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544A -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 Google Patents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544A
KR19980080544A KR1019980009910A KR19980009910A KR19980080544A KR 19980080544 A KR19980080544 A KR 19980080544A KR 1019980009910 A KR1019980009910 A KR 1019980009910A KR 19980009910 A KR19980009910 A KR 19980009910A KR 19980080544 A KR19980080544 A KR 1998008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over
drying
wash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5294B1 (ko
Inventor
오카자키미츠히로
다카하시유타카
가지하라아츠시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다카시
미쓰비시덴키(주)
이시카와히로아키
미쓰비시덴키홈키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다카시, 미쓰비시덴키(주), 이시카와히로아키, 미쓰비시덴키홈키키(주) filed Critical 기타오카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8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에 있어서의 작업과 식기세정건조기에 의한 작업은 서로 관련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상 불필요한 노력을 사용하여 작업수순이 나빠지는 등의 불합리가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싱크부와 이 싱크부의 한쪽측에 마련한 개구부에 부착된 식기세정건조기를 갖는 싱크대에 있어서, 개구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세정건조조, 조작부 및 힌지부를 갖고 외주에 밀봉부재가 마련되고, 개구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세정건조조를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부착프레임 및 한쪽끝이 힌지부에 장착되고, 부착프레임상에 탑재되어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를 마련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본 발명은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기세정건조기와 싱크대는 별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싱크대에 있어서의 작업과 식기세정건조기에 의한 작업은 서로 관련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상 불필요한 노력을 사용하여 작업수순이 나빠지는 등의 불합리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61-52939호에는 식기세정기겸 싱크대의 고안이 기재되어 있다.
이 고안은 싱크대의 싱크조의 저면(底面)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에 위쪽으로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를 마련하고, 개구부의 하부에 상부의 개구부에서 식기 등을 넣고 빼는 식기세정기를 배치한 것으로서, 덮개는 싱크조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와 식기세정기의 덮개를 겸하고 있다(종래기술 1).
또, 일본국실용신안공개공보 평성5-74460호에는 식기세정기본체 및 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개폐덮개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정기로서, 식기세정기본체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개구부의 양측부에는 개폐방향을 따라서 안내레일이 여러단 나란히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개폐덮개는 아래쪽개방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여러장의 단위덮개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이 단위덮개는 개구부의 한쪽 끝에 배치되는 고정덮개와 이 고정덮개에 연결해서 마련되는 여러개의 이동덮개로 이루어지고, 이들 고정덮개와 이동덮개의 연결측 끝부에는 종단면이 コ형상인 굴곡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동덮개의 한쪽 끝에는 굴곡부내에 걸어 넣어지는 종단면이 역L자형상인 걸림부재가 연결부를 거쳐서 각각 마련되고, 이들 이동덮개가 각각 안내레일의 각각의 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걸림부재와 굴곡부를 거는 것에 의해서 계단형상으로 연이어 마련됨과 동시에, 각각의 단의 안내레일내에 수납되는 회전롤러가 이동덮개의 양측부에 각각 접착된 식기세정기가 기재되어 있다(종래기술 2).
또,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6-125863호에는 문이 본체의 앞면에 마련되고, 또, 조작부가 문의 앞면상부에 마련된 시스템키친 등에 조립되는 식기세정기가 기재되어 있다(종래기술 3).
종래기술 1에 있어서는 문이 위쪽으로 개방되기 떼문에 싱크대의 앞면은 자유롭게 되지만, 그의 부착위치(싱크부의 우측 또는 좌측)에 따라서는 문이 싱크부측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식기류를 넣고 빼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또, 싱크대의 위쪽에 벽부착형 수납선반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사용상의 편리함을 고려해서 통상 사용자의 시선의 높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싱크대의 상면과 벽부착형 수납선반의 하면 사이는 비교적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1장의 큰 덮개로는 벽부착형 수납선반이 방해로 되어 개방할 수 없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기세정기의 개구부를 작게 하고 이것에 맞게 덮개를 작게하거나 또는 식기세정기의 위쪽에는 벽부착형 수납선반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덮개가 싱크대의 아래쪽으로 내려앉은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덮개의 위에서 정리를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기술 2의 경우에는 이 식기세정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경우, 덮개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공간이 필요하고, 또 세정조로부터의 세정수의 외부로의 누설방지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조립성이 나쁘고 비용이 높아진다. 또, 덮개에 단차가 있기 때문에 조리대로서의 사용이 곤란하고 물빼기용 플레이트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기술 3에 있어서는 문이 본체의 앞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문의 개폐시나 식기류를 넣고 뺄 때 사용자는 반쯤 일어선 자세로 작업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그 만큼 앞면의 면적을 넓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설치장소에도 제약이 있었다. 또, 조작부가 앞면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물이나 오물이 침입하거나 부착할 우려가 있어 고장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또,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식기세정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세정조내의 온풍을 앞면에서 배출하고 있으므로, 이 온풍이 사용자에게 닿아서 불쾌감을 주고 있었다.
또, 온풍에 포함되는 습기가 냉각되어 결로하고, 이것이 식기세정기의 앞면으로 낙하해서 바닥면을 적시거나 오염시키는 불합리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상 편리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를 얻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기세정건조기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싱크대에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싱크대의 본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싱크대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A-A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세정건조조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B-B단면도,
도 9는 도 1의 싱크대의 카운터의 설명도,
도 10은 도 3의 물빼기용 플레이트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식기세정건조기부분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부착프레임의 설명도,
도 14는 부착프레임의 하면도,
도 15는 도 10의 유지케이스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C-C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작용설명도,
도 18은 도 12의 D-D단면도,
도 19는 도 12의 E-E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다른 예의 종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 위한 싱크대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덮개의 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덮개의 하면도,
도 24는 도 21의 덮개의 F-F단면도 및 그의 일부확대도,
도 25는 도 21의 G-G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잠금기구의 하면도,
도 27은 도 21의 핸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분해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주요부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싱크대, 2 카운터, 3 싱크부, 4 개구부, 5 플랜지, 11 지지대, 12 물빼기용 플레이트, 20 식기세정건조기, 21 세정건조조, 32 수광부, 34 수광소자, 40 부착프레임, 42 개구부, 43 부착부, 44 패킹, 45 립, 46 배수로, 47 온풍도입구, 48 배수구, 50 조작부, 51 유지케이스, 53 덮개지지부재, 54 댐퍼축받이부, 58 배기관부재, 59 온풍배기구, 60 배수관, 61 조작기, 65 발광소자, 70 덮개, 71 제1 덮개판, 72 제2 덮개판, 73 상판, 74 하판, 77 핸들수용부, 78 핸들, 79 잠금레버, 80 잠금기구, 90 제1 힌지부, 95 제2 힌지부, 96 힌지축, 120 벽, 121 벽부착형 수납선반.
본 발명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는 싱크부와 이 싱크부의 한쪽측에 마련한 개구부에 부착된 식기세정건조기를 갖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세정건조조, 조작부 및 힌지부를 갖고 외주에 밀봉(seal)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건조조를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부착프레임 및 한쪽끝이 상기 힌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착프레임상에 탑재되어 상기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식기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있어서, 부착프레임에 마련한 조작부내에 배기로를 마련하고, 상기 배기로의 흡기측을 상기 세정건조조에 개구함과 동시에 배기측을 상기 싱크대의 물튀김방지용 상승벽에 대향해서 개구한 것이다.
상기 식기세정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있어서, 싱크부 및 덮개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상기 덮개의 대략 전체면을 덮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싱크부측을 향해서 경사시킨다.
상기 조작부를 부착프레임의 벽측에 세워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또, 조작부의 앞면측에 경사면을 마련하고, 상기 경사면에 조작패널을 설치하였다.
상기 힌지부를 세정건조조의 위쪽에 있어서 싱크대상에 마련하였다.
또, 상기 덮개를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의 착탈에 의해서 부착프레임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덮개를 대략 중앙부에서 굴곡시켜 싱크대의 뒷쪽부측에 대략 수직으로 세우고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덮개의 굴곡부에 밀봉부재를 마련하였다.
또, 덮개의 굴곡부에 상기 덮개에 의해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 상기 덮개의 평판화를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마련하였다.
덮개에 구비된 핸들 및 잠금수단의 상면과 상기 덮개의 상면을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또, 덮개의 폐쇄시에 잠금수단을 부착수단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싱크대의 싱크부가 형성된 면보다 낮은 면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에 부착프레임 및 덮개를 설치해서 상기 덮개의 상면이 상기 싱크부가 형성된 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구성하였다.
부착프레임의 둘레가장자리에 배수로를 마련하고, 이 배수로에서 세정건조조내로 배수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배수로에 마련된 배수구에 가요성의 배수관을 접속하고, 상기 배수관의 선단부를 세정건조조의 주변벽 내면을 향하게 하였다.
싱크대의 상면측에 있어서 세정건조조의 외부에 발광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싱크대의 캐비닛내에 수광부를 마련하고, 상기 수광부를 제어부에 접속하였다.
또,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세정건조조를 투과해서 수광부에서 수광시키도록 하였다.
또, 수광부를 세정건조조의 외벽 또는 상기 외벽에 근접해서 마련하였다.
또, 세정건조조를 적외선을 반사하는 색조 또는 재료로 구성하고, 수광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적외선이 투과하는 색조 또는 재료로 구성하였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구성의 개요에 대하여 주로 도 1∼도 9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싱크대, (2)는 싱크대(1)의 카운터로서 싱크부(3) 및 싱크부(3)의 한쪽측에 개구하는 식기세정건조기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부(4)의 안쪽둘레 가장자리에는 여러개의 나사삽입통과구멍을 갖는 플랜지(5)가 마련되어 있다(도 4). (6)은 싱크부(3)상에 개구하는 수도꼭지, (7)은 싱크부(3)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수구로서, 이 배수구(6)에는 배수관(8)(도 6)이 접속되어 실외로 꺼내져 있다.
(9)는 카운터(2)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부 등을 갖는 캐비닛으로서, 그의 앞면개구부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문(10)이 마련되어 있다. (120)은 싱크대(1)의 배면의 벽, (121)는 싱크대(1)의 상부에 있어서 벽(120)에 설치된 벽부착형 수납선반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벽(120)측(싱크대(1)의 뒤쪽부측)을 벽측이라 하고, 그의 반대측을 앞면측이라 한다. 상기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고려해서 통상 사용자의 시선의 높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 싱크대(1)의 카운터(2)의 상면과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의 하면은 비교적 접근해 있어 좁은 공간부로 되어 있다.
(20)은 캐비닛(9)내에 있어서, 개구부(4)의 아래쪽에 지지대(11)을 거쳐서 설치된 식기세정건조기, (21)은 그의 세정건조조로서, 하부에는 저수조(21a)가 마련되고, 상단부외주에는 오목홈(22a) 및 여러개의 나사구멍(22b)를 갖는 대략 역L자형의 부착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플랜지(22)가 밀봉부재(36)(도 18, 도 25 참조)를 거쳐서 개구부(4)의 플랜지(5)의 하면에 당접되고, 후술하는 부착프레임에 나사고정되어 싱크대(1)에 부착되어 있다.
(23)은 세정건조조(21)의 바닥부에 마련된 높이조절가능 지지다리, (24)는 급수원에 접속된 급수파이프, (24a)는 급수마개, (25)는 배수파이프, (26)은 전원플러그, (27)은 접지선이다. 또, (28)은 세정건조조(21)내에 마련된 세정수의 급수관, (29)는 급수관(28)로 압송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30)은 저수부(21a)에 마련된 히터, (31)은 마찬가지로 온도센서이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식기세정건조기는 식기 등을 수납하는 식기바구니와 가스기구나 환기날개 등의 기구를 세정하기 위한 기기세정바구니를 구비하고 있다.
(40)은 개구부(4)의 플랜지(5)상에 설치되어 플랜지(5)를 거쳐서 세정건조조(21)을 고정시키는 부착프레임으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에 패킹(44)가 장착된 개구부(42) 및 그의 벽측에 마련된 부착부(43)으로 이루어지고, 이 부착부(43)에는 온풍도입구(47), 배수구(48), 나사삽입통과구멍(49) 등이 마련되고, 이들을 피복하고 조작패널 및 덮개지지부재 등을 갖고 조작부(50)을 구성하는 유지케이스(51)이 부착되어 있다.
(70)은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판(71), 제2 덮개판(72) 및 양 덮개판(71), (72)를 연결함과 동시에 대략 V자형상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1 힌지부(90)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 덮개판(72)는 부착프레임(40)의 후술하는 덮개지지부재에 마련된 제2 힌지부(95)를 거쳐서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78)은 제1 덮개판(71)의 상면앞부측에 걔폐가 자유롭게 마련된 핸들로서, 덮개(70)을 개폐함과 동시에 제1, 제2 덮개판(71), (72)를 굴곡시키기 위한 것이다. (79)는 핸들(78)에 근접해서 마련되어 덮개(70)을 잠그는 잠금레버이다.
또한 싱크대(1)의 카운터(2)는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부의 제1 면(2a)와 싱크부(3)의 주위에 마련된 제1 면(2a)보다 낮은 제2 면(2b)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구부(4)의 플랜지(5)를 제2 면(2b)보다 더욱 낮은 위치 즉, 부착프레임(40)과 덮개(70)의 합계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제3 면(2c)를 마련해서 이것을 플랜지(5)로 하였다. 그리고, 이 제3 면(2c)에 부착프레임(40)과 덮개(70)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덮개(70)의 상면과 카운터(2)의 제2 면(2b)가 대략 동일 평면으로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카운터(2)의 벽측에는 제1 면(2a)에 연결되어 1단 높게 형성된 L자형상의 물튀김방지용 상승벽(2d)가 마련되어 있다.
(12)는 조리를 하거나 식품재료 등의 물빼기를 실행하는 물빼기용 플레이트(도 3)으로서, 카운터(2)의 제2 면(2b)상에 설치되고, 제2 면(2b)상을 미끄럼이동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운터(2)의 제2 면(2b)와 식기세정건조기(20)의 덮개(70)의 상면과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있으므로,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덮개(70)의 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1은 물빼기용 플레이트(12)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평판형상이고 싱크부측을 향해서 하강하도록 경사져서 덮개(70)의 대략 전체면을 덮는 바닥판(12a), 바닥판(12a)의 외주에 세워 마련된 주변벽(12b) 및 이 주변벽(12b)의 싱크부(3)측에 마련된 배출구(12c)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빼기용 플레이트(12)에 의하면, 물빼기용 플레이트(12)상의 물 등은 경사진 바닥판(12a)상을 싱크부(3)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고 배출구(12c)에서 싱크부(3)내로 유출하므로,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있어서는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70)을 제1 덮개판(71)과 제2 덮개판(72)에 의해 2분할해서 제1 힌지부(90)에 의해 연결하고, 또한 후술하는 덮개지지부재와 제2 덮개판(72) 사이에 마련된 제2 힌지부(95)에 의해 제1, 제2 덮개판(71), (72)를 대략 V자형상으로 굴곡시키면서 제2 힌지부(95)에 의해 덮개(70)을 벽측으로 경사지게 세워서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는 식기 등을 넣고 빼는 것을 고려해서 큰 개구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따라 덮개의 면적도 커지므로 개구부의 크기에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70)을 2분할해서 굴곡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근접해 있는 싱크대(1)의 상면과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의 하면 사이에 여유를 가지고 개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기술 1과 같이 1장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를 사용한 경우에는 식기세정건조기의 위쪽에는 설치할 수 없었던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을 싱크대(1)의 위쪽전역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리한 주방을 얻을 수 있다.
또,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는 벽측을 제외한 3방향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세정건조조(21)내로 식기 등을 넣고 빼는 것을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대략 V자형상으로 굴곡시키면서 개방한 덮개(70)이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의 아래쪽으로 수납되므로, 벽부착형 수납선반(121)과 세정건조조(21) 사이의 식기 등의 넣고 뺌도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물빼기용 플레이트(12)의 이동범위가 광역으로 되므로, 싱크부(3) 전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은 일부러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싱크대(1) 이외의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덮개(70)의 위쪽으로 미는 것만으로 싱크부(3)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
또, 덮개(70)의 위쪽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덮개(70)상에 배채해서 그 위에서 조리를 하면 덮개(7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의 각 부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
먼저, 세정건조조(21)을 캐비닛(9)에 부착하는 부재인 부착프레임(40)에 대해서 주로 도 12∼도 20에 의해 설명한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41)은 사각형상의 금속판의 벽측의 일부를 남기고(이하, 이 부분을 부착부(43)이라 한다), 전후의 길이가 카운터(2)에 마련된 개구부(4)의 전후의 길이보다 짧은 개구부(42)를 갖는 부착프레임본체이다. (44)는 부착프레임본체(41)의 바깥둘레가장자리 및 개구부(42)의 안둘레가장자리에 일체로 결합된 예를 들면 고무재와 같은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패킹으로서, 개구부(42)의 둘레가장자리의 외주측은 단부를 거쳐서 1단 높게 형성되고, 개구부측에는 립(lip)(45)가 마련되고, 외주측에는 부착부(43)의 패킹과 동일 높이로 배수로(46)이 형성되어 있다.
(47)은 부착부(43)에 마련된 장방형 온풍도입구, (48)은 온풍도입구(47)의 양측에 마련된 배수구, (49)는 후술하는 지지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삽입통과구멍이다.
(51)은 조작부(50)을 구성하는 유지케이스로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측에 경사면(52)를 갖는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서 경사면(52)에 걸쳐 개구부(52a)가 형성되고 또, 상면에서 뒷벽에 걸쳐 배기구멍(52b)가 마련되어 있다. (51a)는 양측벽에 마련된 후술하는 힌지축의 삽입통과구멍, (51b)는 이 유지케이스(51)을 고정시키는 나사삽입통과구멍, (59)는 뒷벽에 마련된 온풍배기구이다.
(53)은 유지케이스(51)의 양측벽의 내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대향해서 고정된 한쌍의 덮개지지부재이고, 유지케이스(51)은 이 덮개지지부재(53)을 피복해서 덮개지지부재(53)에 부착되어 있다. 덮개지지부재(53)은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케이스(51)의 내형과 대략 동일한 외형을 갖고, 리브로 형성된 후술하는 댐퍼를 지지하는 댐퍼축받이부(54), 오목형상의 걸림부(56)을 갖고 탄성이 부여된 걸림부재(55) 및 스토퍼(57)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 도 19에 있어서, (58)은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마련된 온풍도입구(47)과 유지케이스(51)의 배면에 마련된 온풍배기구(59)를 연통시키는 배기관부재, (60)은 부착부(43)에 마련한 배수구(48)에 접속된 유연성을 갖는 배수관으로서, 그의 선단부는 세정건조조(21)의 내벽에 당접되어 있다.
(61)은 유지케이스(51)의 경사면(52)에 장착된 조작기로서, 유지케이스(51)내에 수용된 조작부케이스(62)내에는 스위치(64), 발광부인 적외선의 발광소자(65), 그 밖의 전기부품 등이 탑재된 기판(63)이 마련되어 있고, 앞면에는 스위치(64)를 개폐하는 누름버튼 등을 갖는 조작패널(6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65)로부터의 광은 세정건조조(21)내를 통과해서 그의 측벽에 마련된 적외선투과재로 이루어지는 수광부(32)의 기판(33)에 탑재된 수광소자(34)에 수광되고,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된다.
이 경우, 세정건조조(21)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색조 또는 재료(예를 들면, 흑색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제의 판재)로 하고, 수광부(32)에 대향하는 부위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색조 또는 재료(예를 들면, 백색, 적색 또는 안개빛(smoked color)의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0은 수광부(32)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예에 있어서는 세정건조조(21)을 예를 들면 적외선을 투과하는 합성수지 등의 백색계재료로 구성하고, 특히, 그의 일부를 두께가 얇게 형성하고 세정건조조(21)의 부착플랜지(22)에 마련된 스터드(22a)에 수광소자(34)가 탑재된 기판(33)을 부착하고, 이 수광소자(34)를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21a)에 대향해서 배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65)로부터의 적외선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65)와 수광소자(34)에 의한 신호의 광전송 대신에 기판(63)에 탑재한 전기부품 등에 접속된 여러개의 리이드선을 묶어서 절연재료로 피복하고, 부착부(43)을 통과시킨 후 세정건조조(21)내를 경유해서 그의 주변벽에서 외부로 인출하고, 세정건조조(21)의 외부에 마련된 전기부품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부착프레임(40)에 의하면, 그의 개구부(42)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카운터(2)에 마련된 개구부(4)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였으므로,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상에 중첩해서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상에 온풍도입구(47), 배수구(48), 발광소자(65) 등을 마련할 수 있고, 또 후술하는 잠금기구의 자석장착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또, 부착프레임(40)의 개구부(42)의 안둘레가장자리에 립(45)를 갖는 패킹(44)를 마련했으므로, 덮개(70)에 의해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세정건조조(21)내의 세정수나 온풍이 누설되는 일이 없고, 또 외부에서 세정건조조(21)내로 물 등이 침입하는 일도 없다.
또, 식기건조조(21) 전역을 건조시킨 온풍은 배기관부재(58)을 경유해서 유지케이스(51)의 배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싱크대(1)의 앞면측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 발광소자(65)로부터의 광을 세정건조조(21)내를 통과해서 수광소자(34)로 수광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사람이나 장해물 등에 의해 광이 차단될 우려가 없다.
또, 조작케이스(51)은 부착프레임(40) 및 덮개(70)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이 경사면(52)에 마련된 개구부(52a)에 조작패널(66)을 설치하였으므로, 덮개(70)의 개폐에 관계없이 항상 사용자가 조작패널(66)을 보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취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 3
다음에, 주로 도 21∼도 27에 의해 덮개(7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덮개(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덮개판(71), 제2 덮개판(72), 양덮개판(71)과 (72)를 연결하고 또한 굴곡시키는 제1 힌지부(90) 및 제2 덮개판(72)를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마련된 덮개지지부재(53)에 개폐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힌지용 브래킷(92)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제2 덮개판(71), (72)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벽을 갖는 상판(73)과 이 주변벽내에 끼워 넣어진 하판(74) 및 상판(73)과 하판(74)를 상판(73)에 마련된 나사구멍을 갖는 스터드(75)를 거쳐서 일체로 결합한 나사(76)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식기세정건조기(20)의 가동중, 특히 건조공정에 있어서는 세정건조조(21)의 외부(상판(73)측)은 실온(예를 들면, 20℃)인데 비해 내부는 고온(예를 들면, 70℃)로 되므로 하판(74)가 열팽창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판(73)의 주변벽의 내벽과 하판(74)의 외주 사이에 틈새(g1)을 마련해서 이 틈새(g1)에 유연성을 갖는패킹을 장착하고, 또 상판(73)의 나사구멍을 갖는 스터드(75)에 끼워 맞추는 하판(74)의 구멍의 직경을 크게 해서 나사구멍을 갖는 스터드(75)와의 사이에 틈새(g2)를 마련하고, 하판(73)의 열팽창을 이들 틈새(g1), (g2)로 흡수시켜서 변형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하판(74)를 유연재로 구성하면 식기 등의 세정, 헹굼시에 분사노즐(29)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충격을 흡수해서 완화시킬 수 있다.
(77)은 제1 덮개판(71)의 상면에서 앞면측에 마련된 오목형상의 핸들수용부로서, 이 핸들수용부(77)에는 개폐가능한 핸들(78)과 덮개(70)을 잠그는 회전운동가능한 잠금레버(7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수용부(77)은 핸들(78)을 수용했을 때의 핸들(78) 및 잠금레버(79)의 상면이 덮개(70)의 표면에서 돌출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70)의 위에서 조리를 할 때 핸들(78)이나 잠금레버(79)가 방해로 되는 일이 없고, 또 판 등의 조리기구나 식품재료 등을 안정하게 둘 수 있다.
(80)은 제1 덮개판(71)의 하면에서 앞면측에 마련된 덮개(70)의 잠금기구이다. 이 잠금기구(80)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 25, 도 26에 있어서, (81)은 원판형상의 제1 연동판, (82)는 마찬가지로 제2 연동판이고 제2 연동판(82)에는 자석(83a)가 수용된 자석장착부(8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연동판(81), (82)는 제1 덮개판(71)의 상판(73)의 핸들수용부(77)내에 마련한 보스(73a) 및 하판(74)에 마련한 보스(74a)에 끼워 넣어진 잠금레버(79)의 보스(79a)에 제2 연동판(82)측에서 나사(85a)를 끼우고, 또 제1 연동판(81)에 마련한 보스(84)에 제2 연동판(82)측에서 나사(85b)를 끼우는 것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 제1, 제2 연동판(81), (82)는 제1 덮개판(71)의 하판(74)에 마련된 보스(74b)를 제1, 제2 연동판(81), (82)에 마련된 원호형상의 긴 구멍(86a), (86b)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해서 나사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긴 구멍(86a), (86b)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86)은 잠금레버(79)의 보스(79a)와 상판(73)에 마련한 보스(73a) 사이에 마련된 밀봉재로서, 세정건조조(21)에서 방출되는 세정수, 온풍, 증기 등을 차단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세정건조조(21)내로 침입하는 물 등을 차단한다.
(87)은 잠금암(lock arm)으로서, 그의 베이스부측에 마련된 둥근 구멍(88)은 제1 연동판(81)의 보스(84)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부측에 마련된 긴 구멍(89)는 하판(74)에 마련된 보스(74c)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35)는 잠금암(87)에 의해 덮개(70)을 잠궜을 때의 자석장착부(83)의 위치에 대응해서 세정건조조(21)의 외측에 마련된 리이드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기구(80)에 있어서, 핸들수용부(77)내의 잠금레버(79)를 돌리면 이것과 일체로 결합된 제1, 제2 연동판(81), (82)도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서 양 연동판(81), (82)에 연결된 잠금암(87)이 앞뒤로 이동한다. 이 경우, 잠금암(87)을 가장 전진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선단부가 제2 덮개판(72)의 하면과 당접하기 때문에 제1, 제2 덮개판(71), (72)는 굴곡할 수 없고 평판화된 상태에서 잠궈진다.
또, 제2 연동판(82)에 마련된 자석장착부(83)이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내로 중첩해서 돌출한 부착프레임(40)의 하면에 걸어 고정되어 덮개(70)을 개방불가능하게 잠금과 동시에, 자석장착부(83)내의 자석(83a)가 리이드스위치(35)에 근접해서 그의 접점을 온(ON)하여 식기세정건조기(20)이 운전가능하게 된 것을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한다.
한편, 제1, 제2 덮개판(71), (72)의 굴곡부(대향부)에는 부착프레임(40)의 개구부(42)위에 걸치는 길이의 밀봉부재(70a)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세정건조조(21)에서 방출된 세정수나 증기 등을 차단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세정건조조(21)내로 칩입하는 물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잠금암(87)을 1개 마련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제1 연동판(81)과 제2 연동판(82) 사이에 2개의 잠금암을 마련해도 좋다.
또, 잠금레버(79)를 돌려서 잠금암(87)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잠금암(87)의 선단부가 제2 덮개판(72)에서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자석장착부(83)에 의한 덮개(70)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양 덮개판(71), (72)를 굴곡시켜서 덮개(70)을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자석(83a)는 리이드스위치(35)에서 분리되므로 리이드스위치(35)의 접점은 오프(OFF)로 된다.
제1, 제2 덮개판(71), (72)에 있어서, (91a), (91b)(도 23)은 하판(74)의 굴곡부(대향부)에서 교대로 돌출하여 마련된 브래킷으로서, 인접하는 브래킷(91a), (91b)가 각각 핀에 의해 연결되어 제1 힌지부(90)을 구성하고 있다. (92)는 제2 덮개판(72)의 벽측의 양끝부에 마련된 힌지용 브래킷으로서, 뒤쪽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사각형의 힌지축부착구(93)이 마련되어 있다(도 12 참조).
도 27은 핸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예에 있어서는 덮개(70)의 제1 덮개판(71)의 싱크(3)과 반대측에 판(77a)를 마련하고, 이 판(77a)에 대략 역U자형상의 핸들(78a)를 부착한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핸들(78a)가 싱크(73)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덮개(70)을 닫은 상태에서 물빼기용 플레이트(12)를 덮개(70)의 위까지 밀어서 광범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상술한 핸들(78)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핸들(78a)를 물빼기용 플레이트(12)의 스토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수용부(77)에는 잠금레버(79)만을 수용하고, 그의 하면에 잠금기구(80)을 마련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덮개(70)은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데에 있어서는 핸들(78)(또는 (78a))에 의해 그의 대략 중앙부에서 굴곡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그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싱크대(1)과 벽부착형 수납선반(121) 사이의 좁은 공간내에도 용이하게 세워 마련할 수 있다.
또, 덮개(70)을 구성하는 상판(73)과 하판(74) 사이에 틈새(g1), (g2)를 마련해서 하판(74)의 열팽창을 흡수하도록 하였으므로, 세정건조조(21)의 내외에 큰 온도차가 발생해도 덮개판(70)이 변형될 우려가 없다.
또, 덮개(70)을 전개해서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패쇄했을 때에는 잠금기구(80)에 의해 그의 평판화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석장착부(83)을 부착프레임(40)에 걸어 고정시켜 잠그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중에 덮개(70)이 개방될 우려가 없다. 또한, 덮개(70)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부(3)측을 낮게 하고 그의 반대측을 높게해서 경사시켜 형성해도 좋다.
실시예 4
다음에, 도 12 및 도 28, 도 29에 의해 제2 힌지부(95)에 대해서 설명한다. (96)은 담퍼를 겸한 힌지축이고, (97)은 바닥이 있는 사각통형상의 댐퍼케이스, (98)은 플랜지, (99)는 플랜지(98)에서 돌출해서 마련된 손잡이이고, 댐퍼케이스(97)의 측벽에는 걸림발톱(100)이 마련되고, 또 바닥부에는 홈부(101)이 형성되어 있다.
(102)는 댐퍼로서, 뒤쪽부에 댐퍼케이스(97)의 홈부(101)에 끼워 넣는 지지부(104)를 갖는 원통형상의 케이싱부(103), 케이싱부(103)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원통부(106) 및 원통부(106)에서 돌출하여 마련되고 선단부가 작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107)로 이루어지는 축부(105), 케이싱부(103)내에 충전된 예를 들면 고점도그리스와 같은 댐퍼재(108) 및 덮개(109)로 이루어져 있다. (110)은 대략 반원통형상의 끼워맞춤부(111) 및 끼워맞춤부(111)의 외벽에 마련된 걸어맞춤돌기(112)를 갖는 댐퍼케이스덮개이다.
이와 같은 힌지축(96)은 케이싱부(103)내로 축부(105)의 원통부(106)을 삽입해서 공간부에 댐퍼재(108)을 충전하고, 덮개(109)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해서 댐퍼(102)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댐퍼(102)를 댐퍼케이스(97)내로 삽입해서 그의 지지부(104)를 홈부(101)에 끼워 넣어 회전불가능하게 유지하고, 계속해서 댐퍼케이스(97)의 개구부에 댐퍼케이스덮개(110)을 나사맞춤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부착프레임(40)의 유지케이스(51)의 양 측에 덮개(70)의 힌지용 브래킷(92)를 끼워맞춘다. 계속해서, 힌지용 브래킷(92)의 힌지축부착구(93)에 댐퍼케이스(97)을 삽입하고, 그의 축부(107)을 유지케이스(51)내의 덮개지지부재(53)의 댐퍼축받이부(54)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걸림발톱(100)을 댐퍼부착구(93)의 내벽에 마련된 걸림부(94)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 힌지부(95)가 형성되고, 덮개(70)은 힌지축(96)을 거쳐서 부착프레임(40)에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한, 이 때 힌지축(96)의 댐퍼케이스덮개(110)에 마련된 끼워맞춤부(111)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축받이부(54)의 외주에 끼워맞춘다.
그리고,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핸들(78)에 의해 전개되어 있는 제1, 제2 덮개판(71), (72)를 굴곡시켜 제2 힌지부(95)를 축으로 덮개(70)을 회전운동시키면, 고정부(107)이 댐퍼축받이부(54)에 끼워 넣어진 힌지축(96)의 축부(105)는 그 위치에 유지되고, 댐퍼케이스(97) 및 케이싱부(103)이 덮개(70)과 함께 회전운동한다. 이 때, 댐퍼케이스덮개(110)에 마련된 끼워맞춤부(111)도 댐퍼축받이부(54)의 외주를 따라서 회전운동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한쪽끝이 스토퍼(57)과 당접함과 동시에 걸어맞춤돌기(112)가 걸림부(56)에 걸어 고정되고 힌지축(96)의 회전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덮개(7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되어 벽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 때, 덮개(70)은 싱크대(1)의 배면에 위치하는 벽(120)이나 위쪽에 설치된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에 접촉되는 일이 없고, 또한 힌지축(96)의 끼워맞춤부(111)에 마련된 걸어맞춤돌기(112)가 덮개판지지부재(53)의 걸림부(56)에 걸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연히 하강하는 일은 없다.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는 핸들(78)에 의해 앞쪽으로 당기면, 끼워맞춤부(111)의 걸어맞춤돌기(112)가 걸림부(56)에서 분리되어 덮개(70)이 전개되고 평판화해서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때, 힌지축(96)의 댐퍼(102)에는 댐퍼재(108)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댐퍼케이스(97)이 회전운동할 때 댐퍼재(108)의 점성저항에 의해 댐퍼(102)의 회전운동하고, 따라서 덮개(70)의 회전운동이 규제되어 속도제한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덮개(70)의 개폐에 있어서는 핸들(78)은 항상 사용자의 시야범위에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손이 닿는 위치에 있으므로 덮개(70)의 개폐를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102)는 분위기온도가 상승하면 댐퍼재(108)의 점도가 저하하고, 속도제한효과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기 등의 건조시에 세정건조조(21)내로 보내지는 온풍을 배기관부재(58)을 경유해서 온도배기구(59)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고, 또 배기관부재(58)의 양측에는 덮개지지부재(53)이 마련되어 차단되고 있으므로, 힌지축(96)이 온풍이나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식기세정건조기의 운전정지직후에 있어서도 댐퍼(102)의 속도제한효과에 변화는 없고 항상 안정한 속도로 덮개(7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2 힌지부(95)를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마련된 덮개지지부재(53)과 덮개(70)의 힌지용 브래킷(92)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카운터(2)에 마련된 개구부(4)를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하고,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와의 중첩부에 온풍도입구(47), 배수구(48)을 마련함과 동시에 덮개지지부재(53), 유지케이스(51) 등을 부착해서 제2 힌지부(95)를 구성해도 좋으며, 요컨데 세정건조조(21)의 위쪽의 일부이면서 측벽인 곳에 덮개(70)을 개폐하는 제2 힌지부(95)를 마련하면 좋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싱크대(1)상의 배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에 있어서, (77a)는 덮개(70)의 핸들수용부(77)의 앞면측을 잘라내어 형성한 배수부로서,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덮개(70)에 의해 닫았을 때는 이 배수부(77a)가 부착프레임(40)의 외주에 마련된 패킹(44)의 배수로(46)상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도면에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덮개(70)이 부착프레임(40)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70)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싱크부(3)이나 덮개(70)상에서 조리 등을 하면, 덮개(70)상의 물 및 덮개(70)의 주위에서 칩입한 물이 핸들수용부(77)내로 유입한다. 이 물은 배수부(77a)에서 배수로(46)상으로 유출하고, 배수로(46)상을 흘러서 최하면인 부착부(43)으로 유입한다(도 12 참조). 그리고, 배수구(48)에서 배수관(60)을 경유해서 세정건조조(21)의 내벽을 따라 저수부(21a)로 흘러내려 배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70)상으로 유입한 물을 상기와 같이 배수하도록 하였으므로, 식기 등의 세정, 건조가 종료되면 덮개(70)을 개방해도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에서 물이 흘러내려 건조후의 식기 등을 적시는 일이 없다.
또, 배수관(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재로 구성하였으므로, 식기 등을 세정건조조(21)에 넣고 뺄 때 식기 등이 배수관(60)에 닿아도 손상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실시예의 싱크대에 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조립수순의 1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싱크대(1)의 개구부(4)가 마련된 캐비닛(9)의 문(10)을 개방하고, 지지대(11)상에 탑재한 식기세정건조기(20)을 지지대(11)과 함께 캐비닛(9)내로 반입한다. 이 때, 지지대(11)에 캐스터(caster)를 마련해 두면 반입이 용이하다. 계속해서, 지지다리(23)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도 18,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건조조(21)의 부착플랜지(22)를 밀봉재(36)을 거쳐서 개구부(4)의 플랜지(5)의 하면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부착부(43)에 덮개지지부재(53) 및 유지케이스(51) 등이 부착된 부착프레임(40)을 플랜지(5)상에 탑재하고, 부착프레임(40)에서 플랜지(5)로 삽입통과시킨 나사(37)을 세정건조조(21)의 부착프랜지(22)에 마련된 나사구멍(22a)에 끼워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다리(23)의 높이를 재조정한다. 이 때, 부착프레임(40)의 개구부(42)의 앞면측 및 부착부(43)은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의 내측에 있고 중첩하고 있다.
그리고, 부착프레임(40)상에 덮개(70)을 탑재하고, 그의 힌지용 브래킷(92)를 유지케이스(51)의 양측에 끼워맞추고, 힌지축부착구(93)에 힌지축(96)을 좌우에서 삽입하고, 그의 고정부(107)을 덮개지지부재(53)의 댐퍼축받이부(54)에 끼워 넣어 결합하여 제2 힌지(95)를 구성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덮개(70)등에 불합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보수용 덮개의 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덮개(70)의 양측에 삽입되어 있는 각각의 힌지축(96)의 손잡이(99)을 잡아 당기면, 댐퍼케이스(97)에 마련된 걸림발톱(100)이 스프링작용에 의해 휘어서 걸림부(94)에서 분리된다. 그 후, 잡아 빼면 좌우의 힌지축(96)이 힌지용 브래킷(92)에서 빼내져서 덮개(70)과 유지케이스(5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덮개(70)을 부착프레임(4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70)이나 부착프레임(40) 또는 힌지부(95) 등의 불합리개소를 점검해서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재조립은 상술한 분리방법과는 반대수순으로 실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설치, 조립, 분해 등 시공성이 우수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급수파이프(24)를 급수원에 또한 배수파이프(25)를 배수구에 각각 접속하고, 접지선(27)을 접지해서 전원플러그(26)에 전원을 접속하면 식기세정건조기(20)의 싱크대(1)로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술한 수순은 그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핸들(78)에 의해 덮개(70)을 굴곡시키면서 개방하여 더러워진 식기류를 세정건조조(21)내의 식기바구니내에 수납한다. 물론, 식기바구니를 세정건조조(21)에서 꺼내어 식기 등을 수납한 후 재차 세정건조조(21)내에 수용해도 좋다.
식기류의 수납이 종료되었을 때는 핸들(78)에 의해 덮개(70)을 전개하면서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닫고, 잠금레버(79)를 돌려서 잠금암(87)에 의해 평판화한 제1, 제2 덮개판(71), (72)를 잠근다. 이 때, 잠금기구(80)의 자석장착부(83)이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상에 중첩되어 있는 부착프레임(40)의 하면에 걸어 고정되어 덮개(70)을 개방불가능하게 잠근다. 또, 자석장착부(83)에 장착된 자석(83a)가 리이드스위치(35)에 근접해서 이것을 온시키고 운전가능한 것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계속해서, 조작부(50)의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발광소자(65)로부터의 적외선이 수광부(32)의 수광소자(34)에 수광되고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로 송신되며, 급수밸브(도시하지 않음)을 열어서 공급파이프(24)에서 세정건조조(21)내로 세정수를 급수한다. 저수부(21a)에 소정량의 세정수가 급수되면 급수밸브가 닫힌다. 이 때, 배수파이프(25)의 배수밸브(도시하지 않음)는 닫혀 있으므로, 세정건조조(21)내의 세정수가 배수파이프(25)에서 유출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저수부(21a)에 마련된 히터(30)에 통전해서 세정수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송수펌프(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해서 온수화된 세정수를 급수관(28)로 압송하고, 분사노즐(29)에서 세정수를 분사해서 식기바구니내의 식기 등을 세정한다.
세정건조조(21)내로 분사된 세정수는 낙하해서 저수조(21a)에 모이고, 재차 분사노즐(29)에서 분사되어 이 순환을 반복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히터(30) 및 송수펌프로의 통전이 정지하고, 계속해서 배수밸브가 개방되어 세정건조조(21)내의 오수는 배수펌프(25)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모든 배수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배수밸브를 닫고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세정수를 세정건조조(21)내로 공급한다. 이후에는 상술한 세정공정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 식기바구니내의 식기 등의 헹굼이 실행되고, 소정시간의 헹굼이 종료되면 재차 배수가 실행된다. 이 헹굼과 배수는 수회 반복된다.
소정회수의 헹굼과 배수가 종료되면, 급수파이프(24)의 급수밸브 및 배수파이프(25)의 배수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히터(30) 및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에 통정하고, 송풍기를 구동해서 공기도입구(도시하지 않음)에서 세정건조조(21)내로 공기를 보낸다. 이 공기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고, 식기 등 및 세정건조조(21) 전역의 건조공정으로 들어간다. 소정시간 경과하면 히터(30) 및 송풍기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건조공정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식기 등의 세정 및 건조공정 모두가 종료된다.
한편, 식기 등 및 세정건조조(21) 전역을 건조시킨 온풍은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마련된 온풍도입구(47), 배기관부재(58)을 경유해서 유지케이스(51)의 배면측에 마련된 온풍배출구(59)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온풍에 포함된 습기가 본체에 부착하거나 조작부에 침입하지 않아 본체표면을 더럽히거나 고장 등의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고, 또 싱크대(1)의 앞면측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다.
또, 온풍을 배기하는 배기관부재(58)은 유지케이스(51)의 배면측으로 개구하고, 또한 조작부(61)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이나 증기가 직접 조작부(61)에 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작부(50)에 마련된 비교적 열에 약한 전기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식기 등이 식었을 때에는 잠금레버(79)를 돌려서 덮개(70)의 잠금을 해제하고, 핸들(78)에 의해 덮개(70)을 굴곡시키면서 세정건조조(21)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식기바구니 또는 식기바구니내의 식기 등을 꺼낸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식기 등을 세정, 건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환기날개나 가스기구 등을 기기세정바구니내에 수용하고, 세정시간 등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해서 세정, 헹굼, 건조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1)의 뒤쪽부 위쪽에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즉, 덮개(70)을 대략 중앙부에서 굴곡시켜서 개방하도록 구성하고, 개방한 덮개(70)을 벽부착형 수납선반(121)과 싱크대(1)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납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는 싱크대(1)의 뒤쪽부 위쪽에 벽부착형 수납선반(12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도 31,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70)을 중앙부에서 굴곡하지 않는 1장의 판형상으로 구성하고, 개방했을 때에는 비스듬히 위쪽 또는 직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덮개(70)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개폐가 용이하며 잠금수단도 간단하게 된다.
실시예 7
실시예 2(도 18)에 있어서는 부착프레임(40)의 부착부(43)에 마련된 온풍도입구(47)와 유지케이스(51)의 배면 아래쪽에 마련된 온풍배기구(59)를 배기관부재(60)에 의해 연결하고, 식기류 및 세정건조조(21) 전역을 건조시킨 온풍을 온풍배출구(59)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지케이스(51)에 마련된 온풍배출구(59)를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2)에 마련된 상승벽(2d)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하고, 부착프레임(40)에 마련된 온풍도입구(47)과 이 온풍배출구(59)를 배기관부재(58)로 연결하고, 온풍을 이 상승벽(2d)에 일단 충돌시킨 후 상승벽(2d)를 따라서 위쪽을 향해 배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전기부품을 가열하지 않는 등의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는 싱크부와 이 싱크부의 한쪽측에 마련한 개구부에 부착된 식기세정건조기를 갖는 싱크대에 있어서, 개구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세정건조조, 조작부 및 힌지부를 갖고 외주에 밀봉부재가 마련되고 개구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세정건조조를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부착프레임 및 한쪽끝이 힌지부에 장착되고 부착프레임상에 탑재되어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였으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식기세정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식기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의 부착프레임에 마련된 유지부내에 배기로를 마련하고, 이 배기로의 흡기측을 세정건조조에 개구함과 동시에 배기측을 싱크대의 물튀김방지용 상승벽에 대향해서 개구하고, 건조공정에 있어서의 온풍을 상승벽에 충돌시키고 굴곡시켜 위쪽으로 배기하도록 하였으므로, 싱크대의 앞면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없다. 또, 온풍에 포함된 습기가 본체에 부착해서 표면을 더럽히거나 조작부로 침입해서 고장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 상기 식기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에 있어서, 싱크부상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덮개의 대략 전체면을 덮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싱크부를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빼기용 플레이트상의 오수가 덮개표면이나 세정건조조내로 침수할 우려가 없고,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싱크부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하여 물빼기용 플레이트상의 물을 자연스럽게 싱크부내로 흐르게 해서 배출하도록 하였으므로, 물빼기용 플레이트상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부착프레임의 측벽에 세워 마련하여 구성하고, 또 조작부의 앞면측에 마련한 경사면에 조작패널을 배치하였으므로, 조작부의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덮개를 개폐해도 항상조작패널을 보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의 우려가 없고, 사용하기 편리한 주방을 얻을 수 있다. 또, 조작부에 수분이 잘 들어가기 않으므로 수분의 침입에 의한 고장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상기의 힌지부를 세정건조조의 위쪽에 있어서 싱크대상에 마련하고, 또 덮개를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의 착탈에 의해서 부착프레임에 착탈할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크게 할수 있다. 또, 덮개를 단독으로 싱크대에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덮개를 대략 중앙부에서 굴곡시켜 싱크대의 뒤쪽부측에 대략 수직으로 세우고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앞면측과 좌우가 개방되기 때문에 세정건조조내로의 식기 등의 넣고 뺌을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덮개의 굴곡부에 밀봉부재를 마련하였으므로, 식기세정건조기의 사용중에 세정수나 온풍 등이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없고, 또 외부에서 세정건조조내로 물 등이 침입하는 일도 없다.
덮개의 굴곡부에 덮개에 의해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 덮개의 평판화를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식기세정건조기의 사용중에 덮개가 굴곡될 우려가 없고, 또 덮개상에 조리기구나 식품재료를 안정하게 탑재하거나 또는 덮개 위에서 조리를 할 수 있다.
덮개에 마련된 핸들 및 잠금수단의 상면과 덮개의 상면을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덮개 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싱크부를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 위에서 조리를 하거나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다.
또, 덮개의 폐쇄시에 잠금수단을 부착수단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덮개를 확실하게 잠글 수 있어 누수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싱크대의 싱크부가 형성된 면보다 낮은 면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에 부착프레임 및 덮개를 설치해서 덮개의 상면을 싱크부가 형성된 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덮개 위에서 조리 등을 해도 싱크대의 외부로 물이 흘러내리는 일이 없어 주방의 바닥면을 적시거나 어럽힐 우려가 없다.
또, 싱크부 위에서 조리를 하거나 식품재료 등의 물빼기를 실행하는 물빼기용 플레이트를 덮개 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물빼기용 플레이트의 이동범위가 광역으로 되고 덮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싱크부 전체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착프레임의 둘레가장자리에 배수로를 마련하고 이 배수로에서 세정건조조내로 배출하도록 하고, 또 배수로에 마련된 배수구에 가요성의 배수관을 접속해서 그의 선단부를 세정건조조의 주변벽 내면을 향하게 하였으므로, 식기 등의 세정, 건조가 종료되어 덮개를 개방해도 세정건조조의 개구부에서 물이 흘러내려 건조후의 식기 등을 적시는 일이 없다. 싱크대의 상면측에 있어서 세정건조조의 외부에 발광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싱크대의 캐비닛내에 수광부를 마련하고, 수광부를 제어부에 접속하였으므로, 조작부에서 수신부(수광부)로의 송신을 리이드선 등의 접속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동시에 식기세정건조기의 가동중에 사람이나 그 밖의 장해물에 의해서 광이 차단될 우려가 없어 광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세정건조조를 투과해서 수광부에서 수광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수광부를 세정건조조의 외벽 또는 외벽에 근접해서 마련하였으므로, 광의 차폐를 실행하지 않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확실하게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세정건조조를 적외선을 반사하는 색조 또는 재료로 구성하고, 수광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적외선이 투과하는 색조 또는 재료로 구성하였으므로, 수광하는 광을 감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싱크부와 이 싱크부의 한쪽측에 마련한 개구부에 부착된 식기세정건조기를 갖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세정건조조,
    조작부 및 힌지부를 갖고 외주에 밀봉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건조조를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부착프레임 및
    한쪽끝이 상기 힌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착프레임상에 탑재되어 상기 세정건조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프레임에 마련된 조작부내에 배기로를 마련하고, 이 배기로의 흡기측을 상기 세정건조조에 개구함과 동시에 배기측을 상기 싱크대의 물튀김방지용 상승벽에 대향해서 개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3. 제1항에 있어서,
    싱크대의 상면측에 있어서 세정건조조의 외부에 발광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싱크대의 캐비닛내에 수광부를 마련하고 상기 수광부를 제어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KR1019980009910A 1997-04-11 1998-03-23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KR100245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5297 1997-04-11
JP97-93352 1997-04-11
JP97-282068 1997-10-15
JP28206897A JP3548849B2 (ja) 1997-04-11 1997-10-15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544A true KR19980080544A (ko) 1998-11-25
KR100245294B1 KR100245294B1 (ko) 2000-02-15

Family

ID=2643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910A KR100245294B1 (ko) 1997-04-11 1998-03-23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48849B2 (ko)
KR (1) KR100245294B1 (ko)
CN (1) CN1199591A (ko)
TW (1) TW3629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56B1 (ko) * 2006-08-01 2007-11-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기력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93A (ja) * 2003-07-11 2005-02-03 Masayuki Tanaka システムキッチン
JP6349274B2 (ja) * 2015-03-05 2018-06-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CN104873007B (zh) * 2015-06-09 2017-08-29 苏州和美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橱柜
WO2017152867A1 (zh) * 2016-03-11 2017-09-14 李明龙 一种水槽式洗碗机和清洗方法
CN111050620B (zh) * 2017-08-31 2023-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洗碗机
CN107713932A (zh) * 2017-10-27 2018-02-23 佛山市化羽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水槽洗碗机
CN109528134A (zh) * 2018-11-15 2019-03-29 江苏众创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中央厨房污水处理装置
CN109394138A (zh) * 2018-11-15 2019-03-01 江苏众创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中央厨房自动清洗装置
CN110777516B (zh) * 2019-12-13 2023-06-20 山东小鸭集团家电有限公司 一种洗衣机面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56B1 (ko) * 2006-08-01 2007-11-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기력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591A (zh) 1998-11-25
KR100245294B1 (ko) 2000-02-15
TW362964B (en) 1999-07-01
JPH10337225A (ja) 1998-12-22
JP3548849B2 (ja)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359A (en) Under counter glass washer
KR100245294B1 (ko)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KR20020070846A (ko) 식기 세척 건조기
US8808466B2 (en)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US20210274993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open-door drying methods
US7334589B2 (en) Sound sealing system for a dishwasher
US10349810B2 (en) Pump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20190046000A1 (en) Pump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U2020200194A1 (en)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US20190223685A1 (en) Door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1185212B2 (en)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US3439688A (en) Water inlet system for dishwasher
JPH11113661A (ja)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US20050145269A1 (en) Warewash machine with wrap-around hood and multi-position splash guard, and drip flange for warewash machine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US11122960B2 (en)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n air-drying dehumidification assembly
US5209246A (en) Sealing system for a dishwasher
JP3440417B2 (ja)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JP3340334B2 (ja) 飯米処理機能を備えた食器洗浄機
KR100239518B1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US20230284865A1 (en) Dishwashing appliance vent conduit
US11571105B2 (en) Spot detection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H10225330A (ja)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JPH11178660A (ja) 食器乾燥機付き流し台
US11134826B2 (en)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