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828U -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828U
KR19990003828U KR2019970028029U KR19970028029U KR19990003828U KR 19990003828 U KR19990003828 U KR 19990003828U KR 2019970028029 U KR2019970028029 U KR 2019970028029U KR 19970028029 U KR19970028029 U KR 19970028029U KR 19990003828 U KR19990003828 U KR 199900038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main body
construction
easy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4261Y1 (ko
Inventor
정갑모
Original Assignee
정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모 filed Critical 정갑모
Priority to KR2019970028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2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배수트랩 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0)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크고 작은 플랜지부(21)(22)가 형성된 받침대(20)가 부비되고,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와류형성막(11)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본층의 배수량에 따른 소음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층의 배관(100)이 결합되는 본체(10)상부의 덮개판(30) 일측에는 상.하 좌.우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관(40), 편심이동통(41) 및 연결관(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본체(10)의 둘레에는 콘크리트 시공시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시공덮개판(50)이 덮여져 밀폐되도록 돌출된 주연테(16)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본 고안은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다세대주택의 상.하층간의 배수를 위하여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상층의 배수와 본층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인바, 시공상태가 견고하고 배수시의 소음 및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며, 특히, 시공시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96-5423호가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트랩 본체(1)의 일측에는 상층에 연결된 배관(2)이 결합되는 결합관(3)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본층의 배수를 위하여 덮개(4)와 나팔형의 배수관(5)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통(6)이 구비된 것이며, 중간부에는 본층의 배수가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와류형성막(7)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본체(1)의 일측 하부에는 하층으로서의 배관을 위한 연결부(8)가 형성되어 이에 소정직경을 갖는 배관(2')이 패킹(9)의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음방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는 본층으로부터의 배수시 와류형성막(7)에 의하여 본층의 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배수되므로써 종래 직하 상태로 배수시 발생하던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여기에도 개선의 여지가 잔존해 있었다. 즉 본층의 배수량은 항상 일정치 않고 다수 차이가 있었으나 와류형성막(7)의 높이와 폭은 일정하였으므로 배수량이 적은 겨우에는 소음방지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배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배수트랩은 이의 시공시 본체(1)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았고 본체(1)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고정용 못을 체결시키기도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 본체(1)를 균형있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콘크리트 시공시 본체(1)가 기울어질 우려도 없지 않았었다.
또한, 종래의 배수트랩 시공시에는 소정높이로 콘크리트층을 타설하여 양생한 후 배수트랩 주변의 방수시공을 위하여 본체(1)의 상부둘레를 다시 깨내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 따른 비용도 추가적으로 소요되었으며 이를 충실히 해주지 않을 경우 방수불량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배수트랩에 있어서는 상.하층간의 배관연결시 배수트랩이 정확한 위치에 시공되지 않았을 경우 배관이 수직으로 되지 않고 기울어지게 되었으므로 미관상으로도 흉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본층과 상층의 배수를 겸하도록 된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후에 결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첫째, 배수트랩의 받침구조를 개선하여 콘크리트시공시 배수트랩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배수트랩의 기울어짐현상 등 시공불량을 해소할 수 있고, 둘째, 배수트랩의 내측에 형성되는 와류형성막의 구조를 개선하여 본층의 배수시 배수량에 따라 적절한 배수와 동시에 소음 감소 효과를 갖도록 하며, 셋째, 배수트랩 시공후 방수공사를 위하여 콘크리트를 꺼내던 작업을 생략하고 배수트랩의 시공과 동시에 방수층의 형성을 위한 공간을 남겨 둘 수 있도록 시공덮개판을 구비하되 이 시공덮개판을 위한 주연테를 배수트랩 본체의 둘레에 형성하고, 넷째, 상.하층 배수트랩간의 배관시 배수트랩의 연결부를 소정범위내에서 상.하 좌.우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완벽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의 시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시공덮개판의 장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패킹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편심이동통과 연결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11 : 와류형성막
11' : 단턱13 : 테두리부
14 : 결합부15,16,17 : 주연테
20 : 받침대21,22 : 플랜지부
23 : 연결리브24 : 구멍
30 : 덮개판40 : 높이조절관
41 : 편심이동통43 : 연결관
50 : 시공덮개판60 : 덮개
62 : 배수관64 : 오버플로우통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배수트랩의 시공완료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시공시 배수트랩 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하부에는 양측에 크고 작은 플랜지부(21)(22)가 형성된 받침대(20)가 구비되어 결합되고,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와류형성막(11)은 단턱부(11')가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상층의 배관이 결합되는 본체(10)상부의 덮개판(30) 일측에는 상.하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관(40), 전.후.좌.우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편심이동통(41) 및 연결관(43)이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와류형성막(11)은 단일한 높이로 형성되지 않고 그 중간부에 소정높이와 소정폭을 갖는 단턱부(11')가 형성되어 본층의 배수량에 따라 적절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량에 따른 적절한 와류발생에 의하여 소음감소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20)는 그 좌.우측에 각각 대소의 플랜지부(21)(22)가 형성되며, 각 플랜지부(21)(22)는 외측부와 내측부에 3개의 연결리브(23)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양측 플랜지부(21)(22)의 외측에는 고정용 못(도시안된)을 박기 위한 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20)의 양측 플랜지부(21)(22)는 각각 본체(10)의 일측의 하부 테두리부(13)와 타측의 짧은 관체형 결합부(14)에 결합되므로써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연테(15)(16)(17)중 상부로부터 2번째의 주연테(16)는 그 돌출폭을 보다 넓게 형성한 것으로,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시 시공덮개판(50)을 상부에 덮을 경우 시공덮개판(50)의 하부 내측둘레(52)에 밀착되도록 하므로써 상부 주연테(15)와 2번째 주연테(16) 사이의 공간부(S)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시공덮개판(50)은 하부내측둘레(52)의 외측으로 경사진 테두리부(54)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시공후 상부의 견인탭(56)을 당겨 벗겨내면 배수트랩 본체(10)의 둘레에 경사진 방수층을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의 일측에는 높이조절관(40)의 수나사부(42)가 결합되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본층의 배수를 위한 덮개(60), 배수관(62) 및 오버플로우통(64)이 끼워지는 배수구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관(40)은 상부의 배관(100)이 결합되는 내측의 관통부(44)에 형성된 단턱(44')에 편심이동통(41)이 끼워져 이를 회전시키므로써 배관(100)의 중심과 일치시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배관(10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연결관(43)을 1개 또는 그 이상을 직렬로 연결하여 길이를 맞추어 줄 수 있다.
상기 편심이동통(41)관 연결관(43)은 동일한 형상 즉, 2단관형태로 이루어져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관통구멍(41')(43')이 정중심에 일치되지 아니하고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양측에 두께가 다른 후부(41a)(43a)와 박부(41b)(43b)가 형성된 것으로, 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배관(100)의 전,후,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므로써 배관(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상.하면에는 결합돌기(41c)(43c)와 결합홈(41d)(43d)이 각각 형성되어 직렬로 결합되고, 측면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홈(41e)(43e)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관(40)의 상부둘레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돌기(46)가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관(40)의 관통부(44)내측에 끼워진 편심이동통(41)과 연결관(43)내측에는 상부의 배관(10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물이 배관(10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어 낙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날개판(48)을 갖는 소음방지체(49)가 삽입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0은 본체(10)와 덮개판(30)사이에 끼워지는 고무재의 패킹으로써, 이는 시공시 및 시공완료후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플랜지형의 관통공(71)(72)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공과정은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 거푸집(A)에 받침대(20)를 못(B)으로 박아 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받침대(20)위에 본체(10)를 끼워 고정시킨 후, 이 본체(10)의 상부에 시공덮개판(50)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콘크리트층(C)을 소정높이로 타설한 후 시간이 경과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의 거푸집(A)을 떼어내고 못(B)을 잘라내며 본체(10)상부의 시공덮개판(50)을 벗겨내면 된다.
시공덮개판(50)을 벗겨내게되면 본체(10)의 상부 둘레에 경사진 홈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수모르타르층(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방수모르타르층(D)의 상부에는 물매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층(E)이 형성되고, 이 경상층위에는 타일(F)을 부착하기 위한 모르타르층(G)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로써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받침대(2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1)(22)가 본체(10)의 좌.우측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되므로 시공시 본체(10)가 기울어지는 등의 시공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콘크리트 타설시 시공덮개판(50)에 의하여 본체(10) 둘레에 경사진 공간부가 저절로 형성되므로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꺼낼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높이조절관(40)이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편심이동통(41)이 전.후.좌.우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상.하층간의 배수트랩을 배관(100)으로 연결할 때 약간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배관(100)의 기울어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연결관(43)을 1개 또는 그 이상을 직렬로 끼워 배관(100)이 짧을 경우에도 길이를 적절하게 맞춰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본체(10) 내측에 형성된 와류형성막(11)에 단턱(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층의 배수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원활한 배수를 보장하게 됨과 아울러 배수시 적절한 와류를 형성하여 주므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배수트랩 본체의 양측이 받침대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의 기울어짐 등 원천적인 시공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본체의 내측에는 단턱이 형성된 와류형성막이 구비되어 본층의 배수량에 따라 적절한 소음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시공덮개판을 씌워주므로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사전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양생후 본체 둘레의 콘크리트를 꺼낼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본체 상부의 덮개판에는 상.하.좌.우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관, 편심이동통 및 연결관이 직렬로 결합되어 상층의 배관과 중심을 일치시키기 용이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상층과 본층의 배수를 겸하도록 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의 본체(10)내측에 형성되는 와류형성막(11)에는 그 중간부에 소정높이와 소정폭을 갖는 단턱(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테두리부에는 복수개의 주연테(15)(16)(17)를 형성하되, 이중 상부로부터 두번째의 주연테(16)는 다른 주연테(15,17)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이에 하부 내측둘레(52)의 외측으로 경사진 테두리부(54)가 형성된 시공덮개판(50)을 끼운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올려지는 덮개판(30)에는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관(40)이 나사결합되고, 이 높이조절관(40)의 단턱(44)에는 편심이동통(41)이 직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이동통(41)은 내측의 관통구멍(41')이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양측에 두께가 다른 후부(41a)와 박부(4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이동통(41)의 상부에는 편심이동통(41)과 동일한 구조의 연결관(43)이 1개 또는 그 이상 직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이동통(41)과 연결관(43)의 상,하면에는 결합돌기(41c)(43c)와 결합홈(41d)(43d)이 각각 형성되고, 측면에는 회전홈(41e)(43e)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KR2019970028029U 1997-06-25 1997-10-09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KR200164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029U KR200164261Y1 (ko) 1997-06-25 1997-10-09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684 1997-06-25
KR15684 1997-06-25
KR19970015684 1997-06-25
KR2019970028029U KR200164261Y1 (ko) 1997-06-25 1997-10-09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28U true KR19990003828U (ko) 1999-01-25
KR200164261Y1 KR200164261Y1 (ko) 2000-01-15

Family

ID=6952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029U KR200164261Y1 (ko) 1997-06-25 1997-10-09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2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5U (ko) * 2018-06-27 2020-01-06 정진헌 오수 배수관
CN113585406A (zh) * 2021-08-08 2021-11-02 殷志 一种建筑排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5U (ko) * 2018-06-27 2020-01-06 정진헌 오수 배수관
CN113585406A (zh) * 2021-08-08 2021-11-02 殷志 一种建筑排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261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44B2 (en) Drain and a building structure having a drain
US5913777A (en) Pre-fabricated shower module and method of shower construction
US8347426B2 (en) Shower device level with the surrounding ground
US5115604A (en) Device for attaching two building structures together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164261Y1 (ko)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US4704747A (en) Self-contained bathroom unit
HU226388B1 (en) Shower tray
JPH07247584A (ja) 横型ドレーン
JPH0638940Y2 (ja) トイレ用床パン
JPH0443550Y2 (ko)
JPH0245336Y2 (ko)
JP3648674B2 (ja) 分割防水パン
JP3311171B2 (ja) 防水パン構造
JPS6243066Y2 (ko)
JPH0529647Y2 (ko)
JPH063894Y2 (ja) 防水床構造
JPH084070A (ja) トイレルームにおける排水構造
JP2545333Y2 (ja) 出窓の排水装置
JPH0324765Y2 (ko)
JPH0425885Y2 (ko)
JPH10168967A (ja) 防水パン
JPH07537Y2 (ja) 和風大便器の取付構造
SU973743A1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ий блок
JPH11256662A (ja) 壁排水便器の排水接続構造、連通部材及び洋風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