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667A - 클러치드럼과 그 제조방법 및 치형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드럼과 그 제조방법 및 치형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667A
KR19980080667A KR1019980010360A KR19980010360A KR19980080667A KR 19980080667 A KR19980080667 A KR 19980080667A KR 1019980010360 A KR1019980010360 A KR 1019980010360A KR 19980010360 A KR19980010360 A KR 19980010360A KR 19980080667 A KR19980080667 A KR 1998008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lutch drum
portions
outer circumferential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708B1 (ko
Inventor
모리타츠카사
하야사카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하나와요시카즈
닛산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와요시카즈, 닛산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나와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1998008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8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 F16D13/683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2Clutch-bands; Clutch shoes; Clutch-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engaging parts; Details of shape or structure of thes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드럼과 그 제조방법 및 치형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컵 형상을 이루고서 외주벽이 치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측 부분에서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홈을 갖는 클러치드럼을 제조할때에, 컵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의 외주벽을 소정의 치형으로 형성하는 단계에서, 내측 돌출부 개구단부의 최소 외경을 스냅링용 원주홈의 최대 직경 보다 크게 되도록 성형한 후, 내측 돌출부(3)의 개구단부를 절삭 가공하여 원주홈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서, 회전운동을 전달할 때에 필요한 비평탄부를 확보하면서, 어떤 확장부도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부에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러치드럼과 그 제조방법 및 치형형성장치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드럼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치형을 형성하는 장치와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및 클러치드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자동변속기의 클러치드럼은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치형의 외주벽을 갖추고 있고, 이 외주벽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 주변부에는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치드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치형의 외측 외주면을 갖는 펀치와, 치형의 내측 외주면을 갖는 다이로 이루어진 치형형성장치가 이용되어, 컵형상의 베이스재가 감합되는 상기 펀치가 다이와 결합될 때에 상기 펀치의 외측 외주면과 상기 다이의 내측 외주면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재의 외주벽이 소정의 치형으로 성형된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재(Cp)의 외주벽(Cw)은 치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형부의 단면 형상은 개구단측에서 폐쇄단측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외주벽(Cw)의 치형부에는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홈(Cd)이 절삭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이 원주홈(Cd)은 상기 내측 돌출부(Cm)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드럼은 치형부의 외측 및 내측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외주벽(Cw) 치형부의 비평탄부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외주벽(Cw)의 성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상기 외주벽(Cw)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1b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외주벽(Cw)의 내측 돌출부(Cm)의 외주면 양단부(101)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중앙부(102)보다 더 얇아지도록 확장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 외주벽(Cw)의 치형부에서는, 그 단면 형상이 개구단에서 폐쇄단에 이르기까지 변화없이 일정하고, 상기 내측 돌출부(Cm)의 양 단부(101)의 외경(Фr1)은 상기 중앙부(102)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돌출부(Cm)의 개구단 주변부가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홈(Cd)을 형성하도록 컷팅될 때, 상기 원주홈(Cd)의 홈직경(Фd1)은 내측 돌출부(Cm)의 양단부(101)의 외측 직경(Фr1)보다 크므로, 상기 홈(Cd)의 바닥에 확장부가 부분적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바, 상기 확장부가 상기 홈(Cd)에서 형성되면 상기 클러치드럼의 강도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구나 상기 확장부에 발생하는 버어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드럼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그 중량이 대폭 증가하므로, 회전을 전달할 때 클러치와 치합되는 부분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서 비용도 증가한다. 더구나, 상기 클러치 드럼의 재료를 강도가 강한 재료로 변경하면, 그 만큼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 주변에서 확장부를 발생시키지 않고서도 회전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치형을 확보할 수 있고,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치형형성장치와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및 클러치드럼을 제공함에 있다.
도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러치드럼의 수직부분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에서 클러치드럼의 끝부분의 부분단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클러치드럼의 하부 사시도,
도2b는 도2a에서 클러치드럼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2c의 IIB-IIB선 수직 단 면도,
도2c는 도2a에서 클러치드럼의 끝부분의 부분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형형성장치의 수직단면도,
도3b는 도3a에서 다이의 수직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클러치드럼의 끝부분의 부분단면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클러치드럼 2: 클러치드럼의 외주벽
3, 33: 내측 돌출부 4, 34: 원주 홈
12: 펀치 20: 다이
21: 돌출부 21a: 베이스재 폐쇄단측 테이퍼부
21b: 소직경부 21c: 베이스재 개구단측 테이퍼부
22: 리세스부 22a: 베이스재 폐쇄단측 테이퍼부
22b: 소직경부 22c: 베이스재 개구단측 테이퍼부
CP, CPa : 클러치드럼 베이스재
CW, CWa : 클러치드럼 베이스재의 외주벽
ФR: 내측돌출부의 개구단측부 외경
ФD: 스냅링 장착용 홈직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드럼 제조방법은, 컵형상의 클러치드럼용 베이스부재의 외주벽을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치형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 주변에 스냅링을 장착하기위한 원주홈을 컷팅으로 형성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단계에서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가까운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원주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재의 외주벽이 소정의 치형으로 형성될 때, 회전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비평탄부분의 치형이 쉽게 확보된다.
또한,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가까운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스냅링용 원주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스냅링용 원주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근접한 부분을 절삭할 때 확장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가 약해지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버어의 제거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그 결과 클러치드럼을 가볍게 만들 수 있어서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드럼의 제조방법은, 컵형상의 클러치드럼용 베이스부재의 외주벽을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 갖는 치형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 주변에 스냅링을 장착할 수 있도록 원주홈을 컷팅으로 형성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클러치드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외주벽의 개구단에 근접한 부분이 폐쇄단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원주홈의 최대 직경이 상기 내측돌출부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의 최소 외경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재의 외주벽이 소정의 치형으로 형성될 때에 다른 부분보다도 더 두껍게 만들어진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스냅링용 원주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근접한 부분이 상기 스냅링용 원주홈을 형성하기 위해 절삭될 때에 회전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치형의 비평탄부가 쉽게 확보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드럼의 중량은 약간 증가하지만, 상기 스냅링용 원주홈이 형성되는 내측 돌출부 개구단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만큼 더 강한 클러치드럼이 만들어진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외주벽과, 이 외주벽에 형성되면서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를 갖는 치형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가까운 부분에서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해 형성된 원주홈으로 이루어진 컵 형상의 클러치드럼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가까운 상기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원주 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2a, 2b, 2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드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클러치드럼을 나타내고, 도3a, 3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치형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2a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드럼(1)은 외주벽(2)을 갖는 컵모양으로 형성되고, 치형부(5)는 상기 외주벽(2)에서 형성된다. 상기 외주벽(2)의 치형부(5)에는 내측 돌출부(3)와 외측 돌출부(6)가 연속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출부(3)의 개구단에 근접하여 있는 부분에서는 스냅링을 장착할 수 있도록 원주홈(4)이 형성되어 있다.
도2b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드럼(1)에서는 상기 외주벽(2)의 상기 치형부(5)에 폐쇄단부(S)와 중앙부(T), 및 개구단부(U)가 각각 서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단부(S)와 상기 중앙부(T)의 내외측에서 회전운동이 전달된다. 그 반면에 도2c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개구단부(U)에서는 상기 내측 돌출부(3)의 최소 외경(ФR)이 상기 원주홈(4)의 소정 직경(최대 직경,ФD)보다도 더 크게 형성되어있다.
도3a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드럼(1) 제조시에 이용되는 치형을 형성하는 장치는 하부다이(11)와 펀치(12), 상부다이(13), 단형성다이(16), 치형형성다이(20) 및 패드(17)로 이루어지고, 상기 펀치(12)는 상기 하부다이(11)에 고정되면서, 외측 치형으로 형성된 외측 외주면을 갖고 있다. 상기 상부다이(13)는 상기 하부다이(11)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단형성다이(16)와 상기 치형형성다이(20)는 리테이너(14)와 링플레이트(15)를 매개로 상기 상부 다이(13)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재(CP)의 상기 외주벽(CW)은 상기 다이(16, 20)와 상기 펀치(12)사이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로 성형된다.
상기 치형형성다이(20)는 내측치형으로 형성된 내측 외주면을 갖고, 패드(17)는 상기 펀치(12)상에서 성형할 때에 펀치에 감합된 상기 베이스재(CP)를 프레스하는데, 이 경우에, 참조부호 CW는 변형되기전의 상기 베이스재(CP)의 외주벽을 나타내는 반면에, 참조부호 CW는 변형된 후의 상기 베이스재(CP)(상기 클러치드럼 1)의 외주벽을 나타내므로, 서로 상이한 것을 표시한다.
도3b에서 보인바와 같이, 상기 치형형성다이(20)의 돌출부(21)는, 상기 클러치드럼(1)의 상기 베이스재(CP) 외주벽(CW)을 안쪽 방향의 소정 크기로 변형시키는 폐쇄단(도면에서는 상부를 나타냄)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1a,제 1부위), 상기 테이퍼부(21a)와 연속하여 형성된 소직경부(21b, 제 2부위) 및, 상기 클러치드럼 베이스재(CP)의 개구단에 근접한 부분을 소정크기보다 적게 변형시키는 개구단(도면에서는 하부를 나타냄) 가까이에서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1c,제 3부위)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형형성다이(20)의 리세스부(22)는, 축방향으로 서로 거의 동일한 길이(M)를 가지고서 상기 폐쇄단(도면에서는 상부를 나타냄)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2a, 제1부위)와, 개구단(도면에서는 하부를 나타냄)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2c, 제 3부위) 및 상기 테이퍼부(22a, 22c) 사이에 위치한 소직경부(22b, 제 2부위)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21)의 개구단 가까이에 있는 상기 테이퍼부(21c)는, 상기 리세스부(22)의 베이스재 개구단 가까이에 있는 테이퍼부(22c)보다 축방향으로 더 큰 길이(N)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폐쇄단 가까이에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테이퍼부(21a)와 상기 소직경부(21b)는 상기 리세스부(22)의 폐쇄단 가까이에 있는 상기 테이퍼부(22a)와 상기 소직경부(22b)보다도 축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 O, P )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형형성다이(20)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클러치드럼 베이스재(CP)의 외주벽(CW)은 각기 다른형상의 개구단 단면(U)과 중앙부 단면(T) 및 폐쇄단 단면(S)을 가진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드럼(1)을 제조할 때에는, 우선 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클러치드럼 베이스재(CP)를 치형형성장치의 펀치(12)에 감합시키고, 상기 클러치드럼 베이스재(CP)를 패드(17)로 프레스하면, 상기 다이(16, 20)는 상기 상부다이(13)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치형형성다이(20)에서 돌출부(21)의 폐쇄단측 테이퍼부(21a)와 소직경부(21b)는 상기 베이스재(CP)의 외주벽(CW)을 소정의 크기로 변형시키게 되므로, 상기 폐쇄단측 단면 (S)과 상기 중앙부 단면(T)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치형부(5)에는 회전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비평탄 부분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성형되고, 반면에, 상기 치형형성다이(20)에서 돌출부(21)의 개구단측 테이퍼부(21c)는 상기 클러치드럼 베이스재(CP) 개구단측을 상기 소정의 크기보다 적게 변형시키므로, 상기 개구단측 단면(U)이 성형된다.
상기한 모든 단면(S,T,U) 에서는, 상기 외주벽(CW)의 내측 돌출부(2)에서 외주방향으로 양 단부(7)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중앙부(8)보다 더 얇게 확장되어 있고, 상기 모든 단면(S, T, U)중에 단면(U)에서의 변형량이 나머지 단면(S,T)들 보다도 더 적고, 양 단부(7a)는 두껍게 된다. 즉, 단면(U)에서 상기 중앙부(8)와 상기 양 단부(7a)사이의 두께 차이가 적다 (도2c 참조). 따라서, 단면(U)에서 최소 외경(ΦR)을 갖는 내측 돌출부(3)는 스냅링을 위한 원주홈(4)의 소정 홈 직경(ΦD)보다도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외주벽(2)을 소정의 치형으로 형성한 후, 상기 스냅링을 위한 원주홈(4)을 형성하기위해 내측 돌출부(3)의 개구단에 절삭 공정을 실시하면, 상기 클러치 드럼이 얻어지게된다. 상기 내측 돌출부(3)의 개구단부 최소 외경(ΦR)이 컷팅할 당시에 스냅링용 외주홈(4)의 홈 직경(ΦD)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원주홈(4)의 바닥부에서 확장부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드럼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클러치드럼의 끝단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러치 드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타 부분보다도 더 두껍게 형성된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외주벽(CWa)을 가지고서 컵모양으로 형성된 클러치드럼용 베이스재(CPa)가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재(CPa)의 상기 외주벽(CWa)을 소정의 치형으로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내측 돌출부(33)에서는 상기 개구단부의 최소외경(ΦR)이 스냅링 장착 홈(34)의 소정 홈직경(최대직경,ΦD)보다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치형으로 상기 외주벽(CWa)을 형성한후, 내측 돌출부(33)의 개구단부에 컷팅공정을 함으로서, 상기 확장부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원주홈(34)이 형성되게된다.
이때, 상기 원주홈(34)이 형성되는 그 부분만이 두껍기 때문에 회전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치형이 확보되고, 또한 그 부분의 중량은 약간 증가하지만, 상기 원주홈(34)이 형성된 상기 내측 돌출부(33)의 개구단부가 타 부분보다 두껍게 만들어진 만큼 상기 클러치드럼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형을 형성하는 장치와 클러치드럼을 제조하는 방법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컵형상의 클러치드럼용 베이스부재의 외주벽을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를 갖는 치형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홈을 컷팅으로 형성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클러치드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원주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만들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2. 컵형상의 클러치드럼용 베이스재의 외주벽을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를 갖는 치형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측 부분에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홈을 컷팅으로 형성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클러치드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외주벽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이 폐쇄단측 부분보다 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원주홈의 최대 직경이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의 최소 외경보다 더 작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베이스재의 외주벽이 치형으로 형성된 외측 외주면을 갖는 펀치와 치형으로 형성된 내측 외주면을 갖는 다이 사이에서 프레스로 성형되고, 상기 다이의 내측 외주면은 내측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를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갖추며, 상기 다이의 돌출부는 개구측부와 폐쇄측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폐쇄측부는 외주벽의 폐쇄측부를 안쪽으로 소정 양만큼 변형시키고, 상기 개구측부는 외주벽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을 소정 양보다 조금 적게 안쪽으로 변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리세스부는 축방향을 따라 폐쇄측에서 개구측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제 1부위와 제 2부위 및 제 3부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세스부의 제 1, 2, 3부위는 축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3부위는 상기 제 2부위로부터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폐쇄측부는 제 1부위와 제 2부위를 갖추는 한편, 상기 돌출부의 개구측부는 제 3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3부위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폐쇄측부에서 개구측부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의 제 1, 3부위는 상기 제 2부위로부터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각 제 1, 2부위는 축방향으로 상기 리세스부의 상기 제 1, 2부위보다 높이가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제 3부위는 축방향으로 상기 리세스부의 제 3부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드럼 제조방법.
  5. 컵형상의 클러치드럼용 베이스재의 외주벽을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를 갖는 치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재의 외주벽 내측에 감합되면서 치형으로 형성된 외측 외주면을 갖는 펀치와, 치형으로 형성된 내측 외주면을 갖는 다이를 갖추고서, 상기 베이스재의 외주벽이 상기 다이의 내측 외주면과 상기 펀치의 외측 외주면사이에서 프레스 성형되도록 하는 치형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내측 외주면이 내측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를 형성하는 리세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의 돌출부는 상기 외주벽의 폐쇄측을 안쪽으로 소정량 변형시키는 폐쇄측부와, 상기 외주벽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을 안쪽으로 상기 소정량보다 더 적은 정도로 변형시키는 개구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형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리세스부가 폐쇄측에서 개구측까지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연속되게 형성된 제 1부위와 제 2부위 및 제 3부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3부위는 상기 제 2부위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폐쇄측부에는 제 1, 2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돌출부의 개구측부에는 제 3부위가 형성되면서 이들 제1,2,3부위는 상기 폐쇄측에서 개구측까지 축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 3부위는 상기 제 2부위에서 바깥으로 기울어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각 제 1, 2부위는 축방향으로 상기 리세스부의 상기 제 1, 2부위보다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돌출부의 제 3부위는 축방향으로 상기 리세스부의 제 3부위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형형성장치.
  7. 외주벽과, 이 외주벽에 형성되면서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를 갖춘 치형부,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해 컷팅으로 형성된 외주홈으로 이루어진 클러치드럼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의 개구단에 인접한 부분의 최소 외경이 상기 원주홈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드럼.
KR1019980010360A 1997-03-25 1998-03-25 클러치드럼과그제조방법및치형형성장치 KR100320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72050 1997-03-25
JP07205097A JP3389593B2 (ja) 1997-03-25 1997-03-25 クラッチドラムの製造方法および歯形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667A true KR19980080667A (ko) 1998-11-25
KR100320708B1 KR100320708B1 (ko) 2002-12-05

Family

ID=1347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360A KR100320708B1 (ko) 1997-03-25 1998-03-25 클러치드럼과그제조방법및치형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95006A (ko)
JP (1) JP3389593B2 (ko)
KR (1) KR100320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978A (zh) * 2018-01-31 2020-08-28 爱信艾达株式会社 齿形部件的制造方法、齿形部件以及齿形部件的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4512B2 (ja) * 2000-05-26 2008-02-27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ドラム
US6868950B2 (en) * 2001-06-14 2005-03-22 Aisin Aw Co., Ltd. Splined annular member and automatic transmission
JP3585868B2 (ja) * 2001-08-24 2004-11-04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クラッチアウタ
ATE374659T1 (de) * 2002-06-21 2007-10-15 Metal Forming & Coining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it keilverzahnung versehenen kupplungsnabe
US7024751B2 (en) * 2003-03-25 2006-04-11 Metaldyne Company Llc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housing
US7485044B2 (en) * 2005-02-17 2009-02-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af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530284B2 (en) * 2006-06-08 2009-05-12 Kabushiki Kaisha F.C.C. Multiplate clutch outer part
JP5987714B2 (ja) * 2013-02-01 2016-09-07 マツダ株式会社 金属製ワークの加工方法
JP6649278B2 (ja) 2015-01-21 2020-02-19 日本製鉄株式会社 歯形部品の製造方法
CN106979313A (zh) * 2016-01-18 2017-07-25 泰州里华齿轮制造有限公司 齿轮
DE102018215162A1 (de) * 2018-09-06 2020-03-12 Zf Friedrichshafen Ag Mehrscheibenkupplung
CN112916726A (zh) * 2020-12-28 2021-06-08 无锡仓佑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箱离合器齿毂内外花键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1452A (en) * 1953-02-24 1958-07-01 Patent Scaffolding Co Inc Automatic brace locks for sectional scaffolding
US3992932A (en) * 1974-10-24 1976-11-23 Borg-Warner Corporation Torque measuring system
US4014619A (en) * 1975-09-29 1977-03-29 Koppy Corporation Retainer ring and splined member assembly
JPS58225225A (ja) * 1982-06-21 1983-12-27 Nissan Motor Co Ltd クラツチド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978A (zh) * 2018-01-31 2020-08-28 爱信艾达株式会社 齿形部件的制造方法、齿形部件以及齿形部件的加工装置
CN111601978B (zh) * 2018-01-31 2022-05-17 株式会社爱信 齿形部件的制造方法、齿形部件以及齿形部件的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95006A (en) 2000-08-01
KR100320708B1 (ko) 2002-12-05
JP3389593B2 (ja) 2003-03-24
JPH10263737A (ja) 199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708B1 (ko) 클러치드럼과그제조방법및치형형성장치
US4876876A (en) Dies for forging gear-shaped part made of sheet metal
KR100914902B1 (ko) 단방향 클러치 제조방법
KR101533518B1 (ko) 치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치형 부품의 제조 장치
US5737955A (en) Method for inclearing thickness of outer peripheral portion of disc, and method for molding disc member having transmitting portion in outer periphery thereof
JPH09239478A (ja) 板金製歯車の製造方法
US5904060A (en) Sheet metal member having a peripheral wall and method of thickening the peripheral wall thereof
US2006001607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having toothed portion
WO1991000785A1 (en) Method of forming lugs of sheet metal poly-v-groove-pulley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H0580296B2 (ko)
WO199100015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heet metal poly-v-groove pulley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2002346690A (ja) 金属部品の鍛造成形方法
JP3393448B2 (ja) 板金プレートのリングギア成形方法
WO2000061316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oulie a plusieurs gorges en v
JP2851591B2 (ja) 歯車製造用の圧造工具セット
KR102412870B1 (ko) 진동모터용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JP2544304B2 (ja) 板金製プ―リの製造方法
JP2000140984A (ja) 等速ジョイント用内輪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825793B2 (ja) 歯車の圧造成形方法及び圧造用ダイセット
JP3342343B2 (ja) 油孔付き歯車及びその製造方法
US5937691A (en) Method of forming an inner flange on a sheet metal member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JP3780128B2 (ja) 板金製部材の成形方法
WO200005490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oulie a plusieurs rainures en v
JP2881285B2 (ja) シンクロナイザリング及びそのシンクロナイザリングの製造方法。
JPS6297724A (ja) 位置決め用凹凸形状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