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245A - 접속핀 - Google Patents

접속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245A
KR19980081245A KR1019980012631A KR19980012631A KR19980081245A KR 19980081245 A KR19980081245 A KR 19980081245A KR 1019980012631 A KR1019980012631 A KR 1019980012631A KR 19980012631 A KR19980012631 A KR 19980012631A KR 19980081245 A KR19980081245 A KR 19980081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ing pin
patterns
pattern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노아즈마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시코우
오끼뎅끼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시코우, 오끼뎅끼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시코우
Publication of KR1998008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매트릭스 보드 내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적어도 한쌍의 패턴 중에서 제 1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제 2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접속핀이 사용된다. 상기 접속핀은 매트릭스 보드 내에 형성된 스루홀 내에 삽입된다. 스루홀은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의 교차점에 있는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접속핀은,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와,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한 도체부를 구비한다. 도체부는 스루홀을 따라 연장되며, 한쌍의 탄성 변형가능한 단부를 갖는다. 1개의 탄성 변형가능한 단부는 끼워맞춤 고정부에 장착되고, 다른 1개의 탄성 변형가능한 단부는 접촉부에 장착된다. 접속핀이 스루홀에 삽입될 때, 접촉부는 스루홀의 최하단에 접촉한다. 접속핀을 더 삽입하면,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가 서로를 행해 움직인다. 이것은 도체부를 탄성변형시켜 도체부가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패턴과 전기 접속하게 된다. 복수의 패턴쌍 중 제 1 및 제 2 패턴 사이에 전기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접속핀은 인접한 도체부 사이에 절연부재를 갖는 복수의 도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속핀
본 발명은 접속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배선반(main distributing frame, 이하 MDF로 약칭한다)에 사용되는 접속핀에 관한 것이다.
자동 MDF 장치는, 가입자선과 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전화선로의 신설, 이전 및 철거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MDF 장치는, 가입자측의 복수의 선로와 교환기측의 복수의 선로를 수용하는 매트릭스 보드와, 매트릭스 보드 내부의 스루홀에 삽입되어 가입자 선로와 교환기 선로를 접속하는 접속핀과, 접속핀을 구동하는 로봇을 구비한다.
상기 매트릭스 보드는, 가입자측의 평행한 패턴 배선으로 이루어진 층과 교환기측의 평행한 패턴 배선으로 이루어진 층을 구비하고, 이들 층은 서로 다른 평행 평면 내에 서로 절연되어 위치한다. 이들 층은 한 층의 평행 패턴 배선이 다른 층의 그것에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이들 패턴 배선의 교점에 있는 두 개의 층의 패턴 배선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스루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루홀은 전기 도전성을 갖지 않으므로, 가입자측의 패턴은 교환기측의 패턴으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도체부 또는 도체부들을 갖는 접속핀을 상기 스루홀 내부에 삽입하면, 접속핀의 도체부는 가입자측의 패턴 배선과 교환기측의 패턴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가입자측 선로와 교환기측 선호 사이에 회선 접속을 이루게 된다.
전화선은 한쌍의 선로, 즉 송신선로와 수신선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매트릭스 보드는 4쌍의 패턴, 즉 가입자측의 한쌍의 배선과 교환기측의 한쌍의 배선을 구비한다. 접속핀은 접속핀의 삽입에 의해 한쌍의 삽입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한쌍의 도체부를 구비한다. 종래의 접속핀은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매트릭스 보드 내부의 스루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핀은 접속핀이 스루홀과 압착 접촉하도록 스루홀에 압입 장착된다.
특히, 상기 종래의 접속핀은 길이방향의 슬릿이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형 실린더이다. 이 접속핀은 스루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접속핀을 강제로 스루홀 내에 삽입하면, 슬릿이 더 좁아지도록 상기 접속핀이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접속핀의 변형에 의해 접속핀의 외경이 스루홀의 내경에 맞추어 조정된다.
또 다른 예의 접속핀은 탄성과 도전성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의 형태를 지닌 도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스프링과 스프링의 간격이 스루홀의 배경보다 약간 크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접속핀에 장착된다. 상기 접속핀을 스루홀에 삽입하면, 스루홀의 내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접속핀이 스루홀과 압착 접촉된다.
최근에, 교환기의 고밀도 패키지화와 소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어, 접속핀을 소형화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접속핀은 소형화하면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기술의 접속핀은 소형화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면, 슬릿이 내부에 형성된 상기한 중공형 접속핀은 금속판을 굴곡 가공하여 제조된다. 재료를 균일한 슬릿 두께를 갖는 중공형 실린더로 성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스루홀의 내벽에 대해 원하는 접촉 압력을 제공하기가 곤란하다. 잘못 굴곡된 실린더는 스루홀 내부에 삽입되었 때 도체부를 매트릭스 보드에 걸리게 하여, 손상과 접속 고장을 일으킨다.
상기한 와이어 스프링 형태의 접속핀 또한 제조하기가 곤란하고, 접속핀이 스루홀에 탈착될 때 손상과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측의 선로와 교환기측의 선로를 접속하기 위한 소형의 접속핀을 제공함에 있다.
전화 교환을 위해 적어도 한쌍의 패턴이 매트릭스 보드 내에 형성되며, 한쌍의 패턴 중 제 1 패턴과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패턴이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스루홀이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의 교점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패턴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다. 적어도 한쌍의 패턴 중 제 1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제 2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접속핀이 사용된다. 접속핀은 상기 매트릭스 보드 내부에 형성된 스루홀 내부에 삽입된다. 접속핀은,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와, 상기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한 도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부는 대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탄성 변형가능한 단부를 갖는다. 1개의 변형가능한 단부는 끼워맞춤 고정부에 장착되고, 또 다른 변형가능한 단부는 접촉부에 장착된다. 접속핀이 스루홀 내부에 삽입되면, 접촉부는 스루홀의 최하단에 접촉한다. 접속핀을 더 삽입하면, 끼워맞춤 고정부와 접촉부가 서로를 향해 움직여, 도체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도체부가 제 1 및 제 2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매트릭스 보드는 복수의 전화 선로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쌍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핀은, 복수 쌍의 패턴 중 각 쌍의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 사이에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인접한 도체부 사이에 절연체를 갖는 복수의 도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분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특정한 실시예는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주어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의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핀에 사용되는 도체부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접촉부가 폐쇄판에 접촉한 직후에 도 1의 V-V 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속핀이 스루홀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되었을 때의 도 1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의 개략도.
도 8은 접촉부가 폐쇄판에 접촉한 직후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접속핀이 완전히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되었을 때의 제 2 실시예의 접속핀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매트릭스 보드 내부의 스루홀에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되었을 때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도체부 3a : 끼워맞춤 고정부
3b,4a,4b,5a : 스톱퍼 5b : 접촉부
6,20 : 접속핀 10 : 매트릭스 보드
11 : 스루홀 12,14 : X 패턴
13,15 : Y 패턴 16 : 폐쇄판
21,22 : 보조 지지부 21a,22a : 보조 끼워맞춤 고정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기본 형태를 갖는 접속핀(6)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은 참조하면, 접속핀(6)은 상부 몰드(3)와, 하부 몰드(5)와, 상부 몰드(3) 및 하부 몰드(5) 사이에 위치한 고리 형태의 도체부(1)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핀(6)은 매트릭스 보드(10)의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되어, 도체부(1)를 통해 가입자측의 패턴 배선과 교환기측의 패턴 배선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이룬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 같이, 대체로 고리 형태로 형성된 도체부(1)가 X 패턴(12) 내부의 가입자 선로와 이 X 패턴(12)에 수직 연장되는 Y 패턴(13) 내부의 교환기 선로에 접촉하도록 도체부(1)가 변형될 때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X 및 Y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록, 접속핀(6)의 기본 형태는 단지 1개의 도체부(1)를 갖고 있지만, 매트릭스 보드(10) 내부의 패턴 배선의 수에 따라 복수개의 도체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체부(1)를 도시한 것이다. 도체부(1)는 압인가공에 의해 시이트상 금속재로부터 저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핀(6)의 상부 몰드(3)는 도체부(1)의 상단부(1g)와 인서트 몰딩(insert-molding)되어, 상단부(1g)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하부 몰드(5)에 몰드 가공할 때에, 도체부(1)의 하단부(1h)는 인서트로서 삽입되어 하부 몰드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도체부(1)의 상단부(1g) 및 하단부(1h)는, 도체부가 인서트 몰딩될 때 도체부(1)가 상부 몰드(3) 및 하부 몰드(5)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성형된다. 도체부(1)는 수직으로 연장된 양 측부(1a-1b)를 갖는 거의 고리 형태를 갖는다. 측부(1a-1b)는 경사지게 연장된 협소한 부분(1c-1f)을 통해 상단부(1g) 및 하단부(1h)로 연장된다.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수직으로 압입되면, 측부(1a-1b)가 서로 떨어지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X 패턴(12) 및 Y 패턴(13) 내부의 패턴 배선과 각각 압착 접촉되도록 상기 협소한 부분(1c-1f)이 변형된다. 상기한 직선상의 측부(1a-1b)는, 측부(1a-1b)가 폭방향으로 변위하여 스루홀(11)의 벽과 압착 접촉될 때, 패턴 배선과의 우수한 전지 접속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접속핀(6)은 미도시된 로봇에 의해 조종되는데, 로봇은 접속핀(6)을 매트릭스 보드(10) 내부의 원하는 스루홀(11)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로봇은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에 삽입할 때 접속핀(6)의 상부 몰드(3)를 잡는다. 상부 몰드(3)는 그것의 하단에 끼워맞춤 고정부(3a)를 갖는다. 끼워맞춤 고정부(3a)는 스루홀(11) 내부에 견고히 장착되므로, 스루홀(11)의 형태에 맞추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루홀(11)이 원형의 개구를 갖는 경우에는, 끼워맞춤 고정부(3a)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제조된다. 끼워맞춤 고정부(3a)가 스루홀(11) 내부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끼워맞춤 고정부(3a)의 직경(D3)은 스루홀(1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하부 몰드(5)는 끼워맞춤 고정부(3a)의 직경(D3)보다 약간 작은 직경(D5)을 가지므로, 하부 몰드(5)는 스루홀(11)의 내벽과의 사이에 소정을 공차를 가지면서 스루홀(11)에 원할하게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는 하부 몰드(5)의 직경(D5)보다 작은 직경(D1)을 갖는다.
상부 몰드(3)와 하부 몰드(5)는, 스톱퍼(3b, 5a)가 소정 거리 L1 만큼 이격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한다.
하부 몰드(5)는 그것의 하단에 형성된 접촉부(5b)를 갖는다.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될 때, 접촉부(5b)는 스루홀(11)의 최하단에 위치한 후술하는 폐쇄판(16)과 접촉한다.
도 5는 접촉부(5b)가 폐쇄판(16)에 접촉한 직후의 접속핀(6)을 도시한, 도 1의 V-V 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매트릭스 보드(10)는 예를 들어 자동 MDF 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매트릭스 보드(10)는, 그 내부에 복수의 가입자측 배선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X 패턴(12)과, 그 내부에 복수의 교환기측 배선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Y 패턴(13)을 구비한다. X 패턴(12) 및 Y 패턴(13)은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이고, 배선들이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스루홀(11)이 각 교차점에 형성된다. 또한, X 패턴 및 Y 패턴은 서로 전기 절연된다.
X 패턴(12) 내부의 배선, 즉 패턴 배선을 Y 패턴(13) 내부의 배선, 즉 패턴 배선에 후술하는 방법으로 접속함에 따라, X 패턴(12)의 배선에 할당된 가입자 선로와 Y 패턴(13)에 할당된 교환기 사이에 회선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폐쇄판(16)은 스루홀(11)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스루홀(11)을 폐쇄한다. 신규 가입자가 교환기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신규 가입자에게 할당된 X 패턴(12)의 배선이 교환기에 접속된 Y 패턴(13)의 해당하는 배선과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스루홀(11)이 먼저 선택된다. 그후, 로봇을 작동하여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접속핀(6)을 통해 X 패턴(12)의 배선을 Y 패턴(13)의 배선과 전기 접속하여,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전화 선로를 수립한다.
하부 몰드(5)의 직경 D5가 스루홀(11)의 직경보다 작고 도체부(1)의 폭 D1이 상기 직경 D5보다 작으므로,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에 삽입하는데 아주 적은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치수 관계에 의해,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걸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되면, 접촉부(5b)는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폐쇄판(16)에 접촉한다.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로 더 삽입되면, 도체부(1)에 수직으로 가해진 압입력에 의해 협소한 부분(1c-1f)이 도 6에 도시된 것 같이 변형하여, 도체부(1)의 수직으로 연장된 측부(1a-1b)가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스루홀(11)의 내벽과 압착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측부(1a-1b)가 X 패턴(12)과 Y 패턴(13)을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2개의 패턴을 함께 전기 접속한다.
접속핀(6)을 스루홀 내부(11)로 더욱 삽입하면, 스톱퍼(3b, 5a)가 서로 맞부딪쳐, 도 6에 도시된 것 같이 그들 사이의 간극이 제거된다. 스톱퍼(3b, 5a)가 서로 접촉하면, 접속핀(6)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므로, 측부(1a-1b)는 더 이상 폭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끼워맞춤 고정부(3a)가 스루홀(11) 내부에 끼워맞추어져, 끼워맞춤 고정부(3a)와 스루홀(11)의 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끼워맞춤 고정부(3a)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도체부(1)의 재료 및 형태는, 도체부가 적절한 압력으로 X 패턴(12) 및 Y 패턴(13)에 맞물리도록 선정된다. 스루홀(11)로부터 접속핀(6)을 단순히 끌어당겨, 접속핀(6)에 의해 수립된 회선 접속을 해제하는데 로봇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접속핀(6)을 잡아당기면, 협소한 부분(1c-1f)은 도 5에 도시된 것 같은 본래의 형태를 회복한다. 이에 따라, 스루홀(11)의 내벽에 걸리지 않으면서 접속핀을 원할히 이탈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핀이 단지 1개의 도체부(1)를 구비하고 있지만, 매트릭스 보드(10)의 구성에 따라 복수의 도체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속핀(6)은 한쌍의 가입자 선로를 한쌍의 교환기 선로에 전기 접속하는 한쌍의 도체부를 구비한다. 한쌍의 도체부는 제 1 도체부(1)와 제 2 도체부(2)를 구비한다. 이들 도체부(1,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체부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6)은, 상부 몰드(3), 중간 몰드(4) 및 하부 몰드(5)를 구비한다. 상부 몰드(3)는, 상단부(1g)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제 1 도체부(1)의 상단부(1g)와 인서트 몰딩된다. 중간 몰드(4)를 몰딩하는 경우에는, 제 1 도체부(1)의 하단부(1h)가 인서트로서 포함되어 중간 몰드(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하부 몰드(5)가 몰딩될 때, 도체부(2)가 인서트(2)로서 포함되며, 하부 몰드(5)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제 1 도체부(1)와 제 2 도체부(2)는 서로 전기 절연된다.
중간 몰드(4)와 하부 몰드(5)는 각각 끼워맞춤 고정부(3a)의 직경 D3보다 약간 작은 직경 D4 및 D5를 가져, 하부 몰드(5) 및 중간 몰드(4)는 스루홀의 내벽 사이에 소정의 공차를 가지면서 스루홀에 원할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체부 1과 도체부 2는 각각 중간 몰드(4) 및 하부 몰드(5)의 직경 D4 및 D5보다 작은 직경 D1 및 D2를 갖는다. 상기 치수 D1과 D2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몰드(3)와 중간 몰드(4)는, 상부 몰드(3)의 하부(3b)와 중간 몰드(4)의 상부(4a)가 소정 거리 L1 만큼 이격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몰드(4)와 하부 몰드(5)는, 중간 몰드(4)의 하부(4b)와 하부 몰드(5)의 상부(5a)가 소정 거리 L2 만큼 이격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한다. 이때, 상기 거리 L1과 L2는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몰드(5)는 그것의 하단에 형성된 접촉부(5b)를 갖는다. 접속핀(6)이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될 때, 접촉부(5b)는 스루홀(11)의 최하단에 위치한 후술하는 폐쇄판(16)과 접촉한다.
도 8 및 도 9는 접속핀(6)이 스루홀 내부에 삽입되는 동작을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로서, 도 8은 접촉부(5b)가 폐쇄판(16)에 접촉한 직후의 접속핀(6)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접속핀이 스루홀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 지지되었을 때의 접속핀(6)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매트릭스 보드(10)는 예를 들어 자동 MDF 장치에 사용된다. 상기 매트릭스 보드는, 가입자측의 복수의 배선이 그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X 패턴(12)과, 교환기측의 복수의 배선이 그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Y 패턴(13)을 갖는다. X 패턴과 Y 패턴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고, 배선들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교차점에 스루홀(11)이 형성된다. 이때, X 패턴과 Y 패턴은 서로 전기 절연된다.
후술하는 방법으로 X 패턴의 배선을 Y 패턴의 배선에 접속하면, X 패턴의 배선에 할당된 가입자 선로와 Y 패턴에 할당된 교환기 선로 사이에 회선 접속이 수립된다.
완전한 전화 선로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수신기-송신기 쌍이 필요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릭스 보드(10)는 가입자측의 한쌍의 배선과 교환기측의 한쌍의 배선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또 다른 쌍의 X 패턴(14)과 Y 패턴(15) 이 매트릭스 보드에 부가된다.
폐쇄판(16)은 스루홀(11)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스루홀(11)을 폐쇄한다. 신규 가입자를 교환기에 접속할 때, 신규 가입자에 할당된 X 패턴(12)의 배선과 교환기에 접속된 Y 패턴(13)의 이에 대응하는 배선에 해당하는 스루홀이 결정된다. 그후, 로봇을 작동하여 접속핀(6)을 스루홀 내부에 삽입하여, 신규 가입자를 위해 접속핀을 통해 X 패턴의 배선을 Y 패턴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중간 몰드(4) 및 하부 몰드(5)의 직경 D4 및 D5가 스루홀의 직경보다 작고, 도체부(1, 2)의 폭 D1 및 D2가 상기 직경 D4 및 D5보다 작기 때문에, 접속핀(6)을 스루홀 내부에 부드럽게 삽입하는데에는 거의 힘이 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루홀의 내부에 접속핀이 걸릴 가능성은 없다.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에 삽입하면, 접촉부(5b)는 도 8에 도시된 것 같이 폐쇄판(16)에 접촉한다.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로 더욱 삽입하면, 도체부(1, 2)에 수직으로 가해진 압인력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된 협소한 부분(1c-1f, 2c-2f)은 도 9에 도시된 것 같이 변형되어, 도체부(1, 2)의 수직 연장된 측부(1a-1b, 2a-2b)가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스루홀(11)의 내벽과 압착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측부(1a-1b)는 X 패턴(12) 및 Y 패턴(13)과 전기 접속되어, 2개의 패턴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또한, 측부(2a-2b)는 X 패턴(14) 및 Y 패턴(15)을 전기 접속하여, 2개의 패턴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접속핀(6)을 스루홀(11) 내부로 더 삽입하면, 스톱퍼(3b, 4a, 4b, 5a)가 서로 맞닿아 그들 사이의 간극이 제거된다. 스톱퍼(3b, 4a, 4b, 5a)가 서로 맞닿으면, 접속핀(6)이 더 이상 삽입될 수 없어, 측부(1a-1b, 2a-2b)가 더 이상 확장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것 같이 끼워맞춤 고정부(3a)가 스루홀(11) 내부에 끼워맞추어져, 끼워맞춤 고정부(3a)와 스루홀(11)의 벽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끼워맞춤 고정부(3a)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9에 도시된 접속핀(6)이 이탈되면, 협소한 부분(1c-1f, 2c-2f)은 도 7에 도시된 것 같은 본래의 형태를 회복한다. 이에 따라, 접속핀(6)은 스루홀(11)의 내벽에 걸리지 않으면서 원할하게 이탈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접속핀(6)에 보조 지지부(21, 22)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은, 접속핀(20)이 매트릭스 보드(10) 내의 스루홀(11)애 삽입되어 제 위치에 고정되었을 때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지지부(21, 22)는 상부 몰드(3)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21, 22)는 상부 몰드(3)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21, 22)는 스루홀(11)의 형태에 맞추어 구성된 끼워맞춤 고정부(21a, 22a)를 구비하여, 스루홀(11) 내부에 견고하게 끼워맞춰진다. 예를 들어, 스루홀(11)이 원형의 개구를 갖는 경우에는, 끼워맞춤 고정부(21a, 22a)가 스루홀(11)에 장착될 때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끼워맞춤 고정부 또한 원형 단면과, 스루홀의 벽면과 끼워맞춤 고정부(21a, 22a)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루홀(11)은 매트릭스 보드(10) 내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끼워맞춤 고정부(21a, 22a)가 접속핀(1)이 삽입되는 스루홀(11)에 인접한 스루홀(11)들과 정렬되도록 보조 지지부(21, 22)가 이에 상응하여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 같이, 도체부 1은 X 패턴(12)과 Y 패턴(13)을 접속시키고, 도체부 2는 X 패턴(14)과 Y 패턴(15)을 접속시킨다.
상기한 보조 지지부(21, 22)의 끼워맞춤 고정부(21a, 22a)는 접속핀(20)을 견고히 고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된 접속핀(20)을 통해 X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Y 패턴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속핀(20)이 삽입되는 스루홀(11)에 바로 인접한 스루홀은 비어있는 상태로 남아 있으며, 다른 어떠한 핀도 여기에 삽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 지지부(21, 22)는, 동일한 X 패턴을 따라 연장되고 접속핀(20)이 삽입된 스루홀(11)에 인접한 스루홀(11)과 정렬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스루홀이 동일한 X 패턴의 배선을 따라 연장되는 한, 임의의 위치에 있는 스루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 개수의 추가 지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추가 지지부는 Y 패턴 방향으로, 또는 Y 패턴 방향 및 X 패턴 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매트릭스 보드의 극단에 위치한 가입자 회선을 교환기에 접속하는 경우에, 접속핀(20)이 삽입되는 스루홀의 양측에 끼워맞춤 고정부(2a, 22a)를 위한 여분의 스루홀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분의 스루홀 또는 더미(dummy) 스루홀이 일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는, 매트릭스 보드가 그것의 표면이 수평면에서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트릭스 보드는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 같이, 일반적으로는 스루홀의 내경보다도 작은 폭을 갖는 도체부를 스루홀 내에서 압입하면, 변형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스루홀 내벽에 압착 접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접속핀을 스루홀에 탈착할 때에 접속핀이 스루홀 내에 걸리는 일이 없어져, 원할하게 완전한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체부를 대략 고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저가로 제조가능하게 되어, 소형화 및 고밀도화가 실현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보조 지지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한 접속핀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들 변형 역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이러한 모든 변형도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6)

  1. 전기 절연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매트릭스 보드(10)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패턴(12, 13; 14, 15) 중에서 제 1 패턴(12, 14)과 이에 대응하는 제 2 패턴(13, 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매트릭스 보드(10) 내부에 형성되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관통하여 연장된 스루홀(11) 내에 삽입되는 접속핀(6, 20)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11) 내에 압입하여 맞물리는 제 1 지지부재(3, 3a)와,
    상기 스루홀(11)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지지부재(5, 5a)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단부(1g)가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에 고정 장착되고 제 2 단부(1h)가 상기 제 2 지지부재(5, 5b)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와 제 2 지지부재(5, 5b)가 서로를 향해 움직일 때 탄성 변형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과 전기 접속하는 도체부(1, 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1, 2)는 대략 고리형태를 갖고, 서로 대향되며 스루홀(11)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측부(1a, 1b; 2a, 2b)와, 2개의 측부(1a, 1b; 2a, 2b)가 그것을 개재하여 서로 연속되는 제 1 및 제 2의 탄성 변형가능부(1c-1f, 2c-2f)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부(1g)는 제 1 탄성 변형가능부(1c-1d, 2c-2d)와 연속되며 상기 제 2 단부(1h)는 제 2 탄성 변형가능부(1e-1f, 2e-2f)와 연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변형가능부(1c-1d, 2c-2d, 1e-1f, 2e-2f)는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와 제 2 지지부재(5, 5b)가 서로를 향해 움직일 때 탄성 변형되어, 2개의 측부(1a-1b, 2a-2b)가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여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과 전기 접속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와 제 2 지지부재(5, 5b)는 소정 거리(L1)만큼 이격되어, 제 1 지지부재 및 제 2 지지부재가 서로를 향해 움직일 때 서로 접촉하여, 도체부의 추가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4. 제 1 항에 있어서,
    스루홀(11)이 제 1 및 제 2 패턴을 관통 연장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패턴(12, 14)과 이에 대응하는 제 2 패턴(13, 15)이 존재하고,
    상기 접속핀(6, 20)은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연결된 적어도 1개의 제 3 지지부재(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3 지지부재(22)는 제 1 지지부재가 끼워맞춰지는 스루홀(11)에 인접한 스루홀(11)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패턴쌍이 존재하고, 이 패턴쌍은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이며, 스루홀(11)이 복수의 패턴쌍 중에서 제 1 패턴(12, 14) 및 제 2 패턴(13, 15)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접속핀(6, 20)은 상기 제 1 지지부재(3)와 제 2 지지부재(5)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도체부(1, 2)와 적어도 1개의 절연부재(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4)는 인접한 도체부(1, 2)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도체부(1, 2)의 인접한 단부(1g, 1h)가 상기 절연부재(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 상기 제 2 지지부재(5, 5b)와 상기 절연부재(4)는 스루홀(11) 내부에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소정거리(L1, L2)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가 서로를 향해 움직일 때, 상기 제 1 지지부재(3, 3a), 제 2 지지부재(5, 5b) 및 상기 절연부재(4)는 서로 접촉하여 그들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KR1019980012631A 1997-04-21 1998-04-09 접속핀 KR19980081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139 1997-04-21
JP10313997A JP3458348B2 (ja) 1997-04-21 1997-04-21 接続ピ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245A true KR19980081245A (ko) 1998-11-25

Family

ID=1434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631A KR19980081245A (ko) 1997-04-21 1998-04-09 접속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65630A (ko)
EP (1) EP0874528A3 (ko)
JP (1) JP3458348B2 (ko)
KR (1) KR19980081245A (ko)
AU (1) AU726755B2 (ko)
NZ (1) NZ329284A (ko)
TW (1) TW367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274B2 (ja) * 1998-02-25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ット単位命令編集機能を有する自動mdf制御システム
JP3668001B2 (ja) * 1998-07-10 2005-07-06 富士通株式会社 自動mdf装置
US7077046B2 (en) * 2002-08-01 2006-07-18 Alexandr Nelyubin Resonance in electromagnetic launchers
GB201108841D0 (en) * 2011-05-26 2011-07-06 Theobald James Anti-theft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5469A (en) * 1961-07-12 1965-09-07 Gen Precision Inc Pin board
US3162500A (en) * 1962-04-16 1964-12-22 Ind Electric Hardware Corp Multiple-circuit pin for multilayer circuitry
US3394341A (en) * 1965-10-20 1968-07-23 Navy Usa High pressure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3904263A (en) * 1973-03-08 1975-09-09 John Phillip Norman Multi-socket connection boards and contact pins therefor
US4390221A (en) * 1981-04-24 1983-06-28 The Bendix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US4405195A (en) * 1981-04-29 1983-09-20 Amp Incorporated Pin and socket connector
US4446505A (en) * 1982-03-22 1984-05-0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582142B2 (ja) * 1988-04-27 1997-0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トリクススイッチボ−ド及びマトリクススイッチボ−ド用接続ピン及びマトリクスボ−ドの製造方法
US5266052A (en) * 1992-10-29 1993-11-30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Circuit board hold-down fastener
US5544004A (en) * 1993-10-14 1996-08-0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in-board matrix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7516B (en) 1999-08-21
EP0874528A2 (en) 1998-10-28
EP0874528A3 (en) 2001-04-04
US5865630A (en) 1999-02-02
AU726755B2 (en) 2000-11-23
NZ329284A (en) 1998-08-26
JP3458348B2 (ja) 2003-10-20
JPH10294957A (ja) 1998-11-04
AU5944798A (en) 199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3724A (en)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pins
KR100302923B1 (ko)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US5647755A (en) Electrical connector
KR970002441B1 (ko) Zif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0120597Y1 (ko)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00003743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CN1109222A (zh) 改进了触头保持的电连接器
KR200391493Y1 (ko) 실리콘 콘택터를 이용한 회로연결 장치
KR19980081245A (ko) 접속핀
US5588861A (en) ZIF chip socket
US5597318A (en) ZIF for plastic chip carrier
US67935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lead lines therefor
US5639269A (en) Press-in spring clip
US6345999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component
EP3474382A1 (en) Socket
US2011023710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0031465A (ko) 유연 핀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162183A (ja) コネクタ
GB2149213A (en) Electrical switch
KR102509281B1 (ko) 커넥터 몸체용 인슐레이터조립지그와 그 조립방법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JP2589514Y2 (ja) コネクタ
KR200150955Y1 (ko) 커넥터 접속구조
JPH03112082A (ja) ツーピースコネクタ
JP2871475B2 (ja) 電気接続箱の絶縁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