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35U - 오수 배수관 - Google Patents

오수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35U
KR20200000035U KR2020180002944U KR20180002944U KR20200000035U KR 20200000035 U KR20200000035 U KR 20200000035U KR 2020180002944 U KR2020180002944 U KR 2020180002944U KR 20180002944 U KR20180002944 U KR 20180002944U KR 20200000035 U KR20200000035 U KR 20200000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drain
drainag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266Y1 (ko
Inventor
정진헌
Original Assignee
정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헌 filed Critical 정진헌
Priority to KR202018000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6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오수 배수관은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으로 유입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조 상부에 커버부가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 상부에 형성한 삽입홈에 끼움결합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부로 이루어진 오수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중앙이 관통된 결합관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망체와 배수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에 체결되는 숫나사가 중앙이 관통된 조절관 외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조절관의 내주연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되는 걸림턱을 외주연에 형성한 보조관부로 이루어져,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수 배수관{A drain pipe for sewage}
본 고안은 오수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으로 유입시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하며, 길이조절 및 분해가 가능한 오수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베란다에는 상층에서 내려오는 빗물이나 베란다에서 발생된 물등이 하층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오수 배수관이 베란다에 설치된다.
이러한 오수 배수관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20-1981-0002524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L자형 돌조가 방사상으로 돌설된 내턱을 배수 간극으로 형성한 동체에 홉퍼를 삽착하고 상부의 망체 상단부에 배수관 고정환을 삽착하여서 된 베란다용 빗물 배수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배수관 고정환을 망체 상단부에다 삽착하여 상부 배수관과 연결하는 것이어서 일정한 높이의 상부 배수관외에는, 즉 길이가 길거나 짧은 상부 배수관에 대하여는 삽착 연결이 불가능하고 높이 조절도 불가능하여 상부 배수관과의 연결시에는 길이가 긴 관일 때는 적절한 높이 (또는 길이)로 관을 절단하여야 하는 등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많고, 또한 이러한 배수관 고정환내에 상부 배수관을 단순히 삽착하기 때문에 고정환과 상부 배수관의 접합 틈새로 누수의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관을 통해 올라오는 악취와 소음이 망체를 통해 실내로 그대로 확산되므로 주거환경의 공해가 된다는 결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또한, 위의 선행기술은 콘크리트 슬랩 방수 공사시 방수액이 상기 배수 트랩 속의 돌조 사이의 간극을 통해 누설되므로 방수액의 손실이 크고 방수 시공이 불완전하게 되며, 바닥 타일부착 작업시 상기 배수 트랩 주위의 콘크리트 슬랩을 V커팅 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때 슬리이브를 파손할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바닥 타일 부착 작업시 상기 선행기술의 배수 트랩이 콘크리트 슬랩에 매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 트랩의 설치 레벨과 상기 콘크리트 슬랩의 시공 레벨이 서로 차이가 나서 배수 트랩의 슬리이브 위치가 잘못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재작업을 해야 하고, 또한 배수 트랩과의 타일 맞춤새 (또는 이음매) 조정이 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으로 유입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20-1981-0002524호.(1981년12월28일)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으로 유입시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관의 설치가 용이하며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관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관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 뿐만아니라 지면에서 유입되는 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조 상부에 커버부가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 상부에 형성한 삽입홈에 끼움결합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부로 이루어진 오수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중앙이 관통된 결합관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망체와 배수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에 체결되는 숫나사가 중앙이 관통된 조절관 외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조절관의 내주연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되는 걸림턱을 외주연에 형성한 보조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연결관의 상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결관의 하부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걸림되는 단속돌기가 안내관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관부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안내부재가 방사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관부는, 하부 끝단 일부가 절개된 복수개의 배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오수 배수관은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으로 유입시, 조절부 내부에 삽입된 보조관부를 배수조까지 연장하여,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은 유입관의 설치가 용이하며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배수부와 조절부를 나사체결하고 조절부의 걸림돌기에 보조관부의 걸림턱이 안착되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은 유입관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보조관부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안내부재가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신속한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은 유입관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 뿐만아니라 지면에서 유입되는 유수를 배출하기 위해, 보조관부 하부 끝단 일부가 절개된 복수개의 배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보조관부 평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보조관부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보조관부 평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보조관부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오수 배수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수 배수관 1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C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조 100 상부에 커버부 200가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 200 상부에 형성한 삽입홈 210에 끼움결합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부 300로 이루어진 오수 배수관 10에 있어서, 조절부 400와, 보조관부 50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콘크리트 C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된 배수조 100의 하부에는 배수관 11이 끼움 결합된다. 또한, 배수조 100의 상부에 안착된 커버부 200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커버부 200의 상부면과 지면은 수평되게 설치된다. 더불어, 커버부 200에 형성한 삽입홈 210은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원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나아가, 삽입홈 210의 중앙은 관통되어 배수관 11과 연통된다.
아울러, 배수부 300는 중앙이 관통된 결합관 310이 삽입홈 210과 대응된 형상으로 끼움 결합된다. 나아가, 결합관 310의 내주연에 암나사 311를 형성한다. 더불어, 결합관 310 외주연에 복수개의 망체 320와 배수공 330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절부 400는 결합관 310에 체결되는 숫나사 411가 중앙이 관통된 조절관 410 외주연에 형성한다. 즉, 상기 배수부 300의 암나사 311에 조절부 400의 숫나사 411가 체결되어 조절부 400를 회전시 상하로 리드이동하여 조절부 4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나아가, 조절관 410의 내주연 일측에 걸림돌기 420를 형성한다.
여기서, 배수부 300의 하부를 감싸는 패킹 600이 끼움결합되어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패킹 600은 배수부 300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바닥면 610의 외측에는 제1수직면 620이 내측에는 제2수직면 630이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수직면 620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2수직면 630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오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나아가, 조절관 410의 외주연 상부에는 조절부 4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회전돌기 430를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조관부 500는 배수조 10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보조관부 500는 유입관 13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가 배수조 100로 바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보조관부 500는 조절부 400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돌기 420에 안착되는 걸림턱 511을 외주연에 형성한다.
결국, 본 고안의 오수 배수관 10은 유입관 13의 설치가 용이하며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배수부 300와 조절부 400를 나사체결하고 조절부 400의 걸림돌기 420에 보조관부 500의 걸림턱 511이 안착되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관부 500는 중앙이 관통된 연결관 510과 상기 연결관 510에 삽입되는 안내관 5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턱 511은 연결관 510의 상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연결관 510의 하부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면 51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513에 걸림되는 단속돌기 523가 안내관 520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시킨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오수 배수관 10은 다량의 오수가 오수 배수관 10으로 유입시, 조절부 400 내부에 삽입된 보조관부 500를 배수조 100까지 연장하여,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 400를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 배수부 300 측면으로 유입되는 유수양을 제어하면서 배수조 100로 신속하게 배출 시킬 수 있다. 덧붙여, 배수조 100의 깊이가 깊더라도 조절부 40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조 100의 깊이가 얕더라도 안내관 520이 연결관 510에 슬라이동 하여 보조관부 500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관부 500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안내부재 521가 방사형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유입관 13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보조관부 500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부재 521를 통해,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다.
나아가, 보조관부 500는 하부 끝단 일부가 절개된 복수개의 배출홈 525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유입관 13을 통해 들어오는 오수 뿐만 아니라 보조관부 500 하부 끝단에 절개된 복수개의 배출홈 525을 통해 지면 B에 설치된 배수부 300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유수도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콘크리트 10 : 오수 배수관
100 : 배수조 200 : 커버부
210 : 삽입홈 300 : 배수부
310 : 결합관 311 : 암나사
320 : 망체 330 : 배수공
400 : 조절부 410 : 조절관
411 : 숫나사 420 : 걸림돌기
500 : 보조관부 510 : 연결관
511 : 걸림턱 513 : 경사면
520 : 안내관 521 : 안내부재
523 : 단속돌기 525 : 배출홈

Claims (4)

  1.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조 상부에 커버부가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 상부에 형성한 삽입홈에 끼움결합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부로 이루어진 오수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중앙이 관통된 결합관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망체와 배수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에 체결되는 숫나사가 중앙이 관통된 조절관 외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조절관의 내주연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되는 걸림턱을 외주연에 형성한 보조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수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부는,
    중앙이 관통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안내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은 연결관의 상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결관의 하부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걸림되는 단속돌기가 안내관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수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부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안내부재가 방사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수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부는,
    하부 끝단 일부가 절개된 복수개의 배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수관.
KR2020180002944U 2018-06-27 2018-06-27 오수 배수관 KR200492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4U KR200492266Y1 (ko) 2018-06-27 2018-06-27 오수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4U KR200492266Y1 (ko) 2018-06-27 2018-06-27 오수 배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5U true KR20200000035U (ko) 2020-01-06
KR200492266Y1 KR200492266Y1 (ko) 2020-09-08

Family

ID=6915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44U KR200492266Y1 (ko) 2018-06-27 2018-06-27 오수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42Y1 (ko) * 2021-07-20 2022-05-04 (주)에프엔테크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524Y1 (ko) 1980-12-06 1981-12-28 윤태자 베란다용 빗물 배수트랩
KR19990003828U (ko) * 1997-06-25 1999-01-25 정갑모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9990016920U (ko) * 1997-10-30 1999-05-25 최원태 베란다용 드레인
KR200207070Y1 (ko) * 2000-06-27 2000-12-15 박명수 아파트용 배수관 연결구
KR20160010012A (ko) * 2014-07-18 2016-01-27 허재혁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배수관구조
KR20170040050A (ko) * 2015-10-03 2017-04-12 주식회사 디엠티 신축덕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524Y1 (ko) 1980-12-06 1981-12-28 윤태자 베란다용 빗물 배수트랩
KR19990003828U (ko) * 1997-06-25 1999-01-25 정갑모 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9990016920U (ko) * 1997-10-30 1999-05-25 최원태 베란다용 드레인
KR200207070Y1 (ko) * 2000-06-27 2000-12-15 박명수 아파트용 배수관 연결구
KR20160010012A (ko) * 2014-07-18 2016-01-27 허재혁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배수관구조
KR20170040050A (ko) * 2015-10-03 2017-04-12 주식회사 디엠티 신축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66Y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628B2 (en) Drain, in particular for floor level showers
KR101688973B1 (ko) 배수트랩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CA2782561A1 (en) Wastewater drain comprising odor trap
KR20200000035U (ko) 오수 배수관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US8657344B2 (en) Adjustable assembly for a drain inlet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JP6510811B2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200192282Y1 (ko) 배수트랩
KR102047118B1 (ko) 자동조절 배수 장치
US11332949B2 (en) Pool drain suction outlet fitting
KR100720355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KR200150630Y1 (ko)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JP2016098582A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AU2021107351A4 (en) Extension Piece for Floor Waste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1967854B1 (ko) 배수트렌치 구조
KR20028920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100878507B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130008980A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