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877A -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 - Google Patents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877A
KR19980703877A KR1019970707277A KR19970707277A KR19980703877A KR 19980703877 A KR19980703877 A KR 19980703877A KR 1019970707277 A KR1019970707277 A KR 1019970707277A KR 19970707277 A KR19970707277 A KR 19970707277A KR 19980703877 A KR19980703877 A KR 1998070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semi
building member
polyacrylic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041B1 (ko
Inventor
한스페터뵈에
Original Assignee
한스페터뵈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페터뵈에 filed Critical 한스페터뵈에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7/00065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30246A1/de
Publication of KR1998070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08Dry ready-made mixtures, e.g. mortars at which only water or a water solution has to be added before use
    • C04B40/0616Dry ready-made mixtures, e.g. mortars at which only water or a water solution has to be added before use preformed, e.g. band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75Mortars activated by rain, percolating or sucked-up water; Self-healing mortars or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2Encased layer derived from inorganic settable ingre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4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피복용으로 적합한 반제품 건축 부재로서, 유리판과 그 유리판의 일측면 상의 접합 모르타르 층으로 이루어지고, 접합 모르타르 층은 미립의 중성 쇄석과 시멘트로 조성되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과 혼합되며,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0 ℃ 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내고, 접합 모르타르는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되며, 배합되어 응고된 콘크리트와 접합 모르타르와의 접촉에 의해, 또는 소위 타일 접착제에 의해 피복 대상 표면과 접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
표면 피복용으로 적합한 반제품 건축 부재는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평면 제품 상에 고정되는 모자이크 석재가 있는데, 그 평면 제품은 모자이크 석재의 반대 쪽에 있는 측면 상에 보호 커버에 의해 덮혀진 접착제 층을 구비한다. 보호 커버를 벗겨 내면, 모자이크 석재가 벽 등에 맞대어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부유(浮遊) 유리판, 예비 장력 유리판, 절연 유리 유닛 또는 안전 유리 유닛과 같은 형태의 유리판을 피복 대상 표면에 즉각적으로 바로 고정시키는 것은 아직까지도 불가능하다. 그러한 고정에는 다수의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표면 피복용으로 적합한 반제품 건축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표면이란 가옥과 같은 건축물의 내측면 및 외측면, 벽의 표면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표면 자체가 강판, 함석판, 시멘트 섬유판, 합판이나 널판 형태의 목재판, 또는 단열판과 같은 또 다른 반제품일 수도 있다. 피복의 목적은 무엇이라도 좋다. 즉, 장식용 피복일 수도 있고, 부식 방지의 목적으로 부착된 피복일 수도 있다. 콘크리트판도 역시 대상이 될 수 있다. 표면은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단순하게 만곡되거나 이중으로 만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곡된 표면을 피복하는 경우에는, 반제품 건축 부재도 그 표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 단일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를 파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의 A-A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를 피복 대상 표면 상에 고정시킨 이후의 도 2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게 피복 요소로서 부착될 수 있는 유리판을 사용하여 표면 피복 작업을 하는 것이다.
그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제는, 표면 피복용으로 적합한 반제품 건축 부재로서, 유리판과 그 유리판의 일측면 상의 접합 모르타르 층으로 이루어지고, 접합 모르타르 층이 미립의 중성 쇄석과 시멘트로 조성되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과 혼합되며, 폴리아크릴산 유도체가 0 ℃ 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독일 공업 규격(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내고, 접합 모르타르가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되며, 배합되어 응고된 콘크리트와 접합 모르타르와의 접촉에 의해, 또는 소위 타일 접착제나 기타의 콘크리트 접착제에 의해 피복 대상 표면과 접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이다.
건축물의 표면을 유리판으로 피복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에서는, 우선 콘크리트체를 제작하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를 상응하는 거푸집에 붓고 나서 콘크리트의 응고를 기다린다.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에야 비로소 콘크리트체에 하나 이상의 유리판을 마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판을 기계적 보조 수단에 의해 콘크리트체 상에 고정시키는 방안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이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안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 소모적이다. 그 밖에도, 유리판과 콘크리트체와의 개재 공간에 예컨대 응축수와 같은 원하지 않는 습기가 쉽게 축적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을 예컨대 합성 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에 의해 콘크리트체 상에 고정시키는 방안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착 방안도 복잡하고 비용 소모적이다. 특히, 콘크리트 표면 상에 접착된 그러한 유리판의 안전 내구 수명이 비교적 짧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합성 수지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키는 경우, 그러한 접착제는 시효 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그로 인해 기후적 상황에 따라 비교적 단기간 내에 못쓰게 되는 일이 자주 있다. 그에 의해, 유리판이 조기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떨어져 버린다. 그와 같은 이상, 공지의 방안은 인허가 관청이 정하고 있는 안전성 규정을 충족시키기가 곤란하다. 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는 전혀 문제점이 없다.
점착 층을 구비한 착색 유리 피복판을 제조하는 방안도 공지되어 있다(AT-PS 196 079). 그러한 방안에 있어서, 15 내지 20%의 고체를 함유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수성 합성 수지 분산물이 연화제 및 염료의 첨가제와 함께 유리판 상에 분사되어 동시에 점착 층 및 착색 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한 제 1 층 상에는, 예컨대 운반 중에 합성 수지 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래를 살포한다. 모래 층은 유리판이 시멘트 모르타르에 점착되었을 때에 그 점착의 견고성을 보장해주는 역할도 하는데, 유리판은 최종적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해 벽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공지의 방안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각종의 층이 도포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또한, 그 경우에도, 점착에 관한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반제품 건축 부재의 구성 및 형성을 위한 또 다른 다수의 방안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판의 두께는 4 ㎜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이다. 유리판은 예비 장력을 인가하지 않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예비 장력을 인가한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단순한 유리판 및 접합 유리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판은 부유 유리판으로서 실시된다. 유리판이 망상 압력 층을 구비하는 구성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데, 그 망상 압력 층 상에는 접합 모르타르가 부착된다. 그와 같이 중간에 망상 압력 층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접합 모르타르는 충분히 견고하게 유리판에 부착된다. 유리판의 최대 크기는 4000 ㎜ × 4000 ㎜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유리판은 절연 유리 유닛일 수도 있다. 또한, 유리판이 태양열 유리판 형태의 태양열 요소로서 실시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모르타르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유리판과 콘크리트와의 접합을 위한 접합용 건축 재료를 의미한다.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층은 분사, 롤링, 덧칠 등의 방법으로 유리판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모르타르의 응고란 충분한 응고를 의미한다. 접합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층은 지나치게 굳어지거나 단단해져서는 안된다. 그와 같이,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도포 층은 갓 배합되어 아직 응고되지 않은 콘크리트와 접합될 수 있는 능력을 장시간에 걸쳐 유지하게 된다. 첨가되는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도 역시 콘크리트와의 최적의 접합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모르타르의 층 두께는 2 내지 7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이다.
접합 모르타르는 그 입자 크기가 0.1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인 미립의 중성 쇄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영 모래 또는 유리 분말을 미립의 중성 쇄석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인 것이 바람직한 시멘트가 착색된다. 투명한 유리판을 사용하는 경우, 그와 같은 방식으로 건축물의 착색 정면이 특정의 미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란 특히 아크릴레이트, 즉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그 유도체,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니트릴을 그 특징적인 고리 작용기로 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특히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니트릴을 공중합 단위체로서 사용하는 공중합체로 실시될 수도 있다. 메타크릴산 및 그 유도체도 역시 공중합 단위체일 수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를 각종의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중합 혼합물로서 실시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 범위 내에서 특히 중요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접합 모르타르 중에 혼합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아크릴니트릴을 공중합 단위체로 하는 공중합체이다. 그 경우,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에 대한 아크릴니트릴 공중합 단위체의 분율은 2 중량% 이상이다. 접합 모르타르는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 예컨대 수성 에멀션과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0°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대수 함수적 감쇠율로서는,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를 시험 물체로 한 DIN 53445에 따른 비틀림 진동 시험에서의 비틀림 진동 감쇠의 대수 함수적 감쇠율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것은, -8 ℃를 넘는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내는 폴리아크리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이 -8 ℃ 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점을 통과하는 플라스틱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제조용 결합제로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DE-PS 28 27 382 참조). 그러한 방안의 의도는, 0 ℃ 미만의 온도 중에 내놓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탄성 가소성 및 유리한 완충성과 작업 강도를 나타내는 건축 부재 및 외장재용 건자재 혼합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0°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내는 폴리아크리산 유도체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모르타르의 범위 내에서는 놀라웁게도 0 ℃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뿐만 아니라 -50 ℃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도, 한편으로는 유리판과 접합제 층과의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체와 접합제 층과의 사이에서 효과적인 접합 매개체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인지한 데에서 출발한 것이다. 물론, 300 ℃의 온도에서도 온도 추진 시간 간격을 30분을 넘게 해야만 비로소 점착 작용이 점감하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놀라웁게도, 예컨대 강력한 태양 복사 또는 화재의 경우에 발생하는 것과 같은 비교적 높은 온도도 역시 유리판이 콘크리트체에 견고히 점착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이상, 효과적인 점착은 유리판의 기후에 따른 변질 또는 열팽창에 의해 구애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접합제 층과 유리판과의 사이에 매우 견고하고 열에 민감한 접합이 실현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유리판의 균열 없는 열팽창이 가능하게 됨은 당업자들도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는 액체 및 기체의 침입에 대한 우수한 밀봉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 건축 부재는 액체 및 기체의 해로운 작용에 대해 건축물을 보호하는 피복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접합제 층과 유리판과의 사이의 견고한 접합은 주지된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와 유리와의 분자간 상호 작용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접합 모르타르 중의 시멘트, 특히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에 의해 유리 표면이 이른바 미세 거칠기로 조야해져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분자 성분과 상호 작용을 하는 넓은 표면이 생성된다는 것을 그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한 표면 거칠기에서는, 아크릴산 단위체 유닛의 기능 기와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을 할 능력이 있는 자유 실라놀 기가 유리 표면에 형성된다. 그 경우, 아크릴산 유도체의 기능 기와 유리 표면의 실라놀 기와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수소 축합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유기질의 폴리아크릴 중합체와 무기질의 유리 재료와의 사이에 효과적인 물리화학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고, 그에 의해 유리판의 매우 견고한 점착이 달성된다는 사실은 당업자들도 기대하지 못했던 것이다. 유리판과 접합제 층과의 사이의 그러한 견고한 점착에도 불구하고, 놀라웁게도 접합 모르타르에 의한 유리판의 식각 작용은 눈에 뜨이지 않을 정도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중요한 실시예는, 접합 모르타르가 시멘트로서 포틀랜드 시멘트를 함유하고 아크릴레이트의 수성 분산물과 혼합되는 것인데, 그 경우의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니트릴을 공중합 단위체로 하는 공중합체이다. 이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이 유리판의 표면을 식각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미세 거칠기로 조야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유리 표면 또는 그 표면에 형성된 실라놀 기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 기 및/또는 니트릴 기와의 사이에 매우 뚜렷한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그 전제로 한 실시예이다. 특히, 부동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판에 의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은 콘크리트의 응고 이전에 접합제 층 쪽에서 콘크리트와 접합되는데, 그 경우에 콘크리트는 유리판의 접합제 층과 모놀리스(monolith) 형태로 접합된다. 모놀리스 형태의 접합의 특징은, 접합이 유리판에 마련되는 콘크리트체의 표면, 또는 유리판이나 유리판의 접합 모르타르 층 상에 도포되는 부가의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점이다. 모놀리스 형태의 접합은 유리판이 아직 응고되지 않은 콘크리트와 접합될 경우에 일어난다. 접합이 모놀리스 형태라는 것은, 수화 시의 콘크리트 결정자가 층을 이룬 접합 모르타르 중으로 성장하여 그 층 중의 결정자와 결합된다는 점, 특히 접합 모르타르가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된 것이기 때문에 여전히 수화 능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거하여 수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는, 접합 모르타르의 수화 수분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로부터 유래된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경우에 따라, 접합 모르타르가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됨으로써 여전히 수화 능력을 유지하는 정도로, 접합 모르타르의 배합 시에 추가의 수화 수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한, 수화 수분은 응고되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접합 모르타르 층 속으로 확산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접합제 층의 재경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접합 모르타르 중의 중합체 플라스틱은 모놀리스 형태의 접합에 기여하지는 않지만, 콘크리트 결정자의 접합제 층 속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1.2)에 따른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접합 모르타르가 응고된 상태에서 유리판의 열팽창에 균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접합 모르타르를 그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분율 및 접합제 층의 두께에 의해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접합제 층이 균열 없는 열팽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탄성을 그 층의 접합 모르타르에 부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은 폴리아크리산 유도체 50∼65 중량%, 바람직하게는 55∼60 중량%와, 수분 3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45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건축물은 매우 양호한 내구 수명 거동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음의 혼합비로 배합된 접합 모르타르가 양호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미립의 중성 쇄석: 10 내지 40 중량%
시멘트: 10 내지 40 중량%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 10 내지 40 중량%
중량%의 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범위 내에서 각각 100 중량%의 합계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접합 모르타르가 미립의 중성 쇄석 25 내지 35 중량%, 시멘트 25 내지 35 중량%, 및 폴리아크리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 25 내지 35 중량%의 혼합비로 배합되는 것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접합 모르타르 중의 수화 수분의 양은 접합 모르타르가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되도록 항시적으로 조절된다. 이는, 유리판이 상당한 열팽창을 겪었음에도 콘크리트체의 열팽창이 그에 비해 작은 경우에 콘크리트체 쪽으로 충분한 응력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리판의 접합제 층의 두께가 설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설정되어야 하는 접합제 층의 두께와 관련하여, 양호한 것으로 입증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합 모르타르 층의 두께가 2 내지 7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인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의 경우, 전술한 구성의 접합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층이 한편으로는 유리판의 표면과 효과적이고도 내구적으로 접합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 유리판의 균열 없는 열팽창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한 데에서 출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놀라웁게도 그러한 접합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층이 흡사 모놀리스의 형태로 콘크리트와 접합되고, 그에 의해 그 층과 콘크리트체와의 사이에 예기치 못한 정도로 견고한 점착이 실현된다는 것을 인지한 데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유리판은 내구성을 저해하는 기계적 구속 없이 장기간에 걸쳐 콘크리트체에 점착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모르타르 층이 유리판의 양 측면 상에 부착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제품 건축 부재는 마치 유리판의 양측에 배정되는 2개의 표면들 사이의 접합 층 및/또는 밀봉 층으로서 마련된 것과 같은데, 그와 같이 유리판의 양측에 배정되는 2개의 표면들은 반제품 건축 부재의 양 접합 모르타르 층과 접촉하게 된다. 2개의 접합 모르타르 층을 구비하는 그러한 반제품 건축 부재는 2개의 표면들 사이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그러한 반제품 건축 부재가 콘크리트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과의 사이에 밀봉 요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 경우에 개개의 반제품 건축 부재들 사이에 생기는 이음매는 그 이음매에 끼워 넣어지는 반제품 건축 부재의 스트립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들에 파단 도시된 반제품 건축 부재(1)는 표면(2)을 피복하는 데에 적합한 것이다. 평탄한 표면 또는 만곡된 표면이 피복 대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콘크리트 벽(3) 및 강철 벽에 속할 수 있는 평탄한 표면(2)만을 다루기로 한다. 만곡된 표면을 피복 대상으로 하는 경우, 반제품 건축 부재(1)도 역시 그 표면에 상응하게 만곡된다.
반제품 건축 부재(1)는 그 기본 구성에 있어서 유리판(4)과 접합 모르타르 층(5)으로 이루어진다. 접합 모르타르 층(5)은 특정하게 구성되는데, 특히 청구항 1 및 그 접합 모르타르 층에 관한 후속 청구항들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접합 모르타르는, 그 중에 함유되는 폴리아트릴산 유도체의 분율 및 접합 모르타르 층의 두께에 의해, 접합 모르타르 층(5)이 균열 없이 유리판(4)의 열팽창에 참여하고, 표면(2)이 속한 건축재(3)와 유리판(4)과의 사이의 상이한 열팽창이 보상되도록 조절된다.

Claims (14)

  1. 표면 피복용으로 적합한 반제품 건축 부재로서,
    유리판과 그 유리판의 일측면 상의 접합 모르타르 층으로 이루어지고, 접합 모르타르 층은 미립의 중성 쇄석과 시멘트로 조성되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과 혼합되며,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0 ℃ 미만의 섭씨 온도에서 최대로 되는, 독일 공업 규격(DIN) 53445에 따라 규정된 대수 함수적 감쇠율을 나타내고, 접합 모르타르는 수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유리판 상에 응고되며, 배합되어 응고된 콘크리트와 접합 모르타르와의 접촉에 의해, 또는 소위 타일 접착제에 의해 피복 대상 표면과 접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용 반제품 건축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두께는 4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리판은 예비 장력이 인가된 유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리판은 부유 유리판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합 모르타르 층의 층 두께는 2 내지 7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합 모르타르는 입자의 크기가 0.1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인 미립의 중성 쇄석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는 아크릴니트릴을 공중합 단위체로 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에 대한 아크릴니트릴 공중합 단위체의 분율은 2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은 폴리아크리산 유도체 50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0 중량%와, 수분 3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합 모르타르는 다음의 혼합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미립의 중성 쇄석: 10 내지 40 중량%
    시멘트: 10 내지 40 중량%
    폴리아크리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 10 내지 40 중량%.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합 모르타르는 바람직직하게는 미립의 중성 쇄석 25 내지 35 중량%, 시멘트 25 내지 35 중량%, 및 폴리이크릴산 유도체의 수성 분산물 25 내지 35 중량%의 혼합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리판 상의 접합 모르타르 층은 유리판의 열팽창에 균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편으로는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의 분율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그 층의 두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제품 건축 부재.
KR1019970707277A 1996-02-16 1997-02-13 표면피복용반제품건축부재 KR100287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5806.6 1996-02-16
DE19605806 1996-02-16
DE19632353A DE19632353A1 (de) 1996-02-16 1996-08-10 Halbzeug-Bauelement für die Verkleidung von Oberflächen
DE19632353.3 1996-08-10
PCT/EP1997/000656 WO1997030246A1 (de) 1996-02-16 1997-02-13 Halbzeug-bauelement für die verkleidung von oberflä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77A true KR19980703877A (ko) 1998-12-05
KR100287041B1 KR100287041B1 (ko) 2001-04-16

Family

ID=778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277A KR100287041B1 (ko) 1996-02-16 1997-02-13 표면피복용반제품건축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7041B1 (ko)
DE (2) DE19632353A1 (ko)
UA (1) UA43407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81B1 (ko) * 2006-08-30 2007-11-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수화팽윤성을 갖는 토목섬유점토차수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261B4 (de) * 1999-09-15 2004-02-05 Deutsche Amphibolin-Werke Von Robert Murjahn Gmbh & Co. Kg Verbund aus Betonträger und Glaskörper
DE10104347A1 (de) * 2001-02-01 2002-08-22 Karl Krueger Gmbh & Co Kg Vorgefertigtes, großformatiges, plattenförmiges Bauelement
FR2868799B1 (fr) 2004-04-07 2006-05-26 Saint Gobain Revetement mural en verre
DE102007016814B4 (de) 2007-04-05 2012-05-24 Hans Peter Böe Bauwerksverkleidung für eine Außenwand eines Bauwerkes, sowie Bauwerk und Bauwerksteil
DE102008027312A1 (de) 2008-06-07 2009-12-10 Kerapid Krüger und Schütte KG Plattenförmiges Bauelement
DE102010043758A1 (de) 2010-11-11 2012-05-16 Institut für Fertigteiltechnik und Fertigbau Weimar e.V. Rohrförmig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1109659B4 (de) 2011-08-08 2016-07-14 Christian Bö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lbzeug-Bauelementes
DE102014103944A1 (de) 2014-03-21 2015-09-24 Hans Peter Böe Halbzeug-Bauelement, Bauwerksverkleidung und Verfahren zum Verkleiden einer Außenwand eines Gebäudes
DE102015100577B4 (de) 2015-01-15 2020-01-02 Hans Peter Böe Verkleidungselement
DE102016001381A1 (de) * 2016-02-08 2017-08-10 Krd Coatings Gmbh Verbund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5039B2 (en) * 1979-05-10 1984-03-01 Stauffer Chemical Company Whey protein fortified acidic beverage
GB2107211B (en) * 1981-10-01 1985-05-30 Evode Ltd Metallic cladding of concrete and other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81B1 (ko) * 2006-08-30 2007-11-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수화팽윤성을 갖는 토목섬유점토차수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32353A1 (de) 1997-08-21
DE59604296D1 (de) 2000-03-02
KR100287041B1 (ko) 2001-04-16
UA43407C2 (uk)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4740B2 (en) Semi-finished surface-cladding component
KR100287041B1 (ko) 표면피복용반제품건축부재
FI82944C (fi) Sprickbestaendig belaeggning, foerfarande foer belaeggning av murade konstruktioner och blandning foer anvaendning vid en belaeggning.
EP3233752B1 (en) Multicomponent adhesive system and its use as adhesive in building and construction
JP2008511470A (ja) 保護コーティング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ES2176105A1 (es) Producto polivalente, aislante, antivibratorio, adhesivo y resistente el fuego para diferentes sectores industriales, especialmente para la construccion.
KR102152373B1 (ko) 표면강화 피복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 단열 흡음 패널
KR1019220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방법
KR101960639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단열 시트복합 방수공법
WO2010050832A1 (en) Universal two-component mortar
EP4001235B1 (en) Freeze protected water-based dispersion adhesive and use thereof
US20090306250A1 (en) 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ation
RU2153562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бет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облицовочной стеклянной плито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12376736A (zh) 一种新型防水建材
JPH06248713A (ja) 水溶性接着剤を利用した建材の積立て工法
JPH0978777A (ja) 防水被覆材及びこれを用いた防水被覆の構造
EP0442753A2 (en) Low temperature acrylic latex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aterproofing structures
JP2006274656A (ja) 下地用塗装金属板
JPH04239079A (ja) フレキシブルシート状耐火断熱粘着材及びその複合材並びに耐火・防火構造物
JPH0874389A (ja) 金属表面層を有する屋根材
JPS60138149A (ja) 建材用パネル
JPH04370186A (ja) 接着剤用混和材
PL181145B1 (pl) Konstrukcja budowlana z elementu betonowego oraz sposób wytwarzania konstrukcji budowlanej z elementu betonowego z co najmniej jedną osadzoną z przodu szybą
JPH01314155A (ja) 建築用材
JPH02217236A (ja) 積層板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