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97Y1 -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97Y1
KR0120597Y1 KR2019970026114U KR19970026114U KR0120597Y1 KR 0120597 Y1 KR0120597 Y1 KR 0120597Y1 KR 2019970026114 U KR2019970026114 U KR 2019970026114U KR 19970026114 U KR19970026114 U KR 19970026114U KR 0120597 Y1 KR0120597 Y1 KR 0120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ulator
insulator displacement
align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슬러 크레이그
에이. 넬슨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5377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059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단자 정렬 시스템은 다중 도체 케이블(12)의 다수의 절연된 도체(14)들을 접속하기 위한 절연체 변위식 커넥터로서 기재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를 위하여 마련된다. 커넥터는 소정의 삽입 방향(A)으로 다수의 단자(18)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 수납 통로(54, 56)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 단자(18)는 도체들 중의 하나의 주위의 절연체를 관통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있는 절연체 변위 부분(44)과, 대향 단부에서 결합 단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대향 단부에 있는 접촉 부분(46)과, 통로들 각각의 내부에서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단부들 사이에서 중간 고정 부분(48)을 포함한다. 각 단자(18)의 절연체 변위 부분(44)은 삽입 방향(A)으로 대면한 노치(52)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각 노치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리브(6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자를 통로 내로 삽입할 때, 각 단자의 노치는 각 리브와 결합하여 절연된 도체들 중 하나에 단자를 접속하기 전에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정확히 정렬시키도록 한다. 단자의 노치(52) 및 하우징의 리브(60)는 절연체 변위 부분(44)의 경계(50) 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본 고안은 절연체 변위식(insulation displacement type) 전기 커넥터와 같은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완료 이전에 커넥터 단자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다른 회로들 또는 전기 요소들 사이에서 다양한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커넥터들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재로 제조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다수의 단자를 장착한다. 단자들은 특정 패턴으로 배열되고, 다른 회로들의 도체가 상기 단자들 중의 각각 다른 단자와 연결된다. 예컨대, 하우징 내의 단자 패턴은 제2 또는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 또는 전기 요소의 다수의 결합 단자들에 대응한다. 몇몇 커넥터에서, 도체들은 각각의 단자들에 별개로 접속되며, 다른 커넥터에서는 도체들이 집단 접속 방법을 통해 접속된다.
일 유형의 전기 커넥터는 다중 도체 케이블의 다수의 절연 도체를 접속하기 위한 절연체 변위식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체의 각각의 전도성 코어와 전기 연결 또는 전도를 이루도록 도체의 절연체를 관통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절연체 변위 부분을 갖는 다수의 단자들을 포함한다.
일 유형의 절연체 변위 전기 커넥터는 대체로 평평한 고밀도 리본 케이블(ribbon cable)의 접속에 관계하며, 고밀도 리본 케이블의 일 평면 내의 다수의 도체들은 절연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평평한 리본 케이블의 절연 웨브(web) 부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은 평면 배열의 도체와 전도를 이루도록 리본 케이블의 절연재를 관통한다. 이러한 리본 커넥터는 0.635 mm(0.025 in) 정도로 밀접하게 이격된 도체를 갖는 집단 접속 초고밀도 리본 케이블을 위하여 설계되어 왔다.
집단 접속 리본 케이블용 커넥터와 같은 고밀도 전기 커넥터들이 갖는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접속 이전에 단자들, 특히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적절한 정렬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단자는 금속 박판 재료를 압인 가공하여 성형되며, 제작, 취급 또는 조립 공정 동안에 절곡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접속 공정 동안에, 단 하나의 단자가 잘못 정렬되더라도 전기 커넥터 조립체 전체가 손상되거나 불완전하게 될 수 있다.
현재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리본 케이블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특히 고밀도 전기 커넥터들에서 작은 단자들을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많은 정렬 시도는, 단자들을 하우징 통로 내로 조립하거나 삽입함에 따라 단자들을 적절히 정렬된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통상적으로 하우징 내의 단자 수납 통로 주위에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식으로 성형된 측벽, 지지 견부 및 경사면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도는 많은 응용 분야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0.635 mm(0.025 in) 정도의 작은 피치 또는 중심선 간격을 갖는 도체를 접속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초고밀도 커넥터에 있어서는 신규한 정렬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기술의 통로 측벽, 지지 견부 및 경사면 등과 같은 정렬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전술한 밀접하게 이격된 도체들 및 이들의 각각의 단자들이 사용될 때 부적당하거나 커넥터 제조를 매우 복잡하게 한다. 상기 수단은 단자의 경계 또는 외주 치수를 벗어나 하우징 내에 마련된다. 고밀도 도체들을 수납하도록 단자들이 매우 밀접하게 서로 이격될 때는 상기 정렬 수단을 경제적으로 제공하기에는 단자 통로들 사이의 벽 공간이 충분치 않다.
본 고안은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서 단자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극히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단자 정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리본 케이블에 접속된 완전 접속 위치에서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리본 케이블과 함께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몇 개의 절연체 변위 단자들과 관련하여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부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하우징의 일부분과, 커넥터 단자들 중의 하나를 수납하는 하우징 내의 통로들 중의 하나의 종단면도.
제5도는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12 : 케이블
14 : 도체
16 : 유전체 하우징
18, 18’, 18”: 단자
20 : 케이블 정렬 부재
44 : 절연체 변위 부분
44a : 정렬 부분
46 : 접촉 부분
48 : 중간 고정 부분
52 : 노치
54 : 전이 부분
60 : 리브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떤 특정 유형의 적용으로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본 고안의 정렬 시스템은 다중 도체 케이블의 다수의 절연 도체들을 접속하기 위한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에 합체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은 고밀도 리본 케이블이다. 상기 커넥터는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다수의 단자들을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 수납 통로들을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는, 도체들 중 하나의 둘레에서 절연체를 관통하기 위하여 일 단부에 있는 절연체 변위 부분과, 대응하는 단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대향 단부에 있는 접촉 부분과, 단자를 하우징 내의 통로들 중 각각의 통로 내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단부들 사이에 있는 중간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각각의 단자가 소정의 폭의 정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한다.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정렬 수단이 정렬 부분과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어 정렬 부분의 소정의 폭의 경계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정렬 시스템은 임의의 2쌍의 단자들 사이에서 하우징의 임의의 벽 수단 또는 다른 구조물에 좌우되거나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은 정렬 부분을 포함하고,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대면한 노치를 갖는다. 하우징은 각각의 노치 내에서 상호 결합하기 위한 리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자들을 이들의 통로 내로 삽입할 때, 각각의 단자의 노치는 단자를 절연 도체들 중 하나에 접속하기 이전에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리브와 결합한다.
또, 단자들은 압인 가공되어 성형된 금속 박판 재료로 제조되며, 단자들의 절연체 변위 부분 또는 정렬 부분은 각각의 측면 모서리들과 대체로 같은 평면에 있게 된다. 단자들 내의 노치와 하우징의 리브들은 절연체 변위 부분의 정렬 부분의 측면 모서리들 내부 또는 이들 사이에서 제한되도록 위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신규한 본 고안의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이점들과 함께, 본 고안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알 수 있으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요소들을 나타낸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다중 도체 리본 케이블(12)의 다수의 절연 도체들을 접속하기 위한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10)(제1도)에 합체되어 있다. 리본 케이블은 매우 높은 밀도를 가지며 0.635 mm(0.025 in) 만큼 작은 중심선 간격으로 다수의 도체(14)들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리본 케이블은 각각의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재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배열로 도체들을 연결하는 절연재 웨브도 포함한다.
제2도에서 가장 알 수 있듯이, 전기 커넥터(10)는 다수의 절연체 변위식 단자(18)들을 수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일체식으로 성형된 유전체 하우징(16)을 포함한다. 단자들이 하우징 내로 삽입된 후에, 케이블 정렬 부재(20)가 하우징의 상부로 위치된다. 케이블 정렬 부재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 재료로 일체식으로 성형되고 케이블 정렬 부재의 대향한 단부들에서 한 쌍의 가요성 래치 아암(22)을 포함한다. 래치 아암들은 하우징(16)의 직립 단부 부분(28)의 개구(26) 내에 위치된 경사 래치 돌기(24)의 후방에서 스냅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외향 훅 부분(22a)을 갖는다. 케이블 정렬 부재는 리본 케이블을 적절히 정렬시켜 유지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리본 케이블(12)의 도체(14)들 중의 각각의 도체가 위치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골(trough, 30)을 갖는다. 케이블 정렬 부재(20)는, 리본 케이블(12)의 절연체를 관통하여 케이블의 도체들에 각각 접속되기 위하여 단자(18)의 (후술될) 절연체 변위 부분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 또는 슬롯(32)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기 커넥터(10)는 제1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조립 조건으로 하우징(16)의 직립 단부 부분(28)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채널형 단부 부분(36)을 갖는 접속 덮개(34)를 포함한다. 전체 커넥터 조립체를 접속 조건에서 유지하도록 하우징(16)의 단부에 있는 래치 돌기(38)의 후방에서 래치 결합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래치 돌기가 접속 덮개의 채널형 단부 부분(36) 내에 마련되며, 이때 접속 덮개(34)는 리본 케이블(12)이 덮개와 케이블 정렬 부재(20) 사이에 끼워져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접속 덮개(34)의 밑면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 조건에서 리본 케이블의 도체(14)들 중의 각각의 도체들과 결합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골(40)이 마련된다. 접속 덮개(34)의 골(40)은 커넥터의 조립 또는 접속 조건에서 케이블 정렬 부재(20)의 골(30)과 정렬된다.
단자(18)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2도, 특히 케이블 정렬 부재(20) 내의 구멍(32)의 배열을 참조하기로 한다. 구멍들은 구멍들의 2쌍의 열로서 마련된 패턴으로 배열되고, 이때 각 쌍의 열 내의 각각의 열에 있는 구멍들은 각 쌍의 다른 열에 있는 구멍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멍들의 오프셋된 패턴은 리본 케이블(12)의 도체(14)들 사이에서의 고밀도 밀접 간격을 수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구멍(32)의 패턴은 하우징(16) 내의 (후술될) 단자 수납 통로의 패턴과, 하우징 내의 단자 위치의 대응 패턴을 가장 잘 나타낸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자(18)는 단자의 일단부에 있는 절연체 변위 부분(44)과, (도시되지 않은)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결합하기 위한 단자의 대향 단부에 있는 접촉 부분(46)과, 후술되는 하우징 통로들 중의 각각의 통로에서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단자의 단부들 사이에 있는 중간 고정 부분(48)을 포함한다. 접촉 부분(46)은 단자의 블레이드(blade) 부분의 형태이고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결합하도록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와 결합하도록 곡선형 접촉 구역(46a)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48)은 커넥터를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하우징 내의 각각의 통로의 측벽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치(48a)를 포함한다. 절연체 변위 부분(44)은 정렬 부분(44a)과, 한 쌍의 이격된 절연체 변위 아암(44b)을 포함한다. 아암들은 말단부에서 뾰족하게 되어 있어 아암들이 리본 케이블(12)의 인접 도체(14)들을 연결하는 절연재의 웨브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서, 아암들이 절연체를 관통함에 따라 도체들은 단자들의 아암들 사이에서 접속되며 아암들은 리본 케이블의 도체들과 전기 전도를 이루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제4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44b)들에 의해 형성된 절연체 변위 슬롯(44c)은 리본 케이블의 피치의 절반[즉, 0.3175 mm(0.0125 in)]과 같은 양만큼 단자의 종축의 측면으로 절연체 변위 부분(44)의 평면 내에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 점에 있어서, 각 단자(18)의 절연체 변위 부분(44)의 정렬 부분(44a)은 기본적으로 정렬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 모서리(5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렬 노치(52)는 정렬 부분의 측면 모서리(50)들 사이에서 정렬 부분(44a) 내에 형성되고, 화살표 “A”로 표시된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대면한다(제3도). 마지막으로, 각각의 단자는, 절연체 변위 부분을 고정 부분으로부터 화살표 “A”로 표시된 삽입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오프셋시키기 위하여 절연체 변위 부분(44)과 고정 부분(48) 사이에서 전이 부분(54)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단자(18)는 금속 박판 재료로부터 압인 가공되어 성형된다. 따라서, 전이 부분(54)이 절연체 변위 부분(44)을 고정 부분(48)의 측방향으로 오프셋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성형되고 절곡되는가를 제3도에서 알 수 있다.
제2도를 다시 참조하면, 좌측에 도시된 단자(18’)는 단자의 “내부”열 중의 하나의 일부이고 제3도의 하우징(16)으로부터 제거된 단자의 형상에 대응한다. 그러나, 제2도의 단자(18’)의 우측에 위치된 단자(18”)의 전이 부분(54)은 좌측 단자(18’)의 전이 부분보다 더 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단자(18”)는 단자의 “외부” 열 중의 하나의 일부이다. 더 긴 전이 부분은,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정렬 부재(20) 내의 구멍(32)의 패턴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열들의 쌍으로 단자의 전체 어레이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하우징(16)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단자(18’)의 절연체 변위 부분보다 고정 부분(48)으로부터 더 멀리 단자(18”)의 절연체 변위 부분(44)을 오프셋시킨다. 그러나, 각 쌍의 열의 단자들의 접촉 부분(46)은 커넥터의 길이 방향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2개의 평행한 접촉 부분(46)의 열과, 4개의 평행한 절연체 변위 부분(44)의 열을 갖는다. 외부 열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각 단자의 접촉 부분(46)은 커넥터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다른 외부 열의 한 단자의 접촉 부분과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내부 열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각 단자의 접촉 부분(46)은 커넥터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다른 내부 열의 한 단자의 접촉 부분과 정렬된다. 이렇게 정렬된 단자들 각각은 동일하지만 180˚ 회전되어 있어 단자의 절연체 변위 슬롯(44c)이 대향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정렬된 단자들의 절연체 변위 슬롯(44c)은 전 피치[즉, 0.635 mm(0.025 in)]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인접한 내부 열의 단자 및 외부 열의 단자들의 절연체 변위 슬롯(44c)은 동일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각 단자들은 케이블의 피치의 2배[즉, 1.27 mm(0.050 in)]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이렇게 인접한 단자들의 절연체 변위 슬롯들도 1.27 mm(0.050 in) 만큼 이격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단자(18)는 하우징(16) 내의 단자 수납 통로 각각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며, 각각의 통로는 축소 통로 부분(56)과 연통하는 통로 부분(55)을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된) 단자(18)의 고정 부분(48)은 하우징 내에서 단자를 고정하도록 통로 부분(55) 내로 억지 끼워 맞춤되고, 단자의 접촉 부분(46)은 축소 통로 부분(56)을 통해 연장되어 접촉 부분의 말단부가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의 대응 단자와 결합하도록 노출되게 한다. 제4도 및 제3도에서, 각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44), 특히 정렬 부분(44a)은 측면에서 하우징의 부분들과 접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커넥터(10)의 하우징(16) 내의 단자들의 고밀도 때문에, 리본 케이블(12)의 고밀도로 밀접하게 이격된 도체(14)를 접속하기 위해서,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한정 및 제한함으로써 정렬시키도록 하우징 내에 무수한 격벽을 성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절연체 변위 부분을 단자 자체의 경계 내에서 정렬시키기 위한 독특한 시스템을 고려한다.
특히, 본 고안은 단자의 정렬 부분과 하우징 사이에 있고, 측면 모서리(50)에 의해 형성된 정렬 부분의 폭의 경계 내에 위치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정렬 수단의 설비를 고려한다. 상기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정렬 수단은 단자의 정렬 부분(44a)의 밑면의 노치(52)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노치는 단자의 삽입 방향(“A”)으로 대면하여 하우징의 리브(60)와 결합 가능하다. 제4도에서, 또한 제3도에 도시된 가장 중앙의 단자에 의하여, 리브(60)가 노치(52) 내에 어떻게 배치되어서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44)의 어떠한 측방향 이동도 방지하는가를 알 수 있다. 하우징의 리브(60)와 단자의 노치(52) 사이의 이러한 상호 결합은 리본 케이블(12)의 도체(14)에 접속하기 위하여 단자, 특히 단자의 절연체 변위 아암(44b)이 적절히 정렬되도록 한다. 바꿔 말하면, 리브 및 노치는 케이블의 도체의 중심선 간격에 대응하여 단자를 위한 정밀한 피치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것은 고정 부분(48)의 평면으로부터 절연체 변위 부분(44)을 변위시키는 전이 부분(54)을 갖는 압인 가공되어 성형된 단자를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즉, 단자를 성형하는 동안 또는 단자의 후속 공정 중에, 절연체 변위 부분은 소정 위치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브 및 노치는 상기 변위로 인한 접속의 곤란성을 감소시킨다.
조립시, 각 단자(18)는 제4도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하우징(16) 내로 삽입된다. 각 단자의 고정 부분(48)이 하우징의 통로 부분(55) 내로 억지 끼워 맞춤됨에 따라, 단자의 노치(52)는 하우징의 각각의 리브(60) 상에 배치되어 케이블의 도체의 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정밀하게 위치시키고 리본 케이블(12)의 각각의 도체(14)에 접속하도록 단자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게 한다. 절연체 변위 부분(44)이 전이 부분(54)에 의해 고정 부분(48)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통로 부분(55)은 제3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리브(60)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밀구성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전이 부분(54)이 없이 단자(18)가 전체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다면, (제4도에 도시된) 리브(60) 및 노치(5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향해 약간 이동되기만 하여, 고정 부분(48)이 통로 내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 부분이 정렬 리브 옆을 지나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도는 제2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정렬 부재(20) 내의 구멍(32)에 대응하는 2쌍의 단자(18) 열들을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16)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전이 부분(54)의 길이가 다르다는 것은 제5도로부터 명백히 이해된다. 제5도는 또한 화살표 “B”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결합 커넥터를 접촉 구역들 사이에서 수납하기 위하여 하우징(16)의 길이를 따라 접촉 부분(46)의 곡선형 접촉 구역(46a)이 어떻게 이격되어 있는가를 도시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또는 주요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예 및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에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절연체 변위 부분 자체에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대면하여 형성된 정렬 수단으로서의 정렬 노치가 하우징의 리브와 상호 결합함으로써, 단자를 절연 도체들 중 하나의 도체에 접속하기 이전에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정확하게 정렬시킵니다. 즉, 본 고안의 단자의 정렬 노치는 절연체 변위 부분의 경계 내에 있게 되고 임의의 2쌍의 단자들 사이에서 하우징의 임의의 벽 수단 또는 다른 구조물에 좌우되거나 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단자들이 하우징 내에 밀접하게 설치될 수 있어 초고밀도의 다중 도체 케이블을 접속하는 데 있어서 특히 적합하게 됩니다.

Claims (7)

  1. 커넥터를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면과, 결합면과, 다수의 단자가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 수납 공동을 갖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각각의 공동 내에 보유된 절연체 변위식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공동은 상기 공동 내에서 단자가 유지되는 단자 고정 부분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단자는 케이블의 도체들 중 하나를 둘러싸는 절연체를 관통하도록 제1 모서리로부터 개방된 절연체 변위 슬롯을 포함하고 단자의 일단부에 있는 평평한 절연체 변위 부분과, 대응 단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단자의 대향 단부에 있는 접촉 부분과, 상기 단자를 하우징 내의 상기 공동들 중 각각의 공동에 고정하기 위하여 단자의 단부들 사이에 있는 중간 단자 고정 부분을 갖는,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이격된 도체들을 구비한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에 대향한 상기 각 절연체 변위 부분의 제2 모서리의 내부에서 단자 정렬 노치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면에 인접한 다수의 리브 수단을 가지고, 각각의 리브 수단은 상기 절연체 변위 부분 내의 상기 단자 정렬 노치들 중 하나와 상호 결합하며,
    상기 단자를 상기 공동 내로 삽입할 때, 각 단자의 단자 정렬 노치는 각각의 리브 수단과 결합하여, 상기 도체들 중 하나에 단자를 접속하기 전에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절연된 도체의 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단자의 절연체 변위 부분을 정확히 정렬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고정 부분을 상기 케이블의 상기 도체의 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상기 절연체 변위 부분의 평면으로부터 변위시키도록, 상기 단자 고정 부분과 상기 절연체 변위 부분 사이에 전이 부분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각 단자의 단자 정렬 노치는 절연체 변위 부분과 전이 부분 사이에서의 교차부의 일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각 단자는 압인 가공되어 성형된 금속 박판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리브들 각각은 절연체 변위 부분의 평면에 대하여 직각인 단자 정렬 노치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 단자의 단자 정렬 노치는 케이블의 절연된 도체의 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전이 부분의 일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압인 가공되어 성형된 금속 박판 재료로 제조되고, 단자의 상기 정렬 부분은 측면 모서리들과 같은 평면 내에 있으며, 상기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정렬 수단은 정렬 부분의 측면 모서리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정렬 수단은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해 개방된 상기 정렬 부분 내의 단자 정렬 노치와, 노치 내에서 상호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식 전기 커넥터.
KR2019970026114U 1992-12-17 1997-09-19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01205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91,927 US5326286A (en) 1992-12-17 1992-12-17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alignment system
US7/991,927 1992-12-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958A Division KR940016993A (ko) 1992-12-17 1993-12-16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0597Y1 true KR0120597Y1 (ko) 1998-07-15

Family

ID=25537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958A KR940016993A (ko) 1992-12-17 1993-12-16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9970026114U KR0120597Y1 (ko) 1992-12-17 1997-09-19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958A KR940016993A (ko) 1992-12-17 1993-12-16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26286A (ko)
EP (1) EP0602539B1 (ko)
JP (1) JP2539198Y2 (ko)
KR (2) KR940016993A (ko)
DE (1) DE69324334T2 (ko)
SG (1) SG43127A1 (ko)
TW (1) TW308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730A (en) * 1995-09-01 2000-08-15 Cekan/Cdt A/S Connector element for telecommunications
US6464529B1 (en) 1993-03-12 2002-10-15 Cekan/Cdt A/S Connector element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DK28193D0 (da) * 1993-03-12 1993-03-12 Poul Kjeldahl Forbindelsesstik til kommunikationsnet
JPH0794034A (ja) * 1993-09-22 1995-04-07 Fujitsu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付ケーブル
FR2712736B1 (fr) * 1993-11-18 1995-12-29 Filotex Sa Contact asymétrique et réglette de raccordement équipée de tels contacts.
US6371521B1 (en) 1994-07-28 2002-04-16 Glenn Petkovsek Label and/or form for special service mailing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mailpiece requiring special mailing services
TW277168B (ko) * 1994-08-12 1996-06-01 Whitaker Corp
US5554047A (en) * 1995-02-28 1996-09-1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supporting walls
US6058604A (en) * 1997-11-15 2000-05-09 Goodfellow; Tony Cable for allowing mass storage device address selection
US6068504A (en) * 1998-09-08 2000-05-30 Molex Incorporated Selective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US6447326B1 (en) 2000-08-09 2002-09-10 Panduit Corp. Patch cord connector
US6752651B2 (en) * 2001-09-12 2004-06-22 Hung-Jen Chiu Bus cable connector having bent soldering pins soldered to wire conductors
JP2005183273A (ja) * 2003-12-22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保持構造
US7484530B2 (en) * 2005-04-22 2009-02-03 Parker-Hannifin Corporation Dual purpose alignment and fluid coupling
EP1720221A1 (en) * 2005-05-03 2006-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 distribution point compris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U2007201105B2 (en) * 2007-03-14 2011-08-04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13B2 (en) * 2007-03-14 2011-09-08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2B2 (en) * 2007-03-14 2010-11-04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7B2 (en) * 2007-03-14 2011-06-23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JP4971957B2 (ja) * 2007-11-29 2012-07-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ンタクト部材、コンタクト部材の保持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DE102010033545A1 (de) * 2010-08-05 2012-02-0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Kontaktierungsvorrichtung mit Schneidklemmen zur Adresskodierung
EP2587592B1 (de) * 2011-10-24 2016-03-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ehrpoliger Kabelanschlu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poligen Kabelanschlusses
JP2016018595A (ja) * 2014-07-04 2016-02-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11658426B2 (en) * 2017-10-31 2023-05-23 J.S.T. Corporation IDCC connection system and process
US11862889B2 (en) 2021-02-09 2024-01-0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cable connector
US11545801B2 (en) 2021-02-15 2023-01-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at cable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7793B (ko) * 1967-06-05 1900-01-01
US4441779A (en) * 1980-12-31 1984-04-10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Contact device for a multiconductor cable
US4564254A (en) * 1982-06-10 1986-0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DC Latching terminal
US4512620A (en) * 1983-02-22 1985-04-23 Elco Corporation Mass termin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641903A (en) * 1983-12-27 1987-02-1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4648677A (en) * 1985-05-31 1987-03-10 Allied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terminating cable
JPS6228365U (ko) * 1985-08-05 1987-02-20
US4950177A (en) * 1987-10-13 1990-08-21 Szczesny David S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US4902243A (en) * 1989-01-30 1990-02-20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ribbon cable connector and dual transition contact therefor
DE8901559U1 (ko) * 1989-02-10 1990-06-13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US4946390A (en) * 1989-06-26 1990-08-07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 Cable termination assembly with contact supporting housing and integrally molded strain relief
JP2553899Y2 (ja) * 1990-11-29 1997-11-12 住友スリーエム株式会社 ケーブル用圧接コネクタ
US5147218A (en) * 1991-04-12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luggable modular splicing connector and bridging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8749B (ko) 1997-06-21
SG43127A1 (en) 1997-10-17
EP0602539A3 (en) 1995-12-13
DE69324334D1 (de) 1999-05-12
JPH0682762U (ja) 1994-11-25
US5326286A (en) 1994-07-05
KR940016993A (ko) 1994-07-25
EP0602539B1 (en) 1999-04-07
DE69324334T2 (de) 1999-11-18
EP0602539A2 (en) 1994-06-22
JP2539198Y2 (ja) 199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597Y1 (ko)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5118306A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EP0482669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or
EP0041308B1 (en)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arallel pins
KR100192624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EP063254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US5178563A (en) Contact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806117A (en) Modular plug coupler
US4188086A (en) Connector for terminating flexible parallel conductors
US4255009A (en) Two row electrical connector
US5122066A (en) Electrical terminal with means to insure that a positive electrical connection is effected
JPH05326058A (ja) 薄型電気コネクタ
EP0021731A1 (e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including such contact members
KR19990083382A (ko) 삽입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US4655528A (en) Connector for ribbon cable
US613581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struction for fixing shield p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EP009701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latching terminal
US4718860A (en) Tapered strain relief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KR970003370B1 (ko) 모듈라(Modular) 전기 커넥터
EP0795939B1 (en) Small pitch electrical connector
JPS643031B2 (ko)
US50096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4669799A (en) Connector panel
US5114362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671596A (en) Method of press-connecting multicore flat cable and electric connector for multicore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