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001U - 베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베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001U
KR19990000001U KR2019960024755U KR19960024755U KR19990000001U KR 19990000001 U KR19990000001 U KR 19990000001U KR 2019960024755 U KR2019960024755 U KR 2019960024755U KR 19960024755 U KR19960024755 U KR 19960024755U KR 19990000001 U KR19990000001 U KR 199900000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enter
bezel
co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7424Y1 (ko
Inventor
윤석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60024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6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커버중의 하나인 베젤을 상기 컴퓨터 본체의 메인 샤시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베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면 중앙에 그형의 안착홈을 별도로 형성시킨 후크와; 샤프트에 의해 결착 수단에 유착되도록 중앙부위를 코일 형태로 형성시키고, 후크의 중앙부위에 하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코일 형태 정중앙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절곡 성형시켜 전술한 안착홈에 위치시키며, 상기 코일 형태 양측단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타측단을 수직으로 절곡 성형시켜 결착수단의 일측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후크의 체결력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킨 베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젤 고정장치
제 1도는 일반적인 베젤 고정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착수단2 : 스토퍼
3 : 장착홀4 : 샤프트
5 : 고정핀20 : 안착홈
30 : 후크50 : 스프링
100 : 베젤 고정장치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외부 커버중의 하나인 베젤을 상기 컴퓨터 본체의 메인샤시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베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발력이 후크의 상단면 정중앙에 작용하도록 하여 베젤을 보다 손쉬우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베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본체의 외부 커버인 베젤의 내부 소정부위 즉, 메인샤시와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베젤을 컴퓨터 본체의 메인 샤시에 고정시키는 일반적인 베젤 고정장치(10)는 제 1도에서 처럼, 평면 형상이 ㅕ 자형으로 베젤(도시하지 않음)의 내부 소정위치에 결착되는 일측면 상단 중앙부위에 스토퍼(2)를 부설시키고, 양측면 수평 돌출부위 중앙에 샤프트(4)를 관통시켜 설치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3)을 형성시키며, 양측 내면 상단에 스프링(7)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벗(6)을 부설시킨 결착수단(1)과; 일측이 갈고리 형태로 메인샤시(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고, 중앙에 장착홀(상기 결착수단(1)의 장착홀(3)과 동일 위치)을 형성시켜 샤프트(4)에 의해 전술한 결착수단(1)의 양측내면에 유착되며, 전술한 결착수단(1)에 장착된후 타측이 스토퍼(2)에 의해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후크(8)와; 일측단이 코일형태로 전술한 결착수단(1)의 피벗(6)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후크(8)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후크(8)를 수평방향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7)및; 샤프트(4)의 이탈 방지를 목적으로 샤프트(4)의 일단에 끼우는 고정핀(5)으로 구성됨으로써, 스프링을 결착수단에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작업 공수가 많고, 상기 스프링이 후크의 상단 일측에만 탄발력을 부여하여 후크의 체결력이 견고하지 못함으로써, 생산성 저하 및 제품의 신뢰성을 실추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 서술한 바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상단면 중앙에 그형의 안착홈을 별도로 형성시킨 후크와; 샤프트에 의해 결착수단에 유착되도록 중앙부위를 코일 형태로 형성시키고, 후크의 중앙부위에 하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코일 형태 정중앙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절곡 성형시켜 전술한 안착홈에 위치시키며, 상기 코일 형태 양측단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타측단을 수직으로 절곡 성형시켜 결착수단의 일측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후크의 체결력을 크게 안정화시킨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를 도면을 참조로, 종래와 유사한 구조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본 고안 베젤 고정장치(100)는 평면 형상이 ㅕ 자형으로 베젤(도시하지 않음)의 내부 소정위치에 결착되는 일측면 상단 중앙부위에 스토퍼(2)를 부설시키고, 양측면 수평 돌출부위 중앙에 샤프트(4)를 관통시켜 설치시킬 수 있도록 장착홀(3)을 형성시킨 결착수단(1)과; 일측이 갈고리 형태로 메인샤시(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고, 중앙에 장착홀(상기 결착수단(1)의 장착홀과 동일위치)을 형성시켜 샤프트(4)에 의해 전술한 결착수단(1)의 양측내면에 유착되며, 전술한 결착수단(1)에 장착된후 타측이 스토퍼(2)에 의해 상방향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상단면 중앙에 그형의 안착홈(20)을 형성시킨 후크(30)와; 샤프트(4)에 의해 결착수단(1)에 유착되도록 중앙부위를 코일 형태로 형성시키고, 후크(30)의 중앙부위에 하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코일 형태 정중앙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절곡 성형시켜 전술한 안착홈(20)에 위치시키며, 상기 코일 형태 양측단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타측단을 수직으로 절곡 성형시켜 결착수단(1)의 일측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스프링(50)및; 샤프트(4)의 이탈 방지를 목적으로 샤프트(4)의 일단에 끼우는 고정핀(5)으로 구성되어,상기 스프링(50)의 하방향 탄발력을 후크(30)의 일측 중앙에 부여하고, 후크(30)의 타측이 스토퍼(2)에 의해 상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후크(30) 일측이 상방향으로만 탄발되도록 하고, 이후 후크(30)가 안정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샤프트에 의해 후크와 동시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의 상단 중앙부위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및, 상단 중앙부위에 안착홈을 형성시킨 후크를 구비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후크의 체결력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Claims (1)

  1. 평면 형상이 ㅕ 자형으로 베젤의 내부 소정위치에 결착되는 일측면 상단 중앙부위에 스토퍼(2)를 부설시키고, 양측면 수평 돌출부위 중앙에 샤프트(4)를 관통시켜 설치시킬 수 있도록 장착홀(3)을 형성시키며, 양측 내면 상단에 스프링(7)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벗(6)을 부설시킨 결착수단(1)과; 일측이 갈고리 형태로 메인샤시에 걸리고, 중앙에 장착홀(상기 장착홀(3)과 동일위치)을 형성시켜 샤프트(4)에 의해 전술한 결착수단(1)의 양측내면에 유착되며, 전술한 결착수단(1)에 장착된후 타측이 스토퍼(2)에 의해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후크(8)와; 일측단이 코일형태로 전술한 결착수단(1)의 피벗(6)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후크(8)의 상단 일측이 위치하여 후크(8)를 수평방향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7)및; 샤프트(4)의 이탈 방지를 목적으로 샤프트(4)의 일단에 끼우는 고정핀(5)을 포함하여 구비된 베젤 고정장치(10)에 있어서, 베젤을 보다 손쉬우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상단에 중앙에 그형의 안착홈(20)을 별도로 형성시킨 후크(30)와; 중앙부위를 코일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코일 형태 정중앙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절곡 성형시켜 전술한 안착홈(20)에 위치시키며, 상기 코일 형태 양측단으로부터 파생된 선형의 타측단을 수직으로 절곡 성형시켜 결착수단(1)의 일측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스프링(50)를 구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고정장치.
KR2019960024755U 1996-08-19 1996-08-19 베젤 고정장치 KR200147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755U KR200147424Y1 (ko) 1996-08-19 1996-08-19 베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755U KR200147424Y1 (ko) 1996-08-19 1996-08-19 베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01U true KR19990000001U (ko) 1999-01-15
KR200147424Y1 KR200147424Y1 (ko) 1999-06-15

Family

ID=1946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755U KR200147424Y1 (ko) 1996-08-19 1996-08-19 베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24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30A (ko) * 2000-08-11 2000-11-06 이주일 구조물 조립 구조
KR20010044355A (ko) * 2001-02-12 2001-06-05 유종훈 냉각테이블
KR100390745B1 (ko) * 2001-03-22 2003-07-10 주식회사 케이이씨 초절전용 금속배선 구조를 갖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및그의 제조방법
KR20030066185A (ko) * 2002-02-05 2003-08-09 주식회사 네오테크 키오스크용 프린터의 급지로울 거치장치
KR20040006990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499716B1 (ko) * 2000-09-19 2005-07-07 아르뜨로 살리스 에스.피.에이. 가구부재의 감속형 폐쇄장치
KR102045912B1 (ko) 2019-03-06 2019-11-18 정귀현 코크스 오븐의 연소가스 조절장치
KR20200000968U (ko) 2018-11-06 2020-05-15 원동주 조명장치가 구비된 모자
KR102458097B1 (ko) 2022-06-15 2022-10-21 김일천 자주포용 폐쇄기 시험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30A (ko) * 2000-08-11 2000-11-06 이주일 구조물 조립 구조
KR100499716B1 (ko) * 2000-09-19 2005-07-07 아르뜨로 살리스 에스.피.에이. 가구부재의 감속형 폐쇄장치
KR20010044355A (ko) * 2001-02-12 2001-06-05 유종훈 냉각테이블
KR100390745B1 (ko) * 2001-03-22 2003-07-10 주식회사 케이이씨 초절전용 금속배선 구조를 갖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및그의 제조방법
KR20030066185A (ko) * 2002-02-05 2003-08-09 주식회사 네오테크 키오스크용 프린터의 급지로울 거치장치
KR20040006990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
KR20200000968U (ko) 2018-11-06 2020-05-15 원동주 조명장치가 구비된 모자
KR102045912B1 (ko) 2019-03-06 2019-11-18 정귀현 코크스 오븐의 연소가스 조절장치
KR102458097B1 (ko) 2022-06-15 2022-10-21 김일천 자주포용 폐쇄기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7424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0001U (ko) 베젤 고정장치
KR850000094A (ko) 테이프 카세트의 방진문 걸고리 스프링 아셈브리
JPH05508202A (ja) コンクリートまたは金属製の支持体上へのレール固定装置
JP4771853B2 (ja) 変圧器吊下げ装置及び変圧器吊下げ設置方法
JPH063044Y2 (ja) カバーの取付け装置
JPH0320969Y2 (ko)
JP4601200B2 (ja) ピクチャレール用ブラケット
JPH0842052A (ja) 天井パネル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具
JPS5822235Y2 (ja) 大正琴
JP2599019Y2 (ja) 照明器具の取付け構造
KR950008098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연결구
JPS623452Y2 (ko)
JPH0120734Y2 (ko)
KR910003837Y1 (ko) 리일디스크용 약 브레이크 장치
KR950008943Y1 (ko) 천정판 부착용 간받이의 지지구
JPH023672Y2 (ko)
JPS61150845A (ja) シ−トクツシヨン取付構造
JPH0715927Y2 (ja) 伸縮継手装置
JPH078686Y2 (ja) 天井下地バーへの天井支持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S638011Y2 (ko)
JPH0138391Y2 (ko)
JPS5941531Y2 (ja) 埋込開放形照明器具
JPH0314896Y2 (ko)
JPH0635502Y2 (ja) パネルの固定部材
JPS63242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