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813U -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813U
KR19990003813U KR2019970017595U KR19970017595U KR19990003813U KR 19990003813 U KR19990003813 U KR 19990003813U KR 2019970017595 U KR2019970017595 U KR 2019970017595U KR 19970017595 U KR19970017595 U KR 19970017595U KR 19990003813 U KR19990003813 U KR 199900038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locking rod
space
elevato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626Y1 (ko
Inventor
하항용
Original Assignee
하항용
주식회사 구룡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항용, 주식회사 구룡산전 filed Critical 하항용
Priority to KR2019970017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덤웨이트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 내부에 식당용 음식물, 도서, 문서 등(이하, 하물(荷物)이라 칭함)이 적재되는 운반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케이지박스가 승, 하강 또는 정지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 또는 흔들림, 취급자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케이지 내에 있는 하물이 적재된 운반물이 밖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승강기에 있어 케이지의 출구를 절곡시켜 양측으로 제 1, 제 2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소정위치에 케이지와 제 1 공간부를 관통하는 힌지에 의해 차단봉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힌지와 결합되는 부분의 차단봉에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봉의 전면 소정부분에는 상하로 회동하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봉의 후면 소정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의 케이지 일측내면 소정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 형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케이지 일측면 소정위치에 상기 장공에 의해 하강되는 차단봉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이 이루어지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 및 제 2 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봉이 수평 유지되어 괘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본 고안은 덤웨이트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 내부에 식당용 음식물, 도서, 문서 등(이하, 하물(荷物)이라 칭함)이 적재되는 운반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케이지박스가 승, 하강 또는 정지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 또는 흔들림, 취급자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케이지 내에 있는 하물이 적재된 운반물이 밖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학교 등에서 그릇 등이 적재된 운반물을 윗층으로 운반하거나, 도서관에서 도서 등의 하물을 운반하는 운반용으로 비교적 소형의 덤웨이트 승강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통상의 덤웨이트 승강기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덤웨이트 승강기의 개략도로서, (가)는 시설물에 승강기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나)는 승강기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의 승강기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승강기의 케이지에 사용되는 종래의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마다 승강기 출입구에는 도 1의 (나)와 같은 도어장치(2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층의 승강기 출입구 벽면에 설치된 승강기의 조작 패널인 인디케이터(16)에 표시된 층수 조작버턴을 누르면 도시되지 않은 승강기의 권상기가 작동하여 승강기를 승, 하강시키면 승강기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와이어로프(5)는 케이지균형추(2)의 자중에 의해 로울러(1)를 거치면서 이동하며 와이어로프(5)와 연결 설치된 케이지균형추(2)가 가이드(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기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케이지(8)가 최저층에 하강시 또는 정지층을 초과하여 하강할 경우 케이지완충기(8)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한편, 가이드(3)를 따라 승, 하강하는 케이지균형추(2)는 케이지완충기(7)에 의해 충격을 완화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층에 설치된 도어장치(10)는, 도어프레임(17)에 설치된 인디케이터(16)와 인터폰(15)으로 승강기의 전반적인 사항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프레임(17)의 내측에는 손잡이(14)가 설치되며, 와이어로프(19)에는 도어(13)와 도어균형추(18)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의 (나)와 같이 도어(13)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도어(13)를 닫기 위해 손잡이(14)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와이어로프(19)가 도어롤러(11)를 통하여 이송되고, 이로 인해 도어균형추(18)는 가이드(20)를 따라 상승하는 동시에 도어(13)가 닫히게 되며, 도어(13)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어(13)를 개방할 경우에는 손잡이(14)를 상측으로 올리면 도어균형추(18)와 도어롤러(11)는 역순으로 동작하며 도어균형추(18)에 의해 도어는 항상 일정하게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덤웨이트 승강기에 있어서 케이지(6)는 일측면 또는 두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지(6) 내부에 음식물 또는 도서 등을 적재한 운반물(21)을 탑재하여 원하는 층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덤웨이트 승강기에 있어서 케이지(6)를 승, 하강시킬 경우에 도 1의 (가)에서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승강기의 권상기가 작동하여 승강기를 승, 하강시키면 권상기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로프(5)의 유동으로 인하여 케이지(6)의 흔들림이 발생되며, 케이지(6)가 각 층에 위치하여 정지할 경우 관성력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케이지(6)가 승, 하강할 때 미도시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는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를 승강로 길이만큼 다수개 연설하여 설치됨으로서 케이지(6)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가이드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지(6)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조건에 의해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케이지(6) 내부에 탑재된 다수의 음식물이나 도서 등과 같은 하물이 적재된 운반물(21)이 케이지 밖으로 밀려 나가 운반물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운반물(21)이 인출되는 케이지(6)의 출구에 체인(22) 또는 로프를 설치하여 케이지(6)가 승, 하강 및 정지할 경우 발생되는 흔들림이나 충격으로 인해 운반물(21)이 케이지 밖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지(6)의 내부에 체인(22)을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운반물(21)이 케이지(6) 외부로 밀려나올시 체인(22) 또는 로프의 특성상 늘어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늘어진만큼 운반물은 케이지(6) 외부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승강기가 승, 하강 또는 정지시에 따른 승강기 운행에 있어서 체인(22)이 자주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한편, 체인(22)이 케이지(6) 내부에 핀고리와 격자고리에 의해 설치되므로서 상기 핀고리와 격자고리가 설치된 폭만큼 실제 용적율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반물이 인출되는 케이지의 출구에 공간부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고, 이 케이지의 절곡부분과 공간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케이지 내에 있는 하물이 적재된 운반물이 밖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차단봉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차단봉이 지정된 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 버튼이 조작될 경우 운행정지는 물론 경보음을 송출하므로서 케이지가 승, 하강 및 정지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운반물이 케이지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케이지의 용적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승강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조명등을 점등하므로서 에너지를 절약하며, 차단봉의 돌출부가 유입홈에 삽입될 때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또는 두측이 동시에 개구되어 운반물을 유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 케이지를 제어부에서 권상기를 구동하여 승, 하강시키는 통상의 덤웨이트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출구를 절곡시켜 양측으로 제 1, 제 2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소정위치에 케이지와 제 1 공간부를 관통하는 힌지에 의해 차단봉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힌지와 결합되는 부분의 차단봉에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봉의 전면 소정부분에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고, 후면 소정위치에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공간부의 케이지 일측내면 소정위치에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 형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케이지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장공에 의해 하강되는 차단봉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이 이루어지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 및 제 2 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봉이 수평 유지되어 괘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홈 내부에는 판스프링을 개재하고, 돌출부 외주연에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케이지의 천정에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차단봉이 리미트스위치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덤웨이트 승강기의 개략도로서,
(가)는 시설물에 승강기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나)는 승강기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의 승강기 정면도.
도 2는 승강기의 케이지에 사용되는 종래의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승강기의 케이지에 본 고안의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승강기 케이지의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의 구동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케이지에 설치된 차단봉의 작동도.
도 7은 도 3의 A, 및 B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가)는 유입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나)는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케이지21 : 운반물
31 : 힌지32 : 장공
33 : 차단봉34 : 돌출부
35 : 손잡이36 : 걸림턱
37 : 리미트스위치38 : 유입홈
39 : 제 1 공간부39' : 제 2 공간부
40 : 판스프링41 : 완충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승강기의 케이지에 본 고안의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물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승강기 케이지의 확대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케이지(6) 제작시 출구를 절곡시켜 양측으로 제 1, 제 2 공간부(39)(39')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공간부(39)의 일측 소정위치에 차단봉(33)이 배치되며, 상기 차단봉(33)과 절곡된 케이지(6) 및 제 1 공간부(39')에 힌지(31)로서 관통되어 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31)와 결합되는 부분의 차단봉(33)에는 장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봉(33)의 재질은 금속성읠 사각봉 또는 원형봉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봉(33)의 전면 소정부분에는 손잡이(35)가 설치되며, 이 손잡이(35)와 소정간격을 두고 후면에 돌출부(34)가 형성되고, 힌지(31)로서 차단봉(33)이 설치된 케이지(6)의 제 1 공간부(39) 일측내면 소정위치에는 손잡이(35)에 설치된 돌출부(34)가 삽입되는 ┌ 형의 유입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31) 하측의 제 1 공간부(39)에 있는 케이지(6)의 일측 내면에는 리미트스위치(37)가 설치되며, 케이지(6)의 타측인 제 2 공간부(39') 일측 소정위치에는 절곡된 케이지(6) 및 제 2 공간부(39')를 관통하여 차단봉(33)이 유지수평 유지되어 괘지되도록 하는 걸림턱(36)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의 회로도로서, 일정전압(Vcc)이 인가되는 리미트스위치(37)에는 제어부(41)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1)의 출력측에는 조명등구동부(42)를 통해 케이지(6)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44)이 연결됨과 동시에 부저구동부(43)를 경유하여 부저(45)가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케이지에 설치된 차단봉의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는, 먼저 승강기의 도 1의 (나)와 같이 인디케이터(16)의 조작에 의해 운행이 완료되어 지정된 층수에 케이지(6)가 도달되면 도어(13)를 개방하게 됨으로서 도 3과 같은 케이지(6)가 노출되고, 이 케이지(6) 내부에 운반물(21)을 실거나 내리기 위해 차단봉(33)를 조작하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손잡이(35)를 사용하여 차단봉(33)을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차단봉(33)은 힌지(31)를 축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차단봉(33)이 90°회동이 이루어질 경우 돌출부(34)가 케이지(6)에 형성된 ┌ 형의 유입홈(38)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4)가 유입홈(38)에 유입되어 ┌ 형의 절곡부에 도달할 때 차단봉(33)을 하측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차단봉(33)은 장공(32)의 길이만큼 하강 고정되므로서 장공(32)이 형성된 차단봉(33)의 종단부가 리미트스위치(37)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지(6) 내부에 실린 운반물을 유입 또는 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37)가 차단봉(33)에 의해 가압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승강기의 제어부(41)에 Vcc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현재 차단봉(33)이 상승되어 케이지(6) 내부에 운반물(21)을 유입 및 유출하는 상태를 인지하여 조명등구동부(4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케이지(6)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44)를 점등시켜 케이지(6)내의 운반물(21)을 용이하게 유입 및 유출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에서는 리미트스위치(37)가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디케이터(16)를 통해 운행 버튼이 조작될 경우에는 차단봉(33)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인지하여 부저구동부(43)를 제어함에 따라 부저(45)를 동작시켜 부저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권상기 구동부(47)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차단봉(33)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행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케이지(6) 내부에 운반물(21)의 유입 및 유출이 완료되어 케이지(6)를 운행시킬 경우 차단봉(33)을 전술한 바와 같은 역순으로 조작을 하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유지된 차단봉(33)을 장공(32)의 길이만큼 상승시키게 되면 차단봉(33)은 리미트스위치(37)의 가압된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상기 리미트스위치(37)를 오프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봉(33)을 케이지(6)의 반대편 공간부(39')로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차단봉(33)은 힌지(31)를 축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동하게 되며, 차단봉(33)이 90°회동이 이루어질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지(6)의 제 2 공간부(39')에 설치된 걸림턱(36)에 의해 차단봉(33)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는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승강기 사용자가 각 층에 설치된 인디케이터(16)에 표시된 층수를 눌러 케이지(6)의 운행을 지시하면 제어부(41)에서는 리미트스위치(37)가 오프되었음을 인지하여 조명등(44)를 소등함과 동시에 권상기 구동부(47)를 제어하여 케이지(6)를 승,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가)는 유입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유입홈(38)에 판스프링(40)을 개재하여 돌출부(34)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며, (나)는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돌출부(34)의 외주연에 고무재와 같은 완충부재(41)를 설치하여 돌출부(34)가 유입홈(38)에 삽입될 때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즉, 케이지(6) 내부 운반물(21)을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해 차단봉(33)에 형성된 돌출부(34)를 유입홈(38)에 삽입 및 인출시킬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관계로 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의 (가)와 같이 유입홈(38) 내부 하측에 판스프링(40)을 설치하여 돌출부(34)가 유입홈(38) 내에 삽입되어 하강시 상기 판스프링(40)의 수축 및 이완작용으로 돌출부(34)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유동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나)와 같이 돌출부(34)의 외주연에 고무재와 같은 완충부재(41)를 설치함으로서, 돌출부(34)가 유입홈(38)에 삽입될 때 케이지(6)와의 접촉에 의한 소음방지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운반물이 인출되는 케이지의 출구에 공간부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고, 이 케이지의 절곡부분과 공간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케이지 내에 있는 하물이 적재된 운반물이 밖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차단봉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차단봉이 지정된 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 버튼이 조작될 경우 운행정지는 물론 경보음을 송출하므로서 케이지가 승, 하강 및 정지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운반물이 케이지 밖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케이지의 용적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승강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조명등을 점등하므로서 에너지를 절약하며, 차단봉의 돌출부가 유입홈에 삽입될 때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 또는 두측이 동시에 개구되어 운반물을 유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 케이지(6)를 제어부(41)에 의하여 권상기를 구동하여 승, 하강시키는 통상의 덤웨이트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6)의 출구를 절곡시켜 양측으로 제 1, 제 2 공간부(39)(39')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공간부(39)의 소정위치에 케이지(6)와 제 1 공간부(39)를 관통하는 힌지(31)에 의해 차단봉(33)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힌지(31)와 결합되는 부분의 차단봉(33)에 장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봉(33)의 전면 소정부분에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35)가 설치되고, 후면 소정위치에는 돌출부(34)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공간부(39)의 케이지(6) 일측내면 소정위치에는 돌출부(34)가 삽입되는 ┌ 형의 유입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39)의 케이지(6)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장공(32)에 의해 하강되는 차단봉(33)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이 이루어지는 리미트스위치(37)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6) 및 제 2 공간부(39')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봉(33)이 수평 유지되어 괘지되도록 하는 걸림턱(36)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38) 내부에는 판스프링(40)을 개재하고, 돌출부(34) 외주연에는 완충부재(4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6)의 천정에는 조명등(44)를 설치하여 차단봉(33)이 리미트스위치(37)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조명등(44)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 방지장치.
KR2019970017595U 1997-06-26 1997-06-26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방지장치 KR200157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595U KR200157626Y1 (ko) 1997-06-26 1997-06-26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595U KR200157626Y1 (ko) 1997-06-26 1997-06-26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13U true KR19990003813U (ko) 1999-01-25
KR200157626Y1 KR200157626Y1 (ko) 1999-10-01

Family

ID=1950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595U KR200157626Y1 (ko) 1997-06-26 1997-06-26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026B1 (ko) 2022-05-25 2024-05-27 안장홍 승강물류용 덤웨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626Y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EP3484807B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JPS61172984A (ja) 竪方向蛇腹型ドアの安全兼緊急アクチユエ−タ装置
WO2018011460A1 (en) Elevator arrangement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200157626Y1 (ko) 덤웨이트 승강기내 운반물의 외부 이탈방지장치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KR20010094686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JP2011093699A (ja) エレベータの落下防止構造
JP2839872B2 (ja) 立坑用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H0617586A (ja) もち上げカーテン式物品搬出入ドアのバランス装置
KR102555987B1 (ko)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100967065B1 (ko)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JP7107704B2 (ja)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JPH10167637A (ja) ダムウェータ
CN116635322A (zh) 电梯的构造装置
KR20240071147A (ko) 보상시브를 포함하는 승강기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JP449375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9990067068A (ko) 도어
KR20040104565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678375U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