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642A -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642A
KR19990001642A KR1019970025035A KR19970025035A KR19990001642A KR 19990001642 A KR19990001642 A KR 19990001642A KR 1019970025035 A KR1019970025035 A KR 1019970025035A KR 19970025035 A KR19970025035 A KR 19970025035A KR 19990001642 A KR19990001642 A KR 1999000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exhaust
muffler
exhaust gas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642A/ko
Publication of KR1999000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42A/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기 매니폴드로 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촉매기와,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켜 소음을 격감시키는 머플러를 배기관에 의해 순차 배열하여서된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단부 외주연에 돌출된 고정판을 가지고, 이 고정판의 상하단부가 그 대향측으로 조립되는 머플러의 플랜지를 감싸는 걸림판이 갖추어진 연결부재가 설치된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의 배기관은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부터 머플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불어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배기가스의 압력에 대항하여 배기관의 이격을 방지하고, 동시에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소 후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실린더 블록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 메니폴드의 후방으로 연결되는데, 도 1 와 같이 배기가스를 산화, 환원반응시켜 인체에 무해한 가스로 정화시키는 촉매기(11)와,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켜 배기 소음을 격감시키는 머플러(20)(21) 등이 순차 배열된 구성이다.
이러한 배기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는 배기관(30)에 의해 연결되며, 이 배기관(30)은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데, 예를 들어 배기 메니폴드(미도시)에서 촉매기(11)를 연결하는 배기관을 프런트 배기관(31)이라 하고, 이 촉매기(11)에서 서브 머플러(20)까지의 배기관을 센터 배기관(32) 그리고, 그 후방측으로 배관되는 배기관을 리어 배기관(33)이라 한다.
그러한 배기장치(10)는 각 구성요소들이 도 2 와 같이 단부에 플랜지(20a)(30a)를 구비하여 조립되는 구성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 배기관(30) 예를 들어 서브 머플러(20)와 배기관(30)의 조립시 각각의 조립단부에 보울트 삽입공(60)이 형성된 플랜지(20a)(30a)를 갖추고, 이들 사이에 개스킷(50)을 개재시켜 상기 보울트 삽입공(60)에 보울트(40) 및 너트(41)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연결부위는 단순히 상호 대향측의 플랜지(20a)와 (30a)가 맞대어져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의 압력이 3∼5㎏/㎠ 정도와, 400∼50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배기가스가 연속, 반복적으로 배출되는 경우 보울트(40) 및 너트(41)가 풀려 이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 배기관(30)에 가하여지는 진동은 그 이격 정도를 더욱 심하게 하고, 따라서 배기장치(10)의 각 구성요소가 이탈되어 소음의 저감을 비롯한 유해가스의 정화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향측으로 조립되는 플랜지의 내외측면을 감싸는 연결부재를 배기관에 구비하여 배기가스의 압력에 견디고,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기 매니폴드로 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촉매기와,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켜 소음을 격감시키는 머플러를 배기관에 의해 순차 배열하여서된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단부 외주연에 돌출된 고정판을 가지고, 이 고정판의 상하단부가 그 대향측으로 조립되는 머플러의 플랜지를 감싸는 걸림판이 절곡된 연결부재가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의 배기관은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부터 머플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불어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 배기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배기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촉매기 20: 서브 머플러
21: 메인 머플러 30: 백기관
50: 개스킷 300: 연결부재
310: 고정판 320: 걸림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기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이다.
먼저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장치(10)는 도 1 과 같이 배기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 매니폴드(미도시)와, 이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산화, 환원반응으로 정화시키는 촉매기(11)와,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키는 서브 머플러(20) 및 메인 머플러(21)가 장착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배기장치(10)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배기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관(30)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이 배기관(30)의 단부에는 연결부재(30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즉, 상기 연결부재(300)는 배기관(30)의 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돌출된 고정판(310)과, 이 고정판(310)의 상,하단 일부가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걸림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하부걸림판(321)(322)은 그 대향측에서 조립되는 배기관이 끼워지게 그 사이가 개구되고, 이 걸림판(320)과 고정판(310) 사이에는 소정의 수용공간부(33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플랜지(20a)가 끼워맞춤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판(320)은 고정판(310)의 상하부에서만 연장 절곡된 구성으로, 그 측면으로 여기에 조립되는 플랜지(20a)가 끼워지도록 하며, 이 플랜지(20a)와, 연결부재(300)의 상하부에는 보울트 삽입공(4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부(330)는 플랜지(20a)와 캐스킷(50)이 끼워맞춤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너비를 가지며, 상기 보울트 삽입공(400)에 관통설치되는 고정보울트(40) 및 너트(41)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배기관(30)과, 배기장치(10)의 각 구성요소 예를 들어 머플러(20)와, 배기관(30)의 연결 조립시 이 배기관(30)에는 상기 연결부재(300)을 갖추어 조립한다.
다시 말해, 상기 머플러(20)의 일측단부에는 상,하 보울트삽입공(400)이 형성된 플랜지(20a)를 갖추어 상기 연결부재(300)의 측방으로 부터 걸림판(320)과, 고정판(310) 사이에 끼워조립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20a)의 전면에는 개스킷(50)이 접착되어 가스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며, 이들을 관통하는 보울트 삽입공(400)에 보울트(40)를 관통시켜 너트(41)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머플러(20) 및 배기관(30)은 배기가스의 배출시 그 전후방측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고정판(310)과, 걸림판(320)이 플랜지(20a)를 고정시켜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격상태를 억제하고, 동시에 끼워맞춤으로 플랜지(20a)를 연결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기관의 단부에 걸림판과,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그 대향측에 조립되는 플랜지의 내,외측면을 감싸 배기가스의 토출압력에 대항하고,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배기 매니폴드로 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촉매기와,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켜 소음을 격감시키는 머플러를 배기관에 의해 순차 배열하여서된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단부 외주연에 돌출된 고정판을 가지고, 이 고정판의 상하단부가 그 대향측에 조립되는 머플러의 플랜지를 감싸는 걸림판이 일체로 절곡된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KR1019970025035A 1997-06-17 1997-06-17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KR19990001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35A KR19990001642A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35A KR19990001642A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42A true KR19990001642A (ko) 1999-01-15

Family

ID=6598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035A KR19990001642A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6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07B1 (ko) * 2006-12-15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 매니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07B1 (ko) * 2006-12-15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 매니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1642A (ko) 자동차 배기관의 조립구조
KR100981980B1 (ko) 소음기 모듈
KR200299660Y1 (ko) 차량의 배기계용 촉매 컨버터
KR01243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916027B1 (ko) 촉매 변환기의 방열커버 체결장치
KR200173893Y1 (ko) 자동차용 머프러트림링 고정장치
KR19980064364U (ko) 자동차의 촉매 컨버터 아우터 셀 고정구조
KR200149696Y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매니폴드구조
KR100398156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158657Y1 (ko) 배기 파이프 연결 구조
KR19990005043A (ko) 배기 파이프 플랜지 연결 구조
KR19980039895A (ko) 소음이 개선된 배기 파이프 고정 브래킷
KR100362407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러버
KR100820687B1 (ko)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KR100307093B1 (ko) 차량용촉매컨버터의연결구조
KR0139813Y1 (ko) 차량 매연 후처리 시스템의 기밀유지 장치
KR970001014Y1 (ko) 배기장치에서의 케털리스트 지지구조
KR19990028555U (ko) 차량의 분리형 소음기 구조
KR20010097916A (ko) 자동차용 촉매 변환기
KR19980065584U (ko) 차량용 소음기의 배기 파이프 연결구조
KR19980038628U (ko) 배기 장치용 히트 인슐레이터
KR20060068728A (ko) 차량의 배기 파이프 연결 구조
KR19980059577A (ko) 자동차의 소음기 고정장치
KR19980034701U (ko) 자동차의 소음기 장착 구조
KR19980050686U (ko) 배기 계통의 플랜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