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849A -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와 블록체 및 핸드홀 또는 맨홀 - Google Patents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와 블록체 및 핸드홀 또는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849A
KR19980086849A KR1019980016390A KR19980016390A KR19980086849A KR 19980086849 A KR19980086849 A KR 19980086849A KR 1019980016390 A KR1019980016390 A KR 1019980016390A KR 19980016390 A KR19980016390 A KR 19980016390A KR 19980086849 A KR19980086849 A KR 1998008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nhole
handhole
tubular body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407B1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마츠츠
야스히로 기꾸모리
Original Assignee
오오마츠 세이이치
도오따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마츠 세이이치, 도오따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마츠 세이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8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4Shaft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Abstract

벨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된 관체와, 이와같은 관체를 사용하여 그 개구부에 관체를 연결한 핸드홀 또는 맨홀과, 핸드홀 또는 맨홀에 대해 보다 쉽게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관로를 형성할 수 있는 블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핸드홀 또는 맨홀(H)의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는 관체를 사용한다. 또한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을 번갈아 배치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을 상기 개구단(a)쪽의 우측의 경계부분(5) 또는 그 근처에서 절단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관체(1)의 길이가 핸드홀 또는 맨홀(H)의 벽 두께(t)보다도 길게 형성되어있는 관체와, 이 관체(1)의 개구단(a)쪽 부분의 외주면과 감합하는 분할된 2개의 단위블록체(10a)(10b)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블록체와, 상기 관체(1)의 절단단면(b)은 핸드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타단측부분(c)은 외측으로 돌출하며 파이프접속공(h)안에서 충진된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제(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되어있는 핸드홀 또는 맨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와 블록체 및 핸드홀 또는 맨홀
본 발명은 지중에 전선관로를 매설하여 형성하기 위한 전선의 중계지(中繼地)로서 사용되는 핸드홀 또는 맨홀과, 이 핸드홀 또는 맨홀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종류의 핸드홀 또는 맨홀 등의 전선의 중계지(다음 이를 대표하여 핸드홀 이라함)에 관체를 접속연결하여 전선관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핸드홀에 대해 접속하는 관체의 개구부에 별도로 형성한 헬마우스라고 불리우는 테이퍼통형상의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이 헬마우스를 관체의 개구단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헬마우스를 관체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연결시키지 않으면 관체내로 전선을 삽통할 때에 관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분에 전선이 접촉하여 저항이 증대하기 때문에 관체내로 전선을 삽통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체와는 별도로 헬마우스를 제조하여 사용현장으로 운반해 두어야 하고 또한 이 헬마우스를 관체의 개구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헬마우스를 사용한 관로형성수단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헬마우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한 관체와, 이와같은 관체를 사용하여 그 개구부에 관체를 연결한 핸드홀과, 핸드홀에 대해 한층 더 용이하게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의 구성은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하고,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을 상기 개구단(a)의 우측 경계부분(5) 또는 그 근처에서 절단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관체로서 이 관체(1)의 길이가 핸드홀(H)의 벽두께(t)보다도 길게 형성되어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관체에 사용하는 블록체(10)의 구성은 상기한 관체(1)의 개구단(a)쪽부분의 외주면과 감합하는 사각형 요입부(22)와 원형요입부(23)가 이 요입부의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며, 이 블록체(10)가 이 요입부(21)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단위블록체(10a)(10b)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 핸드홀의 구성은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과의 경계부분을 상기 개구단(a)의 우측 경계부분(5) 또는 그 근체에서 절단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관체(1)의 절단단면(b)이 핸드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이 관체(1)의 타단측부분(c)이 핸드홀(H)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이 절단단면(b)에 이어지는 관벽의 외주면이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내에 이 접속공(h)에 충진된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재(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되는 구성을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관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관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관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사시도.
도 9는 도 7, 도 8의 관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관체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관체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평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체 2: 단면사각형벽
2a: 주벽부분 3: 단면원형벽
4: 측벽 9
부분 5: 경계부분
10: 블록체 10a: 단위블록체
10b: 단위블록체 10f: 한쪽면
21: 요입부 22: 사각형 요입부
23: 원형요입부 a: 한쪽의 개구단
b: 절단단면 c: 타단측 부분
H: 핸드홀 h: 핸드홀의 파이프접속공
t: 핸드홀의 벽두께 f: 핸드홀의 내벽면
M: 충진경화재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상기 접속관체를 실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관체(1)의 절단단면(b)이 블록체(10)의 한쪽면(10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이 관체(1)의 타단측 부분(c)이 이 블록체(10)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블록체(10)가 관체(1)에 고정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블록체(10)를 관체(1)에 일체적으로 고착시켜도 좋고, 별도로 형성한 2개로 분할된 형상의 블록체(10a)(10b)를 관체(1)에 끼워넣도록 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블록체(10)는 여러개의 관체(1)를 병렬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연결공이 늘어서 배치되어있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상기 핸드홀을 실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을 상기 개구단(a)의 우측 경계부분(5)에서 절단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관체(1)에서 그 절단단면(b)은 블록체(10)의 한쪽의 면(10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관체(1)의 타단측부분(c)은 이 블록체(10)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이 상태로 고정되는 관체(1)가 고정될 때 절단단면(b)이 핸드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으로 배치되고, 관체(1)의 타단측부분(c)이 핸드홀(H)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배치되며, 이 블록체(10)의 외주면은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내에서 이 접속공(h)에 충진된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재(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되는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면중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형상을 도시한 것, 도 3 및 도 4는 그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 도 5는 도 2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 도 6은 관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관체(1)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중계지로서 사용되는 핸드홀(H)이나 맨홀의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합성수지제의 관체이다. 이 관체(1)는 단면형상을 대략 정사각형모양으로 하고 있는 사각형벽(2)부분과 단면형상을 대략 둥근형상으로 하고 있는 원형벽(3)부분을 관체의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하고 있는 관체로서, 이 관체(1)의 한쪽의 개구단(a)쪽(도 1, 도 2에서 왼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그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을 상기 개구단(a)쪽의 우측 경계부분(5)에서 절단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관체(1)의 길이를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핸드홀(H)의 벽두께(t)의 약 3배정도의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절단개소는 상기 개구단(a)쪽우측의 경계부분(5)을 따르는 곳이나 이 개소에서 사각형벽 주벽부분(2a)의 관축방향의 대략 중간부분까지의 개소에서 절단한 것으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한 관체(1)를 전선관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드홀(H)에 접속시켜 사용한다. 이 사용수단의 하나는 도 6과 같이 관체(1)의 한쪽의 개구단(a)쪽의 상기 절단단면(b)과 핸드홀(H)의 내벽면(f)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관체(1)를 배치하고, 타단측 부분(c)을 핸드홀(H)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하여 절단단면(b)에 연속하는 개구단(a)쪽의 부분을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내에 배치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관체(1)의 외주면과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의 내주면사이에 세멘트몰탈 등의 충진경화재(M)를 충진시켜 이 충진경화재(M)의 경화에 의해 핸드홀(H)에 대해 관체(1)를 수밀형상으로 고착시키는 것이다.
다시 언급하면 도 6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관체(1)의 외단측의 연장방향에 따로 관로(1A)를 부설하고, 양자간을 접속이음부(1B)로 연결하여 다음의 핸드홀까지의 사이에 일련의 관로를 형성시킨다.
다음에 설명하는 각 도면은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실시예는 2개의 관체(1)(1)를 횡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시킨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2개의 관체(1)(1)에서 각각의 절단단면(b)(b)과 합성수지소재로 대략 직사각형모양을 한 블록체(10)의 한쪽의 측면(10f)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각각의 관체(1)(1)의 타단측 부분(c)(c)이 이 블록체(10)의 다른쪽 측면(10g)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이 블록체(10)와 2개의 관체(1)(1)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고착시킨 것이다. 여기에 도시한 관체(1)는 2개를 일체화시킨 것이지만 이 관체(1)는 하나라도 좋고 3개이상의 것을 일체화한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관체(1)와 블록체(10)는 이상과 같이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고착시킨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8과 같이 블록체(10)의 구조를 예를들어 상하방향으로 나누고 있는 반분할형상의 단위블록체(10a)(10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이들 반분할형상의 단위블록체(10a)(10b)의 대향면(10c)사이에 연결하고자 하는 관체(1)의 개구단(a)쪽부분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사각형요입부(22)와 원형요입부(23)를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하고 있는 감합요입부(21)를 갖는 블록체(10)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감합요입부(21)는 2열병렬로 형성되고 있다. 이와같은 블록체(10)에 의해 분할된 2개의 단위블록체(10a)(10b)사이에 관체(1)(1)를 끼워넣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 경우 블록체(10)와 관체(1)를 고착시킬 필요가 있으면 접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도 7, 도 8과 같은 관체(1)와 블록체(1)를 고착 또는 고정한 관체를 핸드홀(H)에 연결한 상태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블록체(10)의 폭을 핸드홀(H)의 벽두께와 거의 같게 한 경우에 대해, 도 10은 블록체(10)의 폭을 핸드홀(H)의 벽두께보다도 좁게한 경우에 대해, 도 11은 블록체(10)의 폭을 핸드홀(H)의 벽두께보다도 넓은 폭의 것으로 한 경우에 대해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들의 경우도 관체(1)의 한쪽의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과 대략 일치하고있는 블록체(10)의 한쪽의 측면(10f)이 핸드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블록체(10)의 외주면을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내에서 이 접속공(h)에 충진시킨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재(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시키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모두 3개의 관체(1)(1)(1)를 하나의 블록체(10)에 의해 횡방향으로 배열연결시킨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것은 중앙위치에 길다란 관체(1)를 배치하고 양측에 짧은 관체(1)(1)를 배치시킨 것으로 이들 관체에 연장관로를 연결할 때 중앙의 관체의 연결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다른 관체의 연결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도 13의 것은 길이가 다른 3개의 관체(1)(1)(1)를 사용하여 위쪽의 관체를 가장 긴 것으로 하고 순서대로 짧은 관체를 배치시킨 것으로 아래쪽에 작업자가 있고 관로의 연결작업을 행할 경우에 위쪽의 관체에서 작업을 행하는 것에 의해 먼저 연결한 관로가 이어서 연결하는 관로의 연결작업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1)의 길이는 도시한 것과 같은 비교적 짧은 길이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긴 길이의 관체라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관체(1)의 소재는 내후성에 뛰어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수지나 폴리염화비닐수지제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의 합성수지소재를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또 원주방향으로 분할한 2개의 단위블록체는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요입부를 2등분하는 곳에서 분할할 필요는 없고, 관체(1)를 접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충분하다. 또 상하방향 여러단에 관체를 겹쳐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판단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 실시예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의 구성요건을 갖추고 또한 본 발명에 말하는 목적을 달성하며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는 관체의 형상을 단면사각형벽과 단면원형벽을 번갈아 배치시키는 구조로 하고, 핸드홀의 파이프접속공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쪽의 절단단면을 단면사각형벽을 형성하는 관축방향 양측의 측벽부분 중 개구단에서 벗어난 쪽의 측벽과 이 사각형벽을 형성하는 주벽부분의 경계부분이나 그 근처부분에서 절단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관체의 개구부 자체가 전선삽통시의 안내체를 구성하고, 단면원형벽 부분이 전선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관체내로 전선을 삽입하는 작업을 극히 원활하고 또한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별도로 형성해야만 하는 벨마우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홀과의 연결작업에 있어서 단순히 관체만을 반송하므로 벨마우스를 관체에 부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관체 그 자체가 단면사각형벽의 존재에 의해 극히 안정되고 또한 외관상 좋게 배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블록체는 상기 관체의 개구단쪽 부분의 외주면과 감합하는 사각형요입부와 원형요입부를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치시키는 블록체를 원주방향으로 분할한 2개의 단위블록체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곳의 요입부에 관체를 감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블록체에 의해 각각의 관체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항상 일정한 모양으로 안정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맨홀은 상기의 관체자체를 직접 또는 상기의 블록체를 통해 이 핸드홀의 파이프접속공안에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재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관체에서 벨마우스와 같은 부재가 낙하하거나 완만하게 흔들리거나 할 염려가 전혀 없고 특히 관체에 직접적으로 전선을 삽입하여 삽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삽입구나 삽통출구에 있어서 벨마우스의 부착을 위해 관지름이 국부적으로 작아지는 경우가 없어 적정 지름의 관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핸드홀 또는 맨홀(H)의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관체로서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의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으로서 상기 개구단(a)에서 떨어진 측의 경계부분(5)또는 그 근처에서 절단되고 또한 이 관체(1)의 길이가 핸드홀 또는 맨홀(H)의 벽두께(t)보다도 길게 형성되어있는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의 절단단면(b)이 블록체(10)의 한쪽면(10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이 관체(1)의 타단측 부분(c)이 이 블록체(10)의 다른쪽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상태로서 이 블록체(10)가 관체(1)에 고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
  3. 제 1항에 기재한 관체(1)의 개구단(a)쪽 부분의 외주면과 감합하는 사각형 요입부(22)와 원형요입부(23)가 이 요입부의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 블록체(10)로서, 이 블록체(10)가 이 요입부(21)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단위블록체(10a)(10b)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홀 또는 맨홀용 접속관체의 블록체.
  4.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과의 경계부분으로서 상기 개구단(a)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경계부분(5) 또는 그 근처에서 절단된 관체(1)는 그 절단단면(b)이 핸드홀 또는 맨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이 관체(1)의 타단측부분(c)이 핸드홀 또는 맨홀(H)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이 절단단면(b)에 이어지는 관벽의 외주면이 핸드홀 또는 맨홀(H)의 파이프접속공(h)안에서 이 접속공(h)에 충진된 세멘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제(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되어있는 접속관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홀 또는 맨홀.
  5. 축선방향으로 단면사각형벽(2)과 단면원형벽(3)이 번갈아 배치된 합성수지제 관체(1)의 한쪽의 개구단(a)쪽의 절단단면(b)은 단면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측벽부분(4)과 이 사각형벽(2)을 형성하는 주벽부분(2a)의 경계부분이고, 상기 개구단(a)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경계부분(5) 또는 그 근처에서 절단되는 관체(1)는 그 절단단면(b)이 블록체(10)의 한쪽면(10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관체(1)의 타단측부분(c)이 이 블록체(10)의 타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때 관체(1)가 고정될 때 절단단면(b)이 핸드홀 또는 맨홀(H)의 내벽면(f)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고, 이 관체(1)의 타단측 부분(c)이 핸드홀 또는 맨홀(H)의 외측으로 돌출하게되며, 이 블록체(10)의 외주면은 핸드홀 또는 맨홀(H)의 파이프접속공(h)안에서 이 접속공(h)에 충진된 세멘트몰탈·겔형상 수지 등의 충진경화재(M)에 의해 수밀형상으로 고착되는 접속관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홀 또는 맨홀.
KR10-1998-0016390A 1997-05-12 1998-05-08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KR10044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75897A JP3823276B2 (ja) 1997-05-12 1997-05-12 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用接続管体とブロック体及び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
JP97-137758 1997-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849A true KR19980086849A (ko) 1998-12-05
KR100449407B1 KR100449407B1 (ko) 2004-12-14

Family

ID=1520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390A KR100449407B1 (ko) 1997-05-12 1998-05-08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0369A (ko)
JP (1) JP3823276B2 (ko)
KR (1) KR100449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734B2 (ja) * 1998-09-25 2002-06-24 東拓工業株式会社 継手付き合成樹脂管
AU2413001A (en) * 1999-12-13 2001-06-18 Think Tank New Zealand Limited Improvements in the laying of a cable within a duct
JP5132423B2 (ja) * 2008-05-22 2013-01-30 昭男 荒井 貫通ダクト部材とその部材を用いた中空壁のダクト構造
ES2370581B1 (es) * 2009-10-19 2012-12-10 Rocama Paneles Estructurales, S.L. Paneles estructurales de hormigón armado, aplicables para su uso en todo tipo de edificaciones.
USD787649S1 (en) * 2016-01-28 2017-05-23 Prinsco, Inc. Webless corrugated dual wall foundation drain
US10428978B2 (en) 2016-01-29 2019-10-01 Prinsco, Inc. Webless corrugated dual wall foundation drain and related method
RU173402U1 (ru) * 2017-03-07 2017-08-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олимер-Групп" Кабельный колодец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9467A (en) * 1982-01-18 1984-09-04 The Cretex Companies, Inc. Manhole chimney seal
JPS61242228A (ja) * 1985-04-18 1986-10-28 Denki Koji Nishikawagumi:Kk 波付硬質ポリエチレン管布設用型枠とその布設工事法
DE3765511D1 (de) * 1986-10-09 1990-11-15 Kloeber Fa Hans Dacheindeckungsplatte.
US5299596A (en) * 1993-08-17 1994-04-05 Alessandro Nicholas D Sewer chimney system
JPH07127780A (ja) * 1993-11-02 1995-05-16 Shiro Kanao コルゲート螺旋管用継手と継手付きコルゲート螺旋管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継手付きコルゲート螺旋管への螺旋管の接続方法
US5496128A (en) * 1995-01-09 1996-03-05 Cretex Companies, Inc. Adjustable fastening band for a manhole chimney seal and method of using
JP3331376B2 (ja) * 1995-02-14 2002-10-07 金尾 茂樹 ケーブル保護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2867A (ja) 1998-12-04
US5950369A (en) 1999-09-14
JP3823276B2 (ja) 2006-09-20
KR100449407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628B1 (ko) 합성수지파형관
KR100381253B1 (ko)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JPH11266519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JPH0141874B2 (ko)
KR100449407B1 (ko)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US4342475A (en) Connector and adapter for duct systems for telephone cables and the like
KR840006521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543135B1 (ko) 호스클램핑구조
KR200348290Y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US3429343A (en) Multiple duct concrete pipe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31510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355148B1 (ko) 전기, 통신 케이블용 다공관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200261453Y1 (ko) 관로구용 나선관 밀폐구
KR970004492Y1 (ko) 인수공의 인입관 연결구
JP2001352651A (ja) 取付継手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路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850001099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접합 장치
KR20010084707A (ko)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