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515A - 방사권취기 - Google Patents

방사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515A
KR19990006515A KR1019980019737A KR19980019737A KR19990006515A KR 19990006515 A KR19990006515 A KR 19990006515A KR 1019980019737 A KR1019980019737 A KR 1019980019737A KR 19980019737 A KR19980019737 A KR 19980019737A KR 19990006515 A KR19990006515 A KR 1999000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bobbin
winding
contact roll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0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방사권취기의 여러 가지 운전형태에 대응해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실속도와 일치시켜서, 어떠한 운전형태라도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할 수 있는 방사권취기를 제공한다.
콘택트로울러(CR)와 보빈(B)이 비접촉상태에서 콘택트로울러(CR)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에 제어값 기준검출수단(51)이 제어값을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고, 보정수단(52)에 의해 상기한 기준제어값에 근거해서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모우터제어장치(CB)를 이용한다.

Description

방사권취기
본 발명은, 보빈홀더를 회전구동하여, 이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과 접촉해서 따라 도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에 의해 상기한 보빈홀더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타입의 방사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방사권취기는, 방출기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를 보빈홀더에 장착된 권취관상에 실을 권취해서 패키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사권취기에는, 보빈(권취관이나 패키지를 포함한 총칭)에 접촉하는 프릭션로울러(friction roller)를 회전구동하는 프릭션 드라이브 타입과, 보빈홀더를 회전구동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타입이 있다. 스핀들 드라이브 타입의 것에서는, 방사는 방출기로부터 소정 속도로 방출되는 것에 대해서, 패키지가 감겨서 형성됨에 따라 지름이 커지므로, 그것에 따라 보빈홀더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보빈홀더의 회전수의 제어를 위해, 보빈홀더에 대해서 보빈에 접촉해서 따라 돌고, 소정의 접촉압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콘택트로울러가 사용된다.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패키지의 회전속도를 구하고, 이것을 설정속도와 비교해서 보빈홀더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패키지의 권취속도를 일정하게 한다. 그러나, 이 스핀들 드라이브 타입의 방사권취기에서는, 보빈에 접촉해서 따라 도는 콘택트로울러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미끄러짐을 감안해서 보빈홀더의 회전수를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고속권취로 되면, 미끄러짐이 크고, 또한 미끄러짐자체가 변동하기 쉬워진다.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기준으로 한 운전이기 때문에, 회전속도가 실제보다 느리게 검출되고, 방사가 당겨지듯이 권취되게 되어 권취장력이 상승하여 가운데가 볼록하게(bulge) 되는 등의 패키지형상불량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콘택트로울러를 구동모우터를 이용해서 보조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로서, 인버터로 출력주파수를 바꾸고, 이 출력주파수에 비례한 회전수로 회전구동되는 유도모우터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과 접촉해서 따라 도는 콘택트로울러에는, 풍(風)손실, 기계손실, 보빈홀더로부터 받는 브레이크력 등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콘택트로울러는, 인버터가 송출하는 출력주파수에 맞춘 유도모우터의 회전수로 정해지는 회전속도가 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 느려진다. 그래서, 콘택트로울러와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 양자를 접촉시켜 고속으로 실을 권취할 경우에, 인버터의 출력주파수를, 유도모우터를 소정 회전수로 구동하기 위한 출력주파수보다 0.5∼2%정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콘택트로울러와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의 회전속도가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방사권취기의 운전형태는, 고속의 권취뿐만 아니라, 보빈체인지와 같은 보빈홀더의 교체시(실의 바꿔감기시)에는 콘택트로울러는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으로부터 떨어져 자유로운 비접촉상태로 회전구동되고, 운전 초기의 실걸기시에는 저속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인버터의 출력주파수를 0.5∼2%의 소정값만큼 크게 한 것만으로는, 보빈홀더의 교체시나 저속 실걸기시에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너무 빨라진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보빈홀더의 교체시와 같은 콘택트로울러와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이 비접촉상태에 있을 때에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센서의 출력에 근거해서 소정의 회전속도가 되도록,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한 모우터제어장치를 구비한 방사권취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상태의 전환때마다, 피드팩제어의 조건이 바뀌므로,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고속권취시에, 보빈홀더의 교체시의 출력주파수를 각각 이론계산에 의해 개별로 설정하는 모우터제어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상태가 바뀐 경우의 출력주파수가 이론계산에 의해 정해져 있으므로, 콘택트로울러를 운전상태에 맞춘 회전속도로 정확하게 구동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접촉해서 따라 도는 콘택트로울러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방사권취기의 여러 가지 운전형태에 대응해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할 수 있는 방사권취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모우터로 구동되는 보빈홀더와, 이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접촉하는 콘택트로울러와, 이 콘택트로울러를 구동하는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에 대해서 제어값을 송출하는 모우터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모우터제어장치는,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 상태에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고, 이 기준제어값에 근거해서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이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속도이고,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고속시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보빈홀더로서 권취측 보빈홀더와 대기측 보빈홀더가 설치되고, 이들 권취측 보빈홀더와 대기측 보빈홀더가 교체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권취측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이 만(滿)권취되었을 때의 권취측 보빈홀더와 대기측 보빈홀더와의 교체시의 제어값과 실권취시의 제어값이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에 근거해서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권취측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이 만권취되었을 때의 권취측 보빈홀더와 대기측 보빈홀더의 교체시의 제어값이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기준값이, 실걸기전의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일 때에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실걸기가 실권취시보다도 저속으로 실시되고, 이 저속 실걸기시에 요구되는 회전속도에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저속시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실걸기가 실권취시보다도 저속으로 실시되고, 이 저속 실걸기후의 최초의 권취측 보빈홀더와 대기측 보빈홀더와의 교체시에 있어서의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일 때에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져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권취기의 모우터제어장치와 함께 나타낸 기기블럭도이다.
도 2는 모우터제어장치의 제어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모우터제어장치의 다른 제어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방사권취기의 실걸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기준값 검출수단 52…보정수단
BH1…보빈홀더 BH2…보빈홀더
CR…콘택트로울러 P…패키지
B…보빈 Y…방사
IM3…유도모우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권취기를 모우터제어장치와 함께 나타낸 기기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방사권취기는 다수의 방사를 동시에 병행해서 권취하는 것이지만, 간단히 4개의 방사의 권취에 대해서만 예시해서 설명한다. 방사권취기는, 본체프레임(1)에 터릿(turret)판(2)을 중심축(3)의 둘레에서 회전자유롭게 지지하고, 터릿판(2)에 2개의 보빈홀더(BH1,BH2)가 회전을 자유로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권취위치에 있는 보빈홀더(BH1)에 삽입해서 부착된 보빈(B)에 방사(Y)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패키지(P)에 콘택트로울러(CR)가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돌면서 접하는 기기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BH1)이 권취측 보빈홀더, (BH2)가 대기측 보빈홀더로 되어 있다.
콘택트로울러(CR)의 끝에는 기어부재(9)가 부착되고, 기어부재(9)의 톱니를 독해하는 센서(S)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콘택트로울러(CR)를 회전자유롭게 돌출되게 설치하는 승강틀(4)은 가이드막대(10)를 따라 승강가능하고, 접촉압력실린더(11)의 들어 올리는 힘과 콘택트로울러(CR) 등의 자체중량과의 차이로 소정의 접촉압력을 패키지(P)에 부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2개의 보빈홀더(BH1,BH2)의 각각은, 유도모우터(보빈홀더 구동모우터)(IM1,IM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유도모우터(IM1,IM2)에 소정의 출력주파수를 출력하는 인버터(INV1,INV2)는, 콘트롤박스(CB)로 제어된다. 센서(S)에 의해 코택트로울러(CR)의 회전수가 검출되고, 콘택트로울러(CR)의 회전수(회전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권취위치의 보빈홀더(BH1)의 유도모우터(IM1)의 회전수가 제어되고, 패키지(P)가 감겨 굵어짐과 동시에 유도모우터(IM1)의 회전수가 감소한다.
여기에서, 인버터(INV3)와 콘트롤박스(CB)가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인 유도모우터(IM3)용 모우터제어장치를 구성하고, 센서(S)와 유도모우터(IM1,IM2)와 인버터(INV1,INV2)와 콘트롤박스(CB)가 권취제어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콘트롤박스(CB)에는 CPU 등의 마이콘장치가 내장되고, 이 마이콘장치에는 상기한 모우터제어장치 및 권취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편입되어 있다.
특히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용 모우터제어장치에 관해서, 제어기준값 검출수단(51)과, 보정수단(52)과, 보정수단(52)에 대한 설정기(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기준값 검출수단(51)은,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 상태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제어기준값으로 해서 자기검출해서 출력하는 것이다. 소정 회전속도를 통상은 실질적으로 실속도와 일치하는 속도로 설정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시, 상기한 소정 회전속도를 저속 실감기시에 요구되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로 설정하거나, 그 밖의 속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정 회전속도를 실질적으로 실속도와 일치하는 속도로 설정했을 때에는 고속시 제어기준값이 검출되고, 소정 회전속도를 저속 실감기시에 요구되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로 설정했을 때에는 저속시 제어기준값이 검출된다. 보정수단(52)은,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에 보정계수를 곱해서 계산하거나, 또는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에 보정값을 가감산해서 실권취시의 제어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통상은, 상기한 제어기준값에 1.0∼1.03의 보정계수를 곱해 계산한 실권취시의 제어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콘택트로울러를 오버피드(over feed)하듯이 구동한다. 상기한 설정기(53)는 상기한 보정계수 또는 보정값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상기한 보정계수 또는 보정값을 미리 고정적인 것으로서 모우터제어장치내에 기억시켜 둘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술한 기능을 갖는 콘트롤박스(CB)에 의한 모우터제어장치의 제어의 한 예를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2(A)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인버터로부터의 출력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구간t1∼t2은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실권취시보다도 저속(V2)의 실걸기시를 나타내며, 구간t3∼t4는 고속(V3)의 버림권취구간(사용불가 보빈의 권취구간)을 나타낸다. 이들 구간t1∼t4는, 방사권취기의 처음의 운전기간이고, 이 사이에서는, 제어기준값 검출수단(51)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들 구간t1∼t2, t3∼t4에서는, 인버터(IV3)의 출력주파수는 초기값(f2,f3)으로 설정되고, 유도모우터(IM3)는, 그 초기값(f2,f3)에 대응한 회전속도(V2,V3)로 운전된다.
구간t4∼t5는 처음의 보빈홀더 교체시를 나타낸다. 이 버림권취구간 직후의 보빈홀더 교체시에는, 저속 실걸기에 의한 규격외의 실을 권취한 사용불가의 보빈을 버리기 위해 행해진다. 이 구간t4∼t5에서는,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 상태에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소정 회전속도(V1)로 하는 시기로 되어 있다. 소정 회전속도(V1)는 보통은 실속도와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즉, 자유로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V1)가 소정의 실속도와 일치하도록, 상기한 센서(S)를 이용한 피드백제어를 행하고,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실속도와 일치했을 때의 제어값을 고속시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한다. 이 때, 인버터(INV3)의 출력주파수(f1)를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고속제어 기준값에 근거해서 이후의 운전상황에 따른 제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간t5∼t6은, 고속 권취구간이고, 보정계수(α)로서 예를 들면 1.0∼1.03이 상기한 고속제어 기준값으로 곱해서 계산되고, 콘택트로울러는 오버피드경향의 회전속도(V4)가 되도록 인버터(INV3)의 출력주파수(f4)로 올려 구동된다. 그러면,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과 콘택트로울러의 미끄러짐을 제로로 하고,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의 회전속도를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고,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한 고속권취가 정확하게 행해지고, 패키지 포메이션이 양호하게 된다.
구간t6∼t7은, 만권취후의 보빈홀더의 교체구간이고, 고속시 제어기준값이 출력되고, 인버터(INV3)의 출력주파수(f1)로서, 자유로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일치한다. 이렇게 하면, 콘택트로울러에의 실감김 방지도 꾀해지고, 보빈홀더 교체시에는 콘택트로울러와 공(空)보빈이 충격없이 접촉하고, 만(滿)보빈으로부터 공보빈으로의 실끼워감기의 성공률이 향상한다. 이렇게, 자유로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실속도와 일치시키는 제어기준값을 검출하고, 이 제어기준값에 근거해서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IM3)를 제어하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모우터제어장치의 다른 제어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인버터로부터의 출력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2의 것과 다른 점은, 운전의 최초구간t0∼t1에 있어서 콘택트로울러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고, 콘택트로울러를 저속 실걸기시에 요구되는 회전속도(V0)와 실속도에 상당하는 회전속도(V10)로 회전시키고, 회전속도(V0)와 그 회전속도(V0)에서의 주파수(f0) 및 회전속도(V10)와 그 회전속도(V10)에서의 주파수(f10)로부터 각각 저속시 제어기준값 및 고속시 제어기준값을 검출하는 점이다. 이후의 실걸기구간t1∼t2는, 저속시 제어기준값(f0)을 이용하고, 저속 실걸기시에 적합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V12)가 얻어지는 상태로 해서 실걸기가 행해진다. 또 실걸기후의 버림권취에 이르는 구간t2∼t4에서는,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의 미끄러짐을 고려한 제어값(고속제어기준값×α)에 의해 출력주파수를 f13까지 올리고,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같은 회전속도가 되는 운전을 실시한다. 최초의 보빈홀더의 교체구간t4∼t5에서는, 콘택트로울러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므로, 고속제어 기준값을 출력하고, 인버터(INV3)는 출력주파수(f11)를 출력하고, 콘택트로울러는 실속도와 일치한 회전속도로 운전된다. 그리고 이후의 운전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콘택트로울러구동모우터(유도모우터)(IM3)는 고속시 제어기준값에 근거해서 제어된다.
도 4는 실걸기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방사권취기는 터릿식이라고 불려지는 것으로 만권취보빈과 공보빈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타입의 것이다. 본체프레임(1)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틀(4)과, 회전가능한 터릿판(2)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틀(4)에는 콘택트로울러(CR), 트래버스장치(TR)가 각각 지지되어 있고, 콘택트로울러(CR)는 권취위치(a)에 있는 보빈(권취관)(B)에 눌려 접해져 있고, 보빈(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있다. 또, 트래버스장치(TR)에는 트래버스가이드(16)가 설치되어 있고, 트래버스가이드(16)가 실(Y)과 걸어 맞춰져 트래버스범위를 왕복주행시킨다.
상기한 터릿판(2)은 중심축(3)을 중심으로 해서 180°마다 회전가능하고, 2개의 보빈홀더(BH1,BH2)가 각각 터릿판(2)에 회전이 자유롭게 튀어나오게 설치되어서 지지되어 있고, 각 보빈홀더(BH1,BH2)에는 한쪽 끝에 슬릿(17)을 형성하고 있는 보빈(B)이 여러개(도면에서는 6개) 각각 장착되고, 한 쪽의 보빈홀더(BH1)은 권취위치(a)에, 다른 쪽의 보빈홀더(BH2)는 대기위치(b)에 위치하고 있다. 권취위치(a)에 위치하고 있는 보빈홀더(BH1)의 보빈(B)에 실을 권취시키고, 보빈(B)이 만권취될 때마다 터릿판(2)을 180°회전하고, 새롭게 권취위치(a)에 온 공보빈에 실걸기를 행한다. 이렇게 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2개의 보빈홀더(BH1,BH2)에서 서로 권취해 간다. 또, 대기위치(b)에 있는 만권취 패키지의 실끝이 권취위치(a)에 있는 공보빈에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회 세퍼레이터(31)가 축(31a)에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 터릿식 방사권취기에 있어서는, 만권취보빈에서 공보빈으로의 실걸치기는 도시되지 않은 실걸치기장치에 의해 연속운전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 연속운전개시전 등에는, 실걸기장치(40)를 이용하여 매뉴얼조작으로 공보빈으로의 실걸기를 행한다.
실걸기장치(40)는, 축(41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는 레버(41)에 부착되어진 것이고, 2점쇄선의 아래쪽 위치와 실선의 위쪽 위치와의 사이를 도시되지 않은 공압(空壓)실린더에서 요동이 자유롭다. 실걸기는, 실걸기장치(40)와 선회세퍼레이터(31)와의 공동작업으로 행해진다. 이 실걸기장치(40)는, 통체(筒體)(42)와, 실걸기부재(43)와, 로드(44)를 가지고 있다. 실걸기부재(43)는 보빈(B)의 수만큼 있고, 통체(42)안을 실걸기부재(43)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고, 실걸기부재(43)끼리는 도시되지 않은 벨트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연결되고, 도면 좌측끝의 실걸기부재(43)는 통체(42)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44)는 실걸기부재(43)를 가로지르고, 도면 우측끝의 실걸기부재(43)만이 로드(44)앞끝과 연결되어 있다. 로드(44)의 노브(knob)(44a)를 당기고, 로드(44)를 통체(42)에서 꺼내면, 실걸기부재(43)는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42)의 좌측 끝에 집합한다. 로드(44)의 노브(44a)를 밀어, 로드(44)를 통체(42)에 넣으면, 실걸기부재(43)는 벨트의 길이로 정해지는 소정 피치(P)로 전개한다. 또 선회 세퍼레이터(31)에는 소정 피치(P)로 가이드홈(31b)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실걸기장치(40)에 있어서, 우선 선회 세퍼레이터(31)를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로 하고, 실걸기장치(40)를 2점 쇄선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요동시키고, 로드(44)를 꺼내서 실걸기부재(43)를 도면 좌측 끝에 집합시켜 둔다. 그리고, 트래버스가이드(26)를 거쳐 풀려지는 각 실(Y)을, 콘택트로울러(CR)와 트래버스장치(TR) 사이를 빠져나가게 하고 (실풀기 가이드(28)를 도시와 같이 ON으로 하고, 트래버스 가이드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공기흡입관(air sucker)(27)에 모아서 흡인된다. 그리고, 각 실(Y)의 한 개씩을 실걸기부재(43)에 건다. 이어서, 노브(44a)를 밀어 로드(44)를 통체(42)의 가운데에 밀어넣는다. 실걸기부재(43)는 피치(P)로 전개하는 소정 위치로 되고, 실(Y)도 가장 아래로 주행한다. 이어서, 선회세퍼레이터(31)를 ①방향으로 선회시킨다. 각 실(Y)은 가이드홈(31b)에 들어가고, 사도(絲道)가 보빈홀더(15)의 보빈(B)측에 굴곡되고, 각 실(Y)이 보빈(B)의 슬릿(17)에 잡혀져 보빈(B)으로의 권취가 시작된다. 동시에, 실풀기 가이드(28)를 OFF로 해서, 각 실(Y)을 트래버스 가이드(6)에 걸어 맞춰 트래버스가 개시된다. 이상의 실걸기방법에 의하면, 각 실(Y)이 동시에 각 보빈(B)에 잡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저속 실걸기시에는, 콘택트로울러는 보빈과 접촉한 채 저속으로 회전하지만, 도 3의 모우터제어장치를 사용하면, 실걸기시라도 콘택트로울러는 저속 실걸기에 적합한 회전속도가 확보되고, 콘택트로울러로의 실감기가 방지되고, 실걸기 성공율이 향상한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빈홀더를 돌출되게 설치해서 전환하는 터릿식 방사권취기에 대한 모우터제어장치를 설명했지만, 단일 보빈홀더를 가지는 방사권취기의 모우터제어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보빈홀더의 권취관으로의 실걸기를 저속으로 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실걸기를 고속권취와 같은 고속으로 행할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로울러와 보빈이 비접촉 상태에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제어기준값으로서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이 제어기준값에 근거해서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유로운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예를 들면 실속도와 일치시킨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저속의 실걸기시, 고속의 권취시, 보빈홀더의 교체시와 같이, 복수의 운전상태를 갖는 방사권취기에 유효하다.

Claims (7)

  1. 모우터로 구동되는 보빈홀더(BH1,BH2)와, 이 보빈홀더(BH1,BH2)에 장착된 보빈(B)에 접촉하는 콘택트로울러(CR)와, 이 콘택트로울러(CR)를 구동하는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에 대해서 제어값을 송출하는 모우터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모우터 제어장치는, 콘택트로울러(CR)와 보빈(B)이 비접촉 상태에서 콘택트로울러(CR)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고, 이 기준제어값에 근거해서 콘택트로울러 구동모우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紡絲卷取機).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속도이고, 콘택트로울러(CR)의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고속시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보빈홀더로서 권취측 보빈홀더(BH1)와 대기측 보빈홀더(BH2)가 설치되고, 이들 권취측 보빈홀더(BH1)와 대기측 보빈홀더(BH2)가 교체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권취측 보빈홀더(BH1)에 장착된 보빈(B)이 만권취(滿卷取)되었을 때의 권취측 보빈홀더(BH1)와 대기측 보빈홀더(BH2)와의 교체시의 제어값과 실권취시의 제어값이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에 근거해서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권취측 보빈홀더(BH1)에 장착된 보빈(B)이 만권취되었을 때의 권취측 보빈홀더(BH1)와 대기측 보빈홀더(BH2)의 교체시의 제어값이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치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기준값이, 실걸기전의 콘택트로울러(CR)와 보빈(B)이 비접촉일 때에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실걸기가 실권취시보다도 저속으로 실시되고, 이 저속 실걸기시에 요구되는 회전속도에 콘택트로울러(CR)의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의 제어값을 저속시 제어기준값으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실걸기가 실권취시보다도 저속으로 실시되고, 이 저속 실걸기후의 최초의 권취측 보빈홀더(BH1)와 대기측 보빈홀더(BH2)와의 교체시에 있어서의 콘택트로울러(CR)와 보빈(B)이 비접촉일 때에 콘택트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실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져 상기한 고속시 제어기준값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KR1019980019737A 1997-06-03 1998-05-29 방사권취기 KR19990006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6970 1997-06-03
JP14697097A JP3147820B2 (ja) 1997-06-05 1997-06-05 紡糸巻取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15A true KR19990006515A (ko) 1999-01-25

Family

ID=1541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737A KR19990006515A (ko) 1997-06-03 1998-05-29 방사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47820B2 (ko)
KR (1) KR19990006515A (ko)
CN (1) CN1201752A (ko)
TW (1) TW3990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4732A1 (de) * 2010-05-20 2011-11-2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ufspulmaschine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aufspulmaschine
DE102011116156A1 (de) * 2011-10-14 2013-04-18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eines strangförmigen Spulgutes
DE102012023557A1 (de) * 2012-12-01 2014-06-05 Saurer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m Steuern der Beschleunigung einer Spulenantriebswalze
DE102012023558A1 (de) * 2012-12-01 2014-06-05 Saurer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m Regeln der Beschleunigung einer Spulenantriebswalze
JP6763744B2 (ja) * 2015-10-30 2020-09-3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設備
CN106348093B (zh) * 2016-08-31 2022-07-01 广东新会美达锦纶股份有限公司 纺丝分级范围随机的边缘动程控制系统及其方法
CN113800319B (zh) * 2021-10-11 2023-09-01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收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1752A (zh) 1998-12-16
TW399026B (en) 2000-07-21
JPH10338423A (ja) 1998-12-22
JP3147820B2 (ja) 200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7305B2 (ja) 糸繰返し方法及び装置
US5499772A (en) Winding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winder
JPS6350555A (ja) 電子的糸張力制御機能を有する給糸装置
EP0734990B1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automatic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tension to which yarn is subjected during its winding
KR19990006515A (ko) 방사권취기
US2706089A (en) Method of doffing
KR19980063557A (ko) 탄성사용 방사권취기와 그 실변환방법
US3971518A (en) Transfer tail apparatus for use with textile yarn winders
US2990603A (en) Apparatus for draw-stretching and winding yarn
ITMI971589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inizio di filatura di un punto di filatura ad estremita' aperta dopo una rottura del filo
KR100737866B1 (ko) 섬유기계에 있어서의 모터의 제어장치
EP0475484A1 (en) Device for making the tension of the thread uniform as it unwinds in a spooler
JPH07172692A (ja) 接圧ローラの駆動制御方法
JP3215186B2 (ja) 分繊糸の製造方法
KR930003915B1 (ko) 사 보빈을 회전시켜서 연사하는 기구를 구비한 섬유기계 및 그 운전방법
US3643882A (en) Yarn handling
US2211328A (en) Filament tensioning device
JPH05162923A (ja) クリール装置
JP2000185872A (ja) 糸条巻取機の制御方法
SU17440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нити на бобину
JP2000191235A (ja) ワインダ―における巻取方法及び巻取装置
JPH07196250A (ja) 紡糸巻取機の糸掛け方法
JP3024329B2 (ja) 紡糸巻取機
JP2002012368A (ja) 巻取機の速度制御装置
JPS63212679A (ja) 糸の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