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528B1 -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 Google Patents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528B1
KR100284528B1 KR1019980063305A KR19980063305A KR100284528B1 KR 100284528 B1 KR100284528 B1 KR 100284528B1 KR 1019980063305 A KR1019980063305 A KR 1019980063305A KR 19980063305 A KR19980063305 A KR 19980063305A KR 100284528 B1 KR100284528 B1 KR 10028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mpressor
air
air condition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609A (ko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8006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5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72Means for 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기를 구성하는 응축기부와 증발기부를 분리한 기관차 냉방기에 있어서, 응축기,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 수액기, 압축기, 압축기 모타, 고저압스위치 등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유입되는 응축 풍량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여 응축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축기부와 증발기부를 구분하는 기관차 냉방기에 있어서, 응축공기가 균형적으로 유입되며 내부의 공기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수액기(11)를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본 발명은 기관차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방기를 구성하는 응축기 부와 증발기부를 분리한 기관차 냉방기에 있어서, 응축기,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 수액기, 압축기, 압축기 모타, 고저압스위치 등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유입되는 응축 풍량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여 응축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저온,저압의 액체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만드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의 기체를 고온,고압의 액체로 만드는 응축기와, 고온,고압의 액체를 저온,저압의 액체로 만드는 팽창장치와, 저온,저압의 액체를 저온,저압의 기체로 증발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차갑게 하는 증발기로 구성되었다.
이때, 냉매의 공기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해 응축기측에 2개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와 증발기측에 3개의 증발기 팬 모타 조립체가 구성되며, 압축기의 회전동력을 1개의 밸트로 제공하는 압축기 모타, 응축기로부터 나온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중 남아있는 기체성분을 잔류시켜 액체 냉매만 팽창밸브로 공급하는 수액기, 냉매중의 불순물 등을 거르는 냉매건조기, 냉매 중의 액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액면계등이 냉매회로를 이룬다.
이하, 실외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외공기는 도 1과 같은 종래 냉방기의 응축기부 공기흐름도에서 냉방기 전면과 양측면을 통해서 유입된다.
이때, 응축기부에서는 측면으로 장착된 2개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가 회전하면서 강제로 공기가 유입되는데, 공기가 측면에 장착된 응축기 팬 모터 조립체(1)(2)로 인하여 불균일하게 유입된다.
이하, 실내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공기는 도 2와 같은 종래 냉방기 증발기부 공기흐름도에서 실내측 뒷면을 통해서 실내기부에 유입되어 증발기(3)를 거치면서 증발기 팬 모타 조립체(4)의 강제 송풍을 통해서 공급 공기 그릴(5)의 방향에 따라서 기관실내로 공기를 공급한다.
응축기부에 있는 압축기(6)의 입출구 배관에 압력감지용 배관을 심어 이를 증발기부로 연장하여 압력감지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응축기 팬모타 조립체(1)(2)가 측면에 부착되어 있어 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면과 양측면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가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 사이에서 회전방향의 일치로 서로 부딪쳐 공기의 마찰정압의 증가로 공기유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편향된 공기의 흐름으로 응축기(9) 전면적을 통해서 고루 열교환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정 크기의 열교환기보다 큰 응축기를 설계해야만 하므로 동일한 열량의 냉방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냉매건조기(7)의 경우 2개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사이의 하단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 마찰을 유발하여 응축기(9)의 흡입 풍량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응축기(9)부에 있는 압축기(6)의 입출구 배관에 압력감지용 배관을 심어 이를 증발기부로 연장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은 냉방기 수리를 위해 기차 지붕에서 작업 후 운전실로 이동후 냉방기의 상태 정상유무를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압축기(6)와 이를 구동시키는 압축기모타(8)가 응축기(9)의 측면에 1개의 밸트로 부착되어 있어 흡입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응축효율을 떨어뜨리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 팬 모터 조립체를 기존 세로 방향에서 나란히 가로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수액기를 설치하여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 사이에서의 공기의 마찰을 줄여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냉방기의 응축기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냉방기의 증발기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방기의 응축기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방기의 증발기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응축기 팬 모터 조립체 3:증발기
4:증발기 팬 모터 조립체 5:공기 그릴
6:압축기 7:냉매 건조기
8:압축기 모타 9:응축기
10:팽창밸브 11:수액기
12:고저압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방기 응축기부로, 응축기(9)와 증발기(3)를 구분하는 기관차 냉방기에 있어서, 응축공기가 균형적으로 유입되며 내부의 공기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수액기(11)를 설치하고 이 수액기(1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를 설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방기 증발기부로, 상방에 증발기(3)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증발기 팬 모터 조립체(4)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 팬 모터 조립체(4)하방에 공기 그릴(5)을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냉방기 동작은 냉매가 압축기(6)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되어 응축기(9)를 통하면서 고온,고압의 액체로 응축되며, 팽창밸브(10)에 의해 저온저압의 상태가 된 후 증발기(3)에 의해 저온저압의 기체로 증발한다.
이때, 냉매의 공기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해 응축기(9)측에 2개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와 증발기(3)측에 3개의 증발기팬 모타 조립체(4)가 구성되며, 압축기(6)의 회전 동력을 2개의 밸트로 제공하는 압축기모타(8), 응축기(9)로부터 나온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중 남아있는 기체성분을 잔류시켜 액체 냉매만 팽창밸브(10)로 공급하는 수액기(11), 냉매중의 불순물 등을 거르는 냉매건조기(7), 냉매중의 액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액면계 등이 있다.
먼저, 실외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실외공기는 냉방기 전면과 양측면을 통해서 유입된다.
이때 응축기(9)부에서는 중앙에 설치된 수액기(11)가 벽과 같은 역할을 하며 양측면으로 장착된 각각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가 회전하면서 강제로 공기를 전면과 측면으로부터 유입한다.
이때, 공기는 양측면에 장착된 각각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로 인하여 균일하게 유입된다.
다음에, 실내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공기는 실내측 뒷면을 통해서 실내기부에 유입되어 증발기(3)를 거치면서 증발기 팬 모타 조립체(4)의 강제 송풍을 통해서 공급공기 그릴(5)의 방향에 따라서 기관실내로 공기를 공급한다.
응축기(9)부에 고저압스위치(12)를 압축기(6)의 입출구 배관에 압력감지용 배관을 심어 이를 압축기(6)의 근처에 설치하여 압력을 감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냉방기 - 응축기부 공기흐름도에서 수액기(1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장착된 2개의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가 있어 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면과 양측면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할 때 수액기(11)가 중앙에서 벽과 같은 역할을 하여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1)(2) 사이에서 공기의 마찰을 줄여 풍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균형적으로 분리된 공기의 흐름으로 응축기(9) 전면적을 통해서 고루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열교환기보다 축소된 열교환기로 동일한 응축능력을 낼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부에 고저압 스위치(12)를 압축기(6) 입출구 배관에 압력감지용 배관을 심어 이를 압축기(6) 근처에 설치하여 압력감지하여 냉방기 수리시 지붕에서 배관계통의 이상유무를 즉석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6)와 이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모타(8)가 2개의 밸트로 연결되어 응축기 팬모타 조립체(1)(2)뒤의 응축기부 뒷면에 설치되어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응축기부와 증발기부를 구분하는 기관차 냉방기에 있어서
    응축공기가 균형적으로 유입되며 내부의 공기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수액기를 세로로 설치하고 이 수액기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팬 모타 조립체 압축기와 이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모타를 응축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밸트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압축기 모타 사이에 압력 감지용 배관을 심어 압축기 근처에 고저압 스위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KR1019980063305A 1998-12-31 1998-12-31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KR10028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05A KR100284528B1 (ko) 1998-12-31 1998-12-31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05A KR100284528B1 (ko) 1998-12-31 1998-12-31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09A KR20000046609A (ko) 2000-07-25
KR100284528B1 true KR100284528B1 (ko) 2001-04-02

Family

ID=1956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05A KR100284528B1 (ko) 1998-12-31 1998-12-31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593B (zh) * 2012-01-18 2015-11-25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城际列车空调机组安装结构
CN104064756B (zh) * 2013-03-21 2016-06-22 宁波金和锂电材料有限公司 一种钴酸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476882B (zh) * 2023-05-30 2024-02-13 石家庄国祥运输设备有限公司 高能效比轨道车辆空调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09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206B1 (ko)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CN111301105A (zh) 一种双冷凝器冷暖一体式的驻车空调系统及其运行方法
JP2001041503A (ja) 通信基地局の筐体冷却システム
CN101382362A (zh) 窗式空调器卸荷阀管路结构
KR100284528B1 (ko) 기관차 냉방기의 응축기 구조
CN107655103B (zh) 一种空调室外机、空调器和空调器的控制方法
CN215765882U (zh) 一种空调器
CN212148304U (zh) 一种双冷凝器冷暖一体式的驻车空调系统
KR100408779B1 (ko) 분리형 경전철의 냉방장치
JP3769907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の搭載構造
KR100327551B1 (ko) 이중 증발기 구조를 가진 차량용 에어컨 장치
CN110608554A (zh) 一种防止压缩机吸气带液的结构及空调系统
CN113932319B (zh) 一体化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217235868U (zh) 移动空调器
CN220507004U (zh) 立式空调室内机
CN220506821U (zh) 一种制冷式吸油烟机
CN217892457U (zh) 空调蒸发器单元、空调器及作业机械
CN216976982U (zh) 移动空调器
CN214928817U (zh) 客车空调及客车
CN111497562B (zh) 一种改进架构的车载空气调节装置
CN212637080U (zh) 顶置式驻车空调
CN218400118U (zh) 一种用于特种车辆的紧凑式置顶冷暖一体式空调
CN215153786U (zh) 一种卡车用特制的冷暖风道
CN215175471U (zh) 室内机及空调器
CN220541342U (zh) 风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