A)는 2 이상의 부품들로 분할될 수 있고, 제조된 부품들은 용접 또는 접합되어 이들을 일체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충격 폴리스티렌의 사출 성형을 통해 각각 제조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진동 용접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한편, 공급 부재(2)는 본체(1A)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1g)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 부재(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A) 및 축부(2A) 상의 강성 나선 공급 블레이드(2B)를 포함하며, 공급 블레이드는 축부(2A)의 회전에 의해 분말 토너를 설정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로서 역할한다. 공급 부재(2)는 축부(2A)의 축선이 토너 공급 포트(1g)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상태에서 용기의 본체(1A)에 장착된다.
공급 부재(2)는 본 실시예의 소위 나사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축부(2A) 상에 장착된 가요성 블레이드일 수 있다. 축부 및 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2A) 및 블레이드(2B)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것이며 일체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2)는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원통형 부분 내로 연장되는 연장부(2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2C)는 토너 공급 포트부(1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2C)의 자유단은 장치의 주 조립체(10)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한다.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자유단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3)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기능을 갖는다. 특히, 4개의 기능은 (1) 토너 공급 포트부(1a)를 밀봉하는 것과, (2) 주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수용하는 것과, (3) 회전력을 공급 부재(2)로 전달하는 것과, (4) 토너 공급 포트부(1a)를 개폐하도록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로킹 부재(6)와 결합하는 것이다.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연장부(2C)를 통해 축부(2A)로 전달되어 공급 부재(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연장부(2C)의 일 단부(2a)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를 통해 회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H형이다. 축부(2A)의 일 단부는 연장부(2C)의 일 단부(2a)를 통해 밀봉 부재(3)에 의해 지지된다. 축부(2A)의 다른 단부(2b)는 용기의 본체(1A)의 수용부(1b)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용기가 밀봉이 해제된 때 공급 부재(2)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공급 블레이드(2B)가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내부 벽면(1a1)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 토너 공급 포트(1a)의 내벽면 및 축부(2a)가 대체로 수평인 방식으로 공급 부재(2)가 밀봉 부재(3)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부재(2)를 지지함으로써, 공급 부재(2)가 회전될 때 토너가 토너 공급 포트(1g)를 향해 대체로 수평으로 공급될 수 있다. 미세 토너 입자가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내벽면(1a1)과 공급 블레이드(2B) 사이에 개재되면, 토너가 내벽면(1a1) 상에 용융될 수도 있으며, 또는 토너가 뭉쳐질 수도 있다. 이들은 방지될 수 있다.
공급 부재(2)는 양호하게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부터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다른 방법 또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급 부재는 별도로 제조된 다수의 부품으로 분할되어, 그 후, 연결될 수도 있다.
도6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밀봉 부재(3)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의 (a)는 밀봉 부재의 전면도이며, 도6의 (b)는 도6의 (a)에서 A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며, 도6의 (c)는 도6의 (a)에서 B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6의 (d)는 단면도이다.
도6의 (a) 내지 (d)에서, 토너 공급 용기에 보다 근접된 면에 제공되어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공급 포트(1g)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밀봉하기 위한 시일은 도면 부호 3b로 표시되었다. 시일(3b)의 외부 직경은 토너 공급 포트(1g)의 내경보다 아주 크다. 따라서, 밀봉 부재(3)는 토너 공급 포트(1g)를 통해 토너 공급 포트부(1a) 내로 시일(3b)의 결합부(3b1)를 억지끼워맞춤함으로써 토너 공급 포트(1g)를 밀봉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공급 부재(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는 피구동 부재로서 기능하는 커플링 결합부가 도면 부호 3c에 의해 표시되었다. 커플링 결합부(3c)에는 (밀봉 부재(3)가 용기의 본체(1A)에 장착될 때) 시일(3b)로부터 본체(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공급 부재(2)의 축부(2A)와 동축선상으로 연장된 돌출부(3c1)가 제공된다. 커플링 결합부(3c)에는 돌출된 부분(3c1)의 외주 면 상에 긴 스플라인 돌출부(리브)(3d)가 제공되며, 이러한 돌출부는 커플링 부재(4)와 결합 가능한 피구동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이러한 스플라인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제공된다.
밀봉 부재(3)에는 공급 부재(2)의 한 단부 부분(2a)과 결합함으로써 주 조립체(100)로부터 구동력을 공급 부재(2)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로서 기능하는 결합 구멍(3a)이 제공되며, 결합 구멍(3a)은 커플링 결합부(3c) 및 시일(3b)에 형성된 개구(구멍)의 형태이다. 결합 구멍(3a)은 분말 토너 공급 포트부(1a)로부터 돌출된 공급 부재(2)의 축 단부(2a)의 H형상에 대응하는 H형상이며, 축 단부(2a)의 H형상 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축 단부(2a)는 결합 구멍(3a)과 느슨하게 결합된다.
결합 구멍(3a)과 느슨하게 결합되는 축 단부(2a)에 의해, 공급 부재(2) 및 밀봉 부재(3)는 추력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공급 부재(2)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로킹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분말 토너 용기 포트(1g)의 밀봉 해제(개방)가 달성되도록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밀봉 부재(3)는 용기의 본체(1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축 단부(2a)와 결합 구멍(3a) 사이의 결합 길이는 밀봉 부재(3)가 본체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될 때 밀봉 부재(3)와 용기의 본체(1A) 사이의 결합이 방지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길다. 따라서, 밀봉 부재(3)가 용기의 본체(1A)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면, 공급 부재(2)는 밀봉 부재(3)를 통해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커플링 결합부(3C)
커플링 결합부(3c)와 시일(3b) 사이에, 시일(3b)가 포트(1a) 내로 억지끼워맞춤될 때 토너 공급을 위한 포트(1a)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3f)가 제공된다. 플랜지부의 외경은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하다. 플랜지부(3f)에 의해, 시일(3b)는 결합부(3b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통해 토너 공급 포트부(1a) 내로 억지끼워맞춤된다.
커플링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주 조립체(100) 내에 로킹 부재(6)와 결합되는 로킹부로서 기능하는 로킹 돌출부(3q)가 도면 부호(3e)에 의해 표시되며(도5), 로킹 돌출부(3e)와 로킹 부재(6) 사이의 결합에 의해, 분말 토너 공급 포트(1g)가 밀봉 해제될 때 밀봉 부재(3)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밀봉 부재(3)는 양호하게는 수지 재질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 및/또는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밀봉 부재(3)는 토너 공급 포트(1a)에 억지끼워맞춤되어 포트를 밀봉시키기에 적절한 탄성을 가져야 한다. 재질은 양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다른 사용 가능한 예에서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조립 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조립 방법에서, 공급 부재(2)는 토너 공급 포트(1g)를 통해 용기의 본체(1A)의 하부 부분 내로 삽입된다(도5). 그 후, 소정량의 토너(도시되지 않음)가 본체(1A) 내로 충전되며, 토너 공급 포트(1g)는 밀봉 부재(3)에 의해 밀봉되며, 이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가 완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조립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제조 단계의 수는 매우 작다.
토너는 토너 공급 포트(1g)를 통해 충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충전 포트(도시되지 않음)가 용기의 본체(1A)의 적절한 부분에 형성되어 토너 충전 포트를 통해 충전될 수도 있다. 또는, 용기의 본체(1A)가 토너 충전 후 서로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부품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일체로 형성된 본체(1A)의 토너 공급 포트(1g)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전 포트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충전 후 다른 캡 또는 연결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다.
토너 공급 포트부(1a)에서, 공급 부재(2)가 연장되며, 따라서, 토너의 부드러운 토출의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공급 부재(2)의 통과부(축부(2A))의 단면적 및 토너 공급 포트부의 단면적의 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단면적은 양호하게는 공급 부재(2)의 축부(2A)의 단면적의 두 배 이상, 보다 양호하게는 세 배 이상, 보다 양호하게는 다섯 배 이상인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부재의 통과부의 단면적 및 토너 공급 포트부의 단면적의 비는 약 세 배이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포트부(1a)는 원통형이며,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내경은 공급 부재(2)의 축부(2A)의 외경의 약 세배이다.
반면,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내경이 너무 크면, 토너 공급 포트(1g) 주위의 토너 오염이 심각해지며, 주변 상태 변화의 경우 운송 중 밀봉성의 유지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내경은 양호하게는 40 ㎜를 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는 약 24 ㎜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교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가 화상 형성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완전히 소비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토너 공급 용기 고갈 탐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이를 탐지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100b)(도2) 상에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는 이하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교환된다.
도2 및 도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의 커버(15)는 폐쇄되며, 도3의 (c)에 도시된 위치로 힌지(18)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개방된다. 커버(15)의 개방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체(1A)는 토너 공급부 개구 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토너 공급 포트(1g)를 개방하도록 본체(1A)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에 있는 밀봉 부재(3)(도9)는 토너 공급 포트부(1a) 내로 억지끼워맞춤되며, 이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1g)는 폐쇄된다(도8).
사용자는 도7의 (c)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과 대향 방향으로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를 담고 있지 않은 토너 공급 용기(1)를 당겨서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1)를 꺼낸다. 그 후, 사용자는 화살표 방향으로 주 조립체(100) 내로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1)를 삽입하며, 그 후, 커버(15)를 덮는다((a) 및 (b)). 커버(15)의 폐쇄 작용과 관련하여, 밀봉 부재(3)는 토너 공급 포트 개구 수단에 의해 용기의 본체(1A)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1g)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는 교환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커버(15)의 개폐 작동과 관련된 토너 공급 포트(1g)의 개폐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구조는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다. 도8 및 도9에서, 커플링 결합부(3c)의 로킹 돌출부(3e)와 결합함으로써 밀봉 부재(3)를 로킹시키는 로킹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로킹 부재가 도면 부호 6에 의해 표시된다. 로킹 부재(6)가 장착된 지지 테이블이 도면 부호 57로 표시되며, 지지 테이블(57)은 회전 축(57a)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압박 부재(5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압박된다. 지지 테이블(57)을 위치시키기 위한 멈치가 도면 부호 59로서 표시된다.
회전 롤러(63)에 의해 미끄럼 가능한 미끄럼 테이블이 도면 부호 60에 의해 표시된다. 미끄럼 테이블(60) 상에 제공된 용기 처킹 부재가 도면 부호 51에 의해 표시되며, 용기 처킹 부재(51)는 회전 중심(51a)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스프링(5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압박된다. 용기 처킹 부재(51)를 위치시키기 위한 멈치가 도면 부호 53으로 표시된다.
토너 공급 용기 이동 부재는 용기 처킹 부재(51) 및 미끄럼 테이블(60)에 의해 구성된다. 토너 공급 포트 개폐 수단은 용기 처킹 부재(51), 미끄럼 테이블(60) 및 로킹 부재(6)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용기 처킹 부재(51)에는 용기의 본체(1A)의 결합 돌출부(1c)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부(51c)가 제공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로 토너 공급 용기(1)의 삽입 시 도8에서 도시된 화살표 C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결합 돌출부(1c)가 진행될 때, 용기 처킹 부재(51)는 화살표(D) 방향으로 스프링(5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된다. 결합 돌출부(1c)가 로킹부(51c)로 들어갈 때, 처킹 부재(51)는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결합 돌출부(1c)를 로킹시킨다. 처킹 부재(51)가 결합 돌출부(1c)를 로킹할 때, 토너 공급 용기(1)는 착탈 방향(도7의 (c) 및 도8의 화살표 A 및 B)으로 미끄럼 테이블(60)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위해 지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는 미끄럼 축이 도면 부호 54로 표시된다. 미끄럼 축(54)는 압박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도8의 하향 방향으로) 지지 테이블(5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 위치는 축 멈치(55)에 의해 결정된다.
미끄럼 축(54)에 장착된 로킹 부재는 도면 부호 56으로 표시된다. 미끄럼 축(54)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지지 테이블(57)의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로킹 부재(56)는 용기 처킹 부재(51)를 로킹시키도록 용기 처킹 부재(51)의 리브부(51e)와 결합된다. 화살표 A 방향은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공급 용기(1)의 분리 방향이며, 화살표 B 방향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 용기 장착 방향이다.
미끄럼 테이블(60)에는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제공된다. 돌출부(60a)는 스윙 축(51a)에 대해 스윙 가능한 스윙 가능 아암(61)의 일 단부 부분에 형성된 긴 구멍(61b)과 결합된다. 스윙 가능 아암(61)은 압박 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압박되며, 멈치(64)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스윙 가능 아암(61)의 다른 단부 부분은 하나의 개방 단부를 갖는 홈부(61d)가 제공된다.
커버(15)에는 커버(15)가 폐쇄될 때 홈부(61d)로 들어가는 돌출부(15b)가 제공된다. 홈부(61d)로 들어가는 돌출부(15b)에 의해, 스윙 가능 아암(61)은 커버(15)의 폐쇄 작동과 관련하여 압박 부재(6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스윙된다.
교환을 위해 커버(15)에는 폐쇄될 때 미끄럼 축(54)의 일단부(54a)를 지지하는 벽부(15a)가 제공된다. 벽부(15a)에 의해, 미끄럼 축(54)는 커버(15)의 폐쇄 작동과 관련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끄럼 축(54)의 미끄럼에 의해, 미끄럼 축(54)의 다른 단부(54b)는 지지 테이블(57)의 돌출부(57b)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지지 테이블(57) 및 로킹 부재(6)는 압박 부재(5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되며, 이에 의해, 로킹 부재(6)는 밀봉 부재(3)의 로킹 돌출부(3e)를 로킹시킨다.
이러한 구조에서, 토너 공급 용기(1)가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로 삽입될 때, 용기의 주 조립체의 결합 돌출부(1C)는 도8에서 도시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후, 결합 돌출부(1C)는 용기 처킹 부재(51)의 로킹부(51c)와 로킹되며,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1)가 이러한 상태로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다. 즉, 토너 공급 용기(1)는 결합 돌출부(1C)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올바로 위치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이렇게 장착된 후, 커버(15)가 폐쇄되며, 이에 의해, 커버(15)의 벽부(15a)는 미끄럼 축(54)의 일 단부 부분(54a)을 지지하여, 미끄럼 축(54)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그 후, 미끄럼 축(54)의 다른 단부(54b)는 지지 테이블(57)의 돌출부(57b)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지지 테이블(57) 및 로킹 부재(6)는 압박 부재(5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되며, 이에 의해 로킹 부재(6)는 밀봉 부재(3)의 로킹 돌출부(3e)를 로킹시킨다.
미끄럼 축(54)의 로킹 부재(56)는 미끄럼 축(54)의 미끄럼 운동으로 용기 처킹 부재(51)를 향해 이동하며 용기 처킹 부재(51)의 리브부(51e)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기 처킹 부재(51)는 로킹된다.
커버(15)가 소정 위치로 폐쇄될 때, 커버(15)의 돌출부(15b)는 스윙 가능 아암(61)의 돌출부(15b)로 들어가서 돌출부(15b)의 탄성력에 반시계방향으로 대항하여 스윙 가능 아암(61)을 스윙시킨다. 스윙 가능 아암(61)의 스윙에 의해, 미끄럼 테이블(60)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에 의해, 결합 돌출부(1c)에서 용기 처킹 부재(51)에 의해 로킹되는 토너 공급 용기(1)는 동일한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공급 용기(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밀봉 부재(3)는 로킹 부재(6)에 의해 로킹되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용기의 본체(1A)는 밀봉 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분리되어,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포트(1g)를 개방시킨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가 환형 밀봉 부재(7)로 밀봉되면서 토너 공급 포트부는 주 조립체(100)의 홀더(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그 위치는 결합 돌출부(1C) 및 토너 공급 포트부(1a)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가 토너 공급 포트(1g)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의 응고 성질에 따라 토너의 부드러운 토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필요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밀봉 부재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에 인접한 막힘(plugging) 및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대체로 완전히 소비된 후 사용자가 커버(15)를 개방시킬 때, 커버(15)의 돌출부(15b)는 시계방향으로 스윙 가능 아암(61)을 스윙시키기 위해 스윙 가능 아암(61)의 벽부(61c)에 지지되도록 도9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동된다. 그 후, 미끄럼 테이블(60)은 화살표 B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토너 공급 용기(1)는 동일한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 때, 용기 처킹 부재(51)는 토너 공급 용기(1)의 결합 돌출부(1c)로부터 시계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다. 그러나, 로킹 부재(56)가 용기 처킹 부재(51)의 회전을 로킹하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1c)가 용기 처킹 부재(51)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g)가 밀봉 부재(3)의 플랜지부(3f)를 지지할 때까지 토너 공급 용기(1)가 미끄러지며, 그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1g)가 폐쇄된다.
그 후, 커버(15)가 또한 폐쇄되며, 미끄럼 축(5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압박 수단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축 멈치(55)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로킹 부재(6)는 밀봉 부재(3)로부터 이격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3)는 로킹 부재(6)에 의해 해제된다. 용기 처킹 부재(51)가 로킹 부재(56)의 로킹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 공급 용기(1)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그 후,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제거(taken out) 수 있다. 화살표 A 방향으로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용기 처킹 부재(51)에 의해 결합 돌출부의 로킹은 해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밀봉 부재(3)의 로킹 돌출부(3e)는 로킹 부재(6)에 의해 로킹되며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공급 포트(1g)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된다. 이 때, 밀봉 부재(3)와 공급 부재(2) 사이의 회전 방향으로의 결합 관계가 유지된다.
따라서,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에 의한 회전에 의해, 공급 부재(2)는 토너 공급 포트(1g)를 통해 주 조립체(100)에 점차적으로 토너를 공급하도록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탐지 센서(201g)는 토너 호퍼 상에 제공된다. 탐지 센서(201g)가 토너가 없음을 탐지할 때, 밀봉 부재(3)가 회전된다. 탐지 센서(201g)가 토너의 존재를 탐지할 때, 밀봉 부재의 회전은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는 주 조립체(100) 내의 토너의 소비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되어, 토너는 주 조립체(100) 내로 단속적으로 그리고 점차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100) 내로 모든 토너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의 커플링 결합부(3c)는 주 조립체(100)의 커플링 부재(4)와 결합된다. 커플링 부재(4)는 밀봉 부재(3)에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도10의 (a) 내지 (c)는 커플링 부재를 상세히 도시하며, 도10의 (a)는 커플링 부재의 전면도이며, (b)는 배면도이며, (c)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0에서, 커플링 부재(4)의 외부 면에 형성된 기어부가 도면 부호 4a로 표시된다. 커플링부는 기어부(4a)를 통해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다.
밀봉 부재(3)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이 도면 부호 4b로 표시되며, 커플링 부재(4)의 중심에 형성된다. 구멍(4b)의 내부면에는 밀봉 부재(3)의 스플라인 돌출부(3d)와 결합되는 결합 홈(4c)이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1)에 대향된 구멍(4b)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안내부(4d)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이러한 돌출부(3d)가 등간격으로 밀봉 부재(30)의 외부 곡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열 두 개의 결합 홈(4c)이 커플링 부재(4)에 형성된다. 결합 홈(4c)은 돌출부(3d)의 수보다 크며, 안내부(4d)가 제공되어,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스플라인 돌출부(3d)와 결합 홈(4c) 사이의 위상차가 존재할 경우에도 이들이 확실히 결합될 수 있다. 밀봉 부재(3)의 돌출부(3d)의 수는 네 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결합 홈(4c)의 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결합 홈의 수는 열 두 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토너 토출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커플링 부재(4)는 주 조립체(100)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회전력을 받는다. 구동력은 스플라인 돌출부(3d)와 결합 홈(4c) 사이의 결합에 의해 밀봉 부재(3)에 전달되며 H형 자유단(2a)과 H형 결합 구멍(3a) 사이의 결합에 의해 공급 부재(2)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는 분당 25 회전이다.
공급 부재(2)가 회전될 때, 용기의 본체(1A)에 수용된 토너가 토너 공급 포트(1g)를 향해 공급되며, 그 후, 토너 공급 포트(1g)로부터 주 조립체(100)의 토너 수용 포트(9)를 통해 토너 호퍼(201a) 내로 낙하된다. 토너 공급 포트(1g)로부터 토너 수용 포트(9)까지 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7)에 의해 기밀 밀봉되며,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1g)로부터 토출된 토너는 외부의 누설 또는 분산이 방지된다.
밀봉 부재(3) 및 주 조립체(100)가 접촉되는 부분에 회전 미끄럼부가 존재하나, 회전 미끄럼부는 토너 공급 포트부(1a)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토너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토너의 응고 등이 야기되지 않는다. 회전 미끄럼부의 위치는 토너의 유동성, 공급 부재(2)의 공급 동력 및 토너 토출 속도에 따라 적절한 거리만큼 토너 공급 포트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의 어떠한 상세한 부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3)의 분리 방법은 밀봉 부재(3)가 고정되면서 본체(1A)측이 이동될 수도 있으며 또는 용기의 본체(1A)가 고정되면서 밀봉 부재(3)가 이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밀봉 부재(3)는 상술된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용기의 본체(1A)를 고정시키면서 밀봉 부재(3)가 이동될 때, 기구가 보다 복잡해지며, 따라서 양호하게는 밀봉 부재(3)가 고정된다.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는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토너 공급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그 속도가 너무 빠르면 주 조립체(100) 또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동원의 부하는 증가되고, 그 속도가 너무 느리면 토너가 충분히 공급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그 속도는 3 내지 100 rp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rpm이다.
용기의 본체(1A)의 형태는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면 임의의 형태로 될 수 있고, 토너 용기의 크기 및 용량은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토너량이 일예로 약 2 kg 정도로 많게 되더라도, 회전하는 것은 단지 공급 부재(2)뿐이며, 따라서 요구되는 회전 토크는 2 내지 3 kgf-cm 정도로 작다. 밀봉 부재(3)는 토너 공급 포트부(1a) 내로 억지 끼워맞춤되나, 밀봉 부재는 토너 공급 포트부를 밀봉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본체(1A)에 대응하는 나사부와 밀봉 부재(3)는 그 토너 공급부를 밀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2)의 공급 요소는 큰 공급력을 갖는 나선 형태이나, 그러한 나선 형태는 당연한 형태이다. 일예로, 도11의 (a)에 도시된 대로, 공급 요소와 같은 막 형태의 블레이드부(2Ba)는 축부(2A)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토너는 토너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토출된다. 도11의 (b)에 도시된 대로, 블레이드부(2Ba)는 창(window)(2B1)을 갖추게 될 수 있고, 그 창에 의해 공급 부재(2)의 구동 토크가 줄어들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1)가 그러한 블레이드부를 갖춘 공급 부재(2)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부재(2)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그 위상이 축부(2A)의 축방향으로 연속 변경되도록 장착된 공급 부재(2)의 블레이드부는 도면부호 21로 나타낸다. 그러한 블레이드부(21)를 갖춘 공급 부재(2)는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등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나, 용접 또는 접착등에 의해 하나로 되는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공급 부재(2)가 두 부분으로 분할될 때의 축부(2A)의 재료로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및 금속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블레이드부(21)는 바람직하게 가요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또는 플루오르 수지 재료로 된 단일 층상 재료 또는 다중 층상 재료로 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2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약 50 ㎛ 내지 1 ㎜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188 내지 250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판이 만족스럽게 이용된다.
블레이드부(21)의 형태는 반드시 사다리꼴 형태와 같은 특정 형태로 될 필요는 없고, 요구되는 것은 축부(2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블레이드부(21)의 자유단 까지의 길이가 (일예로 직사각형 형태와 같이) 블레이드부(21)의 총 길이를 따라 실제로 일정하면 된다. 공급 부재(2)의 조립 특성의 관점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1)는 그 전장을 따라 일체형 부재이다.
따라서, 일체형 블레이드부(21)가 바람직하고, 그렇게 함으로서, 블레이드부(21)가 블랭크로부터 절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재료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토너가 장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주 조립체(100)로 인해 용기의 본체(1A) 내에 뭉쳐질 때, 토너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블레이드부(21)가 일체형일 때 효과적인 토너 토출이 달성된다.
축부(2A)로의 블레이드부(21)의 장착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공급 부재(2)가 축부(2A)와 블레이드부(21)로 구성될 때, 블레이드부(21)는 위상이 축부(2A)의 축방향에 대해 연속 변경되도록 축부(2A)의 축방향에 대해 비틀린 채로 축부(2)에 장착되어야 한다.
장착 방법에 관해, 도12에 도시된 대로, 축부(2A)의 드럼부는 블레이드(2B)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몇몇 부분에서 클림프 보스(22)를 갖추고 있다. 한편, 블레이드부(21)는 축부(2)의 클림프 보스(22)를 수용하기 위한 클림프 구멍부(23)를 갖추고 있다. 클림프 보스(22)는 클림프 구멍부(23)에 결합되고, 열 클림프 또는 초음파 클림프에 의해 통합된다.
한편, 축부(2A)의 블레이드 장착면이 도13에 도시된 대로 축방향에 대해 비틀려있을 때, 축부(2)의 블레이드부(21)의 장착면(2d)(해칭부)은 축부(2A)의 축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달라진다. 그후, 블레이드부(21)는 장착면(2d) 상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등에 의해 축부에 장착 및 통합된다.
임의의 형태에서, 축방향에 대한 블레이드부(21)의 위상 차이는 약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4를 참조하여, 전술된 구조를 갖는 공급 부재(2)의 토너 토출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도면의 ①에서의 공급 부재(2)의 축부(2A)의 화살표(A) 방향으로의 0 내지 360°의 회전에 의해, 공급 부재(2) 전체가 ①→②→③→④→①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회전한다. ①→②로의 회전 중에, 블레이드부(21)는 용기의 본체(1A)의 내부 하부면과 축부(2A)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는 동안 만곡된다. 블레이드부(21)는 용기의 본체(1A)의 내부 하부면과 마찰하면서 ②→③→④의 순서로 회전한다.
이 때에, 블레이드부(21)의 위상이 축부(2A)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블레이드부(21)의 만곡도는 블레이드부의 축단부 사이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축부(2A)의 축방향으로의 토너 공급 기능이 생성되어, 토너는 용기의 본체(1A)의 종방향으로(주 조립체의 측방향으로) 공급된다.
블레이드부(21)가 용기의 본체(1A)의 내부 하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토너는 용기의 본체(1A) 내의 토너량이 줄어들 때에도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 결과 잔류 토너량이 마지막 토너 토출 후에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토너는 도14의 ① 내지 ④의 시기에 블레이드부(21)의 탄성 복원(spring-back) 작용에 의해 토출구로 공급된다. 따라서, 용기의 본체(1A)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할 때 블레이드부(21)의 탄력성에 의한 토너 공급 효과외에, 블레이드부(21)의 스프링-백 효과는 토너를 더 공급하고, 따라서 토너는 더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14의 ⑤에 도시된 대로, 축부(2A)로부터 블레이드부(21)의 자유단으로의 충분한 길이를 제공함으로서, 뭉쳐진 토너(T1)는 블레이드부(21)의 탄력성에 의해 뭉쳐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본체(1A)의 높이가 너무 높아 토너 공급 포트부(1a)가 용기의 본체(1A) 하방의 위치를 취하게 되는 형태의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하여, 형태 제한을 줄이도록 노출 허용도(latitude)가 향상되며, 그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공간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토너 토출 실험이 전술된 구조의 토너 공급 용기(1)를 이용하여 실행되어 왔고, 안정적인 토너 토출 특성(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마지막 토출 후의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은 약 10g 정도로 작다. 공급 부재(2)의 회전에 필요한 초기 토크는 약 2 kgf-cm이다. 실험에 있어서, 공급 부재(2)의 블레이드부(21)는 약 188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ABS 수지 재료로 된 축부(2A)에 장착된다. 약 1,500g의 토너를 내장한 용기의 본체(1A)와 공급 부재(2)는 토너를 토출하도록 분당 약 30 회전의 회전 주파수 속도로 회전한다.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는 분당 20 내지 50의 회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고, 토출 특성 변경은 점검되고, 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은 회전 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은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너의 본체(1A)에서의 뭉친 토너의 경우와 같이, 용기의 본체(1A)는 토너를 채운 후에 두드리게 되고, 그후에 토출 실험이 수행된다. 더 구체적으로, 토너로 채워진 용기는 토너 토출에서와 같이 용기와 동일한 자세로 태핑 테이블 상에 고정되고, 10 ㎜의 높이와 2Hz의 주파수를 갖는 태핑 테이블은 1000회 정도 사용된다.
그 결과, 토너 토출 특성과 잔류 토너량은 태핑 없는 실험과 실제로 동일하게 되어, 토너가 뭉친 토너를 뭉치지 않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토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급 부재(2)의 회전에 필요한 초기 토크는 약간 크나(약 5 kgf-cm), 그 토크는 그렇게 크지 않아 구동원이 오버로딩된다.
회전 토크는 블레이드부(21)가 (도14의 ①과 ② 사이의) 뭉친 토너 내로 들어갈 때 최대가 된다. 공급 부재(2)가 그러한 구조를 갖게 되어 축방향으로의 블레이드부(21)의 위상이 변경될 때, 토너 내로 들어가는 블레이드부(21)의 시기는 축방향으로 상이하여, 회전 토크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부(21)의 위상은 축방향으로 변경되고, 따라서, 블레이드부(21)의 일부가 도14(3)에 도시된 상태에 있더라도, 도14의 (1)의 상태는 또 다른 부분 내에 존재하여, 블레이드부(21)가 축부(2A) 주위로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블레이드부는 축부 주위로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6은 나사 부재(2e)가 도12의 공급 부재(2)의 인접 토너 공급 포트부(1a)의 구조에 부가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급 부재(2)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면에서,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토너 토출 실험은 제1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를 이용한 동일 상태 하에서 실행된다.
그 결과, 토너 토출 특성은 제1 실시예 보다 더 양호하고, 마지막 토너 토출 후의 잔류 토너량은 약 10g이 된다. 나사 부재(2e)를 추가함으로서, 토너 토출량의 변동은 5 내지 10g/min로 되고, 이는 10 내지 20g/min 보다 더 양호하다. 제1 실시예에서, 토너 토출량의 안정도 향상이 확인되었다. 공급 부재(2)의 회전에 필요한 초기 토크는 약 4 kgf-cm이다.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는 분당 20 내지 50의 회전 범위 내에서 변경되고, 토출 특성 변경은 점검되고, 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은 회전 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은 공급 부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위 시간당 토너 토출량은 용기 태핑에 의해 토너 토출 전에 토너가 뭉쳐질 때 그리고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기 전에 사용자가 공급 용기(1)를 진동시킴으로서 토너가 뭉쳐지지 않을 때 초기 단계로부터 토너 토출의 최종 단계로 안정된다. 일예로, 공급 부재(2)가 36rpm으로 회전할 때, 토너 토출량은 이전의 토너 상태에 상관 없이 70 내지 100g/min이다. 토너가 뭉쳐지지 않고 푸석푸석하게 될 때, 큰 유동성을 갖는 토너는 토출구(토너 공급구(1g)) 내로 돌진하는 경향이 있고 유익하지 않은 고속으로 토출되나(흘러나오게 되나), 그러한 현상은 도16의 실시예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나선형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한 번 완전 회전하는 나사 부재(2e)가 돌진한 토너가 적절히 멈출 수 있도록 원통형 토너 공급 포트부(1a) 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1000번의 태핑 후에 토너로 채워진 토너 공급 용기(1)에 대한 토출 실험이 행해진다. 그 결과, 토너 토출 특성과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은 태핑 없는 경우와 유사하다. 공급 부재(2)의 회전에 필요한 초기 토크는 약간 더 높으나(약 8 kgf-cm), 그 토크는 그렇게 크지 않아 구동원은 오버로딩된다.
도17은 도13에 도시된 공급 부재(2)의 블레이드부(21)의 일부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창 형태(21a)를 제공하도록 제거된 구조를 도시한다. 창 형태(21a)를 제공함으로서, 동일한 상태 하에서 창을 제외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조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1)에 대한 토너 토출 실험이 실행된다.
그 결과, 토너 토출 특성과, 마지막 토출 후의 용기의 본체(1A) 내의 잔류 토너량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태핑이 실행되지 않을 때의 공급 부재(2)의 회전에 필요한 초기 토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약 2 kgf-cm이다. 1000번의 태핑 훙의 요구된 초기 토크는 창 없는 토크인 약 5 kgf-cm로부터 약 4 kgf-cm로 줄어들고, 토너가 뭉쳐져 있을 때의 초기 토크는 창에 의해 줄어든다.
도18은 도16에 도시된 나사 부재(2e)가 도17에 도시된 공급 부재(2)에 부가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급 부재(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토너 토출 실험은 나사 부재(2e)와 창 형태(21a)를 제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상태 하에서 실행된다.
그 결과, 토너 토출 특성은 안정도에서 제3 실시예 보다 더 양호하고, 마지막 토출 후의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태핑 없이의 필요한 초기 토크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약 4 kgf-cm이다. 1000번의 태핑 후의 필요한 초기 토크는 창 없이 약 8 kgf-cm로부터 약 6 kgf-cm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위상이 축부(2A)의 축방향에 대해 연속 변경되는 공급 부재(2)의 축부(2A) 상의 블레이드부(21)를 제공함으로서, 토너 공급 기능은 더 효과적으로 되고 토너의 주 조립체 상의 잔류 토너량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부(21)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창을 제공함으로서, 필요한 회전 토크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발명에서, 교환용 커버(15)와 힌지부(18)는 도19에 도시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19 및 도20을 참고로 하여, 그 위치에 마련된 교환 커버의 작동에 의한 토너 공급구(1g)를 개폐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9는 커버(15)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20은 커버(15)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도8과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기되었으며, 단순화를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9 및 도20에서, 토너 수용구(9)와 동심 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는 도면부호 19로 부기되고, 토너 공급 용기(1)는 교환 작업시에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에 장착된다. 본체(1A) 내에 마련된 결합 돌기(1c)와 결합하고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고정된 결합 홈(20a)을 갖춘 안내 부재는 도면부호 20으로 부기된다. 커버(15)와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를 그 연결부(25a, 25b)에서 상호 연결하기 위한 링크는 도면부호 25로 부기된다. 커버(15)가 폐쇄될 때,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는 링크(25)에 의해 도20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그러한 구조로 인해,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 상에 장착된 후에 사용자가 커버(15)를 페쇄할 때,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는 링크(25)에 의해 도20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의 회전으로 인해, 용기의 본체(1A)는 또한 본체(1A) 내에 마련된 결합 돌기(1c)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C-1C1-1C2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여기에서, 본체(1A)의 회전으로 인해, 밀봉 부재(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밀봉 부재(3)의 로킹 돌기(3e)는 결합 돌기(1c)가 도달하는 위치(1C1)에서 로킹 부재(6)에 고정된다.
밀봉 부재(3)가 로킹 부재(6)에 고정된 후에, 커버(15)는 더 폐쇄되고, 결합 돌기(1c)는 안내 부재(20)의 결합 홈(20a) 내로 들어가게 되고 토너 공급 용기 유지 부재(19)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결합 홈(20a)의 벽부(20b)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용기의 본체(1A)는 로킹 부재(6)에 고정된 밀봉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토너 공급구(1g)는 도20에 도시된 대로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20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15)를 개방할 때, 토너 공급 용기(1) 내에서 모든 토너가 소모된 후에, 본체(1A)의 결합 돌기(1c)는 안내 부재(20)의 벽부(20c)를 따라 이동한다. 결합 돌기(1c)의 이동으로 인해, 본체(1A)는 토너 공급구(1g)가 밀봉 부재(3)의 플랜지부(3f)와 맞닿을 때 까지 이동하고, 이에 의해 토너 공급구(1g)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와 공급 부재와 별개의 부재인 교반 부재가 제공된다.
도2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301)의 사시도이다.
도22의 (a)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정면도, 도22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22의 (c)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좌측면도, 도22의 (d)는 토너 공급 용기의 우측면도, 도22의 (e)는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 단면도, 도22의 (f)는 토너 공급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23은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로딩되고 공급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24는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로딩되고 공급구가 밀봉된 정면도이다.
도21의 (a) 내지 도24에서, 용기의 주 조립체는 도면부호 301A로 나타내고, 용기의 본체(301A)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부(301a)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는 도면부호 302로 나타낸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g)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는 도면부호 303으로 나타내고,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구동력을 밀봉 부재(303)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는 도면부호 304로 나타낸다. 본체(1A) 내의 토너를 섞기 위한 교반 부재는 도면부호 305로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회전력을 교반 부재에 전달하는 교반 부재(305)와 결합 가능한 전달 부재는 도면부호 306으로 나타낸다.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구동력을 전달 부재(306)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커플링 부재로서의 전동 부재는 도면부호 307로 나타낸다.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시일은 도면부호 309로 나타낸다.
도25 및 도26을 참고로 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인 토너 공급 용기부(301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5는 용기의 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6의 (a)는 용기의 주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26의 (b)는 그 단면도이고, 도26의 (c)는 좌측면도이고, 도26의 (d)는 우측면도이고, 도26의 (e)는 단면도이며, 도26의 (f)는 평면도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1A)는 하부를 향해 폭이 줄어드는 만곡부(301F)와, 만곡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일정한 폭을 갖는 편평부(301G)와, 편평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호형부(301H)를 포함한다.
용기의 본체(301A)의 한 측면(1A1)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포트부(301a)를 형성하고 토너 수용부(1n) 내에 수용된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원통형 부재는 돌출되어 있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g)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다른 측면(301B)의 토너 공급 포트부(30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 부재(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수용부(301b)가 형성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를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주 조립체(100) 내에 마련된 토너 공급구 개폐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01c)가 도면부호 301D 외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은못 형태이다. 상부면(301E)은 토너 공급 용기(391)를 주 조립체(100)에 장착 및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301e)를 갖추고 있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용기의 주 조립체(1A)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기의 종방향으로 서로 평행 연장된 홈(301f)이 전방측 및 후방측의 하부 경사면(만곡면)(301F)에 마련된다.
다른 측면(301B)의 제1 수용부(301b1) 위에, 교반 부재(30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수용부(301b2)가 마련된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a)는 본체(301A)의 종방향으로 손잡이(301e)를 갖는 측면(301B)으로부터의 반대편 측면(301A1)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301)를 주 조립체(100)에 장착할 때, 사용자가 토너 공급 포트부(301a)를 우연히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a)는 측면(301A1)의 하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301A) 내에 수용된 토너의 양이 작더라도, 토너는 효과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너 공급구는 측면(301A)으로부터 2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약 27.8 ㎜ 만큼 돌출된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a)는 원통형 형태이고, 원통형부의 외경은 2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27.6 ㎜이다.
전술된 대로,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의 외부 상에 마련된다. 결합부(301C)는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마련된 (도8의) 로킹부(51C)에 의해 정확히 배치된다. 전술된 대로,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원주형 돌기(은못)의 형태이다. 원형의 기둥형부는 5 내지 12 ㎜, 바람직하게는 약 8 ㎜인 외경을 갖는다. 위치 설정부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2 내지 6 ㎜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결합부(301C)(위치 설정부)는 하부면(301D)의 종방향으로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측면의 반대편 측방향 단부면(301B)으로부터 6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약 71 ㎜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측면(301A1)과 다른 측면(301B)은 용기가 공장으로부터 인도되기 전에 용기의 주 조립체에 대한 치수상의 검사가 이루어질 때 용기의 주 조립체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2 개의 보스(301k, 3011)를 각각 갖추고 있다.
잘못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는 도면 부호 301m으로 나타낸다.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리브(301m)를 상이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잘못된 용기 장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체(301A)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와 같은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 중공 성형 또는 사출 중공 성형을 통해 바람직하게 제작되나, 또 다른 재료나 또 다른 제작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의 본체(301A)는 용접 및 접착등에 의해 하나로 되는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충격 폴리스티렌으로 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진동 용접에 의해 합체된다.
도23에 도시된 공급 부재(302)는 축부(302A)와, 축부(302A)의 회전에 의해 분말 토너를 설정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로서 역할하는 축부(302A) 상의 나선형 강성 공급 블레이드(302B)를 포함한다. 공급 부재(302)는 축부(302A)의 축이 대체로 원형인 토너 공급 포트(301g)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용기의 본체(301A)에 장착된다.
공급 부재(302)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나사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가요성 블레이드가 축부(302A)에 장착될 수 있다. 축부 및 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302A) 및 블레이드(302B)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302)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원통형 부분 내로 연장된 연장부(302C)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302C)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 외부로 더욱 연장된다. 연장부(302C)의 외측 연장부의 자유단은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03)는 자유단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장부(302C)의 일 단부(302a)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03)를 통해 회전력을 수용하도록 다각형 등의 형태, 특히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축부(302A)의 이러한 일 단부는 연장부(302C)의 일 단부(302a)를 통해 밀봉 부재(303) 상에서 지지된다. 축부(302A)의 다른 단부(302b)에는 제1 베어링 부재(308)가 마련된다. 이러한 다른 단부는 제1 베어링 부재(308)를 통해 본체(301A)에 (밀봉 해제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급 부재(302)는 공급 블레이드(302B)가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301a1)과 접촉되지 않도록 그리고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이 축부(302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밀봉 부재(303) 상에서 지지된다. 공급 부재(302)를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함으로써, 토너는 공급 부재(30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301g)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공급될 수 있다. 미세 토너 입자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301a1)과 공급 블레이드(302B) 사이로 들어갈 수 있어 이들 사이에서 강하게 문질러짐으로써 내측 벽면(301a1)에서 용융된 결과, 크기가 큰 토너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공급 부재(302)를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부재(2)는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등의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제조되지만, 다른 방법 및/또는 다른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공급 부재는 연결되는 별개의 부재들의 것일 수 있다.
도27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밀봉 부재(30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7의 (a)는 밀봉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27의 (b)는 선 A-A를 따라 취한 도면이며, 도27의 (c)는 선 B-B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27의 (d)는 정단면도이다.
도27의 (a) 내지 (d)에서, 토너 공급 용기(301)의 토너 공급 포트(301g)를 개방 가능하게 밀봉하도록 밀봉 부재(303)의 토너 공급 용기(301)로부터 반대편에 마련된 시일이 도면 부호 303b로 나타나 있다. 시일(303b)의 외경은 토너 공급 포트(301g)의 내경보다 적당량만큼 더 크다. 밀봉 부재(303)는 시일(303b)의 결합부(303b1)를 토너 공급 포트(301g)로부터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내로 억지 끼워 맞춤으로써 토너 공급 포트(301g)를 밀폐식으로 밀봉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때, 공급 부재(3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드라이버)로서 역할하는 커플링 결합부가 도면 부호 303c로 나타나 있다. 커플링 결합부(303c)에는 [밀봉 부재(303)가 용기의 본체(301A)에 장착된 때] 공급 부재(302)의 축부(302A)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토너 용기의 본체(301A)로부터 대향한 방향으로 시일(303b)로부터 연장된 돌출부(303c1)가 마련된다. 커플링 결합부(303c)는 돌출부(303c1)의 곡선면에 마련되고, 커플링 결합부에는 결합 부재(304)와 결합할 수 있는 구동력 수용부로서 역할하는 (스플라인형) 긴 돌출부(리브)(303d)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플라인형 돌출부(303d) 2개가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특히, 이들은 약 180°간격으로 배치된다.
리브(303d)는 밀봉 부재의 외부면으로부터 0.5 ㎜ 내지 3 ㎜, 양호하게는 약 1.8 ㎜ 돌출된다.
돌출부(303c1)의 외경은 10 ㎜ 내지 14 ㎜, 양호하게는 약 12 ㎜이다.
밀봉 부재(303)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공급 부재(302)의 일 단부(302a)와의 결합에 의해 공급 부재(30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로서 역할하는 결합 구멍(303a)을 포함한다. 결합 구멍(303a)은 시일(303b) 및 커플링 결합부(303c)를 통해 개구(구멍)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구멍(303a)은 분말 토너 공급부(301a)로부터 돌출된 공급 부재(302)의 축의 단부(302a)의 직사각형 형태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을 갖는다. 결합 구멍은 단부(302a)가 결합 구멍(303a) 내로 느슨하게 끼워 맞춤되도록 축의 단부(302a)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갖는다.
공급 부재(302) 및 밀봉 부재(303)는 단부(302a)와 결합 구멍(303a) 사이에서의 느슨한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서로 함께 로킹된다. 한편, 축선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기의 본체(301A) 및 밀봉 부재(303)는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토너 공급 포트(301g)가 토너 공급 용기 장착시에 개방 가능하게 한다.
결합 구멍(303a)과 축 단부(302a) 사이의 결합 길이는 용기의 본체(301A) 및 밀봉 부재(303)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결합 구멍(303a)과 축 단부(302a) 사이에서의 분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만큼 길다. 따라서, 밀봉 부재(301A)가 본체(301A)로부터 멀리 이동될지라도, 공급 부재(302)는 밀봉 부재(303)[커플링 결합부(303c)]를 통해 구동력을 수용할 수 있다.
커플링 결합부(303c)와 시일(303b) 사이에는, 시일(303b)가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내로 억지 끼워 맞춤된 때 분말 토너 공급부(301a)의 단부와 맞닿는 플랜지부(303f)가 마련된다. 플랜지부의 외경은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양호하게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외경보다 작음]. 플랜지부(303f)에 의해, 시일(303b)는 시일(303b)의 길이에 의해 토너 공급부(301a)로 들어간다.
한편,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로킹 부재(6)와의 로킹 결합을 위하여 커플링 결합부(303c)의 자유단에 형성된 로킹 돌출부(303e)가 도면 부호 303e로 나타나 있다. 로킹 돌출부(303e)에 의해 로킹 부재(6)를 로킹함으로써, 밀봉 부재(303)는 토너 공급 포트(301g)가 개방된 때 고정될 수 있다.
밀봉 부재(303)는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등의 수지 재료의 일체식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지만, 다른 재료, 다른 제조 방법 및/또는 비일체식 구조가 사용 가능하다. 밀봉 부재(303)는 토너 공급부(301a)를 밀봉하도록 토너 공급부(301a) 내로 억지 끼움되기에 적당한 탄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양호한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지만, 추가의 양호한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로킹 부재(6)를 수용하기 위한 로킹 홈이 도면 부호 303j로 나타나 있다. 로킹 홈(303j)의 폭은 1.5 ㎜ 내지 5 ㎜, 양호하게는 3 ㎜이다. 로킹 홈의 깊이는 0.5 ㎜ 내지 5 ㎜, 양호하게는 약 2.5 ㎜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03)는 토너 공급 포트부(303a)와 결합할 수 있는 대체로 원통형인 결합부(303b1)를 갖는다. 플랜지부(303f)는 결합부(303b1)와 대체로 동축이다. 밀봉 부재는 결합부(303b1)가 마련된 쪽으로부터 대향한 쪽에서 결합부(303b1)와 대체로 동축으로 플랜지부(303f)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03c1)도 포함한다. 돌출부(303c1)의 자유단에 인접하여, 로킹 홈(303c)이 마련되며, 자유단은 로킹부(303e)로 형성된다. 결합부(303b1) 쪽으로부터 로킹부(303e) 쪽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마련되며, 중공부에서 구동력 전달부(303a)가 마련된다. 중공부의 로킹부(303e)는 개방되지 않으며, 따라서 결합부(303b1)가 토너 공급 포트부(303a)와 결합된 때 토너는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부(303a)는 밀봉 부재(303)를 장착함으로써 밀봉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유사하게, 밀봉 부재(303)는 4가지 기능을 갖는다. 특히, 그 기능은 (1) 토너 공급 포트부(301a)를 밀봉하는 것과, (2)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회전력의 전달을 수용하는 것과, (3) 회전력을 공급 부재(303)로 전달하는 것과, (4)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결합 가능 부재(6)와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밀봉 부재(303)는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연장부(302c)를 통해 축부(302A)로 전달하여, 공급 부재(30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제, 교반 부재(30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도28의 (a)는 교반 부재(305)의 정면도이고, 도28의 (b)는 좌측면도이며, 도28의 (c)는 우측면도이다. 도2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305)는 축부(305a)와, 강성 블레이드부(305b)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를 포함한다. 도29는 강성 블레이드부(305)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30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확대도이다. 축부(305a)는 비교적 강성이 큰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것이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또는 고강성 재료의 것이며,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필름 또는 시트, 또는 탄성 중합체 시트 등의 저강성 재료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이다.
교반 부재(305)의 일 단부(305d)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의 베어링부(301h)에서 전술된 전달 부재(306)와 결합한다. 다른 단부(305a)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의 제2 수용부(301b2)에서 스톱퍼 부재(제2 베어링 부재)(301f)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305a)는 비교적 강성이 큰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것이며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지만, 금속 등의 다른 재료의 것일 수 있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양호하게는 금속 등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거나, 다른 재료 및/또는 제조 방법이 사용되거나, 용접 또는 접합 등에 의해 일체화되는 2 이상의 부품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 0.8 ㎜의 두께를 갖는 프레스 가공된 스테인레스강판이 사용된다. 축부(305a)와 결합할 수 있는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결합부는 축부(305b)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축부(305a)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지며, 축부(305a)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여 용기 내의 토너를 교반하도록 한다.
도2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에 절결부(305h)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조립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전체 길이부는 회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판의 형태이며, 회전 방향에 대하여 블레이드부의 하류측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의 내측 벽면을 향해 만곡된다. 도29에 도시된 만곡부(305b1)의 길이(r)는 약 2 ㎜ 내지 8 ㎜이고, 만곡 각도(δ)는 양호하게는 약 30° 내지 50°이다. 더욱 양호하게는, 만곡부(305b)의 길이(r)는 약 3 ㎜ 내지 5 ㎜이고, 만곡 각도는 양호하게는 약 45°이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부(305b1)의 길이는 약 5 ㎜이고, 만곡 각도는 약 45°이다.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강성 블레이드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장치의 본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며, 양호하게는 장치의 본체의 내경의 약 70 % 내지 95 %이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의 본체의 내경은 약 44.5 ㎜이고, 따라서 약 39.4 ㎜(89 %)이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필름 또는 시트, 또는 탄성 중합체 시트 등의 저강성 재료의 것이다. 그 두께는 양호하게는 약 50 μm 내지 500 μm이고, 더욱 양호하게는 100 μm 내지 300 μm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100 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시트가 사용되었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자유단이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305b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접합된다. 가요성 블레이드부는 강성 블레이드부와 함께 용기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토너를 긁어내도록 회전한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반경방향으로의 길이는 양호하게는 용기의 내측 벽면과 강성 블레이드부(305b) 사이의 거리보다 약 0.5 ㎜ 내지 10 ㎜만큼 더 긴데, 그 이유는 전술된 효과가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6 ㎜만큼 더 길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 사이의 접합은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305b) 상에서 도30에 도시된 양면 코팅 테이프(305i)(DIC#8800CH)에 의해 이루어졌다. 리벳 또는 다른 공지의 수단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거나, 강성 블레이드와의 일체 성형이 사용될 수 있다.
도31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중앙 위치에서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분할될 수 있어, 분할된 부품들이 서로 엇걸리게 된다. 분할 개수는 용기의 본체의 형태 및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3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위상은 나선형 형태를 제공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변경될 수 있다. 축부의 중앙부와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결합부에는 양호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305h)가 마련되는데, 그 이유는 조립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강성 블레이드의 만곡부의 길이는 토너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회전 방향으로의 강성 블레이드부의 돌출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 3 ㎜이다. 만곡부의 길이 및 만곡 각도는 양호하게는 약 2 ㎜ 내지 8 ㎜와 30° 내지 50°이고, 더 양호하게는 약 3 ㎜ 내지 5 ㎜와 약 45°이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 및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알루미늄 리벳(4i)에 의해 크림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리벳 구멍의 위치가 약간 벗어나 있게 된다면, 기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C)에 접촉된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부분에서 천공부 또는 절반 절단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수단은 양면 코팅 테이프 또는 다른 공지의 수단일 수 있다.
이제,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 방법에서, 공급 부재(302)는 상부로부터 하부 프레임(301K)의 하부 부분으로 삽입된다. 오일 시일(309)이 제1 수용부(301b1) 내로 삽입된 후에, 베어링 부재(308)가 공급 부재(302)의 다른 단부(302b)와 결합한다. 토너 공급 포트(301g)는 밀봉 부재(303)에 의해 밀봉된다. 그리고 나서, 교반 부재(305)가 상부로부터 삽입된다. 오일 시일(309)이 용기의 본체 내로 삽입되고, 이후에 제2 베어링 부재(310) 및 전달 부재(306)는 교반 부재(305)의 대향 단부들에서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상부 프레임(301J)은 진동 용접에 의해 하부 프레임(301K)에 용접되며, 설정량의 토너가 토너 공급 용기(301)의 본체의 충전 포트(301i)를 통해 용기의 본체(301A) 내로 공급되며, 충전 포트(301i)는 밀봉 부재(311)에 의해 밀봉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은 매우 용이하며, 조립 단계의 개수가 매우 작다.
토너의 충전은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301)의 교환 단계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a)가 토너 공급부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될 때, 용기의 본체(301A)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및 결합부(301c)에서 힘을 수용한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301c)는 용기의 본체(301A)의 하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토너 공급 포트부(301a)를 갖는 쪽으로부터 반대편 쪽에 배치되고, 본체(301A)는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체(301A)가 상승될지라도, 본체(301A)의 설정 거리를 지나는 운동은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상부면 부분(100d)(도32)에 대한 상부면(301E)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코너 공급 포트(301g) 및 결합 돌출부(301c)는 양호하게는 용기의 활주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301)에서의 활주 방향에 대하여 도32의 양 방향으로의 모멘트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양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발생된다면, 본체(301A)의 설정 거리를 지난 이동은 301B에 마련된 측방향 스톱퍼 부분으로서의 리브(301j)가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측벽부(100e)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결합 돌출부(301c)의 높이는, 활주 이동 중에 토너 공급 용기(301)의 상향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301c)와 용기 처킹 부재(51)(도32) 사이에서의 중첩(x)이 장치의 주 조립체의 상부면(100d)(도32)과 용기의 상부 부분(301E) 사이의 간극(Y)보다 크게 한다.
도32의 토너 공급 용기(301)의 수평 리브(310j)들은 양호하게는 토너 공급 용기(30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 수평 리브들은 측벽부(100e)로부터 적당한 간극을 가지고 토너 공급 용기(1)의 상부 부분(높이 중심보다 상부측)에 배치된다.
이제,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301)를 위한 구동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착된 때, 밀봉 부재(303)의 커플링 결합부(303c)는 도23에 도시된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제1 결합 부재(304)와 결합하게 된다. 제1 결합 부재(304)는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밀봉 부재(30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33은 제1 결합 부재(304)의 상세부를 도시한다.
외부면(512a)에서 기어 부분을 갖는 기어 부재가 도면 부호 512로 나타나 있다. 기어 부재(512)는 2개의 부재, 즉 기어 부분(512A) 및 캡 부분(512B)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스냅 끼워 맞춤, 접합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기어 부재(512)의 내부에는 압박 수단(514) 및 가동 부재(513)가 마련된다. 압박 수단(514)은 기어 부재(512)의 512b 부분과 가동 부재(513)의 513b 부분과 맞닿는다.
도34의 (a) 내지 (c)는 기어 부분(512)의 상세한 도면이며, 여기서 도34의 (a)는 정단면도이고, 도34의 (b) 및 (c)는 측면도이다. 도35의 (a) 내지 (d)는 가동 부재(513)의 상세한 도면이며, 여기서 도35의 (a)는 정단면도이고, 도35의 (b) 및 (c)는 측면도이며, (d)는 정면도이다.
도34의 (a) 내지 (c)에서, 기어 부분(512A)에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활주 안내 리브(512A1)가 마련된다. 도35의 (a) 내지 (d)에서, 가동 부재(513)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활주 안내 구멍부(513c)를 구비하며, 가동 부재는 기어 부분(512A)의 활주 안내 리브(512A1)와 결합되고, 활주 안내 리브에 의해 가동 부재(513)는 기어 부재(512) 내에서 활주 가능하다.
가동 부재(513)의 구동력 전달부는 도면 부호 513a로 나타나 있다. 구동력 전달부(513a)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때 회전력을 밀봉 부재로 전달하도록 밀봉 부재(303)의 긴 돌출부(303d)와 결합한다.
도33에서, 기어 부재(5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들이 도면 부호 515 및 517로 나타나 있으며, 도면 부호 516은 오일 시일이다.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토출된 토너가 베어링 부재(515, 517)로 들어가 기어 부재(512)의 로킹을 초래하는 것이 오일 시일(516)에 의해 방지된다. 기어 밀봉 부재가 도면 부호 519로 나타나 있으며,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된 때, 밀봉 부재(303)의 303h 부분(도27)에 가압 접촉되어,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토출된 토너가 기어 부재(51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1 결합 부재(304)를 지지하는 구동 측판이 도면 부호 511 및 510으로 나타나 있다. 나사 또는 접합에 의해 구동 측판(511) 상에 단단히 고정되고 오일 시일(516) 및 베어링(51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홀더가 도면 부호 518로 나타나 있다. 도27a 내지 도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베어링 홀더(518)와 홀더(5)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밀봉 부재가 도면 부호 520으로 나타나 있다.
기어 밀봉 부재(519) 및 홀더 밀봉 부재(518)는 양면 코팅 테이프 등에 의해 기어 부재(512) 및 베어링 홀더(518)에 각각 고정되며, 그 재료는 우레탄 폼 등의 탄성 재료이다.
제1 커플링 부재(304)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커플링 부재의 가동 부재(513)는 전술한 구조로 해서 도33에 도시된 방향(A)으로 후퇴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압박 수단(514)에 의해서 도33에 도시된 위치로 압박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밀봉 부재(303)는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로 진입한다. 밀봉 부재(303)의 돌기(303d)의 위상과 가동 부재(513)의 구동 전달부(513a)의 위상이 일치되면, 기어 부재(512)와 가동 부재(513)는 도시되지 않은 주 조립체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되어, 밀봉 부재(303)가 구동 전달부(513a)를 통해서 회전된다. 위상이 일치되지 않으면, 가동 부재(513)는 밀봉 부재(3)의 돌기(303d)에 의해 도33의 방향(A)으로 압박된다. 기어 부재(512)와 가동 부재(513)가 이 상태에서 주 조립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때, 가동 부재(513)는 위상 일치가 밀봉 부재(303)의 돌기(303d)와 가동 부재(513)의 구동 전달부(513a) 사이에 도달할 때까지 공회전시킨다. 위상이 일치될 때, 가동 부재(513)는 구동 전달부(513a)와 밀봉 부재(303)의 긴 돌기(303d)가 밀봉 부재(303)로 구동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도33에 도시된 위치까지 압박 수단(514)에 의해 활주한다.
도36은 제2 커플링 부재(307)의 상세부를 도시한다. 521은 구동 전달 클로이다. 도37의 (a) 내지 (d)에서, 도37의 (a)는 구동 전달 클로(521)의 정단면도이고, 도37의 (b)는 측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다. 도37의 (a) 내지 (d)에서, 521a는 클로부이고, 521b는 활주 안내부이고, 521c는 평행 핀홈부이고, 521d는 스프링 수용부이다. 도38의 (a) 내지 (d)는 도26의 (a) 내지 (d)에서 도시된 전달 부재(306)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도38의 (a)는 정단면도이고, 도38의 (b) 및 도37의 (c)는 측면도이고, 도37의 (d)는 정면도이다. 도38의 (a) 내지 도38의 (d)에서, 307a는 전달 클로부를 지시한다.
도36에서, 522는 베어링(525, 526)을 통해서 구동 측면판(510, 511)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달하는 일체형 일방 클러치(527a)가 구비된 일방 기어(527)가 제공되어 있는 구동 축을 지시한다.
구동 전달 폴 또는 클로(521)는 활주 안내부(512b) 및 구동 축(522) 사이의 결합과, 평행 핀홈부와의 결합에 의해 활주가능하며, 구동 축(522)의 회전은 구동 전달 클로(521)로 전달된다. 524는 스프링 좌석부(528)와 구동 전달 클로(521)의 스프링 수용면(521d)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가리킨다.
제2 커플링 부재(307)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7)의 구동 전달 클로(521)는 전술한 구조로 해서 도39에 도시된 방향(A)으로 이동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압박 수단(524)에 의해서 도36에 도시된 위치로 압박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이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전달 부재(306)는 제2 커플링 부재(307)로 진입한다. 전동 부재(307)의 전달 클로부(307a)가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에 접촉되는 위상 관계일 때,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는 전동 부재(307)의 전달 클로부(307a)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구동 축(522)는 전달 부재(306)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지만, 이것은 일방 기어(527)의 일방 클러치부(527a)와 함께 공회전되며,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구동 전달 클로(521)와 전달 부재(306)는 방해받지 않는다.
도24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동된 도23에서 도시된 상태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에서, 구동 전달 클로(521)는 좌측으로의 전달 부재(306)의 후퇴와 함께 압박 수단(524)에 의해 이동되어서, 전달 부재(306)의 전달 클로부(306a)와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 사이의 결합은 유지된다.
따라서, 전동 부재(307)는 도시되지 않은 주 조립체 구동 수단으로부터 일방 기어(527)와, 구동 축(522)과, 구동 전달 클로(521)를 통해서 회전 구동력을 수용해서, 교반 부재(305)가 회전된다.
토너의 토출에 관해 설명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밀봉 부재(303)의 단부에서 로킹부(303e)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킹 부재(51c)와 로킹되며, 용기의 본체(301A)의 토너 공급 포트(301g)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 때, 공급 부재(302)와 밀봉 부재(303) 사이의 회전 방향에서의 결합 관계는 유지된다.
밀봉 부재(303)는 커플링 결합부(구동력 수용부(303c))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1 커플링 부재(304)와 결합된다. 제1 커플링 부재(304)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모터 등과 같은 (도시 안된) 구동력 공급원으로부터 기어와 같은 (도시 안된)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서 회전을 수용하며, 스플라인 형상의 돌기(303d)와의 결합을 통해서 밀봉 부재(303)로 전달된다. 또한 이것은 비원형 또는 직사각형 구멍(303a)으로의 공급 부재(302)의 자유단(302a)과의 결합을 통해서 공급 부재(302)로 전달된다. 유사하게, 교반 부재(304)의 한 단부(304d)와 결합된 전달 부재(306)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커플링 부재(307)와 결합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커플링 부재(307)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모터 등과 같은 (도시 안된) 구동력 공급원으로부터 기어와 같은 (도시 안된)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서 회전을 수용하며, 결합 클로(306a)와의 결합을 통해서 교반 부재(304)로 전달된다. 공급 부재(302)와 교반 부재(304)의 회전 진동수는 대략 2회전/분이고, 10회전/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교반 부재(304)가 회전하면, 운반 기간 동안의 진동과 장기간 비사용으로 해서 공기의 제거에 의해 덩어리 토너가 느슨해져서, 공급 부재(30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부(301a)쪽으로 공급되고, 토출되어서 토너 공급부(1g)를 통해서 낙하된 것이 토너 호퍼(201a)로 공급되도록 한다.
토출 실험은 용기 구조물을 사용해서 수행되었다. 용기의 본체는 토너로 충전되며, 토너는 대략 10회전/분의 속도로 회전된 교반 부재와, 대략 52회전/분의 속도로 회전된 교반 부재에 의해 토출된다. 체(75 ㎛의 개구, SUS로 제조)가 큰 입자의 존재 유무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큰 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은 20g이며, 따라서 토너 잔류량의 저감된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03)는 공급 부재(302)에 대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밀봉 부재 및 공급 부재는 일체형이다. 도39에서, 밀봉 부재(320)는 시일(320a)와, 구동력 수용부(320b)와, 밀봉 부재(320)를 포함한다. 밀봉 부재(320)는 도39의 방향(A)로 이동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예컨대, 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예컨대, 1, 301)는
(a) 토너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예컨대, 1n, 301n)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포트(예컨대, 1a, 301a)-상기 토너 공급 포트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위치됨-과,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위치된 위치 설정 부분(예컨대, 1C, 301C)-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의 종축 방향에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면으로부터 대향된 면에 배치된 때 상기 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의 하부면(예컨대, 1D, 301D)에 제공됨-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향면은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의 종축 중심보다 토너 공급 포트에 더 근접한 면을 의미한다.
토너 공급 포트는 상기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의 종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단부면(예컨대, 1A1, 301A1)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 가능하게 밀봉된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한다.
상기 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방 방향의 하부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형상이다.
상기 돌출 부분은 하부면으로부터 약 2 ㎜ 내지 8 ㎜ 정도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유지되는 동안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공급할 수 있는 높은 신뢰도의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낮은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때 확실히 위치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그러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사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 부분과, 그러한 토너 공급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의 범주 내에서 가능한 변경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유지되는 동안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공급할 수 있는 높은 신뢰도의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낮은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할 때 확실히 위치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그러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사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 부분과, 그러한 토너 공급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0)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는 토너 공급 포트, 및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된 위치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포트는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토너 공급부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수직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방될 때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면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용 용기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된 측면 제한부가 상기 토너 공급 용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8.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토너 공급 포트, 및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수용하는 위치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는 수직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3.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토너 공급 포트,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수용하는 위치 설정부
    (d)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수직 제한부, 및
    (e)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방될 때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면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용 용기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된 측면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6. 제13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1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는 토너 공급 포트,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는 위치 설정부, 및
    (d)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식으로 밀봉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하는 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수직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방될 때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면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용 용기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된 측면 제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결합된 측면과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5.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토너 공급 포트,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수용하는 위치 설정부, 및
    (d)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결합된 측면과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밀봉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수직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방될 때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면 운동을 제한하는 측면 제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0.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토너 공급 포트,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밀봉 부재에 의해 개방식으로 밀봉된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수용하는 위치 설정부,
    (d)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식으로 밀봉하고,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결합된 측면과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
    (e)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봉될 때 소정 거리 이상으로 상방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수직 제한부, 및
    (f) 상기 토너 공급 포트가 개방될 때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면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용 용기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된 측면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위치 설정부가 하부면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면으로부터 2 ㎜ 내지 8 ㎜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공급 포트와 상기 위치 설정부 및 측면 제한부의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일체로 성형된 부품들로서 상기 수직 제한부와 상기 측면 제한부의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4.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한 토너 공급 포트,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는 위치 설정부, 및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방식으로 밀봉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는 토너 공급 용기를 분리식으로 장착하는 장착 수단,
    (b)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에 대해 장착 또는 탈착될 때 개방 가능한 커버, 및
    (c)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커버의 밀폐 조작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커버의 개방 조작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토너 공급 포트를 기밀하게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밀봉 부재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1 결합 클로와 상기 위치 설정부로서 기능하는 각주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포트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2 결합 클로의 상류측 운동에 의해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의 외부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교체를 위해서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9.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이용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부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및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부.
  40.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및
    (b)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KR1019980023127A 1997-06-19 1998-06-19 토너수용용기부,토너공급용기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316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10397 1997-06-19
JP97-163103 1997-06-19
JP16837098A JP3408153B2 (ja) 1997-06-19 1998-06-16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98-168370 199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41A true KR19990007141A (ko) 1999-01-25
KR100316569B1 KR100316569B1 (ko) 2002-02-19

Family

ID=2648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127A KR100316569B1 (ko) 1997-06-19 1998-06-19 토너수용용기부,토너공급용기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59874B1 (ko)
EP (1) EP0897138B1 (ko)
JP (1) JP3408153B2 (ko)
KR (1) KR100316569B1 (ko)
CN (1) CN1118723C (ko)
DE (1) DE698016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39B2 (en) *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490946B2 (ja) * 2000-01-13 2004-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DE10025933C2 (de) * 2000-05-26 2003-12-24 Dietrich Troeltsch Gmbh & Co G Toner-Bevorratungsbehälter
JP2002006601A (ja) 2000-06-23 2002-01-1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DK1233310T3 (da) 2001-02-19 2010-02-15 Canon Kk Tonertilførselsbeholder og tonertilførselssystem
US6990301B2 (en)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927897B1 (en) 2006-09-22 2010-11-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gent cartridge
TW200825639A (en) * 2006-12-05 2008-06-16 Gen Plastic Ind Co Ltd Toner cartridge with a lock function
JP5067865B2 (ja) 2007-02-21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904005B2 (en) * 2009-02-26 2011-03-08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6175B2 (ja) * 2009-06-30 2013-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US8867968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Movable toner port cover member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ing device
US9031451B2 (en)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588659B2 (en) * 2011-12-30 2013-11-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649710B2 (en) 2011-12-30 2014-02-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pivoting exit port cover
US8682213B2 (en) 2011-12-30 2014-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948650B2 (en) 2011-12-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867966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879964B1 (en) 2013-05-16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n angled exit port surface
US9104141B2 (en) 2013-05-29 2015-08-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bypassing actuation
US9477177B2 (en) 2014-09-02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7283627A (zh) * 2017-03-09 2017-10-24 黄铁 一种建筑材料拌匀装置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CN112400140A (zh) * 2018-08-30 2021-02-2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组合墨盒
CN109683456A (zh) * 2019-03-01 2019-04-26 广州奥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动变更的通用型兼容粉盒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3805C3 (de) 1977-05-26 1980-07-03 Canon K.K., Tokio Nachfülleinrichtung für Tonerpulver in einem elektrofotografischen Kopiergerät
JPS59188678A (ja) * 1983-04-09 1984-10-26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S60146265A (ja) * 1984-01-09 1985-08-01 Ricoh Co Ltd 乾式複写機におけるトナ−補給装置
US4878603B1 (en) 1984-01-09 1994-11-08 Ricoh Kk Toner replenishing device
US4622916A (en) 1984-10-18 1986-11-18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S61116372A (ja) 1984-11-10 1986-06-03 Toshiba Corp トナ−供給装置
US5307129A (en) 1990-10-01 1994-04-26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W240299B (ko) *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3320152B2 (ja) 1993-07-28 2002-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387596B2 (ja)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US5614996A (en) *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DE670530T1 (de) 1994-03-03 1999-02-25 Kyocera Corp Tonerspeichereinheit, Resttonersammeleinheit, Tonercontainer mit diesen Einheiten und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m solchen Tonercontainer.
JP3364632B2 (ja) *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5832343A (en) 1995-04-03 1998-11-03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method,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TE185002T1 (de) * 1995-06-07 1999-10-15 Nashua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um toner und desgleichen auszuteilen
KR100227914B1 (ko) *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JP3875743B2 (ja) * 1996-01-09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US5862441A (en) * 1996-12-27 1999-01-19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569B1 (ko) 2002-02-19
DE69801625D1 (de) 2001-10-18
CN1118723C (zh) 2003-08-20
EP0897138A1 (en) 1999-02-17
US6259874B1 (en) 2001-07-10
CN1204787A (zh) 1999-01-13
JP3408153B2 (ja) 2003-05-19
EP0897138B1 (en) 2001-09-12
JPH1173002A (ja) 1999-03-16
DE69801625T2 (de)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569B1 (ko) 토너수용용기부,토너공급용기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488375B1 (ko) 토너 보급 용기
KR100316570B1 (ko) 토너공급용기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US6968139B2 (en)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7066B2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91149A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JP3787552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4011831B2 (ja) トナー補給容器
MXPA98004949A (en) Pigment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electrofotograf
MXPA98004947A (en) Container to supply pigment, member of seal and image formation device electrofotogra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