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395A -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 압축기 유닛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 압축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395A
KR19980080395A KR1019980009176A KR19980009176A KR19980080395A KR 19980080395 A KR19980080395 A KR 19980080395A KR 1019980009176 A KR1019980009176 A KR 1019980009176A KR 19980009176 A KR19980009176 A KR 19980009176A KR 19980080395 A KR19980080395 A KR 1998008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condenser
compresso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987B1 (ko
Inventor
다카시 사쿠라이
히데오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세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8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ntaining more than one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6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 F25B31/008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by inject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Compressor (AREA)
  • Rotary Pump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FC계 냉매 사용의 냉동장치에 있어서, 냉동능력의 증대에 의한 성능의 향상과 안정된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냉동기에서의 사이클 계통을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과냉각기의 순서로 접속한 구성으로 한다. 공냉분리식 냉동기에서는 공냉식 응축기 유닛 내에 수액기를 설치한다. 또, 액 배관에서 돌발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경우는 압축기 유닛 내에 축압기와 칸막이 판을 거쳐 일체로 기액분리기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 압축기 유닛
본 발명은 HFC계 냉매를 사용한 냉동장치, 냉동장치 유닛,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안정된 운전과 냉동능력의 증대에 의한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동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8-15956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을 분리한 구조의 공냉분리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냉식 응축기 유닛 내에 수액기를 내장하는 공냉식 냉동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것은, 단순히 압축기 유닛의 소형화, 서비스 스페이스의 확보 및 액 주입의 냉각성능의 저하 방지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는 것이기는 하나, 오존층에 영향이 없는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의 사용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 액 주입의 인출구를 저압쪽 기기 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되는 저압쪽 기기의 종류에 따라 배관계통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HFC계 냉매를 사용하여 냉동하는 것에 있어서도, 응축한 HFC계 액 냉매가 응축기로부터 팽창밸브에 이르는 배관 도중에서 돌발가스로 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운전과 냉동능력의 증대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동기를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으로 구성한 공냉분리식의 냉동기에 있어서, 콤팩트한 압축기 유닛으로 하여 옥내에 대한 설치 스페이스를 저감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HFC계 액 냉매의 과냉각도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저압쪽 기기나 액 주입 배관으로 유도되는 액 냉매에 미응축 가스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계통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HFC계의 의사공비 혼합냉매 또는 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의 액 냉매를 다시 냉각하는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이 팽창밸브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스크롤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R404A, R507A 등의 HFC계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HFC계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의 HFC계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HFC계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HFC계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이 팽창밸브로부터의 HFC계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로부터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지는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와,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력실에 주입하는 액 주입 배관을 구비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냉매 배관에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을 설치하고, 이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주입하도록 상기 액 주입 배관을 설치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도록 한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인출된 액 냉매만을 다시 냉각하기 위한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액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을 구비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스크롤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의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및 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과, 이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응축기 및 냉각팬을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에 있어서, 압축기 유닛쪽에서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도록 한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인출된 액 냉매만을 다시 냉각하기 위한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 유닛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을 구비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스크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의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 유닛으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 하류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스크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냉매를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의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 유닛으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이 기액분리기 하류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하며, 이 축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기액분리기 내의 냉매를 축압기 내의 냉매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을 옥외에 설치하고 상기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을 옥내에 설치하여 배관 접속하면 공냉분리식의 냉동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저압기기를 접속하면 냉동장치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스크롤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이 기액분리기 하류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 하류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상태와 냉매 중의 수분함유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과, 상기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하며, 이 축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기액분리기 내의 냉매를 축압기 내의 냉매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에 있다.
즉 상기 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매로서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사용하고, 순환 계통을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과냉각기의 순서로 접속함으로써, 충분히 응축한 예를 들어 건조도 0인 액 냉매를 과냉각기로 유도할 수 있고 과냉각기에서의 전열효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공냉 응축기 부분을 공냉식 응축기 유닛으로서 옥외 설치하고, 압축기 부분을 압축기 유닛으로서 옥내 설치하는 공냉분리식 냉동장치로 하고, 공냉식 응축기 유닛쪽에 수액기를 내장시킴으로써 수액기를 압축기 유닛쪽에 가지는 종래방식에서는,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 사이에 액배관이 3개 필요하게 되는 점을, 본 발명에 의하여 1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압축기 유닛 내에는 수액기가 없어지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압축기 유닛이 콤팩트하게 되고, 기계실 등의 옥내로의 압축기 유닛의 설치 스페이스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축압기를 구비하는 압축기 유닛과, 액화한 냉매를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수액기(제 1 수액기)를 가지는 공냉식 응축기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을 분리한 구조의 공냉분리식 냉동장치로 하고, 상기 압축기 유닛 내에 기액분리용의 수액기(제 2 수액기)를 설치하여, 이 수액기와 압축기 유닛 내의 상기 축압기를 칸막이 판을 사이에 두고 일체 구조로 함으로써, 액 냉매의 과냉각도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또, 액 주입 배관의 인출구를 냉동기 내 또는 압축기 유닛 내의 냉매 배관에 설치하는 것에서는 냉동기에 접속되는 저압기기가 어떠한 종류의 것이더라도 배관 계통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목적과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의 기본 냉동 순환도,
도 2는 냉동기가 공냉분리식인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냉동 순환도,
도 3은 냉동기가 공냉분리식인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냉동 순환도,
도 4는 종래의 공냉분리식 냉동기의 기본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공냉분리식 냉동기의 기본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R404A, R507A 등의 냉동장치용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는 종래의 R22 등의 HCFC계 냉매에 비하여 냉매물성상 응축액 냉매가 과냉각되기 어려워, 예를 들어 R404A로서는 R22와 동등한 과냉각도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열교환량이 약 2배가 된다.
한편, R404A는 R22에 비하여 증발잠열이 약 7할로 작고, 이 때문에 과냉각도를 될수록 크게 취함으로써 냉동능력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응축액 냉매로 압축기의 토출 가스 냉각을 행하는 액 주입 방식에 있어서는 안정된 과냉각액을 압축기 중간압 부분(압축실)에 공급하는 것은 신뢰성상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의 경우에 응축액의 과냉각을 충분히 행하는 것은 냉동능력 확대,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의 기본 냉동 작용 순환도로서, A는 응축기를 공냉하고 또한 압축기나 축압기 등도 하나의 용기 내에 넣은 공냉 일체형의 냉동기(응축기 유닛), B는 증발기나 팽창밸브 등을 구비하는 저압쪽 기기(증발기 유닛)이며, 이들의 냉동기(A)와 저압쪽 기기(B)는 배관접속부(15, 16)에서 접속되어 냉동 작용 순환구조를 형성한다.
도 1의 구체적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1은 스크롤 압축기, 2는 압축기 하류쪽에 설치된 응축기, 3은 상기 응축기(2)와 일체로 구성된 과냉각기이며, 상기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 R404A 나 R507A 등의 가스 냉매는 응축기(2)에서 냉각팬(14)에 의하여 냉각되고 응축되어 액 냉매가 된다. 한 번 응축한 액 냉매는 일단 수액기(5)에 모아지고, 그후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액 냉매만이 인출되어 상기 과냉각기(3)로 유도되어 과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과냉각기(3)에서 과냉각된 액 냉매는 냉동기(A) 내에 설치된 드라이어(냉매 중의 수분을 흡착제거하는 수분 제거 장치)(9), 관측창(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하는 것)(8)을 통과하고, 배관접속부(15)를 거쳐 저압쪽 기기(B)쪽으로 흐르고, 전자밸브(7), 팽창밸브(6), 증발기(4)로 흘러 증발하며, 다시 가스냉매가 된 후 배관접측부(16)를 거쳐 냉동기(A)쪽으로 흐르고, 축압기(13)를 통과후, 상기 압축기(1)로 유입된다. 상기 관측창(8)은 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할 뿐만 아니라 냉매 중에 포함되는 수분의 함유상태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수분량이 어느 일정량을 넘으면 색이 변하는 표시기도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어(9)와 관측창(8) 사이의 냉매 배관과 스크롤 압축기(1)의 중간압력실(압축실)과는 액 주입 배관(10)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액 주입 배관(10)에는 전자밸브(12) 및 액 주입량을 제어하는 전자팽창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 주입 배관을 가짐으로써, 스크롤 압축기(1)의 중간압력실에 액 냉매를 주입하고, 압축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1)의 토출 가스 온도를 허용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드라이어(9)는 필터로서의 기능도 있어, 그 하류쪽에 액 주입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먼지 등이 전자팽창밸브(11)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팽창밸브(11)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밸브(12)는 압축기(1)의 정지시에는 폐쇄되도록 제어되고, 전자팽창밸브(11)가 냉동기 운전중의 압축기의 일차 정지때마다 완전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전자팽창밸브(11)의 수명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전자팽창밸브는 완전폐쇄되는 빈도수가 높아지면 그만큼 수명이 짧아진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액 주입 배관의 액 냉매 인출부는 상기 이외라도 액 냉매를 인출시키는 부분이면 되고, 예를 들어 수액기(5) 내와 과냉각기(3)보다 하류쪽의 액 냉매 배관으로부터 액 냉매를 인출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클 계통을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과냉각기의 순서로 접속하고,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액 냉매를 과냉각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과냉각기에서의 전열효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과냉각을 취하기 어려운 R404A나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에 대해서도 충분히 과냉각할 수 있어, 이와 같은 신냉매를 사용해도 안정된 운전이 가능하고 냉동능력의 증대에 의한 성능 향상도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냉동기가 공냉분리식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공냉분리식 냉동기는 압축기 유닛(Aa)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Ab)으로 구성되고,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압쪽 기기(B)와 배관접속부(15, 16)에서 접속되고, 또 각 유닛(Aa와 Ab) 사이는 배관접속부(17, 18)에서 접속되어 냉동 순환 경로가 구성된다.
상기 공냉 응축기 유닛(Ab) 내에는 응축기(2), 과냉각기(3), 수액기(5), 냉각팬(14) 등이, 또 상기 압축기 유닛(Aa) 내에는 스크롤 압축기(1), 축압기(13) 등이 설치되고,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 주입 배관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동기를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으로 구성한 공냉분리식 냉동기로 한 것에서는, 수액기를 공냉 응축기 유닛 내에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유닛 내에 수액기가 없어지고, 그만큼 콤팩트한 압축기 유닛을 얻을 수 있다. 압축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기계실에 설치되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 기계실에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대폭 작게 할 수 있다. 또, 압축기 유닛을 저압쪽 기기 내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저압쪽 기기 내의 유효 스페이스 확대가 도모되고 또한 서비스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도 3도 대략 도 2와 같고, 냉동기가 공냉분리식인 경우의 실시예이며, 이 공냉분리식 냉동기는 압축기 유닛(Aa)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Ab)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냉식 응축기 유닛(Ab)은 도 2와 마찬가지이나, 압축기 유닛(Aa)에는 기액분리기(제 2 수액기)(19)가 축압기(13)의 상부에 칸막이판(20)을 거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외의 구성은 도 2의 것과 같다.
이와 같이 냉동기의 압축기 유닛 내에 기액분리기를 설치하고 축압기와 칸막이판을 거쳐 일체 구조로 하고, 과냉각기(3)로부터의 액 냉매를 증발기로부터의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로 다시 냉각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액 냉매의 과냉각도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고, 저압쪽 기기(B)나 액 주입 배관(10)으로 유도되는 액 냉매에 미응축 가스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특히 압축기 유닛과 응축기 유닛이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접속 배관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등에 유효하고, 액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이 커져 돌발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경우라도 압축기 유닛 내에 기액분리기(제 2 레시버)를 설치함으로써 안정된 운전을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공냉분리식 냉동기의 기기배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는 일반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 유닛(Aa)에는 스크롤 압축기(1), 수액기(5), 축압기(13)가 도면과 같이 배치되고, 공냉식 응축기 유닛(Ab)과 배관접속부(17, 18)에 의해 접속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 유닛(Aa)에는 스크롤 압축기(1)와 축압기(13) 등이 설치되고, 수액기(5)는 압축기 유닛(Aa)이 아니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냉식 응축기 유닛(Ab)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액기를 공냉식 응축기 유닛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압축기 유닛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더욱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냉식 응축기 유닛 내의 데드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냉식 응축기 유닛 자체도 대형화하지 않고 냉동기 전체로서 소형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 계통을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과냉각기의 순서로 접속하고 수액기로부터 예를 들어 건조도 0인 액 냉매를 과냉각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과냉각기에서의 전열효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과냉각을 취하기 어려운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에 대하여 충분히 과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사용해도 돌발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냉동능력을 증대시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액 주입 배관도 설치한 것에서는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사용해도 안정되게 액 냉매를 액 주입 배관에 공급할 수 있어 보다 안정시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냉동기를 압축기 유닛과 공냉식 응축기 유닛으로 구성한 공냉분리식 냉동기로 한 것에서는, 수액기를 공냉 응축기 유닛 내에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유닛 내에 수액기가 없어지고 그만큼 콤팩트한 압축기 유닛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냉분리식 냉동기의 압축기 유닛 내에 기액분리기를 설치하고, 축압기와 칸막이 판을 거쳐 일체 구조로 하여 액 냉매와 가스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게 한 것에서는, 액 냉매의 과냉각도를 보다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저압쪽 기기나 액 주입 배관으로 유도되는 액 냉매에 미응축 가스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액 주입 배관의 인출구를 냉동기 내 또는 압축기 유닛 내의 냉매 배관에 설치하는 것에서는 냉동기에 접속되는 저압기기가 어떠한 종류의 것이더라도 배관계통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HFC계의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의 액 냉매를 다시 냉각하는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이 팽창밸브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 스크롤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R404A, R50A 등의 HFC계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HFC계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의 HFC계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HFC계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HFC계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이 팽창밸브로부터의 HFC계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로부터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지는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와,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력실에 주입하는 액 주입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냉매 배관에 냉매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을 설치하고, 이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주입하도록 상기 액 주입 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4.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HFC계의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도록 한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인출된 액 냉매만을 다시 냉각하기 위한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액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5. 스크롤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의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및 냉매의 유동상태를 관찰가능한 관측창과, 이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6. 응축기 및 냉각팬을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에 있어서, 압축기 유닛쪽에서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도록 한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인출된 액 냉매만을 다시 냉각하기 위한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 유닛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7. 스크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의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 유닛으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 하류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
  8. 스크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냉매를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의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 유닛으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이 기액분리기 하류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하며, 이 축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기액분리기 내의 냉매를 축압기 내의 냉매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
  9. 압축기 유닛쪽에서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도록 한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인출된 액 냉매만을 다시 냉각하기 위한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 유닛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을 구비한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을 옥외에 설치하고,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의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 유닛으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 하류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한 냉동장치용 압축기 유닛을 옥내에 설치하여 배관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분리식 냉동기.
  10. 스크롤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는 R404A, R507A 등의 HFC계 의사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배관과,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 건조도 0인 액 냉매만을 인출하여 과냉각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상기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저압기기쪽으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이 기액분리기 하류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어 냉매 중에 혼입한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 하류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상태와 냉매 중의 수분함유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과, 상기 드라이어와 관측창 사이의 액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압축 도중의 압축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 주입 배관과, 이 액 주입 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 및 전자팽창밸브와, 저압기기쪽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로 보내기 위한 냉매 배관과, 이 냉매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축압기를 구비하며, 이 축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기액분리기 내의 냉매를 축압기 내의 냉매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냉동기.
  11.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HFC계의 공비 혼합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는 수액기와, 이 수액기로부터의 액 냉매를 다시 냉각하는 과냉각기와, 이 과냉각기로부터의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이 팽창밸브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KR1019980009176A 1997-03-19 1998-03-18 냉동장치,냉동기,냉동장치용공냉식응축기유닛및압축기유닛 KR100329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077 1997-03-19
JP06607797A JP3965717B2 (ja) 1997-03-19 1997-03-19 冷凍装置及び冷凍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817A Division KR100339128B1 (ko) 1997-03-19 2001-12-03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압축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395A true KR19980080395A (ko) 1998-11-25
KR100329987B1 KR100329987B1 (ko) 2002-05-09

Family

ID=133054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176A KR100329987B1 (ko) 1997-03-19 1998-03-18 냉동장치,냉동기,냉동장치용공냉식응축기유닛및압축기유닛
KR1020010075817A KR100339128B1 (ko) 1997-03-19 2001-12-03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압축기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817A KR100339128B1 (ko) 1997-03-19 2001-12-03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압축기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6009715A (ko)
JP (1) JP3965717B2 (ko)
KR (2) KR100329987B1 (ko)
CN (2) CN100483042C (ko)
TW (1) TW5257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564B1 (ko) * 2002-10-23 2005-08-04 주식회사 대우인더스트리 급속동결을 위한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717B2 (ja) 1997-03-19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及び冷凍機
US6691528B2 (en) * 2000-09-15 2004-02-17 Scotsman Ice Systems Quiet ice making apparatus
US20040035136A1 (en) * 2000-09-15 2004-02-26 Scotsman Ice Systems And Mile High Equipment Co. Quiet ice making apparatus
CA2422755C (en) * 2000-09-15 2007-07-24 Mile High Equipment Company Quiet ice making apparatus
US7017353B2 (en) * 2000-09-15 2006-03-28 Scotsman Ice Systems Integrated ice and beverage dispenser
JP3801006B2 (ja) * 2001-06-11 2006-07-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回路
DE10350192A1 (de) * 2002-10-30 2004-05-19 Denso Corp., Kariya Kühlkreissystem
US7337624B2 (en) * 2003-03-27 2008-03-04 The Coca-Cola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er
ES2594617T3 (es) * 2003-10-08 2016-12-2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Unidades de condensación distribuidas
US7171822B2 (en) * 2004-03-10 2007-02-06 Dometic Environmental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interior and exterior assemblies
JP2005265381A (ja) * 2004-03-22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JP4403300B2 (ja) * 2004-03-30 2010-01-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装置
US9080801B2 (en) * 2005-06-27 2015-07-14 Ray Arjomand Window refrigerator
JP2007139225A (ja) 2005-11-15 2007-06-07 Hitachi Ltd 冷凍装置
US20070130977A1 (en) * 2005-12-14 2007-06-14 Chou Ching L Heat exchanging device having continuously operatable compressor
US20090038322A1 (en) * 2006-03-30 2009-02-12 Carrier Corporatio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US7546976B2 (en) * 2006-09-25 2009-06-16 Hong-Fu Li Dual power helicopter without a tail rotor
EP2097701B1 (en) * 2006-12-15 2013-11-20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improvement in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manifolds
US20080184733A1 (en) * 2007-02-05 2008-08-07 Tecumseh Products Company Scroll compressor with refrigerant injection system
US20080314068A1 (en) * 2007-06-21 2008-12-25 Seok Hoon Jang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80381B1 (ko) * 2009-11-18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JP5903595B2 (ja) * 2011-05-27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超低温冷凍装置
JP5877361B2 (ja) * 2011-05-27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を備えた超低温冷凍装置
US8522564B2 (en) * 2011-06-07 2013-09-03 Thermo King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refrigerant recovery arrangement
CN103851952A (zh) * 2012-12-05 2014-06-11 朱玉静 一种空冷机调节装置
WO2014128830A1 (ja) * 2013-02-19 2014-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3557621A (zh) * 2013-10-02 2014-02-05 胡汝杰 一种可拆分式压缩冷凝机组
US9746219B2 (en) * 2014-07-02 2017-08-29 Evapco, Inc. Low charge packaged refrigeration system
US20170328584A1 (en) * 2015-02-27 2017-11-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EP3081881A1 (en) * 2015-04-17 2016-10-19 Daikin Europe N.V. Compress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nd heat source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compressor unit and a heat source unit
CN107401847A (zh) * 2016-05-19 2017-11-28 中科赛德(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制冷设备
CN106871946A (zh) * 2017-02-07 2017-06-20 深圳市瑞蓝技术有限公司 长距离分体式试验箱
DE102018101514B4 (de) * 2018-01-24 2021-07-29 Hanon Systems Kraftfahrzeugkälteanlage mit mehreren Verdampfern verschiedener Kälteleistung
US11136747B2 (en) * 2018-12-07 2021-10-05 Systemes Mced Inc. Cooling system for water-cooled apparatus
CN109682034B (zh) * 2018-12-13 2021-01-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空调器
WO2021024380A1 (ja) * 2019-08-06 2021-02-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1042903A (ja) * 2019-09-11 2021-03-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726A (en) 1986-07-16 1987-08-04 Rejs Co., Inc. Refrigeration apparatus
US5243827A (en) * 1989-07-31 1993-09-14 Hitachi, Ltd. Overheat preventing method for prescribed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5222378A (en) * 1991-12-09 1993-06-29 Chuan Pan C Filter/separator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223086B1 (ko) 1994-09-16 1999-10-15 다카노 야스아키 열교환기를 탑재한 냉각장치
JP3275559B2 (ja) * 1994-09-20 2002-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
JPH08159568A (ja) * 1994-12-07 1996-06-21 Hitachi Ltd 空冷式冷凍装置
JP3644077B2 (ja) * 1995-07-18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
FR2737283B1 (fr) * 1995-07-26 1997-09-19 Mc International Procede de refrigeration d'un medium, systeme de refrigeration et installation frigorifique
JP3965717B2 (ja) * 1997-03-19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及び冷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564B1 (ko) * 2002-10-23 2005-08-04 주식회사 대우인더스트리 급속동결을 위한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468A (zh) 1998-12-02
US6438980B1 (en) 2002-08-27
US20020023446A1 (en) 2002-02-28
JPH10259962A (ja) 1998-09-29
US6220044B1 (en) 2001-04-24
US6311508B1 (en) 2001-11-06
TW525767U (en) 2003-03-21
US6701730B2 (en) 2004-03-09
KR100329987B1 (ko) 2002-05-09
CN1117253C (zh) 2003-08-06
US20020166333A1 (en) 2002-11-14
CN100483042C (zh) 2009-04-29
US6009715A (en) 2000-01-04
CN1445496A (zh) 2003-10-01
JP3965717B2 (ja) 2007-08-29
KR100339128B1 (ko)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0395A (ko) 냉동장치, 냉동기, 냉동장치용 공냉식 응축기 유닛 및 압축기 유닛
KR100285665B1 (ko) 냉동장치
KR100367625B1 (ko)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의 효율 증가 방법 및 고효율냉동 시스템
JP6456633B2 (ja) ターボ冷凍機
KR20110074706A (ko) 냉동장치
KR20110074707A (ko) 냉동장치
CA3035794A1 (en) Cascade system for use in economizer compressor and related methods
JP4722963B2 (ja) 冷凍機
JP4165763B2 (ja) 冷凍機及び空冷セパレート式冷凍機
JP2003194427A (ja) 冷却装置
JPS6022250B2 (ja) 蒸気圧縮冷凍装置
JP2709890B2 (ja) 冷却装置
KR102019925B1 (ko) 고효율 냉동시스템
JP4240715B2 (ja) 冷凍冷蔵装置
JPH10253171A (ja) 空気調和機
KR101024404B1 (ko) 냉장냉동시스템용 열교환기
KR100287714B1 (ko) 냉장고의 냉매유음 방지장치
KR200267159Y1 (ko) 냉동시스템
JPH02287059A (ja) 冷凍サイクル
JPH08159568A (ja) 空冷式冷凍装置
JP2008309486A (ja) 過冷却装置
KR19980073537A (ko) 드라이어에 중간냉각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KR980010246A (ko) 냉동싸이클 장치
JP2005214536A (ja) 冷凍装置
JPH0632969U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