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412A -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412A
KR19980085412A KR1019970021502A KR19970021502A KR19980085412A KR 19980085412 A KR19980085412 A KR 19980085412A KR 1019970021502 A KR1019970021502 A KR 1019970021502A KR 19970021502 A KR19970021502 A KR 19970021502A KR 19980085412 A KR19980085412 A KR 1998008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urned
light
failure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412A/ko
Publication of KR1998008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41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를 온/오프시키는 램프작동스위치(10)와; 이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었을 때 램프(20)가 점등되지 않으면 램프고장신호를 출력하는 램프고장감지부(30) 및; 이 램프고장감지부(30)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상기 램프(20)가 고장났음을 알려 주는 고장경보등(40)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가 단선되어 점등되지 않으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램프(20)가 고장났음을 쉽게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각종 램프가 단선되면 고장경보등이 작동하도록 된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등화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등화 장치는 대상물을 잘 보기 위한 조명 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및 표지 기능을 가진다. 즉,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 등은 조명용 등화 장치이고, 주차등, 차폭등, 후미등, 번호판등 등은 표지용 등화 장치이며,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등은 신호용 등화 장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등화 장치 이외에도 자동차에는 이들 등화 장치들의 동작 상태는 물론,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엔진 계통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정비 및 점검이 필요함을 예고해 주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경고 표시등이 있는데, 방향 지시등 표시등과, 전조등 표시등, 제동등 표시등, 연료량 경고등, 유압 경고등, 충전 경고등 및, 도어 열림 경고등이 이와 같은 경고 표시등이다.
상기와 같은 각종 자동차용 램프는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자동차용 램프 점등 장치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되어 있으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램프(20)가 점등되어 소정의 경고 및 신호 표지 기능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램프 점등 장치로는, 전조등 스위치가 온되면 차량의 전방을 밝혀주도록 되어 있는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장치 또는 연료량 경고등 스위치가 온되면 운전자에게 연료량이 부족함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는 연료량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장치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신호 및 표지, 경고 등의 기능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각종 자동차용 램프가 단선되어 작동하지 않게 되면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각종 램프가 단선되면 고장경보등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램프가 고장났음을 알려 주도록 된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램프작동스위치와; 이 램프작동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램프가 점등되지 않으면 램프고장신호를 출력하는 램프고장감지부 및; 이 램프고장감지부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상기 램프가 고장났음을 알려 주는 고장경보등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가 단선되어 점등되지 않으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고장경보등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램프의 고장을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5실시예,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램프 점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램프작동스위치 20: 램프
30: 램프고장감지부 31: 인버터
32: 트랜지스터 33: 릴레이스위치
34: 광감지기 40: 고장경보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2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3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4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를 도시한 제5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를 온/오프시키는 램프작동스위치(10)와; 이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램프(20)가 오프되면 램프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로 구성된 램프고장감지부(30) 및; 이 램프고장감지부(30)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램프(20)가 고장났음을 알려 주는 고장경보등(40)으로 구성된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만약,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는 점등되고, 상기 인버터(31)가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오프되어 소등되므로 운전자는 램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램프(20)가 단선되어 고장났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는 소등되고, 상기 인버터(31)가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번에는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온되어 점등되므로 운전자는 상기 램프(20)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램프(20)가 오프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 및;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스위치 온되어 상기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램프(20)로 전달하는 릴레이스위치(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만약,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상기 램프(20)가 점등되고, 상기 인버터(31)가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됨과 동시에 상기 릴레이스위치(32)가 스위치 온되더라도 상기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로우신호이기 때문에 상기 고장경보등(40)은 오프되어 소등되므로 운전자가 램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램프(20)가 단선되어 고장났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가 소등되고, 상기 인버터(31)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됨과 동시에 상기 릴레이스위치(32)가 스위치 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상기 고장경보등(40)으로 입력되므로 이 고장경보등(40)이 온되어 점등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램프(20)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또한,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잡음신호가 상기 인버터(31)로 입력되어 이 인버터(31)가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오프되면 상기 인버터(31)의 출력신호를 고장경보등(40)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릴레이스위치(32)가 같이 스위치 오프되어 상기 고장경보등(40)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31)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더라도 고장경보등(40)은 오프되어 소등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램프(20)가 오프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 및; 이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베이스단에 입력되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만약,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는 점등되고, 상기 인버터(3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로우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단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33)는 도통되지 않으며, 결국 상기 고장경보등(40) 역시 오프되어 소등되므로 운전자는 램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램프(20)가 단선되어 고장났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는 소등되고, 상기 인버터(3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단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33)는 도통되며, 결국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온되어 점등되므로 운전자는 상기 램프(20)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어 램프(20)가 점등되고, 이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광감지기(34) 및; 이 광감지기(3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광감지기(34)는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전류를 흘려보내고, 이 램프(20)가 오프되어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인버터(31)는 광감지기(34)가 전류를 흘려보내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가 점등되고, 이 램프(20)의 빛이 상기 광감지기(34)로 조사되면 이 광감지기(34)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인버터(3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오프된 상태로 있게 되고, 운전자는 이 고장경보등(40)이 소등되어 있는 것을 보고 램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램프(20)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더라도 램프(20)가 소등되어 상기 광감지기(34)로 램프(20)의 빛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이 광감지기(34)는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31)가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점등되며, 운전자는 이 고장경보등(40)이 점등되는 것을 보고 상기 램프(20)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어 램프(20)가 점등되고, 이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광감지기(34) 및;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램프(20)가 단선되어 상기 광감지기(34)가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게 되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광감지기(34)는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전류를 흘려보내고, 이 램프(20)가 오프되어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저항 R의 값은 광감지기(34)의 내부 저항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만약, 램프(20)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램프(20)가 점등되고, 이 램프(20)의 빛이 상기 광감지기(34)로 조사되면 상기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단에 있는 저항 R의 값보다 상기 광감지기(34)의 내부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대부분의 전류가 이 광감지기(34)를 통해 흐르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33)는 도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오프된 상태로 있게 되고, 운전자는 이 고장경보등(40)이 소등되어 있는 것을 보고 램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램프(20)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더라도 램프(20)가 소등되므로 상기 광감지기(34)로 램프(20)의 빛이 조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광감지기(34)는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게 되고 이 광감지기(34)의 내부 저항값이 상기의 저항 R의 값보다 커지게 된다. 결국,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대부분의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단으로 입력되므로 이 트랜지스터(33)가 도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고장경보등(40)이 점등되면 운전자는 이 고장경보등(40)이 점등되는 것을 보고 램프(20)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가 단선되어 점등되지 않으면 상기 램프고장감지부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고장경보등이 점등되도록 하면 운전자가 램프가 고장났음을 쉽게 알수 있게 되어 램프의 고장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의 자동차용 램프(20)를 온/오프시키는 램프작동스위치(10)와;
    램프(20)가 점등되지 않으면 램프고장신호를 출력하는 램프고장감지부(30) 및;
    이 램프고장감지부(30)로부터 램프고장신호가 출력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램프(20)가 고장났음을 알려 주는 고장경보등(4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20)가 오프되면 램프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20)가 오프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 및;
    상기 램프작동스위치(10)가 온되면 스위치 온되어 상기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램프(20)로 전달하는 릴레이스위치(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20)가 오프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31) 및;
    이 인버터(31)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베이스단에 입력되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광감지기(34) 및;
    이 광감지기(3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버팅하는 인버터(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감지부(30)가,
    상기 램프(2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광감지기(34) 및;
    상기 광감지기(34)가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게 되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KR1019970021502A 1997-05-29 1997-05-29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KR19980085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02A KR19980085412A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02A KR19980085412A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12A true KR19980085412A (ko) 1998-12-05

Family

ID=6598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502A KR19980085412A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5412A (ko)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23503Y1 (ko) 차량용 제동등 회로
KR0137571Y1 (ko)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KR19980067762U (ko) 자동차용 램프 고장 경보 장치
KR200275211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복원장치
KR20220099459A (ko) 자동차 등화류 작동 여부 알림 시스템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100203489B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장치
KR0137822Y1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100471797B1 (ko) 자동차용램프단선경보회로
KR19990051952A (ko) 광감지식 자동차 미등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0144757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200314321Y1 (ko) 브레이크등 점등회로
KR0144759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19990034192A (ko) 자동차용 표시등의 점소등 확인장치
KR19980031163U (ko) 제동등 진단장치
KR19980015815A (ko)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KR19980054719A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제어회로 및 방법
KR19980060026U (ko) 자동차의 램프 단절 표시장치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19990052054A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