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253B1 -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 Google Patents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253B1
KR100381253B1 KR10-1998-0023566A KR19980023566A KR100381253B1 KR 100381253 B1 KR100381253 B1 KR 100381253B1 KR 19980023566 A KR19980023566 A KR 19980023566A KR 100381253 B1 KR100381253 B1 KR 10038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tube
bell mouse
opening
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37A (ko
Inventor
히라유키 아마츠즈
Original Assignee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1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3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나선요철파형관의 개구부에 대한 벨마우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벽의 형상이 환상요철파형관의 개구부에 대해 빠지지 않도록 부착되어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벨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벨마우스의 통형상부(1)는 그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제 1돌기(21)와, 이 제 1돌기(21)와는 축선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위상을 갖는 곳에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 2돌기(22)를 갖추고, 이들 제 1 및 제 2 돌기(21)(22)는 벨형상 개구부(3)쪽이 급한 각도면(2a)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개구부(4)쪽이 완만한 경사면(2b)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 1돌기(21)에 대한 제 2돌기(22)의 축선방향의 위상간격(w)이 상기 환상요철파형관(P)에서의 소경부(32)의 내면부 축선방향의 폭(W)에 대해 w≤W의 관계가 되고, 원주방향의 위상각(r)이 제 1돌기(21) 간격의 대략 2분의 1이 되는 원주각으로 되어있다.

Description

환상요철파형관용 벨마우스
본 발명은 지중에 전선관로를 매설하여 형성하기 위한 전선이나 전화선의 중계지로 사용되는 핸드홀 또는 맨홀 등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관체의 개구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벨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종류의 핸드홀 또는 맨홀 등의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중계지(다음 이들을 대표하여 핸드홀 도는 맨홀 등이라함)의 파이프 접속공에 접속하여 전선관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관체의 개구부에 일반적으로 일단을 테이퍼 통형상으로 형성한 부재(벨마우스)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이 부재를 관로내부로 전선삽통시에 관체개구부의 보호와 전선의 원활한 안내용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핸드홀 등에 접속하여 사용되고 있는 관체는 나선요철파형관이며 이 나선요철의 관체개구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벨마우스는 이미 알려져 통용되고 있다. 이 벨마우스는 관체의 나선요철과 나합하는 나선요철부분이 통형상부에 형성되어있고 나선관체에 대해 벨마우스를 나선형상으로 돌리면서 이 나선요철부분을 관체의 나선에 추가하여 삽입시킴으로써 관체의 개구부에 삽입고정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와같이 관체가 나선요철파형관인 경우에는 벨마우스의 구조도 관체의 나선요철과 나합하는 나선요철부분을 갖는 구조를 함으로써 관체에 대해 비틀어 넣어 빠지지 않도록 강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관체가 나선요철관이 아닌 환상의 요철파형관인 경우에는 관체에 대해 비틀어 넣을 수 없기 때문에 빠지지 않도록 강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는 실시되지 않았다. 한편 관체에는 나선요철파형의 관체뿐만아니라 환상요철파형의 관체도 존재하여 당연히 이와같은 환상요철파형관을 핸드홀 등의 접속연결관으로서 사용하고자하는 요구도 크게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환상요철파형의 관체를 대상으로 하여 종래부터 존재하는 나선요철파형관의 개구부에 대한 벨마우스에 의한 보정수단과 마찬가지로 환상요철파형관의 개구부에 대해 빠지지 않도록 부착하여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벨마우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의 구성은 핸드홀 또는 맨홀(H)에 형성된 파이프접속공(h)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환상요철파형관(P)의 개구부(31)에삽입하여 사용하는 벨마우스로서 통형상부(1)는 그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 1돌기(21)와, 이 제 1돌기(21)와는 축선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위상한 갖는 곳에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 2돌기(22)를 갖추며, 이들 제 1 및 제 2돌기(21)(22)는 벨형상 개구부(3)측이 급한 각도면(2a)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개구부(4)측이 완만한 경사면(2b)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1 돌기(21)에 대한 제 2돌기(22)의 축선방향의 위상간격(w)이 상기 환상요철파형관(P)에서 소경부(32)의 내면축선방향의 폭(W)에 대해 w≤W의 관계가 되고 원주방향의 위상각(r)이 제 1돌기(21)간격의 약 2분의 1 원주각으로 된 구조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성으로 되며 그 실시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상기 제 1돌기(21)를 이 통형상부(1)의 둘레방향에서 한곳에만 형성한 경우에 상기 제 2돌기(22)의 제 1돌기(21)에 대한 원주방향의 위상각(r)은 제 1돌기(21)간격의 약 2분의 1 원주각, 즉 제 1돌기(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약 180도 위상한 곳에 배치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1돌기(21)를 이 통형상부(1)의 둘레방향에 있어 대향하는 2곳에 돌출형성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돌기(22)를 2개의 제 1돌기(21)(21)에 대해 각각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위상한 2곳에 배치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 1돌기(21)를 둘레방향에 있어 120도 각에 위상하는 3곳에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돌기(22)의 제 1돌기(21)에 대한 원주방향의 위상각(r)은 제 1돌기(21)의 각각에 대해 약 60도 각에 위상한 3곳에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 돌기에 대해서는 상기 제 1돌기(21)와 제 2돌기(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형상부(1)의 축선방향으로 다시 변위하여 형성된 제 3돌기(23)나 제 4돌기(24) 등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3돌기(23)의 원주방향위치는 제 1돌기(21)와 동일 제 4돌기(24)는 제 2돌기(22)와 대략 동일 위상각 위치에 형성한다. 또 이 제 4돌기(24)는 짧은 반통형상의 소돌기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의 제조에 있어서는 합성수지소재에 의해 전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벨마우스를 부착하는 대상물이 되는 환상요철파형관(P)도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제의 것을 대상으로 한다. 또 이들 벨마우스 및 파형관은 어느 한쪽만이 혹은 쌍방이 구심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 관체로의 벨마우스의 압입과 결합걸림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벨마우스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벨마우스와 관체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관체에 벨마우스를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캡부분을 제거한 도 7과 마찬가지의 종단면도.
도 9는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종단면도.
도10은 압축변형상태의 설명도.
도11은 관체로의 삽입상태의 설명도.
도12는 관체의 사시도.
도13은 다른 관체의 사시도.
도1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벨마우스의 정면도.
도15는 도14의 좌측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벨마우스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벨마우스 P : 관체
1: 통형상부 21: 제 1돌기
22: 제 2돌기 3: 벨형상 개구부
4: 통형상 개구부 31: 관체의 개구부
32: 소경부 33: 대경부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면중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의 제 1실시예에 대해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형상을 도시한 것, 도 3은 원통개구부측의 측면형상을 도시한 것, 도 4는 도 3의, 도 5는 도 2의 각각의 단면지시선을 따른 단면형상을 도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B)는 뒤에 설명하는 도 9와 같이 핸드홀 또는 맨홀(H)에 형성된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는 환상요철파형관(P)의 개구부(31)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벨마우스(B)는 성형후에 내압변형성에 뛰어나면서 탄성변형도 가능한 합성수지소재로서 경시열화가 적고 경제적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수지소재, 예를들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에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여 전체를 플로우 성형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벨마우스(B)의 구조는 일단측(도 1에 있어 왼쪽)이 통형상 개구부(4)로 되어있고, 타단측이 래퍼형상으로 확개된 벨형상 개구부(3)로 되어있는 통형상부(1)를 주체로 하고 있으며 도시한 것은 이 벨형상 개구부(3)의 외측에 절단용 V자홈(6)을 통해 방진캡(5)을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 통형상부(1)의 외주면에 상기 통형상 개구부(4)에 가까운 쪽에서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1돌기(21), 제 2돌기(22), 제 3돌기(23), 제 4돌기(24)를 각각 2개를 한조로 하여 돌출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이들 한조의 돌기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180도 변위한 곳에 형성시키고 있다. 또 이들 각 조의 축선방향 간격은 이 벨마우스를 사용하는 환상요철파형관(P)에서 소경부(32)의 내면축선방향의 폭(W)(도 6참조)의 약 2분의 1폭부터 대략 같은 폭에 상당하는 간격(w)으로 되어있다. 또 제 1돌기(21)와 제 2돌기(22), 제 2돌기(22)와 제 3돌기(23) 등 각각의 조의 돌기는 각각 인접하는 다른 조의 돌기와 각각 90도각(원주방향의 각위상(r)에 원주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1돌기(21)와 제 3돌기(23)와, 제 2돌기(22)와 제 4돌기(24)는 각각 같은 원주각선 상에 배치되고 있다.
이들 각 조의 돌기와 서로 인접하는 다른 조의 돌기의 원주방향에서의 위상각(r)은 각 조 돌기간격의 약 2분의 1이 되는 원주각으로 하고, 각조 돌기들의 축선방향 위상간격(w)은 이 벨마우스가 삽입되는 환상요철파형관(P)에서 소경부(32)의 내면축선방향의 폭(W)에 대해 w≤W의 관계를 충족하는 간격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제 1, 제 2, 제3의 돌기(21)(22)(23)의 형상은 벨형상 개구부(3)측의 면이 급한 각도면(2a)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개구부(4)측의 완만한 경사면(2b)으로 된 된 측면에서 보아 부등변 삼각형상의 돌기를 하고 있으며 상기 통형상 개구부(4)측을 향해 작용하는 힘에 대해 강고한 저항력을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 도시한 제 4돌기(24)는 짧은 반통형상의 소돌기로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벨마우스(B)는 도 6내지 도 8에 있어서 관체로의 부착수단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중계지로서 사용되는 핸드홀(H)이나 맨홀의 파이프접속공(h)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관체로서, 관벽의 형상이 환상의 요철파형으로 형성되어있는 관체(P)에 대해 그 통형상 개구부(4)측을 선단으로 하여 관체(P)의 개구부(31)에서 내부로 압입시키고 도 7과 같이 벨마우스(B)의 벨형상 개구부(3)의 배면이 관체(P)의 개구부(31)에 접촉하는 상태까지 삽입한다.
이와같이 하여 관의 단쪽에 부착한 벨마우스(B)는 그 일단에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방지캡(5)에 의해 관체내로 먼지나 토사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관체(P)에 부착한 후 관체내로 배선할 때 절단용 V자홈(6)에서 절단하여 도 8과 같이 캡이 없는 상태로서 사용한다. 그러나 관체(P)내로 배선을 배관과 동시에 행하는 경우 등 관체(P)로 부착하기 전에 절단제거해 두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는(B)는 제조할 때부터 이 방진캡(5)이 없는 형상으로 성형해도 좋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관체(P)는 도 9에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과 같이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중계지로서 사용되는 핸드홀(H)이나 맨홀의 파이프접속공(h)의 내면측에 개구시킨 상태에서 접속고정하여 사용된다. 이 관체(P)에는 크게 구분하면 도 12와 같이 단면형상을 대략 정사각형으로 하고 있는 대경부(33)와, 단면형상을 대략 둥근원형상으로 하고 있는 소경부(32)를 관체의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설하고 있는 관체와, 도 13과 같이 단면형상을 대경의 대략 둥근원형상으로 하고 있는 대경부(33)와 단면형상을 소경의 대략 둥근형상으로 하고 있는 소경부(32)를 관체의 축선방향으로 번갈아 배설하고 있는 관체의 2종류가 있다.
그리고 전선관로로서 사용하기 위한 관체(P)의 개구부(31)에 상기 벨마우스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관체(P)는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안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과 핸드홀(H)의 파이프접속공(h)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세멘트 몰탈 등의 충진경화재(M)가 충진되고 이 충진경화재(M)의 경화에 의해 핸드홀(H)에 대해 관체(P)는 수밀형상으로 고착된다.
이 관체(P) 자체의 길이는 긴 길이라도 좋고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것이라도 좋으며 도 9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이 관체(P)의 연장방향으로 다른 관로(P2)를 부설하고, 양자 사이를 접속이음매(C)에 의해 연결하여 다음 핸드홀 까지의 사이에 일련의 관로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벨마우스(B)의 탄성변형과 관체(P)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벨마우스(B)의 통형상부(1)는 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상은 대략 둥근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관체(P)로 압입할 때 돌기(도면에서는 상하의 제 1돌기(21)(21))가 관체(P)의 소경부(32)에 닿아 상하방향(화살표시 p,p의 방향)으로 압입을 받고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함과 동시에 좌우방향 화살표시(t,t방향)으로 팽창변형하고, 관체(P)의 소경부(32)를 통과한다. 이 때 관체(P)도 탄성변형가능한 경우에는 관체(P)의 소경부(32)를 상하방향으로 확개변형시키면서 통과한다.
도 11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돌출시킨 제 1돌기(21)(21)가 관체의 소경부(32)를 통과하면 이어서 다음위치의 제 2돌기(22)(22)가 같은 소경부(3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접촉하고, 좌우에서 압력을 받아 협소화 변형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팽창변형한다. 이 때 관체(P)의 소경부(32)는 제 2돌기(22)(22)의 압력을 받아 좌우방향으로 확개변형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협소화 변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관체(P)로의 압입이 정지되면 이 소경부(32)를 선행 통과한 상기 제 1돌기(21)(21)는 원위치로 복귀하며 또한 제 2돌기(22)(22)가 관체의 소경부(32)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약간이지만 상하방향으로 변위하고 있는 것과, 관체(P)의 소경부(32)가 제 2돌기(22)(22)의 접촉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협소화 변형하는 것으로 제 1돌기(21)(21)가 소경부(32)의 측면과 접촉하여 벨마우스(B)의 관체(P)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벨마우스(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1돌기(21)를 통형상부(1)의 상부위치에, 제 2돌기(22)를 통형상부(1)의 하부위치에 배치하고, 이들 제 1돌기(21)∼제 4돌기(24) 전체를 통형상부(1)의 원주방향으로 하나씩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벨마우스(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1돌기(21)∼제 4돌기(24) 전체를 통형상부(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 실시예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구성요건을 갖추고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목적을 달성하며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벨마우스는 관체가 나선파형의 관체가 아닌 관벽의 형상이 환상요철파형으로 되어있는 관체를 대상으로 하며 이와같은 관체를 핸드홀이나 맨홀에 접속연결시켜 전선 등의 보호관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벨마우스로서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환상요철파형관의 개구부에 부착하여 이를 보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핸드홀 또는 맨홀(H)에 형성된 파이프접속공(h)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환상요철파형관(P)의 개구부(31)에 삽입하여 감합하는 벨마우스로서, 통형상부(1)는 그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 1돌기(21)와, 이 제 1돌기(21)와는 축선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위상을 갓는 곳에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 2돌기(22)를 갖추며, 이들 제1, 제 2 돌기(21)(22)는 벨형상 개구부(3)쪽이 급한 각도면(2a)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개구부(4)쪽이 완만한 경사면(2b)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 1돌기(21)에 대한 제 2돌기(22)의 축선방향의 위상간격(w)이 상기 환상요철파형관(P)에서 소경부(32)의 내면축선방향의 폭(W)에 대해 w≤W의 관계를 충족하는 간격으로 되어있고, 원주방향의 위상각(r)은 제 1돌기(21)간격의 약 2분의 1이 되는 원주각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제 1돌기(21)가 이 통형상부(1)의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2곳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돌기(22)가 제 1돌기(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90도 각위상을 갖는 2곳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마우스와 환상요철파형관(P)의 한쪽 또는 쌍방이 합성수지제로서 구심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요철파형관용 벨마우스.
KR10-1998-0023566A 1997-07-15 1998-06-23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KR100381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7076 1997-07-15
JP20707697A JP3225311B2 (ja) 1997-07-15 1997-07-15 環状凹凸波形管用ベルマウ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37A KR19990013437A (ko) 1999-02-25
KR100381253B1 true KR100381253B1 (ko) 2003-07-12

Family

ID=1653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566A KR100381253B1 (ko) 1997-07-15 1998-06-23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7110A (ko)
JP (1) JP3225311B2 (ko)
KR (1) KR100381253B1 (ko)
MY (1) MY1144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005B1 (ko) * 2001-01-31 2003-08-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맨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공법
US7198304B2 (en) * 2003-05-29 2007-04-03 Dormont Manufacturing Company Fluid line connector with intermediate smooth surface
US20050218654A1 (en) * 2004-04-02 2005-10-06 Carl Diez Inside coupling and cap for corrugated conduits
US6994382B2 (en) * 2004-07-01 2006-02-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etaining feature for corrugated acoustic duct
FR2880670B1 (fr) * 2005-01-12 2007-03-16 Nobel Plastiques Soc Par Actio Embout de raccordement pour tube annele et tube equipe d'un tel embout
US7871109B1 (en) * 2006-07-31 2011-01-18 Dfw Alliance Corp. Drain basin with pipe couplings
US20080093846A1 (en) * 2006-08-03 2008-04-24 Joshua Sparks Clampless tube connection with integrated sealing and locking feature
US8251302B2 (en) 2006-11-17 2012-08-28 InvisaFlow LLC Low profile attachment for emitting water with connector for corrugated pipe
US8475654B1 (en) 2009-05-04 2013-07-02 Jeffrey E. Smith Downspout drain connection and filter
DE102009027843B3 (de) * 2009-07-20 2010-11-11 Areva Np Gmbh Endstück für einen Wellschlauch und Teilesatz mit einem solchen Endstück
US8689837B1 (en) 2009-12-10 2014-04-08 Jeffrey E. Smith Low profile downspout extension and landscape drainage assembly
USD666701S1 (en) 2010-08-27 2012-09-04 Jeffrey E. Smith Downspout extension
US8607827B2 (en) 2010-11-22 2013-12-17 Euramax International, Inc. Low profile downspout extension with non-rectangular outlet
CN102538118B (zh) * 2010-12-27 2016-06-08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装置
CN102856848A (zh) * 2012-08-31 2013-01-02 广东星艺装饰集团有限公司 波纹管连接件
DE102012019163B4 (de) 2012-09-28 2018-07-19 Mann + Hummel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Rohr und Fluidleitung mit einer Anschlussvorrichtung
US9435472B2 (en) 2013-10-17 2016-09-06 Mahle International Gmbh Coupler including clamp for connection to a corrugated tube
US9954349B2 (en) * 2015-09-25 2018-04-24 The Boeing Company Two-part snap-together feedthroughs
DE102015120508A1 (de) * 2015-11-26 2017-06-01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 Kühlmittel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sanordnung
USD790043S1 (en) 2015-12-21 2017-06-20 Metaltech, Inc. Universal drain adapter
CN105485825B (zh) * 2016-01-18 2018-06-05 奥普家居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
JP6910616B2 (ja) * 2017-04-20 2021-07-28 株式会社立基 管材接続具
JP7203638B2 (ja) * 2019-02-28 2023-01-13 未来工業株式会社 波付管装置、波付管用の端末部材、および波付管端部固定装置
JP7133500B2 (ja) * 2019-03-11 2022-09-08 未来工業株式会社 波付管用の端末部材、および波付管装置
DE102020108431A1 (de) * 2020-03-26 2021-09-30 Voss Automotive Gmbh Wellrohrverbindungsanordnung
CN115102110B (zh) * 2022-07-22 2023-04-18 广东材通实业有限公司 一种高硬度pvc扩口线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327A (en) * 1976-08-20 1978-04-04 Hancor, Inc. 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lastic tubing
US4247136A (en) * 1978-12-22 1981-01-27 Hancor, Inc. Internal coupling structure and joint for pipe or tubing
US4286808A (en) * 1979-08-20 1981-09-01 Hancor, Inc. Snap-in tee connector
US4457544A (en) * 1981-08-13 1984-07-03 Liquid Tight Corporation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US4480855A (en) * 1982-03-11 1984-11-06 Hancor, Inc. Coupling structure for plastic pipe or tubing
US5346264A (en) * 1992-03-19 1994-09-13 Heyco Molded Products, Inc. Liquid tight internal snap connector for connecting corrugated plastic cond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1738A (ja) 1999-02-12
KR19990013437A (ko) 1999-02-25
JP3225311B2 (ja) 2001-11-05
MY114479A (en) 2002-10-31
US6007110A (en)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253B1 (ko) 환상요철파형관용벨마우스
JP3937107B2 (ja) 環状凹凸波形管用ベルマウス
CN101278147B (zh) 用于波纹管的连接和联接件
CA2026196C (en) Fitting for corrugated tubing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JPH0141874B2 (ko)
US5635675A (en) Bendable protective tube for buried cables
JPH0745163B2 (ja) 差し込みスリーブを成形したプラスチック製波形管
KR19990077865A (ko) 벽체에 나선관체를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MXPA06000511A (es) Remate de union para tubo anillado y tubo equipado con tal remate.
JP2008507245A (ja) 波形管用の連結接続部材
KR100449407B1 (ko)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JP3417830B2 (ja) 波形管
KR100543135B1 (ko) 호스클램핑구조
IE46560B1 (en) Socket part for a spigot and socket pipe connection
JP4596983B2 (ja) リブパイプ用管継手
JP73132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設置方法
JP3217026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方法
JP4979652B2 (ja) リブ付管のゴム輪接合部の接続方法、リブ付管および下水管路
WO2001090496A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end portions of double wall drain pipes
JP3346748B2 (ja) 管接続用のシール材
JPH09292072A (ja) 管体の屈曲接続管構造と屈曲接続具
KR100236836B1 (ko) 맨홀용 연결관
JP3605551B2 (ja) 配管構造
JP2020014290A (ja) ケーブル保護管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