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197A -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197A
KR19980702197A KR1019970705592A KR19970705592A KR19980702197A KR 19980702197 A KR19980702197 A KR 19980702197A KR 1019970705592 A KR1019970705592 A KR 1019970705592A KR 19970705592 A KR19970705592 A KR 19970705592A KR 19980702197 A KR19980702197 A KR 1998070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woven fabric
vinyl monomer
hydrophilic viny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오쿠타니
유미 오오타
마사미 이케야마
지로오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마에다 카쯔노수케
도레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다 카쯔노수케, 도레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에다 카쯔노수케
Publication of KR1998070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D06M13/127Mono-aldehydes, e.g. formaldehyde; Monoke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32Urea, thiourea or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s; Urea-inclusion compounds; Dicyanamides; Carbodiimides; Guanidines, e.g. dicyandi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23Amino-aldehyde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쾌적한 착용감을 느끼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한 직편물에 대한 것이다. 또,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하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2%이하인 직편물에 대한 것이다. 또, 방축성도 가지는 직편물로 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다. 또,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한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하는 방법에 관한다.

Description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드레스셔츠, 내의, 스포츠웨어 등의 인체에 직접 닿거나, 운동시에 사용하는 의류에는, 착용시의 쾌적성이 요구되지만, 그 중에서도 흡습성은 쾌적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면이나 마와 같은 셀룰로오스섬유 100%로 이루어진 드레스셔츠, 내의, 스포츠웨어는 흡습성이 우수하지만, 쾌적성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종래의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드레스셔츠 등에서는 그러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오고 있다.
또, 셀룰로오스섬유 100%로 이루어진 의류는, 구김이 가기 쉽고, 세탁 후에 수축하기 쉽다라는 등의 결점을 가지며,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의 수법으로 개량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특개평 6-3463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기상(氣相)상태의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해서 셀룰로오스를 가교시키는 방법이나, 특개평 7-2075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섬유소반응형 수지로 수지가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가공을 행하면 방축성은 개선되지만, 거꾸로 흡습성이 저하한다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섬유는, 흡습성에서는 셀룰로오스섬유에 뒤떨어지지만, 방축성, 강도특성 등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섬유 보다 우수하다. 그래서,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의 양쪽의 결점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양자를 혼방 혹은 혼섬하는 등의 방법이 종래로부터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혼방 혹은 혼섬 등으로 해서 얻어진 직편물은, 셀룰로오스섬유 100%로 이루어진 직편물에 비하면 흡습성이 저하한 것이고, 폴리에스테르섬유 100%로 이루어진 직편물에 비하면 방축성이 저하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며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방축성,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직편물」이란, 직물, 편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한 실시예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5)을 뺀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직편물이다.
4<ΔMR≤14
이 직편물은, 종래의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 보다도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직물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편직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편직물의 다른 실시예는,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2%이하인 직편물이다.
이 직편물은, 종래의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 보다도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또 다른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로부터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을 뺀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직편물이다.
0.04×(100-x)<ΔMR≤0.14×(100-x)
여기서, x는 직편물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비율(중량%)를 나타낸다.
이 직편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방축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또 다른 한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직편물이다.
이 직편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방축성,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한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섬유에는, 면, 마,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를 골격으로서 이루어진 섬유가 이용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한 실시예는,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로서, 셀룰로오스섬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를 뺀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4<ΔMR≤14
이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에 있어서는 셀룰로오스섬유 이외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셀룰로오스섬유의 흡습성, 보온성 등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 실질적으로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는, 분자구성내에 중합성의 비닐기를 가지고, 또한 칼본산, 술폰산 등의 산성기 및/또는 그 염, 수산기, 아미드기 등의 친수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아크릴산 나트륨, 아크릴산 알루미늄, 아크릴산 아연, 아크릴산 칼슘, 아크릴산 마그네슘 등의 아크릴산 염류모노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타크릴산, 아릴알코올 아릴술폰산 나트륨, 아크릴아미드, 비닐술폰산 나트륨, 메타릴술폰산 나트륨, 스틸렌술폰산 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및/또는 그 나트륨염, 아릴술폰산 나트륨 등의 분자구조내에 술폰산 및/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모노머가,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상기한 친수성 비닐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이루어진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흡습성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된다.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모노머가 단섬유내부에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내부에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으로 우수한 흡습성의 내구성이 각별한 것이 되고, 또는 직편물의 감촉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 셀룰로오스섬유의 단섬유내부에 그라프트중합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절편(切片)염색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절편염색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파라핀으로 포매(包埋)한 섬유다발을 섬유축에 수직방향으로 절단하고, 절편을 작성한다. 이 절편을 유기용매 등으로 탈포매(脫包埋)한 후, 적절한 염료(예를 들면 염기성 염료)를 이용해서 염색하고, 물로 세정한다. 이것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단섬유내부까지 그라프트중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직편물에 대한 반응율은, 직편물의 감촉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우수한 흡습성을 얻는 관점에서, 1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중량%이상 17중량%이하인 것은 보다 바람직하고, 6중량%이상 15중량%이하인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반응율이란, 직편물이 그라프트중합에 의해 증가한 중량의 비율(중량%)인 것을 말하고, 100×[(그라프트중합을 한 후의 직편물의 절건(絶乾)중량-(그라프트중합을 하기 전의 직편물의 절건중량)]/(그라프트중합을 하기 전의 절건중량)으로부터 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는, 표준적인 환경하에서의 의복이 가진 흡습성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고,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는, 가볍게 운동한 후의 의복이 가진 흡습성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기 위해, ΔMR이 4<ΔMR≤14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를 그라프트중합하고 있지않은 셀룰로오스섬유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직편물의 ΔMR은 3.6∼4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흡습성이 특히 우수하므로, 드레스셔츠, 내의, 스포츠웨어 등의 인체에 직접적으로 닿거나, 땀발생량이 많을 때에 착용하도록 하는 의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드레스셔츠란, 와이셔츠, 세미셔츠, 커터셔츠, 스쿨셔츠, 일반작업셔츠, 서비스셔츠, 셔츠브라우스, 오버브라우스, T셔츠, 니트셔츠, 노타이셔츠, 알로하셔츠, 폴로셔츠 등을 포함한다.
또, 내의란, 팬츠, 언더셔츠, 쇼트,롱팬츠, 잠방이, 브리프, 서니터리셔츠, 스캔티, 런닝셔츠, 속바지, 슬립, 슈미즈, 페티코트, 케미솔, 패니에, 브래지어, 거들, 웨스트니퍼, 카터벨트, 레오타드, 오버올, 롱퍼스, 기저귀커버용 직편물외에, 슬랙스 등 직접 피부에 닿는 것도 포함한다.
또, 스포츠웨어란, 트래판, 트레셔츠, 체육복, 죠킹복, 웜업, 런닝팬츠, 테니스복, 야구복, 소프트볼복, 배구복, 농구복, 골프점퍼, 골프블루종, 아노락, 스노우웨어, 마운틴웨어, 윈드브레이커, 판초, 스키아루터, 스키팬츠, 스키바지, 스키핀스텔, 경영수착용 직편물, 스쿨수착용 직편물, 유영수착용 직편물, 비치웨어용 직편물, 마린웨어용 직편물, 웨트슈트용 직편물, 피싱웨어용 직편물, 파이더웨어용 직편물 등을 포함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이용해서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함으로써, 흡습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정시간 침지하는 방법이나 패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함친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온에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개시제로는 라디칼중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과황산암모늄, 과산화벤조일 등의 과산화물, 아조계 촉매, 세륨촉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중에 있어서의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10종류%이상 30중량%이하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13중량%이상 27중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중량%이상 25중량%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중에 있어서의 중합개시제의 농도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반응을 효율적으로 해하기 위한 관점에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에 대해서 1중량%이상 5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이상 4중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의 강도물성저하를 제어하고, 또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는 6이상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H가 7이상 11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방법에서는, 함침처리후, 열처리를 행하지만, 이 열처리는 그라프트중합반응을 행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여기서의 열처리는, 건열처리, 습열처리 등 특히 한정되지않고 채용할 수 있다.
이 그라프트중합을 행하기위한 열처리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80℃이상 200℃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단계 또는 2단계이상에서 열처리를 행한다. 열처리시간은, 목적으로 하는 그라프트반응율과의 관계에서 열처리온도를 감안해서 정해지지만, 20초이상 5분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열처리를 행한 후, 직편물에 부착하고 있는 미반응 모노머나, 셀룰로오스에 그라프트중합하지 않은 폴리머를 제거하기위해 세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찬물 세정, 더운물 세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행할 수 있지만, 세정효율 등의 관점에서 더운물 세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직편물은, 종래의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보다 높은 흡습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직편물의 다른 실시예는,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공유하므로,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2%이하인 직편물로 하는 것이다.
세탁수축율이 2%이하를 넘는 경우는 세탁한 후의 형태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된다.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것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세탁수축율이란, JIS L1042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값, 혹은, 이것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 JIS L1042에 의한 방법에서 세탁시험기나 처리조건 등을 변경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은,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이용해서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그라프트중합가공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해서 얻을 수 있다.
셀룰로오스섬유의 가교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섬유소반응형 수지로 직편물을 처리하는 방법, 혹은 직편물을 포름알데히드증기에 쬐이고, 촉매의 존재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소반응형 수지란, 디메티롤에틸렌요소, 디메티롤우론, 디메티롤트리아존, 디메티롤프로필렌요소,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 등을 말한다.
섬유소반응형 수지로 직편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수지의 수용액을 촉매와 함께 직편물에 패딩 등으로 부여한 후,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 열처리의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가교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80℃이상 200℃이하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촉매로서는 염화마그네슘 등의 무기금속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포름알데히드증기는, 포름알데히드수용액이나 파라포름알데히드 등을 가열하는 것으로 증발시켜 얻을 수 있다. 이 포름알데히드증기에 직편물을 쬐인 후의 열처리는 가교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하고, 또 안전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60℃이상 160℃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촉매로서는 황산, 아황산 등의 산성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직편물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방축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MR1(%)을 뺀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직편물로 하는 것이다.
0.04×(100-x)<ΔMR≤0.14×(100-x)
여기에서, x는 직편물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비율(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섬유에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의 섬유형성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가 이용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중합체에는 호모폴리머만이 아니라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이 실시예 직편물은,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혼방 혹은 혼섬한 실을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이지만,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 직편물은, 세룰로스섬유에는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하고 있으므로 높은 흡습성이 발현되고, 한편 소수성의 폴리에스테르섬유에는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지 않고, 폴리에스테르섬유본래의 특징인 방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섬유에는 친수성 비닐모노머가 단섬유 내부에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내부에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으로 우수한 흡습성의 내구성이 각별한 것이 되고, 또한 직편물의 감촉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 직편물은,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혼방 혹은 혼섬한 실을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고, 이어서 세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직편물의 또 다른 한 실시예는, 우수한 흡습성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방축성,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직편물로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직편물로 하는 것이다.
이 직편물은,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혼방 혹은 혼섬한 실을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이지만,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이루어지고, 또, JIS L1042에 의한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것이다.
이 직편물은, JIS L1042에 의한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세탁수축율이 1%를 넘는 경우는 세탁한 후의 형태안정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세탁수축율이 0.5%이하인 것은 바람직하다.
이 직편물은,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혼방 혹은 혼섬한 실을 사용해서 직성, 편성 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직물이나 편물 등의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에 열처리하고 다음으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실시예 중의 각 특성값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구했다.
(1) 흡습성
흡습율은, 직편물의 절건중량과, 온도 20℃, 습도 65% 혹은 온도 30℃, 습도 90%의 분위기하, 항온항습기속에 24시간방치한 후의 직편물의 중량과의 중량변화에서, 다음 식에 의해 구했다.
흡습율(%)=100×[(일정온도, 습도하에 방치후의 직편물의 중량)-(직편물의 절건중량)]/(직편물의 절건중량)
상기한 식에 의해 구한 온도 20℃, 습도 65%의 조건하에서의 흡습율 MR1과, 온도 30℃, 습도 90%의 조건하에서의 흡습율 MR2에서, 다음 식에 의해 ΔMR을 산출했다.
ΔMR=MR2-MR1
(2) 반응율
반응율은, 그라프트중합을 행하기 전의 직편물의 절건중량과, 그라프트중합을 행한 후의 직편물의 절건중량에서, 다음 식에 의해 산출했다.
반응율(%)=100×[(그라프트중합을 한 후의 절건중량)-(그라프트중합을 하기전의 직편물의 절건중량)]/(그라프트중합을 하기전의 직편물의 절건중량)
(3) 쾌적성
직접 피부에 닿도록 와이셔츠를 착용하고, 관능테스트를 행하였다.
(4) 수축율
JIS L1042에 기재된 세탁수의 수축율(%)를 측정함으로써 구했다.
(실시예1)
면100%의 45번수의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에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115개/inch, 위밀도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0g을, 20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직물에 대한, 모노머의 반응율은 15%였다. 이 직물을 이용해서 봉제를 행하고 와이셔츠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셔츠는 ΔMR이 14%였다. 이 와이셔츠는 착용했을 때에 쾌적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대신에 메타크릴산메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와이셔츠는, ΔMR이 3.2%였다. 이 와이셔츠는 착용했을 때에 땀이 베어있는 느낌이 드는 것이었다.
(비교예2)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및 과황산암모늄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와이셔츠는, ΔMR이 3.6%였다. 이 와이셔츠는 착용했을 때에 실시예1에 비해서 쾌적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3)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 100%의 45번수의 방적사를 이용해서 평직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얻어진 와이셔츠는 ΔMR이 0%였다. 이 와이셔츠는 착용했을 때에 땀이 베어 있는 느낌이 드는 것이었다.
(실시예2)
면100%로 이루어진 45번수의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에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10g을, 2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은 14%였다. 이 그라프트중합가공의 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6수화물을 2%포함하는 수용액을 패딩에 의해 부여했다. 그 후 이 직물을 150℃에서 3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12%, 수축율이 0.8%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방축성에도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3)
면섬유100%로 이루어진 45번수의 방적사를 이용해서 36게이지로 하프트리코트로 짰다.
이 편물 10g을, 20g의 아크릴산 나트륨과 0.4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7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80℃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8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아크릴산 나트륨의 반응율은 10%였다. 이 그라프트중합가공후, 밀폐한 반응기 안에서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발생시킨 포름알데히드증기에 5분간 쬐였다. 다음에 반응기에 아황산가스를 유입해서 직물을 쬐인 후, 140℃에서 3분간 열처리해서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얻어진 편물은 ΔMR이 10%, 수축율이 1.5%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방축성에도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4∼7)
친수성 비닐계 노노머의 종류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8∼11)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핵의 pH를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율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2∼15)
수용액중의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6∼19)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에 대한 중합개시제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0∼23)
그라프트중합가공에 있어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4∼27)
면섬유의 가교반응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8∼31)
면섬유의 가교반응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7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언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32)
면100%로 이루어진 45번수의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에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10g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을 2% 포함하는 수용액을 패딩에 의해 부여했다. 그 후 이 직물을 150℃에서 3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이 가교반응을 행한 후, 2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 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은 15%였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12%, 수축율이 0.9%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방축성에도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33)
면 100%로 이루어진 45번수의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g,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6수화물을 2g 포함하고, 또한 15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g(pH8로 조정)에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11%, 수축율이 1.2%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방축에도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4)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및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3.4%, 수축율이 0.9%였다.
(비교예5)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대신에 메타크릴산메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3%, 수축율이 1%였다.
(실시에34)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50중량%, 면 50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2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 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건조후, 얻어진 직물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이 8%, ΔMR이 5%, 수축율이 2%였다. 이 직물은, 면 100%와 동등 혹은 면을 넘는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35)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65중량%, 면 35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이용해서 36게이지로 하프트리코트로 짰다.
이 편물 10g을, 20g의 아크릴산 나트륨과 0.4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7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80℃에서 20초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8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얻어진 편물은 아크릴산나트륨의 반응율이 4%, ΔMR이 3%, 수축율이 2%였다. 이 편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36∼38)
폴리에스테르섬유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8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39∼42)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종류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9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43∼46)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0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47∼50)
수용액중의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1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51∼54)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에 대한 중합개시제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2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55∼58)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이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3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교예6)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대신에 메타크릴산 메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반응율이 6%, ΔMR이 1.5%, 수축율이 2.5%였다. 이 직물은 흡습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7)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과황산아모늄을 이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2%, 수축율이 3%였다. 이 직물은 흡습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59)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50중량%, 면 50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2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항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은 8%였다. 이 그라프트중합가공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을 2%함유하는 수용액을 패딩에 의해 부여했다. 그후 이 직물을 150℃에서 3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4%, 수축율이 0.3%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방축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60)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65중량%, 면 35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다음으로 이 방적사를 이용해서 36게이지로 하프트리코트로 짰다.
이 편물 10g을 20g의 아크릴산 나트륨과 0.4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7로 조정)에 하침처리한 후, 180℃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8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아크릴산나트륨의 반응율은 4%였다. 이 그라프트중합가공의 후, 밀폐한 반응기속에서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발생시킨 포름알데히드증기로 5분간 쬐였다. 다음에 반응기에 아황산가스를 유입해서 직물을 쬐인 후, 140℃에서 3분간 열처리해서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얻어진 편물은 ΔMR이 2.6%, 수축율이 0.5%였다. 이 편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방축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61∼63)
폴리에스테르섬유의 혼합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4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64∼67)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종류를 변경한 것이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5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68∼71)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6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율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72∼75)
수용액 속의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7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76∼79)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8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80∼83)
그라프트중합가공에 있어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19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84∼87)
면섬유의 가교반응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20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88∼91)
면섬유의 가교반응시의 열처리온도를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60과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21에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흡습성과 방축성을 가지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92)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50중량%, 면 50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을 2% 포함하는 수용액을 패딩에 의해 부여했다. 그 후 이 직물을 150℃에서 3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면섬유의 가교반응을 행했다. 이 가교반응을 행한 후, 20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이 8%였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4%, 수축율이 0.3%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방축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93)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50중량%, 면 50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에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g,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6수화물을 2g 포함하고, 또한 15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반응율이 8%였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4%, 수축율이 0.3%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방축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93)
폴리에스테르단섬유(단섬유섬도 0.17텍스, 커트길이 40㎜)와 면을 상법에 의해 혼방하고(혼합율:폴리에스테르 50중량%, 면 50중량%), 45번수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방적사를 경사 및 위사에 이용해서 평직물(경밀도 115개/inch, 위밀도 76개/inch)로 제직했다.
이 직물 10g을, 디메티롤디히드록시에틸렌요소를 6g, 촉매로서 염화마그네슘6수화물을 2g 포함하고, 또한 15g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과 0.6g의 과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수용액 100g(pH8로 조정)에 함침처리한 후, 16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후 60℃의 물로 세정을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가 3.7%, 수축율이 0.3%였다. 이 직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또한 방축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8)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및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1.5%, 수축율이 0.4%였다. 이 직물은 흡습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9)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대신에 메타크릴산 메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59와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직물은, ΔMR이 1.3%, 수축율이 0.4%였다. 이 직물은 흡습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 관한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은, 쾌적한 착용감을 느끼는 드레스셔츠, 내의, 스포츠웨어 등에 호적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은, 의류용도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직편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흡습성, 방축성, 형태안정성 등을 가지는 직편물을 제공할 수 있다.
친수성비닐계모노머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4 아크릴산 나트륨 10 7 0.8
실시예5 아릴술폰산 나트륨 12 9 0.8
실시예6 아릴알코올 7 5 0.6
실시예7 아크릴아미드 6 4.8 0.7
pH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8 5 10 10 0.8
실시예9 6 14 12 0.8
실시예10 12 14 12 0.8
실시예11 14 10 10 0.8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12 5 9 9 0.7
실시예13 10 13 11 0.8
실시예14 30 14 12 0.8
실시예15 35 10 10 0.8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16 0.5 8 9 0.7
실시예17 1 12 11 0.8
실시예18 5 14 12 0.8
실시예19 8 10 10 0.8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20 70 7 8 0.6
실시예21 80 12 11 0.8
실시예22 200 14 12 0.8
실시예23 210 9 9 0.7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24 70 14 13 1.4
실시예25 80 14 12 0.8
실시예26 200 14 12 0.8
실시예27 210 14 13 1.6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28 50 10 11 1.9
실시예29 60 10 10 1.5
실시예30 160 10 10 1.5
실시예31 170 10 11 1.8
폴리에스테르섬유혼합율(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36 10 14 12 3.5
실시예37 30 11 7 2.5
실시예38 85 2.5 2 1.2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39 아크릴산나트륨 5 3.5 2
실시예40 아릴술폰산나트륨 6 4 2
실시예41 아릴알코올 4 3 1.8
실시예42 아크릴아미드 3 2.4 1.7
pH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43 5 6 4 2
실시예44 6 8 5 2
실시예45 12 8 5 2
실시예46 14 6 4 2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47 5 5 3.6 2
실시예48 10 8 5 2
실시예49 30 8 5 2
실시예50 35 6 4.2 2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51 0.5 4 3 2
실시예52 1 8 5 2
실시예53 5 8 5 2
실시예54 8 6 4 2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55 70 3 2.5 1.8
실시예56 80 7 4.5 2
실시예57 200 8 5 2
실시예58 210 5 3.5 2.2
폴리에스테르섬유혼합율(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61 10 14 11 0.5
실시예62 30 11 6 0.4
실시예63 85 2.5 1.6 0.2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64 아크릴산나트륨 5 2.8 0.3
실시예65 아릴술폰산나트륨 6 3.6 0.3
실시예66 아릴알코올 4 2.6 0.3
실시예67 아크릴아미드 3 2.2 0.4
pH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68 5 6 3 0.3
실시예69 6 8 4 0.3
실시예70 12 8 4 0.3
실시예71 14 6 3 0.3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72 5 5 2.9 0.3
실시예73 10 8 4 0.3
실시예74 30 8 4 0.3
실시예75 35 6 3.5 0.3
농도(중량%)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76 0.5 3 2.4 0.2
실시예77 1 8 4 0.3
실시예78 5 8 4 0.3
실시예79 8 6 3 0.2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80 70 3 2.1 0.2
실시예81 80 7 3.8 0.3
실시예82 200 8 4 0.3
실시예83 210 5 3 0.3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84 70 8 4 0.8
실시예85 80 8 4 0.3
실시예86 200 8 4 0.3
실시예87 210 8 4 0.6
온도(℃) 반응율(%) ΔMR(%) 수축율(%)
실시예88 50 4 2.6 1.0
실시예89 60 4 2.6 0.5
실시예90 160 4 2.6 0.5
실시예91 170 4 2.6 0.9

Claims (40)

  1.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를 뺀 값으로 나타내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4<ΔMR≤1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직편물에 대한 반응율이 1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술폰산 및/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비닐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편물이 드레스셔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평물이 내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편물이 스포츠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편물이 셀룰로오스섬유 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8.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9. 제8항에 있어서,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를 뺀 값으로 나타내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4<ΔMR≤14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가, 섬유소반응형 수지 및/또는 포름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11.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2.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술폰산 및/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비닐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의 pH가 6이상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중에 있어서의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가 10중량%이상 3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개시제가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에 대해서 1중량%이상 5중량%이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온도가 80℃이상 2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편물이 실질적으로 셀룰로오스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를 섬유소반응형 수지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의 온도가 80℃이상 2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포름알데히드증기에 쬐이고, 촉매의 존재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의 온도가 60℃이상 16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23.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온도 30℃, 습도 90%에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를 뺀 값으로 나타내는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0.04×(100-x)<ΔMR≤0.14×(100-x)
    여기에서, x는 직편물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비율(중량%)를 나타낸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직편물에 대한 반응율이 1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술폰산 및/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비닐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26.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고, 또한, 세탁수축율이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온도 30℃, 습도 90%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2(%)에서 온도 20℃, 습도 65%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흡습율 MR1(%)를 뺀 값으로 나타내어진 ΔMR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0.04×(100-x)<ΔMR≤0.14×(100-x)
    여기에서, x는 직편물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비율(중량%)를 나타낸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가, 섬유소반응형 수지 및/또는 포름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29.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게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0. 폴리에스테르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직편물을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세정하는 그라프트중합가공공정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술폰산 및/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비닐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의 pH가 6이상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3.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중에 있어서의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의 농도가 10중량%이상 3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4.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개시제가 상기한 친수성 비닐계모노머에 대해서 1중량%이상 5중량%이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5.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온도가 80℃이상 2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를 섬유소반응형 수지의 함침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의 온도가 80℃이상 2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를 포름알데히드증기에 쬐이고, 촉매의 존재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의 온도가 60℃이상 16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의 제조방법.
  40. 제1항, 제8항, 제23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룰로오스섬유의 단섬유내부에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그라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KR1019970705592A 1995-12-18 1995-12-18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80702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2597 WO1997022745A1 (fr) 1995-12-18 1995-12-18 Articles tisses ou tricotes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97A true KR19980702197A (ko) 1998-07-15

Family

ID=1412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92A KR19980702197A (ko) 1995-12-18 1995-12-18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11718A4 (ko)
KR (1) KR19980702197A (ko)
WO (1) WO1997022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81B1 (ko) * 1998-03-26 2005-04-06 주식회사 새 한 스판덱스를 함유한 셀룰로스 섬유의 형태안정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4461B1 (en) * 1998-07-23 2001-04-10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odified hydrophobic textile product
KR100937086B1 (ko) * 2006-12-20 2010-01-15 주식회사 효성 형상기억성 폴리아미드 및 그를 이용한 형상기억성폴리아미드 원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500B2 (ja) * 1977-06-06 1985-05-22 カネボウ株式会社 繊維又はその構造物の処理法
JPH06346370A (ja) * 1993-05-31 1994-12-20 Unitika Ltd セルロース系繊維布帛またはその縫製品の加工方法
JP3282342B2 (ja) * 1994-01-12 2002-05-1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81B1 (ko) * 1998-03-26 2005-04-06 주식회사 새 한 스판덱스를 함유한 셀룰로스 섬유의 형태안정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1718A1 (en) 1997-12-10
WO1997022745A1 (fr) 1997-06-26
EP0811718A4 (en)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970B1 (en) Ionized performance fabric
US8074295B2 (en) Stretchable fabric suitable for swimwear applications
CN110541230A (zh) 一种吸湿、快干运动服面料及其制备方法
JP2001172866A (ja) 保温性に優れた吸湿発熱性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
JP3877064B2 (ja) 弾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1410B1 (ko) 고백도 고흡방습성 섬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702197A (ko)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JPS59116447A (ja) 木綿―アクリル系繊維混紡編織物
CN103122496A (zh) 一种吸湿性聚酯纤维、其织物及织物的用途
JP6408973B2 (ja) 脱水性に優れる編地
JPH09296335A (ja) 強力と洗濯収縮性の改善された難燃性布帛
JP3900894B2 (ja) 高吸湿保温性繊維構造物
JPH09209266A (ja)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311948B (ko)
CN1181794A (zh) 编织物及其制造方法
JP4366644B2 (ja) 形態安定性に優れたストレッチスパン繊維布帛及び繊維製品
JP4478860B2 (ja) 快適白衣及び快適予防衣
JP3757814B2 (ja) 婦人衣服
JP2920966B2 (ja) 衣料用織物
JP4032296B2 (ja) スポーツ衣料
JP3780624B2 (ja) 吸湿性・消臭性織編物
JPH11172583A (ja) 吸湿性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JP2003183954A (ja) 清涼編地
JP4032295B2 (ja) ユニフォーム
JPH03130416A (ja) 芯鞘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