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895U -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895U
KR19990002895U KR2019970016484U KR19970016484U KR19990002895U KR 19990002895 U KR19990002895 U KR 19990002895U KR 2019970016484 U KR2019970016484 U KR 2019970016484U KR 19970016484 U KR19970016484 U KR 19970016484U KR 19990002895 U KR19990002895 U KR 199900028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ash panel
lower dash
engine
inter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895U/ko
Publication of KR19990002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895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룸에 장착된 부품과 부품과의 마찰이나 엔진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된 소음이 대쉬패널을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대쉬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 1격판(54), 제 2격판(56), 제 3격판(58)이 서로 용접되고, 이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와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 충진 폼(6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에 장착된 부품과 부품과의 마찰이나 엔진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된 소음이 대쉬패널을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대쉬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승객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승객룸과,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트렁크 실로 구분할 수 있다. 차체는 구성위치에 따라 앞차체와 중간차체 및 뒤차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앞차체는 다시, 대시패널(dash panel)등의 내판부분과, 엔진룸을 덮고 있는 후드(hood)와 같은 외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에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며, 프레임에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한다. 프레임(Frame)은 자동차가 주행 중에 받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화물의 하중 등에 의해 생기는 비틀림이나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지녀야 함과 동시에 가벼워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탑승공간인 승객룸(2)과 엔진룸(4)을 구분하는 부분에 한쌍의 격판(6)과 격판(8)이 용접된 하부대쉬패널(10) 및 상부대쉬패널(12)이 설치된다. 이 하부대쉬패널(10)의 격판(6)과 격판(8) 사이에는 충진 폼(FOAM)(14)이 개재된다. 하부대쉬패널(10)과 상부대쉬패널(12)이 결합된 부분의 상단에 칸막이 판(Bulkhead Plate)(16)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 판(16)의 상단에는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카울(Cowl)(18)이 배치된다. 카울(18)의 하단에 카울(18)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부카울패널(19) 및 카울보강패널(20)이 설치되고, 카울(18)의 전방에는 엔진을 덮고 있는 후드(22)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부대쉬패널을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작을 경우 하부대쉬패널의 격판과 격판 사이에 개재된 충진 폼이 승객룸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흡수하지만, 엔진룸에 장착된 부품과 부품과의 마찰이나 엔진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된 소음은 하부대쉬패널을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면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돌에너지가 범퍼 및 전면프레임 또는 종방향프레임〔일명 롱지튜디널(Longitudinal)이라고 함〕을 거쳐 대쉬패널로 전달되므로, 대쉬패널이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승객룸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엔진룸에 장착된 부품과 부품과의 마찰이나 엔진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된 소음이 대쉬패널을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대쉬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승객룸 52 : 엔진룸
54 : 제 1격판 56 : 제 2격판
58 : 제 3격판 60 : 하부대쉬패널
62 : 상부대쉬패널 64 : 충진 폼
66 : 칸막이 판 68 : 카울
70 : 상부카울패널 72 : 카울보강패널
74 : 후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격판, 제 2격판, 제 3격판이 서로 용접되고, 이 제 1격판과 제 2격판 사이와 제 2격판과 제 3격판의 사이에 충진 폼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격판과 제 2격판 사이에 고발포 충진 폼이 제 2격판과 제 3격판의 사이에 저발포 충진 폼이 개재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대쉬패널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탑승공간인 승객룸(50)과 엔진룸(52)을 구분하는 부분에 제 1격판(54), 제 2격판(56), 제 3격판(58)이 용접된 하부대쉬패널(60) 및 상부대쉬패널(62)이 설치된다. 이 하부대쉬패널(60)의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와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는 충진 폼(FOAM)(64)이 개재된다.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에는 고발포 충진 폼(64)을 개재하고,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는 저발포 충진 폼(64)을 개재함이 바람직하다. 하부대쉬패널(60)과 상부대쉬패널(62)이 결합된 부분의 상단에 칸막이 판(Bulkhead Plate)(66)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 판(66)의 상단에는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카울(Cowl)(68)이 배치된다. 카울(68)의 하단에 카울(68)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부카울패널(70) 및 카울보강패널(72)이 설치되고, 카울(68)의 전방에는 엔진을 덮고 있는 후드(74)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엔진룸(52)에 장착된 부품과 부품과의 마찰이나 엔진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된 소음은 하부대쉬패널(60)을 통하여 승객룸(50)으로 전달된다. 이때 하부대쉬패널(60)이 엔진룸(52)에서 발생되어 승객룸(50)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효율적으로 절감시킨다. 즉, 하부대쉬패널(60)의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에 개재된 고발포 충진 폼(64)이 엔진룸(52)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에 개재된 고발포 충진 폼(64)을 통하여 전달되는 잔류 소음은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 개재된 저발포 충진 폼(64)이 흡수함으로 엔진룸(5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승객룸(50)으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면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는 범퍼 및 전면프레임 또는 종방향프레임〔일명 롱지튜디널(Longitudinal)이라고 함〕을 거쳐 하부대쉬패널(60)로 전달된다. 이때 충돌에 따른 충격을 하부대쉬패널(60)이 용이하게 흡수하여 충격에 의하여 하부대쉬패널(60)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부대쉬패널(60)의 제 1격판(54), 고발포 충진 폼(64), 제 2격판(56)이 충돌에 따른 충돌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고, 제 1격판(54), 고발포 충진 폼(64), 제 2격판(56)을 통하여 전달되는 잔류충격에너지는 저발포 충진 폼(64) 및 제 3격판(58)이 흡수함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하부대쉬패널(60)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부대쉬패널(60)이 제 1격판(54), 제 2격판(56), 제 3격판(58)으로 구성되고,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와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 충진 폼(64)이 개재되어 있음으로 엔진룸(52)에서 전달되는 소음이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부대쉬패널(60)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는 제 1격판, 제 2격판, 제 3격판이 서로 용접되고, 제 1격판과 제 2격판 사이와 제 2격판과 제 3격판의 사이에 충진 폼을 개재하여 엔진룸에서 전달되는 소음이나 충돌에 따른 충격에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부대쉬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탑승공간인 승객룸과 엔진룸을 구분하는 하부대쉬패널에 있어서,
    제 1격판(54), 제 2격판(56), 제 3격판(58)이 서로 용접되고, 이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와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 충진 폼(6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격판(54)과 제 2격판(56) 사이에 고발포 충진 폼(64)이 제 2격판(56)과 제 3격판(58)의 사이에 저발포 충진 폼(6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KR2019970016484U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KR199900028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484U KR19990002895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484U KR19990002895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95U true KR19990002895U (ko) 1999-01-25

Family

ID=6968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484U KR19990002895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8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3144B2 (ja) 車体構造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19990002895U (ko) 자동차용 하부대쉬패널구조
KR10052153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부 보강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262191B1 (ko) 자동차의 카울 박스(cowl box) 구조
KR200201345Y1 (ko) 자동차용 플로어 사이드멤버 취부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203093Y1 (ko) 차량용 대시보드 보강구조
KR19980044378U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범퍼
KR20020036491A (ko)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24639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20030016642A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9990032170U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19990025371U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장착구조
KR19990026392U (ko) 자동차 엔진룸 골격강성 증대 구조
KR19990005844U (ko) 자동차의 리어 사이드 락커패널 강도 보강구조
KR19980044125U (ko) 승용차량의 차체 사이드 실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43193U (ko) 자동차용 바디 프레임의 보강구조
KR19980024572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42191U (ko) 자동차 엔진룸의 보강구조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19980024587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