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951A -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신호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신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951A
KR19980080951A KR1019980011281A KR19980011281A KR19980080951A KR 19980080951 A KR19980080951 A KR 19980080951A KR 1019980011281 A KR1019980011281 A KR 1019980011281A KR 19980011281 A KR19980011281 A KR 19980011281A KR 19980080951 A KR19980080951 A KR 1998008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ight
flar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911B1 (ko
Inventor
쇼베프랑시스
라푸필리쁘
Original Assignee
까리아스알렝
쉬나이더일렉트릭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까리아스알렝, 쉬나이더일렉트릭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까리아스알렝
Publication of KR1998008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예컨대 관형태일 수도 있는 본체 속에 내재된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신호 장치.
발광 다이오드 (21) 는 인쇄 회로 (20) 의 한쪽면 (20a)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방출빔이 본체 (13) 의 대칭축 X-X' 에 수직한 Y-Y'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본체는 다이오드와 마주보는 내부에 비연마 플레어 표면 17 이 있는 관형부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신호 장치
본 발명은 종축(longitudinal axis)을 가지며 유효 광빔(light beam)이 출력되는 반투명 장치를 구비한 헤드로 끝나는 본체와, 유효빔을 생성하는 방출빔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가 장착된 인쇄 회로로 구성된 표시등(indicating light) 또는, 광푸쉬버튼(light push button) 같은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오드 전력 공급 회로(diode power supply circuit)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 인쇄 회로 상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시등을 생성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단부의 에지(edge)에 배치되어, 다이오드 방출빔은 인쇄 회로면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그러나, 표면 장착용으로 고안된 다이오드(SMC)가 사용되면 상기 조립 방식(assembly mode)은 적합하지 않다. 방출빔이 회로 평면에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향하게 하여 인쇄 회로 상에 SMC 발광 다이오드를 장치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결과적인 유효빔의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를 별도로 배치해야 하는 단점이 고려된다.
게다가 표시등 및 광푸쉬버튼에 대하여 공통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푸쉬버튼 상의 광확산면이 본래 가동적이기 때문에, 표시등과 광푸쉬버튼와 같은 인접한 신호 장치 사이에서 불필요한 광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고, 이들 장치들의 외관(appearance)을 유사하게 만들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등 또는 광푸쉬버튼과 같은 장치로 얻어진 유효 광신호가 매우 균일하며, 특히 상기 장치들의 외관에 어떠한 차이도 없이 수개의 상기 장치들을 서로 밀접하게 배치할 수 있는 표시등 또는 광푸쉬버튼과 같은 신호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등의 입면도
도 2 는 도 1 의 표시등의 확대된 종축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1 : 헤드 12 : 반투명 장치
13 : 본체 16 : 외부 연결 요소
17 : 비연마 플레어 표면 18 : 비연마 플레어 표면
20 : 인쇄 회로 21 : 발광 다이오드
22 : 전력 공급 요소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는 인쇄 회로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일반적으로 관형태를 갖는 본체의 종축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똑바로 향하도록 하며, 측면의 다이오드와 마주하는 내부에 비연마 플레어 반사면을 갖는다.
빛을 확산시키는 반투명 장치의 중앙에서 광플럭스(light flux)가 집중되지 않고, 결과적인 광확산은 매우 균일하게 되며, 특히, 동일 장치가 설치된 표시등 혹은 광푸쉬버튼 상에서 매우 유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는 비연마 플레어 표면과 마주하는 인쇄 회로의 단부 근처에 설치되어서, 다이오드와 보드의 단부 사이의 인쇄 회로 부분은 투과되는 플럭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주어진다.
도면에서 도시된 신호 장치는 빛을 확산시키는 반투명 장치 (12) 에 고정된 헤드 (11) 와, 일반적으로 관형이고 종축 (X-X') 을 갖는 불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본체 (13) 로 구성되며, 반투명 장치 (12) 는 빛을 확산시키는 반투명벽 (12a) 과, 상기 벽 (12a) 을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색캡 (12b) 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13) 의 형태는 원통형이지만, 평행육면체형이 될 수도 있다.
본체 (13) 는 첫째, 표시등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둘째, 다이오드 연결부와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반면, 헤드 (11) 는 표시등 조립면 (14) 위에서 볼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본체 (13) 를 벽 14 의 오리피스(orifice)에 삽입하고 부근에서 고정시키는데, 예컨대 너트 (15)를 조일 수 있는 나사부 (13a) 에 의해서 고정시킨다. 연결부와 전원 공급 수단은 예컨대 나사(screw) 또는 탄성핀(elastic pins) 또는 단자(terminals)와 같은 외부 연결 소자 (16)와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인쇄 회로 (20) 상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21) 는 인쇄 회로 (20) 상의 표면 장착 구성 요소(SMC)로서, 상기 다이오드의 전력 공급 구성 요소들 (22) 과 동일한 면 (20a) 상에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21) 는 인쇄 회로 (20) 의 상부 에지 (20b) 의 바로 인접한 근처에, 본체의 플레어 표면 (17) 과 같은 높이로, 반투명 확산 장치 (12) 와 마주 보는 표면의 초기 준선 (17a)에서 높이 h 에 위치한다.
인쇄 회로 (20) 는 표시등의 종대칭축 (X-X') 으로 정렬되거나, 약간 오프셋(offset)될 수도 있어서, 측면의 발광 다이오드 (21) 는 X-X' 축에 거의 수직한 평균축 (Y-Y') 을 따라서 빔 F1을 방출하며, 준선 (17a) 에 대한 다이오드의 높이 h 와 다이오드의 평균 방출축 (Y-Y') 은 빔 F1 이 표면 17 상에서 다중 반사에 의해 표시등의 전방으로 잘 반사하도록 결정된다.
램버티안 표면 조건(Lambertian surface condition)을 만족시키도록 즉, 빔 F1의 반사가 용이하도록 다이오드 (21) 와 대향하고 있는 본체 (13) 또는 본체 (13) 위에 합체된 반사부의 표면 (17) 은 연마되지 않았거나, 무딜 수도 있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빔 F1의 다중 반사가 일어나는데, 먼저 플레어 표면 (17) 상에서 본체 (13) 측면벽을 통한 손실이 매우 적게 반사가 일어나고, 다음으로 상기 플레어 표면 (17) 과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 플레어로 벌어진 표면 18 부분 상에서 반사가 일어나서, 장치 12 를 통하여 표시등으로부터 빔이 방출된다. 즉, 반투명 확산면 (12a) 을 통하여 확산된 후, 캡 (12b) 의 뒷면을 통하여 유효빔 F2 의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확산기, 캡 혹은 그 양자를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의 파장에 따라 적절하게 착색시킨다.
본 발명은 반투명 장치나 캡이 본체의 종축 X-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의 신호 장치에도 역시 적용할 수 있다. 상술된 신호 장치에 따르면, 캡의 중앙에는 광점(light point)이 없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등에 의해 생성된 라이팅(lighting)과 누름 단추들에 의해 생성된 라이팅(lighting)이 서로 인접하게 또는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에도 매우 유사하다.

Claims (5)

  1. 종축 (X-X') 을 가지며 유효 광빔 (F2) 이 출력되는 반투명 장치 (12) 를 갖는 헤드 (11) 로 끝나는 본체 (13) 와, 유효빔 (F2) 을 생성하는 방출빔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21) 를 지지하는 인쇄 회로 (20) 를 구비하는 표시등 또는 광푸쉬버튼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21) 는 인쇄 회로 (20) 의 일측 (20a) 에 표면 장착되어서, 발광 다이오드의 방출빔 (F1) 의 방향 (Y-Y') 이 본체 (13) 의 종축 (X-X')에 거의 수직하게 되며,
    -본체의 일부분은 측면 다이오드 (21) 와 마주하는, 비연마 플레어 내부면 17 을 갖는 일반적으로 관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21) 는 상기 본체의 비연마 플레어 표면 17 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본체의 관형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의 단부에 바로 인접하게 인쇄 회로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3) 는 비연마 플레어 표면 17 에 연결된 비연마 표면 18 을 구비하며, 상기 비연마 표면 18 은 상기 비연마 플레어 표면 17 보다 더욱 플레어로 벌어지고, 상기 비연마 플레어 표면 17 과 유효빔을 생성하는 반투명 확산 장치 (12a, 12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장치
  4. 제 1 항에 , 상기 반투명 확산 장치 (12) 는 상기 본체의 종축 방향 (X-X') 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등 또는 광푸쉬버튼와 같은 신호 장치의 세트
KR1019980011281A 1997-04-04 1998-03-31 발광다이오드를구비한신호장치 KR100298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4251A FR2761792B1 (fr) 1997-04-04 1997-04-04 Organe de signalisation a diode electroluminescente
FR9704251 1997-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51A true KR19980080951A (ko) 1998-11-25
KR100298911B1 KR100298911B1 (ko) 2001-09-22

Family

ID=950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281A KR100298911B1 (ko) 1997-04-04 1998-03-31 발광다이오드를구비한신호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25566A (ko)
EP (1) EP0869522B1 (ko)
JP (1) JP4086959B2 (ko)
KR (1) KR100298911B1 (ko)
CN (1) CN1104729C (ko)
AR (1) AR012327A1 (ko)
DE (1) DE69803507T2 (ko)
ES (1) ES2167848T3 (ko)
FR (1) FR2761792B1 (ko)
SG (1) SG71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174B2 (en) * 2001-03-30 2003-07-0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witch assembly having diffused illumination
DE102007035241B4 (de) 2007-07-25 2017-01-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al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19260A5 (ko) * 1970-12-24 1972-08-04 Team
EP0221997A1 (en) * 1985-05-13 1987-05-20 Bell Industries, Inc. Illuminated push button switch
JPS63127276A (ja) * 1986-11-17 1988-05-3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フラツシユ定着装置
DE3931668C2 (de) * 1989-09-22 1994-12-15 Bodenseewerk Geraetetec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Anzeigetafeln
DE9200772U1 (ko) * 1992-01-23 1992-03-05 Siemens Ag, 8000 Muench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8911B1 (ko) 2001-09-22
JPH10284758A (ja) 1998-10-23
EP0869522A1 (fr) 1998-10-07
ES2167848T3 (es) 2002-05-16
JP4086959B2 (ja) 2008-05-14
DE69803507D1 (de) 2002-03-14
CN1197909A (zh) 1998-11-04
AR012327A1 (es) 2000-10-18
FR2761792A1 (fr) 1998-10-09
SG71779A1 (en) 2000-04-18
CN1104729C (zh) 2003-04-02
US6025566A (en) 2000-02-15
EP0869522B1 (fr) 2002-01-23
DE69803507T2 (de) 2002-06-27
FR2761792B1 (fr) 199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122B2 (en) Low-power high-intensity lighting apparatus
US5266949A (en) Lighted electronic keyboard
JP4838580B2 (ja) Ledバルブ
US7058250B2 (en) Illumination arrangement
US6623152B1 (en) Display element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H0246424A (ja) 面発光装置
KR950034016A (ko) 발광다이오드램프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릭스표시기
KR19980080951A (ko)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신호 장치
KR101726036B1 (ko) 단말기
JPH06216411A (ja) Ledランプ
EP2343718A2 (en) Illuminable control device adapted to a control panel for a domestic appliance
JPH05303340A (ja) 電気機器の表示構造
CN210831534U (zh) 镜电灯
US11242976B2 (en) Laser nightlight
KR870000647Y1 (ko) 광 표시장치
KR100367025B1 (ko) 다단계 반사면을 갖춘 차량용 전발광 계기지침
JP2000111366A (ja) 間接照明計器
JPH03284038A (ja) 発光表示器付き電話機
GB2340301A (en) Side illuminating light emitting diode
JP2002276145A (ja) 足元灯
KR200226403Y1 (ko) 발광다이오드 경보표시장치
JP3666227B2 (ja) 液晶表示装置
KR0145560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KR960033902A (ko) 펜더 마커
KR200145269Y1 (ko) 자동차 컨트롤 스위치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