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383A -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383A
KR19980078383A KR1019970015907A KR19970015907A KR19980078383A KR 19980078383 A KR19980078383 A KR 19980078383A KR 1019970015907 A KR1019970015907 A KR 1019970015907A KR 19970015907 A KR19970015907 A KR 19970015907A KR 19980078383 A KR19980078383 A KR 1998007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ube
shock absorbing
steering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383A/ko
Publication of KR1998007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383A/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의로 바꾸기 위한 조작기구로서 하부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및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 단부에 상,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 하부 샤프트와 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의 충격 흡수력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가공성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관은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단부쪽에서 점차로 좁아지다가 다시 상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관의 내부에는 삽입된 하부 샤프트의 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휘일에 연결되어 있는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조작기구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의 3가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상기 기어기구로 전달시키는 부분이며, 조향 휠, 조향 컬럼 샤프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어 기구는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하는 부분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기어 기구이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 기구는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시킴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는 부분으로, 피트먼 아암, 드래크 링크, 너클 아암 및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각각의 조향기구들 중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 상술된 바와 같이, 조향휠의 조작력을 조향 기어에 전달시키는 것으로 상부에 조향휠이 하부에는 조향 기어가 장치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컬럼튜브의 일부가 그물 모양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므로써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다.
도1에는 이러한 스티어링 샤프트(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1)는 하부 샤프트(2)와, 하부 샤프트(2) 보다 큰 직경의 상부 샤프트(3)와, 직경이 각기 다른 이러한 각각의 샤프트(2, 3)를 일체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관(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부 샤프트(2)와 상부 샤프트(3)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관(4)의 양쪽 단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관(4)의 양쪽 단부에 각각의 샤프트(2, 3)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샤프트(2)의 삽입 단부에는 2개의 폴리 아세탈핀(5)이 관(4)으로부터 관통 삽입되어, 관(4)과 하부 샤프트(2)를 서로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고 있으며, 하부 샤프트(2)의 자유 단부상에는 강철 볼(6)이 샤프트(2)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상, 하부 샤프트(3, 2)와 관(4)의 외부에는 또 다른 관 형상의 제1 및 제2축(7, 8)이 감싸듯이 삽입되어 내부의 상, 하부 샤프트(3, 2)와 관(4)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도3에는 상, 하부 샤프트(3, 2)가 삽입되어 있는 관(4)의 단면도로서, 외측부는 관(4)을, 내부 점선부는 하부 샤프트(2)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관(4)과 하부 샤프트(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는 상부 샤프트(3) 쪽에서 바라본 상태에 의한 공간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정면 충돌과 같은 차체의 충돌시에 하부 샤프트(2)가 제일 먼저 충격을 받으며, 이러한 충격은 관(4)과 하부 샤프트(2)를 결합시키는 2개의 폴리 아세탈 핀(5)을 파단시키면서 1차적으로 흡수되고, 계속해서 관(4)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샤프트(2)는 외측 단부에 돌출 삽입되어 있는 강철 볼(6)이 관(4)의 내면부와 마찰되면서, 관(4)의 접촉부에 소성변형을 일으키면서 다시 2차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구조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상, 하부 샤프트(3, 2)와 관(4)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관(4)의 측면부에는 폴리 아세탈 핀(5)을 장착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난해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상, 하부 샤프트와 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의 충격 흡수력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가공성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컬럼 2 ; 하부 샤프트
3 ; 상부 샤프트 4 ; 관
5 ; 폴리 아세탈 핀 6 ; 강철 볼
7 ; 제1축 8 ; 제2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의로 바꾸기 위한 조작기구로서 하부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및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 단부에 상,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로서, 상기 관은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단부쪽에서 점차로 좁아지다가 다시 상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관의 내부에는 삽입된 하부 샤프트의 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 하부 샤프트 및 관의 외형을 스플라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관과 각각의 샤프트간의 접촉 단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샤프트(2)와 상부 샤프트(3)가 각기 양쪽의 단부에 삽입되는 관(4)은 하부 샤프트(2)가 삽입되는 단부쪽에서 점차로 좁아지다가 다시 상부 샤프트(2)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관(4)의 내부에는 삽입된 하부 샤프트(2)의 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부(9)가 압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상, 하부 샤프트(3, 2) 및 관(4)의 외형을 스플라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관(4)과 각각의 샤프트(3, 2)간의 접촉 단면적을 최대한으로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 샤프트(2)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하부 샤프트(2)는 좁아지는 관(4)을 통해 압입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또한, 일정한 깊이로 관에 삽입된 후에는 다시 로드(9)와 함께 더욱 좁아진 관(4)의 내부로 삽입되므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에 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의 직경을 변화시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이러한 관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샤프트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므로써 이러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가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각각의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및 관의 외관을 스플라인 형상으로 구성하여 서로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므로써 충격 흡수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발명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의로 바꾸기 위한 조작기구로서 하부 샤프트와 상부 샤프트 및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 단부에 상,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로서, 상기 관은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단부쪽에서 점차로 좁아지다가 다시 상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관의 내부에는 삽입된 하부 샤프트의 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 하부 샤프트 및 관의 외형을 스플라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관과 각각의 샤프트간의 접촉 단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019970015907A 1997-04-28 1997-04-28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78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07A KR19980078383A (ko) 1997-04-28 1997-04-28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07A KR19980078383A (ko) 1997-04-28 1997-04-28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383A true KR19980078383A (ko) 1998-11-16

Family

ID=6598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907A KR19980078383A (ko) 1997-04-28 1997-04-28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3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996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78383A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00240511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330901B1 (ko) 충격흡수용 스티어링컬럼 구조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458215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용 브래키트의 충격 흡수장치
KR20070028875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960003462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KR100351401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튜브용 브래킷
KR19980054497U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20047955A (ko) 차량용 조향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241712B1 (ko) 조향핸들의 완충장치
KR19980078548A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9990034516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칼럼
KR100192310B1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32497U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19980072514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구비한 스티어링 샤프트
KR19980053975A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27132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20000006058U (ko) 벤딩방지를 위한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980007808U (ko) 자동차용 핸들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37707U (ko)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