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911U -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911U
KR19990000911U KR2019970014279U KR19970014279U KR19990000911U KR 19990000911 U KR19990000911 U KR 19990000911U KR 2019970014279 U KR2019970014279 U KR 2019970014279U KR 19970014279 U KR19970014279 U KR 19970014279U KR 19990000911 U KR19990000911 U KR 199900009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tank
filte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8736Y1 (ko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70014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73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며 하면에 열교환매체 유출구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필터가 장착된 필터유니트와,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필터유니트로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열교환매체 공급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채용함으로써, 열교환매체의 기포를 줄일 수 있어 열교환매체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 고안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관 및 유출관의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 및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 시스템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은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교환 매체를 순환시키면서 열을 자동차의 실외로 펌핑하게 된다.
도 1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일반적인 냉방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냉방시스템은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의 배출구에 연결된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12)의 배출구에 연결된 리시버 드라이어(13) 및, 증발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1)는 엔진의 동력을 V 벨트로 전달받아 저온 저압 상태인 열교환매체를 압축한다. 상기 응축기(12)는 상기 압축기(11)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전환된 열교환매체를 상기 응축기(12) 후방에 위치한 냉각 팬(미도시)의 송풍 작용으로 응축시켜서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로 만든다. 열교환매체속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열교환매체가 리시버 드라이어(13)를 통과하며, 열교환매체를 급속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를 통해서 증발기(14)에 도달한다. 증발기(14)에서는 열교환매체가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증발하며, 이때 증발 잠열이 주위의 온도를 낮추게 되므로 이를 블로워의 작용으로 자동차 실내에 송풍한다. 각각의 시스템 구성부는 제1연결관 내지 제4연결관(15a, 15b, 15c, 15d)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냉방시스템에서는 압축기의 압축작용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연속적인 상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열교환매체에 수분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상변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냉방시스템을 부식시키게 된다. 특히, R-12와 같은 냉매에 수분이 혼합된 경우에는 이들이 혼합되어 수산화 염산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수산화 염산은 금속 재료를 부식시키는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는 위와같은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축기(12)와 증발기(14)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매체속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는 원통형의 본체(21) 내부에 상부 배플(22)과 하부 배플(23)을 설치함으로써 본체(21)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24a), 흡습재 충전 공간(24b) 및, 하부 공간(24c)으로 분할한다. 본체(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엔드캡(27)(28)이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캡(27)에는 열교환매체 유입관(25)과 유출관(26)이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매체 유입관(25)의 일단부는 본체(21) 내부의 상부 공간(24a)에 도달하는 반면에, 열교환매체 유출관(26)의 일단부는 상부 배플(22)과 하부 배플(23)을 통과하여 하부 공간(24c)에 도달한다. 흡습제 충전 공간(24b)에는 흡습제가 채워진다. 상부 배플(22)과 하부 배플(23)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됨으로써 냉매가 배플(22)(23)의 구멍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리시버 드라이어(20)에서 열교환매체는 유입관(25)을 통해 상부 공간(24a)으로 유입되어 상부 공간(24a)을 충전시킨다. 상부 공간(24a)의 열교환매체는 상부 배플(22)의 구멍을 통해 흡습제 충전 공간(24b)을 통과하며, 이때 흡습제에 의해 열교환매체에 포함된 수분이 흡수된다. 수분이 제거된 냉매는 다시 하부 배플(23)을 통해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며, 유출관(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는 유입관(25)과 유출관(26)이 상단의 앤드 캡(27)에 고정되므로 그에 따른 문제점을 가진다. 자동차에 공기 조화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제외한 장치류 설치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관(25)과 유출관(26)이 상단의 엔드캡(27)에 고정되면 리시버 드라이어(20)에 연결되는 연결관들의 배관이 복잡해지는 경향을 가진다. 특히, 응축기의 유출구와 드라이어의 유입구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관(15b)이 필요하며, 안정된 연결을 위해 소정 각도로 밴딩되어야 하고 그로 인해 열교환매체의 압력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입관을 통해 본체내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열교환매체는 상부 배플과 하부 배플을 거쳐 본체내의 하부공간으로 내려가는데, 배플 및 본체의 바닥에 부딪히면서 기포가 발생하여 순수 열교환매체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응축기와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기포발생이 없고 순수 액냉매의 배출이 용이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냉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은 종래의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압축기 12...응축기
13, 20, 30...리시버 드라이어14...증발기
15a, 15b, 15c, 15d...연결관21...본체
22, 32...상부 배플23, 34...하부배플
24a...상부공간24b...충전공간
24c...하부공간 25...유입관
26, 35...유출관31...탱크
33...필터유니트본체35a...유출구
36...공급관36a...유입구
37...앤드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며 하면에 열교환매체 유출구가 형성된 탱크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필터가 장착된 필터유니트와,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필터유니트로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열교환매체 공급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30)는 밀폐된 공간부를 가진 원통형 탱크(31)를 구비한다. 상기 탱크(31)는 그 하면에 열교환매체 유출관(35)이 형성되며, 상기 탱크(31)내의 공간부에 필터유니트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는 원통형 본체(33)와, 본체(33)의 상면에 위치하며 방사상으로 관통공(32a)이 형성된 상부배플(32)과, 상기 본체(33)의 하면에 위치하여 공간을 밀폐하는 하부배플(34)과, 상기 본체(33)속에 내장된 필터(33b) 예컨데, 흡습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배플(32)은 원형이며 중앙부위가 솟아올라온 구조이어서 상기 관통공(32a)들을 통해 상부배플(32) 상방으로 유출된 열교환매체를 높이차로 인한 경사짐을 이용해 상부배플(32) 가장자리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필터유니트와 탱크내벽을 연결하며 상호 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유니트와 탱크 내벽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그 틈새로 열교환매체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니트의 하면에 결합된 열교환매체 공급관(36)은 상기 탱크(31)의 하면부에서 밴딩되어 탱크(31)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관(35)은 상기 탱크(31)와 일체형으로 돌출된다. 이때, 탱크(31)의 하면은 일방향 예컨데, 유출관(35)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된 부호 37은 상기 탱크(31)를 밀폐하기 위하여 탱크(31)의 상단에 브레이징 고정되는 앤드캡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시버 드라이어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응축기에서 고온고압의 액상 열교환매체로 상변화된 열교환매체는 공급관(36)의 유입구(36a)를 통해 하부 배플(34)을 거쳐 리시버 드라이어(30)의 필터유니트본체(33)에 유입된다. 필터유니트본체(33)의 내부에 유입된 열교환매체는 필터(33b)의 작용으로 열교환매체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이 제거되며, 수분과 이물질이 제거된 열교환매체는 상부 배플(32)의 관통공(32a)을 통해 상부공간(31a)으로 유입된다. 상부공간(31a)으로 분출된 열교환매체는 필터유니트와 탱크(31) 내벽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하부공간(31b)으로 내려가고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흘러 그 단부에 형성된 유출관(35)을 통해 밖으로 유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열교환매체의 기포발생이 없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0)는 원통형 탱크(31) 내부에 장착된 필터유니트본체(31)내의 필터(33b)를 통과한 열교환매체가 돔형의 상부 배플(32)을 따라 탱크(31) 내측벽면으로 유도되어 내측면에서 탱크(31) 바닥면을 따라 유출관(35)의 유출구(35a)를 통해 밖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아 종래에 비해 기포발생이 없다.
둘째, 열교환매체의 유출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30)는 유입도관(36)을 통해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하부배플(34)과 필터유니트본체(33)내의 필터(33b)와 상부 배플(32)을 거쳐 상부공간(31a)으로 분출된 후에 필터유니트본체(33)과 탱크(31) 내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중력방향 즉, 하방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종래에 비해 수월하다. 또한, 탱크(31)의 하면이 경사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유출관(35)을 통해 경사면을 따라 흘러 밖으로 유출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한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며 하면에 열교환매체 유출구가 형성된 탱크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필터가 장착된 필터유니트와,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필터유니트로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열교환매체 공급관을 포함하여 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니트는 그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배플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니트와 상기 탱크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호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19970014279U 1997-06-13 1997-06-13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158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279U KR200158736Y1 (ko) 1997-06-13 1997-06-13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279U KR200158736Y1 (ko) 1997-06-13 1997-06-13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11U true KR19990000911U (ko) 1999-01-15
KR200158736Y1 KR200158736Y1 (ko) 1999-10-15

Family

ID=1950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279U KR200158736Y1 (ko) 1997-06-13 1997-06-13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53B1 (ko) * 2003-03-19 2010-03-3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 어큐물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53B1 (ko) * 2003-03-19 2010-03-3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 어큐물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8736Y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4464B2 (ja) 車両用熱交換装置
EP1961597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JPH10132425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WO2014144105A1 (en) Side mounted refrigerant distributor in a flooded evaporator and side mounted inlet pipe to the distributor
US6341647B1 (en) Separator-integrated condens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9546805B2 (en) Coolant condenser assembly
KR200158736Y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US5787573A (en) Method of making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KR19990020128U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287956Y1 (ko) 자동차공기조화장치용리시버드라이어
JP4238434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153779Y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열교환기
JP413463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0074527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CN205842885U (zh) 用于空调器室外机的换热器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室外机
KR100284528B1 (ko)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KR10151012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9980024698U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JP3769907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の搭載構造
CN221067719U (zh) 空调箱及空调系统
JP3367483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に用いられる受液器付熱交換器
CN219222907U (zh) 蒸发式冷凝器及空调系统
JP3804166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の搭載構造
KR100624025B1 (ko) 공기조화장치용 어큐물레이터
CN215675952U (zh) 一种储液式气液分离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