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707A -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707A
KR20010084707A KR1020000009917A KR20000009917A KR20010084707A KR 20010084707 A KR20010084707 A KR 20010084707A KR 1020000009917 A KR1020000009917 A KR 1020000009917A KR 20000009917 A KR20000009917 A KR 20000009917A KR 20010084707 A KR20010084707 A KR 2001008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pipes
porous
pipe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0000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707A/ko
Publication of KR2001008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7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을 서로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서로 대응하는 외부 파형관(11, 21) 및 다수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을 가지는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연결부위에,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내부 다발관(12, 22)에 형성된 중심공극(13, 23)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서로 맞닿아진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중심공극(13, 23)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하여서,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와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상기 위치고정부재(30)로서 정확히 일치되어서 연통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orous Pipes for Communication Line}
본발명은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을 서로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선로용 다공관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최근에 개발되어서 내부에 전화선이나 광케이블과 같이 독립적인 점유공간을 필요로 하는 통신선로 등을 수납하면서 보호하는 데 유용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이 통신선로용 다공관과 관련하여 제안한 것으로, 국내 특허출원 제1999-47976호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복수개의 안내관들이 원형 다발의 형상으로 묶여지는 내부 다발관부와, 역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굴곡 파형의 형상으로서 상기 내부 다발관부가 형성하는 외접원면의 외측에 덮여져서 형성되는 외부파형관부로 구성된" 통신선로용 다공관을 선출원한 바 있다.
이 통신선로용 다공관은 맨홀과 맨홀 사이에 연결 배관되어서, 내부 다발관부의 안내관들 내에 통신선을 각각 구분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하여서, 통신선에 대한 배선조건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통신선로용 다공관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 맨홀과 맨홀 사이의 거리를 길게 설계한 경우에는, 한정된 길이를 가지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이때, 양측에 배치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은 그 내부 다발관부들이 서로 정확히 일치되도록 배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후에 매설된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내부 다발관부 내에 통신선을 배선할 때에,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내부 다발관부들이 어긋나 있어 통신선을 배선하는 데 커다란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아에 통신선을 배선할 수 없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내부 다발관들 상호간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연결하여서, 통신선의 배선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3는 본발명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신선 10: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
11: 외부파형관 12: 내부다발관
13: 중심공극 14: 주변공극
20: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 21: 외부파형관
22: 내부다발관 23: 중심공극
24: 주변공극 30: 위치고정부재
31: 접지면 40: 보조위치고정부재
41: 바닥면 42: 양측의 접지면
50: 패킹 60a,60b: 고정링
70:커플링
본발명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는 도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외부 파형관(11, 21) 및 다수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을 가지는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연결부위에,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내부 다발관(12, 22)에 형성된 중심공극(13, 23)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서로 맞닿아진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중심공극(13, 23)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하여서,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와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상기 위치고정부재(30)로서 정확히 일치되어서 연통되도록 연결한 것이다.
본발명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방법은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작업위치에 서로 대응하는 외부 파형관(11, 21) 및 다수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을 가지는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어느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들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공극(13)에 위치고정부재(30)를 돌출되게 끼워서 설치하며,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중심공극(13)에 끼워져서 돌출된 위치고정부재(30)의 일부가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공극(23)에 끼워지도록 하여서,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들과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연결한 것이다.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을 연결한 후에는,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의 외면을 패킹(50)으로 감싸고, 그 외면을 다시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단부에 각각 결착된 고정링(60a, 60b)으로 감싸고 커플링(70)으로 체결하여서 밀실하게 접속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은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들과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상기 위치고정부재(30)로서 정확히 일치되어서 어긋남이 없이 연결되기 때문에, 이후에 연결 배관된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의 내부 다발관(12, 22)에 통신선(1)을 끼워서 배선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고정부재(3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면체의 형상으로서 각 면이 소정의 곡률로서 요입되는 복수개의 접지면(31)들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30)의 접지면(31)들은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발명에서는 도2 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연결부위에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의 외부 파형관(11, 21)과 내부 다발관(12, 22)들 사이의 주변공극(14, 24)들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형성된 복수개의 보조 위치고정부재(30)들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서로 서로 맞닿아진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주변공극(14, 24)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 위치고정부재(30)들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삼각형상으로서 만곡지게 돌출되는 바닥면(41)을 두고, 그 바닥면으로부터 경사면을 이루면서 소정의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양측의 접지면(42)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보조 위치고정부재(30)들은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각각의 외부 파형관(11, 21)과 내부 다발관(12, 22)들 사이의 주변공극(14, 24)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되어서,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각각의 내부 다발관(12, 22)들 상호간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도4 의 도시와 같이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각각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의 끝단부 내경이 빗경사면으로서 확경되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이 미세하게 어긋난 상태로 연결되더라도, 연결 배관된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의 내부 다발관(12, 22)들 내부에 통신선(1)을 끼워서 배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내부 다발관들을 정확히 연결시켜 주어서, 통신선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서로 대응하는 외부 파형관(11, 21) 및 다수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을 가지는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연결부위에,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내부 다발관(12, 22)에 형성된 중심공극(13, 23)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서로 맞닿아진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중심공극(13, 23)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하여서,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와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상기 위치고정부재(30)로서 정확히 일치되어서 연통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2. 해당 작업위치에 서로 대응하는 외부 파형관(11, 21) 및 다수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을 가지는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어느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들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공극(13)에 위치고정부재(30)를 돌출되게 끼워서 설치하며,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중심공극(13)에 끼워져서 돌출된 위치고정부재(30)의 일부가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공극(23)에 끼워지도록 하여서, 일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의 내부 다발관(12)들과 타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20)의 내부 다발관(22)들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3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면체의 형상으로서 각 면이 소정의 곡률로서 요입되는 복수개의 접지면(31)들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연결부위에 그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들의 외부 파형관(11, 21)과 내부 다발관(12, 22)들 사이의 주변공극(14, 24)들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형성된 복수개의 보조 위치고정부재(30)들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서로 서로 맞닿아진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의 주변공극(14, 24)에 걸쳐지도록 삽입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위치고정부재(30)들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삼각형상으로서 만곡지게 돌출되는 바닥면(41)을 두고, 그 바닥면으로부터 경사면을 이루면서 소정의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양측의 접지면(42)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통신선로용 다공관(10, 20)들 각각의 내부 다발관(12, 22)들의 끝단부 내경이 빗경사면으로서 확경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KR1020000009917A 2000-02-28 2000-02-28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KR20010084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917A KR20010084707A (ko) 2000-02-28 2000-02-28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917A KR20010084707A (ko) 2000-02-28 2000-02-28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707A true KR20010084707A (ko) 2001-09-06

Family

ID=1965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917A KR20010084707A (ko) 2000-02-28 2000-02-28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7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538A1 (ko) * 2012-03-14 2013-09-19 유토피아 정보기술 주식회사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CN107528266A (zh) * 2017-10-07 2017-12-29 江苏捷通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多层电力管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538A1 (ko) * 2012-03-14 2013-09-19 유토피아 정보기술 주식회사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CN107528266A (zh) * 2017-10-07 2017-12-29 江苏捷通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多层电力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628B1 (ko) 합성수지파형관
KR100959242B1 (ko)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KR20010084707A (ko)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KR200489098Y1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US20050134041A1 (en) Structure for pipe connector, and pipe joint
KR100449407B1 (ko)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JPH11270765A (ja) 波形管
KR20110000206U (ko) 광섬유 보호 튜브관
JP2020054099A (ja) 配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の接続方法
JP4157350B2 (ja) 管継手
JPH1141772A (ja) 通信ケーブル保護管
JP4432005B2 (ja) 管継手
JP2002078174A (ja) 小型ダクトスリーブ
KR20010005463A (ko) 통신선로용 다공관
CN218719557U (zh) 一种液压软管连接结构
JP2505915Y2 (ja) 多孔管の継手構造
JP3217026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方法
JP2006074856A (ja) 多孔管路用曲がりユニット
KR100284839B1 (ko) 다중 내관 일체형 광케이블 덕트(보호관)
KR102053210B1 (ko) 다중 케이블 연결 클램프
KR20000004710U (ko) 광케이블 매설관
JPH112370A (ja) ケーブル敷設用管及びその管の連結構造
CN101688958A (zh) 线缆、网络以及该线缆的用途
JP2005062261A (ja) 光パイプケーブル及び分岐部材並びに光パイプケーブル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