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401A -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401A
KR19980080401A KR1019980009183A KR19980009183A KR19980080401A KR 19980080401 A KR19980080401 A KR 19980080401A KR 1019980009183 A KR1019980009183 A KR 1019980009183A KR 19980009183 A KR19980009183 A KR 19980009183A KR 19980080401 A KR19980080401 A KR 19980080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naerobic
sewage
elution
biofilm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858B1 (ko
Inventor
마사키 모리이즈미
아키히로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8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including two or more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인 제거성능 및 오수처리능력을 갖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2혐기조(10), 생물막여과조(17), 오수처리조(29) 및 용출조(16)을 가지며, 제2혐기조(10)내의 오수를 용출조(16)을 통해서 생물막여과조(17)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오수처리장치
본 발명은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수로부터 인을 제거하는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은 부지면적에서 효율적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근래에 생물막여과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생물막여과법은, 생물막여과재의 표면에 미생물을 부착시켜, 이 생물막여과재를 배치한 생물막여과조에 오수를 통과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이며, 생물막여과조내의 미생물을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막여과조의 단위체적당 처리능력이 높고, 작은 부지면적에 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생물막여과법에 있어서는, 인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인산과 반응하여 이를 응집, 침전시키기 위한 염화제2철등의 응집제를 첨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염화제2철이 용해하게 되면 철이온과 염소이온으로 되기 때문에, 오수에 염소이온의 불필요한 불순물을 첨가하는 것으로되어, 생물막여과조내의 미생물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또, 생물막여과조내에 있어서의 오수의 처리에 따라서 오수가 점차 산성으로되고, 생물막여과조내의 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하여 처리능력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이루워진것으로서, 높은 인 제거능력과 오수처리능력을 갖는 생물막여과법에 의한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오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2는, 위 오수처리장치의 용출조의 확대단면도.
도3은, 위 오수처리장치의 분수계량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2혐기조(혐기부)
16 용출조
17 생물막 여과조
18 배출구
21 전극
29 처리수조
50 제2점검용개방구(점검용 개방구)
52 제2뚜껑체(뚜껑체)
56 제어회로(제어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제1의 수단은, 오수를 혐기처리하는 혐기조와, 그 혐기조에서 혐기처리된 오수를 호기처리하는 생물막여과장치를 갖는 생물막여과조와, 그 생물막여과조에서 처리된 오수를 저류시키는 처리수조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전극을 가지며, 그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을 용출하는 용출조를 구비하며, 상기 혐기조내의 오수를 용출조를 통해서 생물막여과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제2의 수단은, 오수를 혐기처리하는 혐기조와, 그 혐기조에서 혐기처리된 오수를 호기처리하는 생물막여과장치를 갖는 생물막여과조와, 그 생물막여과조에서 처리된 오수를 저류시키는 처리수조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전극을 가지며, 그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을 용출하는 용출조를 구비하며, 상기 용출조를 생물막여과조의 상방의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용출조저면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용출조내에 혐기조내의 오수를 공급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이 이송수단에 의해서 용출조에 공급된 혐기조내의 오수에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을 용출시켜 용출조저면의 배출구를 통해서 생물막여과조로 되돌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의 수단 또는 제2의 수단에 있어서, 생물막여과조상부에 설치된 생물막여과조내의 점검용개방구와, 그 점검용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뚜껑체를 구비하여, 상기 용출조를 점검용개방구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2의 수단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정지시, 전극으로 공급되는 전류공급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1 내지 도3에 도시하는 오수처리장치에 의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땅속에 매설한 탱크로서, 내부는 제1칸막이벽(2), 제2칸막이벽(3) 및 제3칸막이벽(4)에 의해서, 다음에 설명할 제1혐기조(5), 제2혐기조(10), 생물막여과조(17), 처리수조(29) 및 소독조(31)로 구획되어 있다.
5는, 생활잡배수등의 오수가 유입하는 유입구(6)을 갖는 제1혐기조, 7은, 상기 제1혐기조(5)내에 배치된 제1혐기여과상으로서, 제1혐기조(5)내에 유입한 오수중에 혼입 되어 있는 난분해성 협잡물을 침전, 분리하여 제1혐기여과상(7)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혐기분해함과 동시에, 유기성 질소를 암모니아성 질소로 혐기분해한다.
8은, 상기 제1칸막이벽(2)상부를 관통하는 관통구(9)를 통해서 제1혐기조(5)저부와 다음에 설명할 제2혐기조(10)저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이류관이다.
10은, 상기 제1칸막이벽(2)에 의해서 제1혐기조(5)와 구획된 제2혐기조, 11은, 상기 제2혐기조(10)내에 설치된 제2혐기여과상으로서, 제2혐기여과상(11)에 의해서 부유물질을 포착하여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혐기분해함과 동시에, 유기성질소를 암모니아성 질소로 혐기분해한다.
12는, 상기 제2혐기여과상(11)보다 상방의 오수중에 배치된 정량압송실, 13은, 상기 정량압송실(12)에 연이어통하고, 제2혐기조(10)내의 오수를 정량압송실(12)내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역류저지밸브를 갖는 취수관, 14는, 상기 정량압송실(12)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송풍기, 15는, 상기 정량압송실(12)와 다음에 설명할 용출조(16)와 연이어 통하게 하여 제2혐기조(10)내의 오수를 용출조(16)으로 공급하는 공급관이다.
상기 정량압송실(12)에 제1송풍기(14)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므로서, 취수관(13)에서 정량압송실(12)내로 유입한 소정량의 오수를 압송하여 공급관(15)에서 용출조(16)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16은 상기 제2칸막이벽(3)에 의해서 제2혐기조(10)과 구획된 생물막여과조(17)의 상방위치에 배치되는 용출조로서, 다음에 설명할 제2점검용개방구(50)을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8은, 상기 용출조(16)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구로서, 공급관(15)로부터 용출조(16)으로 공급된 오수를 배출구(18)에서 생물막여과조(17)로 이송한다.
19는, 상기 용출조(16)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출조(16)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이다.
20은, 상기 용출조(16)내에 배치되는 철재로 된 전극(21)을 가지며, 용출조(16)을 폐쇄하는 절연체로 제작된 전극커버이다.
22는, 다음에 설명할 제어회로(56)에 의해서 제어되고, 전극(21)사이에 직류정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전극(21)사이에 전원장치(22)에서 공급되는 직류정전류를 공급하므로서, 용출조(16)내의 오수에 철이온을 용출시킨다.
23은, 상기 용출조(16)저부의 전극(21)사이에 배치된 제1산기관으로서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송풍기(24)와 접속되어, 그 제2송풍기(24)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배출구에서 방출하게 하므로서 전극(21)을 세정하며, 오니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극(21)에서 용출하는 2가(2價)의 철이온을 오르토인산과 반응하는 3가(3價)의 철이온으로 산화시킨다.
25는, 상기 생물막여과조(17)내에 배치된 생물막여과재로서,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을 촉진시킨다.
26은, 상기 생물막여과조(17)저부에 배치된 제2산기관으로서, 다수의 공기배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송풍기(24)와 접속되어, 그 제2송풍기(24)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배출구에서 방출하게 하므로서 생물막여과조(17)내를 호기상태로 유지하며, 오수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서 호기분해함과 동시에 초산균이나 아초산균의 작용에 의해서 암모니아성질소를 초산성이나 아초산성질소로 분해한다.
27은, 상기 제3칸막이벽(4)상부를 관통하는 연통구(28)을 통해서 생물막여과조(17)저부와 다음에 설명할 처리수조(29)를 연이어통하게 하는 연통관이다.
29는, 상기 제3칸막이벽(4)에 의해 생물막여과조(17)과 구획된 처리수조로서, 저부에는 상기 연통관(27)에 접속된 펌프(30)을 가지며, 펌프(30)의 작동에 의해 연통관(27)에서 공급되는 생물막여과조(17)에서 처리된 오수를 저류하도록 되어 있다.
31은, 상기 처리수조(29)상부에 설치된 소독조로서, 처리수조(29)내의 오수가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32는, 상기 소독조(31)내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장치로서, 그 살균장치(32)내에 비치한 염소계등의 약품으로 소독조(31)에 유입한 오수를 소독한다.
33은, 상기 소독조(31)에 연이어통하는 배수구로서, 소독조(31)에서 소독된 처리수를 탱크(1)밖으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34는, 상기 처리수조(29)상부와 다음에 설명할 분수계량장치(37)의 유입실(38)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1반송관(返送管).
35는, 상기 제1반송관(34)내에 배치된 제3산기관으로서, 다수의 공기배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3송풍기(36)과 접속되어 있다.
제3송풍기(3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제3산기관(35)의 공기배출구에서 방출하므로서, 처리수조(29)내의 오수를 제1반송관(34)를 통해서 다음에 설명할 분수계량장치(37)의 유입실(38)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37은, 상기 처리수조(29)상부에 배설된 장방형 상자꼴의 분수계량장치로서, 제1혐기조(5)에 있어서 안정된 탈질소작용을 하도록하기위해 제1반송관(34)에 의해서 이송된 오수를 제1혐기조(5)로 반송하는 량을 소정의 량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분수계량장치(37)은 제1반송관(34)와 접속된 유입실(38)과, 그 유입실(38)과 하부측을 연이어통하게 하는 개방구를 형성한 격리벽(39)에 의해 칸막이된 중간실(40)과, 그 중간실(40)내의 오수가 유입하는 제1분수실(41) 및 제2분수실(42)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제1분수실(41)은, 제1혐기조(5)에 제2반송관(43)을 통해서 연이어통하게됨과 동시에, 중간실(40)과는 벽의 상부를 V자형으로 개방한 절개부(44)에 의해서 연이어통하고 있다.
상기 제2분수실(42)는 상기 처리수조(29)상부에 반송구(45)에 의해서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중간실(40)과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익류오버플로판(over floor)(46)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구로 연이어통하고 있다.
상기 익류오버플로판(46)의 높이를 조정하여 익류오버플로판(46)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구의 크기를 변화시켜, 제2분수실(42)로부터 처리수조(29)에 반송하는 오수량을 설정하므로서, 제1분수실(41)로부터 제1혐기조(5)에 유입하는 오수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7은, 상기 제1혐기조(5)상부와 생물막여과조(17)상부를 연이어통하게 하고, 생물막여과재(25)에 퇴적한 오니등을 제1혐기조(5)로 반송하는 오니반송관이다.
48은, 상기 제1칸막이벽(2)상부의 제1혐기조(5), 제2혐기조(1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1점검용개방구, 49는, 상기 제1점검용개방구(48)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제1뚜껑체로서 제1혐기조(5) 및 제2혐기조(10)저부에 퇴적한 오니를 흡인배제할때에 열고닫도록 되어 있다.
50은, 상기 생물막여과조(17) 및 용출조(1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점검용 개방구, 51은, 상기 제2점검용개방구(50)에 설치된 리드스위치로서, 상기 제2점검용개방구(50)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제2뚜껑체(52)에 설치된 자석(53)에 의해서 개폐상태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뚜껑체(52)에 설치된 자석(53)이 리드스위치(51)에 대향하도록, 제2뚜껑체는 도시하지않은 위치결정수단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상기 제2뚜껑체(52)는 생물막여과조(17) 및 용출조(16)을 점검할때에 열고닫게 되어, 제2뚜껑체(52)의 개방시에는 리드스위치(51)이 OFF로되며, 이 신호에 의해서 다음에 설명할 제어회로(56)은 전원장치(22)만을 정지시키며, 제2뚜껑체(52)의 장착에 의해 전원장치(22)를 작동시킨다.
54는 상기 살균장치(3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점검용개방구, 55는 상기 제3점검용개방구(54)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제3뚜껑체로서 살균장치(32)에로의 염소계 약품을 공급할때등에 열고닫도록 되어 있다.
56은, 상기 제1송풍기(14), 제2송풍기(24), 제3송풍기(36), 전원장치(22) 및 펌프(30)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다.
이와같이 구성하여, 가정에서 배출된 오수는 유입구(6)에서 제1혐기조(5)에 유입한다.
제1혐기조(5)내에 배치된 제1혐기여과상(7)에 의해서, 오수중에 있는 화장지등 비교적 거칠고, 큰 고형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하고, 다음에 유입하는 각 처리조에서의 처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예비적처리를 함과 동시에, 제거한 고형물, 협잡물 및 제1혐기여과상(7)을 통과하는 오수를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혐기분해하여, BOD를 저감화시킴과 동시에, 오수의 분해에 의해서 발생한 오니는 제1혐기조(5)의 저부에 퇴적한다.
또, 유기성질소를 암모니아성질소로 혐기분해한다. 제1혐기조(5)에 새로운 오수가 유입하므로서, 상기 제1혐기조(5)에서 혐기분해된 오수는 이류관(8)을 통해서 제2혐기조(10)으로 유입한다. 새로운 오수가 제2혐기조(10)에 유입하므로서, 제2혐기여과상(11)을 통과하는 오수는 제2혐기여과상(11)에 서식하는 혐기성미생물의 작용으로 부유물질(SS)성분등의 유기물을 혐기분해하여 BOD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오수의 분해에 의해서 발생한 오니는 제2혐기조(10)의 저부에 퇴적한다.
또,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질소가 암모니아성의 질소로 혐기분해된다.
제2혐기여과상(11)보다 상방의, 제2혐기여과상(11)에 서식하는 혐기성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혐기분해된 오수는 취수관(13)에서 정량압송실(12)에 유입한다.
제1송풍기(14)로부터 정량압송실(12)내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취수관(13)은 역류저지밸브에 의해서 폐쇄되고, 정량압송실(12)내의 오수가 공기압으로인해 압송되어, 공급관(15)를 통해서 용출조(16)으로 공급된다.
제1송풍기(14)의 작동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회로(56)은 제1송풍기(14)를 정지시켜, 정량압송실(12)내의 압력저하에 따라서 다시 취수관(13)으로부터 정량압송실(12)로 오수를 유입시킨다. 다음에 설명할 제어회로(56)이 제1송풍기(14)를 간헐적으로 운전시키므로서, 소정시간마다 제2혐기조(10)내의 소정량의 오수를 용출조(16)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된다.
정량압송실(12)에서 공급관(15)를 통해서 용출조(16)에 유입한 오수에는, 철재로 된 전극(21)사이에 직류정전류를 공급하므로서 전극(21)에서 철이온이 용출한다.
용출한 철이온은 오르토인산과 반응하여 물 불용성의 인 화합물이 되어 생물막여과조(17)에 공급된다.
용출조(16)내에 공급되는 제2혐기조(10)내의 오수는 부유물질인 SS성분(Suspended Solids)이 비교적 많아서, 철이온과 오르토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인 화합물이 SS성분에 의해서 플럭(flock)화되기 때문에 인화합물의 응집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응집된 인화합물은, 생물막여과조(17)내의 생물막여과재(25)에 포착된다.
또, 용출조(16)의 배출구(18)은 용출조(16)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SS성분이 많은 제2혐기조(10)내의 오수를 용출조(16)으로 공급하여도, 용출조(16)내에 오니가 체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출조(16)내에 오니가 체류하여 전극(21)사이에 접촉하므로서 철이온의 용출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설명할 제어회로(56)은 제1송풍기(14)를 정지시켜, 제2혐기조(10)으로부터 용출조(16)으로의 오수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있는 사이에는 전원장치(22)를 정지시켜, 전극(21)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쓸떼없는 통전을 정지하게 하므로서 절전에 기여한다.
용출조(16)은 제2점검용개방구(50)에 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2뚜껑체(52)를 열어서 용이하게 용출조(16)의 점검과 전극(21)의 교환을 할 수 있다.
전극(21)의 전해에 의해서 발생한 수소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용출조(16)상부에 체류하기쉽게 되어, 용출조(16)내의 수소가스의 농도가 상승하면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기구(19)를 용출조(16)상부에 설치하여, 용출조(16)내의 수소가스를 제1산기관(23)에서 용출조(16)내의 오수로 공급되는 공기와함께 효율적으로 용출조(16)밖으로 배출시키므로서 용출조(16)내의 수소가스농도의 상승을 방지하여 폭발을 예방하고 있다.
용출조(16)의 배출구(18)에서 생물막여과조(17)에 유입한 오수는, 생물막여과재(25)의 표면에 다수부착한 호기성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오수를 호기분해함과 동시에, 유기인산염등을 오르토인산으로 분해하여 암모니아성질소를 초산성이나 아초산성질소로 분해한다.
또, 오수의 분해로 인해서 발생한 오니는 생물막여과재(25)에 보유된다.
생물막여과조(17)내의 오수처리에 따라서 오수가 점차 산성이되어 생물막여과재(25)에 생식하고 있는 호기성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하여 오수처리능력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으나, 용출조(16)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는 전극(21)의 전해에 의해 알칼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출조(16)에서 오수를 공급하게 되므로서 생물막여과조(17)의 오수처리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생물막여과재(25)를 통과하고, 생물막여과재(25)에 의해 처리된 오수는, 제어회로(56)이 펌프(30)을 제어하여 연통관(27)을 통해서 처리수조(29)로 유입시킨다.
처리수조(29)에 유입한 오수는 소독조(31)에 유입하고, 염소계의 약품을 비치한 살균장치(32)에 의해 살균되어 병원균등의 세균을 사멸시켜 배수구(33)에서 탱크(1)밖으로 배수된다.
생물막여과재(25)에 부착한 물 불용성 인 화합물, 오니 및 생물막등은 생물막여과재(25)의 막힘방지를 위해서 제어회로(56)이 정기적으로 펌프를 역전시켜서 처리수조(29)내의 오수연통관(27)을 통해서 생물막여과조(17)로 공급하여 생물여과재(25)를 세정하고, 인 화합물, 오니 및 생물막등을 생물막여과재(25)로부터 박리하여 오니반송관(47)을 통해서 제1혐기조(5)로 반송(返送)한다.
제3송풍기(3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제3산기관(35)의 공기배출구에서 방출하므로서 처리수조(29)내의 오수는 분수계량장치(37)의 유입실(38)에 유입하여 중간실(40)에서 정류되어 제1분수실(41)과 제2분수실(42)로 유입한다.
제1분수실(41)에 유입한 오수는 제2반송관(43)을 통해서 제1혐기조(5)에 반송되며, 제1혐기조(5)에 반송된 오수중의 초산성이나 아초산성의 질소는 제1혐기조(5)에 많이 존재하는 탈진균에 의해서, 환원되고, 질소가스로서 공기중에 방산하여 제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철재로 된 전극(21)을 장기간에 걸쳐서 용출조(16)내의 오수중에 담겨있게 하면, 전극표면에 산화피막이 발생하여 부동태화상태로되어 철이온의 용출이 서서히 감소하여 탈인 성능이 저하한다.
따라서, 철재로 된 한쌍의 전극사이에 직류정전류를 공급하여 그 전류를 소정시간마다 극성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anode)측의 철재표면에는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고 있으면 산화피막이 발생하지만, 음극측의 철재표면은 음극측 철재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에 의해서 세정되어 산화피막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양극측의 철재표면에 산화피막이 발생하여 철이온의 용출이 감소할때까지의 시간간격으로 극성을 전환하게 하므로서, 철이온의 용출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탈 인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두 전극을 철재로 하므로서 항시 양극측전극이 되는 철재에서 철이온이 용출하여 처리수에 공급되기 때문에, 탈 인 성능을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전극의 적어도 양극측에 철재를 사용하여, 두 전극사이에 직류정전류를 공급하고, 소정시간마다 펄스(pulse)상태로 공급전류를 증대시키므로서 양극측철재표면에 발생한 산화피막을 박리할 수 있고, 철이온의 용출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여 탈인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철재로 된 한 쌍의 전극사이에 직류정전류를 공급하며, 그 전류를 소정시간마다 극성을 전환시킴과 동시에, 펄스상태로 공급전류를 증대시키는 구성으로하여도 좋다.
극성전환하는데까지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양극측의 철재표면에 산화피막이 발생해있으며 극성을 전환하므로서 수소가스에 의해서 산화피막을 박리할 수 있으나 산화피막이 박리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하며, 산화피막이 박리될 때까지의 사이의 전기적저항이 크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구성으로서 펄스상태로 공급전류를 증대시키므로서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환한 철재표면의 산화피막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고, 소비전력의 증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직류정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을 용출하는 전극으로서 두 극에 철재를 사용하였으나, 양극측의 전극에 철재를 사용하고, 음극측의 전극을 티탄이나 백금등 불용성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직류정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을 용출하는 전극으로서 두 극에 철재를 사용하였으나, 알루미늄을 사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혐기조에서 생물막여과조에로의 오수공급경로에 용출조를 설치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혐기조내의 부유물질성분(SS성분)을 이용하여 물 불용성 인 화합물을 군집(群集)화시켜서 응집을 촉집시킬 수가 있으므로 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용출조에서 유출하는 알칼리성의 오수를 생물막여과조에 공급하므로서 생물막여과조의 오수처리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혐기조에서 생물막여과조에로의 오수공급경로에 용출조를 설치하여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동시에, 혐기조내의 SS성분을 이용하여 물불용성 인 화합물을 군집화시켜서 응집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용출조에서 유출하는 알칼리성의 오수를 생물막여과조에 공급하므로서 생물막여과조의 오수처리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용출조내의 오니의 퇴적을 방지하여 전극으로부터의 이온용출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점검용개방구를 통해서 용출조의 보수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 불필요한 통전을 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전력의 소모를 억제하여 전기료의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수를 혐기처리하는 혐기조(10)와, 그 혐기조에서 혐기처리된 오수를 호기처리하는 생물막여과장치를 갖는 생물막여과조(17)와, 그 생물막여과조(17)에서 처리된 오수를 저류하는 처리수조(29)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전극(21)을 가지며, 그 전극(21)에 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을 용출하는 용출조(16)를 구비하며, 상기 혐기조(10)내의 오수를 용출조(16)를 통해서 생물막여과조(17)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2. 오수를 혐기처리하는 혐기조(10)와, 그 혐기조에서 혐기처리된 오수를 호기처리하는 생물막여과장치를 갖는 생물막여과조(17)와, 그 생물막여과조(17)에서 처리된 오수를 저류하는 처리수조(29)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전극(21)을 가지며, 그 전극(21)에 전류를 공급하여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을 용출하는 용출조(16)를 구비하며, 상기 용출조(16)를 생물막여과조(17)의 상방의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용출조(16)의 저면에 배출구(18)를 형성하여, 상기 용출조내에 혐기조(10)내의 오수를 공급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서 용출조(16)에 공급된 혐기조내의 오수에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을 용출하여 용출조(16)저면의 배출구(18)를 통해서 생물막여과조(17)로 반송(返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막여과조(17)의 상방에 설치된 생물막여과조(17)내의 점검용개방구(50)와, 그 점검용개방구(50)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뚜껑체(52)를 구비하며, 상기의 용출조(16)를 점검용개방구(50)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오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수단이 정지할 때, 전극(21)에로의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수단(5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KR1019980009183A 1997-03-24 1998-03-18 오수처리장치 KR100322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0347 1997-03-24
JP9090347A JPH10263586A (ja) 1997-03-24 1997-03-24 汚水処理装置
JP90347 1997-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401A true KR19980080401A (ko) 1998-11-25
KR100322858B1 KR100322858B1 (ko) 2002-07-03

Family

ID=1399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183A KR100322858B1 (ko) 1997-03-24 1998-03-18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263586A (ko)
KR (1) KR100322858B1 (ko)
CN (1) CN1068856C (ko)
TW (1) TW4003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14B1 (ko) * 2000-08-31 2004-03-04 (주)바이오준테크 수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1272A (zh) * 2010-12-31 2012-07-04 苏州嘉净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体化分散生活污水处理装置
JP6043111B2 (ja) * 2012-07-10 2016-12-14 フジクリーン工業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
CN103979750B (zh) * 2014-06-06 2015-07-15 瀚蓝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及磷回收的反应装置及利用其回收磷的方法
CN104402166A (zh) * 2014-10-16 2015-03-11 滁州友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工艺
CN104355502B (zh) * 2014-11-18 2016-06-08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乙烯一步氧化制备乙醛所产生废水的处理方法
CN105731645A (zh) * 2016-04-15 2016-07-06 王道光 一体化污水处理处理器
CN105948387B (zh) * 2016-05-27 2018-11-20 彭展忠 污水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0997A (ja) * 1986-04-24 1987-10-31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汚水処理方法
JPH07108296A (ja) * 1993-10-12 1995-04-25 Nishihara Neo Kogyo Kk 汚水処理装置の脱リ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14B1 (ko) * 2000-08-31 2004-03-04 (주)바이오준테크 수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56C (zh) 2001-07-25
TW400309B (en) 2000-08-01
KR100322858B1 (ko) 2002-07-03
JPH10263586A (ja) 1998-10-06
CN1194241A (zh)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234B1 (ko) 오수처리장치
KR100322858B1 (ko) 오수처리장치
KR100421515B1 (ko) 오수처리장치
JP2001062463A (ja) 汚水処理装置
JP3939010B2 (ja) 汚水処理装置
JPH10192869A (ja) 汚水処理装置
KR100256439B1 (ko) 오수처리장치
JPH11262794A (ja) 汚水処理装置
KR19980018904A (ko) 오수처리장치
JP3754167B2 (ja) 汚水処理装置
JP3954688B2 (ja) 汚水処理装置
JPH11262796A (ja) 汚水処理装置
JP3938996B2 (ja) 汚水処理装置
JP3973276B2 (ja) 汚水処理装置
JPH11262795A (ja) 汚水処理装置
JP2000015266A (ja) 汚水処理装置
JP3819528B2 (ja) 汚水処理装置
JP3813326B2 (ja) 汚水処理装置
JP3954687B2 (ja) 汚水処理装置
JPH10328692A (ja) 汚水処理装置
KR100309999B1 (ko) 물 정화장치
JPH11262797A (ja) 汚水処理装置
JPH10249387A (ja) 汚水処理装置
JPH10263551A (ja) 汚水処理装置
JP2002273448A (ja) 汚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