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094A -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094A
KR19980070094A KR1019970060225A KR19970060225A KR19980070094A KR 19980070094 A KR19980070094 A KR 19980070094A KR 1019970060225 A KR1019970060225 A KR 1019970060225A KR 19970060225 A KR19970060225 A KR 19970060225A KR 19980070094 A KR19980070094 A KR 19980070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flexible cable
attachment portion
film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679B1 (ko
Inventor
세리자와고오지
기따호리히로끼
마쯔자끼신이찌
Original Assignee
제프리엘.포맨
인터내셔널비지네스머신즈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프리엘.포맨, 인터내셔널비지네스머신즈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프리엘.포맨
Publication of KR1998007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인클로우저 케이스의 베이스 저면 및 상부 커버와의 간격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FPC 케이블 조립체는 FPC 케이블(101)과 보강 필름(102, 103, 104)과 보강판(105, 106, 107)을 갖는다. FPC 케이블(101)의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에는 보강 필름(102, 103)이 부착되어 있고, 보강 필름(102, 103)을 거쳐 보강판(105, 106)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부(111, 113)에 미리 보강 필름을 부착해 둠으로써, 보강판을 부착할 때에 부착부(111, 11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FPC 케이블(101)과 보강판(105, 106)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인클로우저 케이스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본 발명은 가요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케이블 등 가요성 케이블에 보강판을 부착한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인클로우저 케이스(베이스 및 상부 커버)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바닥이 얕고 대략 상자 모양인 베이스를 상부 커버로 폐쇄하여 구성되는 인클로우저 케이스를 갖는다. 인클로우저 케이스 내에는 기록 매체인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와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가 수납되어 있다. 또, 인클로우저 케이스 내에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선회 구동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가 수납되어 있다. 캐리지에는 디스크에 대해서 정보를 읽고 쓰는 변환기 헤드를 갖는 헤드 슬라이더와 VCM을 구성하는 보이스 코일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클로우저 케이스의 외면에는 스핀들 모터 및 VCM을 제어하고, 변환기 헤드와 정보의 송수신을 하는 회로 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회로 기판과 변환기 헤드 및 보이스 코일과의 접속에는 FPC 케이블 조립체가 사용된다. FPC 케이블 조립체는 FPC 케이블과 이 FPC 케이블에 부착된 보강판을 갖는다. FPC 케이블은 띠 형상의 가요부의 양단에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전송부와 제2 부착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품 장착부로 이루어진 플랫 케이블이다. 또한, FPC 케이블에는 변환기 헤드의 읽고 쓰기 정보를 전송하고, 보이스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는 보강판에 의해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으며, 캐리지의 선회에 따라 움직인다. 또, 제2 부착부는 다른 보강판에 의해 인클로우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판은 각각 FPC 케이블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 사이의 가요부는 캐리지의 선회에 따라 휘어진다. 전송부는 베이스의 저면 및 상부 커버면에 대해 케이블면이 수직이 되도록 캐리지 및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을 부착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부착 공구가 사용되어,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의 각각에 마련한 위치 결정 구멍을 위치 결정 핀에 삽입함으로써, 가요성 케이블에 대해서 보강판을 위치 결정하거나 보강판에 대해서 가요성 케이블을 위치 결정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박형화에 따라 FPC 케이블(특히 전송부)에 주어지는 인클로우저 내의 수직 방향의 간격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가요성 FPC 케이블과 베이스 저면 또는 상부 커버와의 마찰을 막기 위한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상기 FPC 케이블과 보강판의 부착 공정에 있어서는 FPC 케이블의 인장 상태에 따라서는 FPC 케이블의 제1 부착부 또는 제2 부착부가 변형하고, 이에 의해 부착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부착 어긋남은 가요부의 회전 불균일을 수반한다. 이 회전 불균일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부의 위치가 베이스 저면측 또는 상부 커버측으로 크게 어긋나 상기 간격이 작아져 버린다. 따라서, 부착 어긋남을 개선하면 상기 간격을 확보할 수 있어, FPC 케이블과 인클로우저 케이블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인클로우저 케이스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일부 분해해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일부 분해해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일부 분해해서 도시한 도면.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캐리지 주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절곡 구조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전개 구조도.
도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에 대한 보강 필름 및 보강판의 부착 위치를 도시한 전개도.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FPC 케이블의 제1 부착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FPC 케이블의 제2 부착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0a 내지 도10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FPC 케이블의 전기 부품 장착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의 FPC 케이블에 대한 보강 필름 및 보강판의 부착 위치를 도시한 전개도.
도18은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3 : 캐리지
4 : 헤드 슬라이더
6 : 인클로우저 케이스
7 : 회로 기판
10 : FPC 케이블 조립체
101 : FPC 케이블
102, 103 : 보강 필름
105, 106 : 보강판
111 : 제1 부착부
112 : 가요부
113 : 제2 부착부
111a, 111b, 111c, 113d, 113e, 115f, 115g, 151a, 151b, 151c, 161d, 161e, 173f, 172g : 위치 결정 구멍
201 : FPC 케이블 베이스 필름 부재
312 : 위치 결정 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는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 필름의 부착부에 보강판을 부착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순서로서는 가요성 케이블에 보강 필름을 미리 부착해 놓고, 이 부착부에 또 다시 보강판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가요성 케이블에 미리 보강 필름을 부착해 둠으로써, 보강판과의 부착 공정에 있어서의 가요성 케이블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의 인클로우저 케이스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일부 분해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1)와 스핀들 모터(2)와 캐리지(3)와 헤드 슬라이더(4)와 보이스 코일 모터(VCM)(5)와 FPC 케이블 조립체(가요성 케이블 조립체)(10)를 인클로우저 케이스(6)에 수납한 것이다. 또, 회로 기판(7)을 인클로우저 케이스(6)의 외면(하면)에 장착한 것이다.
데이터 기록 매체인 디스크(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클로우저 케이스(6)의 베이스(61)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2)의 스핀들축(21)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2)는 디스크(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는 2장의 디스크(1a, 1b)가 그 사이에 스페이서(11)를 거치거나 디스크(1a) 상면에 클램프(12)를 배치하여 스핀들축(21)으로 동축상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31)와 중간부(3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헤드 아암(32)과 중간부(3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 코일 아암(33)을 갖는다. 중간부(31)는 베이스(61)에 돌출된 선회축(35)에 부싱(34)을 거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헤드 아암(32)의 선단부에는 디스크(1)에 대해 정보를 읽고 쓰는 변환기 헤드(41)를 갖는 헤드 슬라이더(4)가 장착되어 있다. 코일 아암(33)에는 보이스 코일(51)이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61)에 고정되는 요크(52)의 내면에는 영구 자석체(53a, 53b)가 마련되어 있다. 코일 아암(33)은 영구 자석체(53a, 53b)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다. 보이스 코일(51)과 영구 자석체(53a, 53b)는 VCM(5)을 구성한다. 이 VCM(5)은 캐리지(3)를 선회시켜, 변환기 헤드(41)를 디스크(1)의 대략 반경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인클로우저 케이스(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얕고 대략 상자 모양인 베이스(61)의 개방 상면을 상부 커버(62)로 폐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부 커버(62)는 밀봉 프레임(63)을 거쳐 베이스(61)의 개방 상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7)에는 커넥터 접속 패턴(71)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7)에는 CPU, 스핀들 드라이버, VCM 드라이버(전체 도시 생략) 등이 장착되어 있다. CPU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변환기 헤드(41)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스핀들 드라이버는 CPU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스핀들 모터(2)를 구동한다. VCM 드라이버는 CPU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보이스 코일(51)에 VCM 전류를 공급하여 VCM(5)을 구동한다.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1 부착부(111)는 캐리지(3)의 측면에 장착되고, 또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2 부착부(113)는 베이스(61)에 고정되어 있다.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커넥터 장착부(116)에는 스프링 핀을 갖는 커넥터(131)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31)는 베이스(61)에 마련된 커넥터 삽입구(64)에 삽입되어 있다. 커넥터(131)의 스프링 핀은 회로 기판(7)에 형성된 커넥터 접속 패턴(71)에 접촉하여 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 장착부(116)는 커넥터(131)의 주변부에 장착된 밀봉 프레임(65)을 거쳐 커넥터 삽입구(64)의 주변부에 있어서 베이스(61)와 대면하고 있다. FPC 케이블 조립체(10)는 변환기 헤드(41)가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회로 기판(7)으로 전송하고, 또 회로 기판(7)으로부터의 정보를 변환기 헤드(41)로 전송한다. 그리고, FPC 케이블 조립체(10)는 회로 기판(7)의 VCM 드라이버로부터의 VCM 전류를 보이스 코일(51)에 공급한다.
도4a 내지 도4c는 캐리지(3) 주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4a는 분해 사시도, 도4b는 평면도, 도4c는 정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절곡 구조도로서, 도5a는 평면도, 도5b는 정면도, 도5c는 하면도이다. 도6a 및 도6b은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전개 구조도(절곡전의 구조도)로서, 도6a는 평면도(표면에서 본 도면), 도6b는 정면도(단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7a는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FPC 케이블(101)에 대한 보강 필름(102, 103, 104) 및 보강판(105, 106, 107)의 부착 위치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8a 내지 도8c는 보강판(105)의 구조도, 도9a 내지 도9c는 보강판(106)의 구조도, 도10a 내지 도10c는 보강판(107)의 구조도이다. 도8 내지 도10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헤드 아암(32)은 중간부(31)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3개의 헤드 아암(32a, 32b, 32c)이 빗살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 아암(32a, 32c)은 각각 1개의 서스펜션 조립체(36a, 36d)를 갖는다. 또, 헤드 아암(32b)은 2개의 서스펜션 조립체(36b, 36c)를 갖는다. 서스펜션 조립체(36)는 그 선단부에 변환기 헤드(41)를 갖는 헤드 슬라이더(4)를 장착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2장의 디스크(1a, 1b)는 각각 서스펜션 조립체(36a, 36b) 사이 및 서스펜션 조립체(36c, 36d) 사이에 배치된다. 헤드 아암(32)의 연장부와 반대측인 중간부(31) 측면으로부터는 보이스 코일(51)을 장착하는 코일 아암(33)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 아암(32)의 연장부와 코일 아암(33)의 연장부 사이인 중간부(31)의 일측면에는 FPC 케이블 지지부(37)가 돌출되어 있다. 이 FPC 케이블 지지부(37)에는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부착 브래킷(153)(상세한 구조는 도8 참조)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변환기 헤드(41)로부터의 헤드 와이어(42)는 헤드 아암(32)의 모서리부에 클램프되고, 또한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와이어 브래킷(152)(상세한 구조는 도8 참조)에 클램프되어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1 부착부(111)(상세한 구조는 도6 참조)로 안내되어, 제1 부착부(111)에 형성된 헤드 와이어 패드 전극(도6의 도면 부호 122)에 납땜되어 있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51)의 리드 와이어(54)는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주변부(114)(상세한 구조는 도6 참조)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 패드 전극(도6의 도면 부호 123)에 납땜되어 있다.
FPC 케이블 조립체(10)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 케이블(가요성 케이블)(101)과 보강 필름(102, 103, 104)(도7에 있어서는 사선부)과 보강판(105, 106, 107)을 갖는다.
FPC 케이블(101)은 제1 부착부(111)와, 가요부(112)와, 제2 부착부(113)와, 주변부(114)와, 전기 부품 장착부(115)와, 커넥터 장착부(116)를 일체로 형성한 플랫 케이블이다.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는 띠 형상의 가요부(11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111), 가요부(112) 및 제2 부착부(113)는 띠 형상의 전송부(117)를 구성한다. 주변부(114)는 제1 부착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송부(11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송부(117)의 하나의 길다란 변을 이루고 제2 부착부(113)의 일변을 이루는 단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전기 부품 장착부(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의 제2 부착부(113)에 대향하는 측의 변에는 커넥터 장착부(1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 및 커넥터 장착부(116)는 전송부(11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와 커넥터 장착부(116)는 부품 장착부(118)를 구성한다. 즉, FPC 케이블(101)은 전개 구조에 있어서, 띠 형상의 전송부(117)의 양단에 주변부(114)와 부품 장착부(118)를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또, FPC 케이블(101)에는 변환기 헤드(41)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선(121a), 보이스 코일(51)에 접속하기 위한 VCM 전류선(121b) 등의 배선 패턴(121)이 형성되어 있다. 신호선(121a) 도중에는 전송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AE칩(132)이나 저항(133), 콘덴서(143) 등의 전자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착부(111) 표면에는 헤드 와이어 패드 전극(122)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부(114) 표면에는 보이스 코일 패드 전극(123)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111) 이면에는 보강판(105) 부착시에 제1 부착부(111)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보강 필름(10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 필름(102)에는 제1 부착부(111) 및 주변부(114)를 캐리지(3)에 장착하기 위한 보강판(105)이 부착되어 있다. 제1 부착부(111)와 보강 필름(102)의 부착부에는 위치 결정 구멍(111a, 111b, 111c)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부(114)에는 나사 구멍(114h)과 결합 구멍(114k, 114l)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105)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51)에 와이어 브래킷(152)과 부착 브래킷(153)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본체부(151)에는 위치 결정 구멍(151a, 151b, 151c)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51)의 표면(154)은 평면을 이루고 있고, 보강 필름(102)에 부착된다. 본체부(151)의 이면(155)에는 결합 돌기(151k)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브래킷(152)은 본체부(151)의 일단부면에 돌출되어 있다. 와이어 브래킷(152)에는 헤드 와이어(42)(도4 참조)를 클램프하기 위한 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브래킷(153)은 본체부(151)의 이면(155)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부착 브래킷(153)에는 나사 구멍(153h)과 결합 돌기(153l)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111)와 보강 필름(102)과 보강판(105)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11a, 151a)의 위치, 위치 결정 구멍(111b, 151b)의 위치 및 위치 결정 구멍(111c, 151c)의 위치가 각각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2 부착부(113) 이면에는 보강판(106) 부착시에 제2 부착부(113)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보강 필름(10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강 필름(103)에는 제2 부착부(113)를 베이스(61)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판(106)이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부착부(113)와 보강 필름(103)의 부착부에는 위치 결정 구멍(113d, 113e)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106)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161)과 바닥판(162)을 횡단면이 L자형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측판(161)에는 위치 결정 구멍(161d, 16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162)에는 나사 구멍(162i)과 결합 구멍(162m, 162n)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161)의 내면(163) 및 외면(164), 바닥판(162)의 내면(165) 및 외면(166)은 모두 평면을 이루고 있다. 측판의 외면(164)에는 보강 필름(103)이 부착된다.
제2 부착부(113)와 보강 필름(103)과 보강판(106)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13d, 161d)의 위치 및 위치 결정 구멍(113e, 161e)의 위치가 각각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의 표면에는 AE칩 패드 전극(124) 및 전자 소자 패드 전극(125)이 개구 형성되어 있고, 또 AE칩(132), 저항(133), 콘덴서(134) 등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AE칩(132)은 AE칩 패드 전극(124)에, 그리고 저항(133) 및 콘덴서(134)는 전자 소자 패드 전극(125)에 각각 납땜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의 이면에는 전기 부품 장착부(115)를 베이스(61)에 고정하는 동시에, AE칩(132) 등의 납땜시에 전기 부품 장착부(115)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판(107)이 부착되어 있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에는 위치 결정 구멍(115f, 115g)과 나사 구멍(115j)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107)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 판(171)과 얇은 판(172)과 중간 판(173)을 평면상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중간 판(173)에는 위치 결정 구멍(173f)과 나사 구멍(173i)과 결합 돌기(173m, 173n)가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판(171)에는 나사 구멍(171j)이 형성되어 있다. 얇은 판(172)에는 위치 결정 구멍(172g)이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판(171) 표면(174)과 얇은 판(172) 표면(176)과 중간 판(173) 표면(178)은 일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전기 부품 장착부(115)의 이면에 부착된다. 두꺼운 판(171) 이면(175)과 얇은 판(172) 이면(177)과 중간 판(173) 이면(179)은 서로 단차를 이루고 있다. 중간 판 이면(179)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절곡했을 때에 도9에 도시한 보강판(106)의 바닥판 내면(165)이 중합된다. 이 때, 두꺼운 판 이면(175)과 바닥판 외면(166)은 일평면을 이룬다.
전기 부품 장착부(115)와 보강판(107)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15f, 173f)의 위치 및 위치 결정 구멍(115g, 172g)의 위치가 각각 일치하고, 또한 나사 구멍(115j, 171j)이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 장착부(116)의 표면에는 커넥터 패드 전극(126)이 개구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배선 패턴(121)을 회로 기판(7)(도3 참조)에 접속하기 위한 스프링 핀(131a)을 갖는 커넥터(131)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31)는 커넥터 패드 전극(126)에 납땜되어 있다. 커넥터 장착부(116) 이면에는 커넥터(131) 납땜시에 커넥터 장착부(116)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 필름(104)이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 장착부(116)와 보강 필름(104)의 부착부에는 나사 구멍(116i, 116j)과 결합 구멍(116m)이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전개된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조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11 내지 도16은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 부재(201a)에 FPC 케이블 패턴(202)을 형성한다. 즉, 베이스 필름 부재(201a)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도전성 필름(도시 생략)을 부착하여, 이 도전성 필름을 패터닝함으로써 배선 패턴(121)(도6 참조)을 형성한다. 다음에, 베이스 필름 부재(201a)의 배선 패턴(121)을 형성한 쪽의 면에 베이스 필름 부재(201b)를 접착제를 사용해서 부착하여, 베이스 필름 부재(201b)에 헤드 와이어 패드 전극(122), 보이스 코일 패드 전극(123), AE칩 패드 전극(124), 전자 소자 패드 전극(125) 및 커넥터 패드 전극(126)(이상 도6 참조)을 각각 노출시키는 패드 개구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필름 부재(201a, 201b)로서는, 여기서는 폴리이미드(예를 들어 NOK사 제조의 상품명「캡톤」)를 사용한다. 베이스 필름 부재(201a, 201b)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0.5〔mil〕(약 12.5〔㎛〕)이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 부재(201a, 201b)를 부착한 구조를 갖는 베이스 필름 부재(201)의 두께는 약 1〔mil〕(약 25〔㎛〕)이다.
다음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필름 부재(203)를 소정의 형상으로 블랭킹하여 보강 필름 패턴(204)을 제조한다. 보강 필름 부재(203)로서는, 여기서는 폴리에테르 이미드(예를 들어 멕트론사 제조의 상품명「울템 1000」)를 사용한다. 보강 필름 부재(203)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5〔mil〕(75 내지 125〔㎛〕)로서, 베이스 필름 부재(201)의 약 3 내지 5배의 두께이다.
다음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 부재(201a) 측에 보강 필름 패턴(204)을 접착제를 사용해서 부착한다. 보강 필름 패턴(204)은 보강 필름(102 내지 104)(도7 참조)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FPC 케이블 패턴(202)에 있어서의 제1 부착부(111), 제2 부착부(113) 및 커넥터 장착부(116)(이상 도7 참조)의 예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FPC 케이블 패턴(202)에 부착된다.
다음에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 케이블 패턴(202)에 나사 구멍(도7에 도시한 나사 구멍(114h, 115j, 116i, 116j)), 결합 구멍(도7에 도시한 결합 구멍(114k, 114l, 116m)) 및 위치 결정 구멍(111a, 111b, 111c, 113d, 113e, 115f, 115g))을 뚫고(단, 도14에서는 나사 구멍 및 결합 구멍은 도시 생략), 베이스 필름 부재(201)로부터 FPC 케이블 패턴(202)을 블랭킹하여 보강 필름(102 내지 104)이 부착된 FPC 케이블(101)을 형성한다. FPC 케이블(101)은 이면 즉 베이스 필름 부재(201a) 측에 보강 필름(102 내지 104)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면 즉 베이스 필름 부재(201b) 측에 패드 개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공구(301)를 사용해서 보강판(105 내지 107)(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8 내지 도10 참조)을 FPC 케이블(101)에 부착한다. 보강판(105, 106)은 각각 보강 필름(102, 103)을 거쳐 FPC 케이블(101)에 부착된다. 즉, 보강판(105, 106)은 각각 보강 필름(102, 103)에 부착된다. 부착 공구(301)는 평탄부(311)와 이 평탄부(311)에 수직으로 세운 위치 결정 핀(312a, 321b, 312c, 312d, 312e)을 갖는다. 위치 결정 핀(312a 내지 312e)은 FPC 케이블(101)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구멍(111a, 111b, 111c, 113d, 113e, 115f, 115g)에 대응하는 평탄부(311) 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우선, FPC 케이블(101)의 이면을 평탄부(311)에 대면시켜 위치 결정 핀(312d, 312e)에 각각 위치 결정 구멍(111a, 111b, 111c, 113d, 113e, 115f, 115g)을 결합시켜 FPC 케이블(101)을 평탄부(311) 상에 배치한다(도15). 다음에, 보강판(105)의 본체부 표면(154)을 평탄부(311)에 대면시켜 위치 결정 구멍(151a, 151b, 151c)을 각각 위치 결정 핀(312a, 312b, 312c)에 결합시키고, 위치 결정 구멍과 위치 결정 핀을 결합한 채로 보강판(105)을 보강 필름(102)에 근접시켜 접착제에 의해 보강 필름(102)에 보강판(105)을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보강판(106)의 측판 외면(154)을 평탄부(311)에 대면시켜 위치 결정 구멍(161d, 161e)을 위치 결정 핀(312d, 312e)에 각각 결합시키고, 접착제에 의해 보강 필름(102)에 보강판(106)의 측판(161)을 부착한다. 그리고, 보강판(107)의 표면(174, 176, 178)을 평탄부(311)에 대면시켜 위치 결정 구멍(173f, 172g)을 위치 결정 핀(312f, 312g)에 각각 결합시키고, 접착제에 의해 FPC 케이블(101)의 이면에 보강판(107)을 부착한다(도16).
이 후, FPC 케이블(101) 표면에 커넥터(131), AE칩(132), 저항(133), 콘덴서(134) 등이 납땜되어 도6 및 도7에 도시한 FPC 케이블 조립체(10)가 제조된다. 또한, 보강판(107)은 FPC 케이블(101)에 대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강 필름을 거치지 않고 FPC 케이블(101)에 직접 부착된다.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에 보강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을 각각 직접 부착했기 때문에,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에 마련한 위치 결정 구멍을 부착 공구(301)의 위치 결정 핀(312)에 삽입할 때에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특히 위치 결정 구멍)가 변형하고, 이에 의해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의 부착 어긋남이 발생하여,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의 부착 어긋남에 따른 가요부(112)의 회전 불균일(321)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의 부착 어긋남에 따른 가요부(112)의 회전 불균일(322)이 발생하고, 이들 회전 불균일이 인클로우저 케이스(6)와 가요부(112)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FPC 케이블 조립체(10)에 의하면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에 미리 보강 필름(102, 103)을 부착해 둠으로써, 이 부착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 구멍을 부착 공구(301)의 위치 결정 핀(312)에 삽입할 때에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가요부(112)의 회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18 및 도19는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8은 도12에 도시한 공정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19는 도13에 도시한 공정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도 커넥터 장착부(116)에는 보강 필름(104)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과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조 공정은 종래의 보강 필름 패턴(404)의 형상이 보강 필름 패턴(204)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작업 순서 및 사용 재료(보강 필름 부재(203))가 동일하다. 따라서,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조 비용은 보강 필름(102, 103)이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와 동일하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전개된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절곡해서, 도5에 도시한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제조하는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6 및 도7에 도시한 FPC 케이블(101)의 A-A' 사이에 있어서, 주변부(114)를 보강판(105) 본체부(151)의 이면측으로 절첩해서 주변부(114)의 결합 구멍(114k)을 보강판 본체부(151)의 결합 돌기(151k)에 결합시킨다. 또, 주변부(114)를 B-B' 사이에 있어서 표면이 오목해지도록 직각으로 절곡해서, 결합 구멍(114l)을 보강판(105)의 부착 브래킷(153)의 결합 돌기(153l)에 결합시킨다. 이 때, 나사 구멍(114h, 153h)의 위치가 일치한다.
다음에, 보강판(106)의 결합 구멍(162m, 162n)을 보강판(107)의 결합 돌기(173m, 173n)에 각각 결합시켜, 보강판(106)의 바닥판 내면(165)(도9 참조)을 보강판(107)의 중간 판 이면(179)(도10 참조)에 중합시킨다. 이 때, 나사 구멍(162i, 173i)이 일치한다. 그리고, FPC 케이블(101)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C-C' 사이에 있어서 표면이 볼록해지도록 절첩되고, 또 D-D' 사이에 있어서 표면이 오목해지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또한, 보강판(105)의 바닥판 외면(166)과 보강판(107)의 두꺼운 판 이면(175)(도10 참조)은 단일 평면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6 및 도7에 도시한 FPC 케이블(101)의 E-E' 사이에 있어서, 커넥터 장착부(116)를 보강판(107) 측으로 절첩해서 커넥터 장착부(116)의 결합 구멍(116m)을 결합 돌기(173m)에 결합시키고, 커넥터 장착부(116)의 이면(보강 필름(104)이 부착되어 있다)을 바닥판 외면(166) 및 두꺼운 판 이면(175)에 의해 형성된 상기의 평면에 중합시킨다. 이 때, 나사 구멍(116i)과 나사 구멍(162i, 173i)의 위치가 일치하고, 또 나사 구멍(116j)과 나사 구멍(115j, 171j)의 위치가 일치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5에 도시한 절곡된 FPC 케이블 조립체(10)가 제조된다.
도5에 도시한 절곡된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조립하는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FPC 케이블(101)의 제1 부착부(111) 및 주변부(114)는 보강판(105)의 부착 브래킷(153)을 나사 구멍(114h, 153h)에 삽입시킨 나사에 의해 캐리지(3)의 FPC 케이블 지지부(37)(도4 참조)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캐리지(3)의 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헤드 와이어(42)가 헤드 와이어 패드 전극(122)에 납땜되고, 보이스 코일(51)의 리드가 보이스 코일 패드 전극(123)에 납땜된다. 헤드 와이어(42)는 보강판(105)의 와이어 브래킷(152)에 마련된 홈(156)(도8 참조)에 클램프되어 헤드 와이어 패드 전극(122)으로 안내되고 있다.
다음에,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일단(제1 부착부(111) 등)이 장착된 캐리지(3)의 코일 아암(33)을 요크(52)의 영구 자석체(53a, 53b) 사이에 삽입하고, 캐리지(3)의 중간부(31)를 선회축(35)에 부싱(34)을 거쳐 선회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요크(52)를 베이스(61)에 나사 고정한다.
또, FPC 케이블(101)의 제2 부착부(113), 전기 부품 장착부(115) 및 커넥터 장착부(116)는 나사 구멍(173i, 162i, 116i)에 삽입한 나사 및 나사 구멍(115j, 171j)에 삽입한 나사에 의해 베이스(61)에 나사 고정된다. 이 때, 커넥터(131)는 그 주변부에 밀봉 프레임(65)이 장착되며 커넥터 삽입구(64)에 삽입된다. 그리고, 커넥터(131)의 스프링 핀(131a)은 회로 기판(7)에 형성된 커넥터 접속 패턴(71)에 접촉하여 이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은 각각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부착되어 있어, FPC 케이블 조립체(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보강판(105) 및 보강판(106)에 대한 가요부(12)의 회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조립된 FPC 케이블 조립체(10)는 인클로우저 케이스(6)의 베이스(61) 저면 및 상부 커버(62)에 대해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FPC 케이블 조립체(10)에 의하면, 제1 부착부(111) 및 제2 부착부(113)에 미리 보강 필름(102, 103)을 부착해 두고 이 부착부에 보강판(105, 106)을 각각 부착함으로써, 제1 부착부(111)와 보강판(105) 및 제2 부착부(113)와 보강판(106)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요부(112)의 회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FPC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보강 필름 패턴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보강 필름(102, 103)을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상승을 수반하지 않는다. 이 FPC 케이블 조립체(10)를 사용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FPC 케이블 조립체와 인클로우저 케이스(6)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FPC 케이블의 베이스 필름의 재료로서 폴리이미드를 사용하고, 보강 필름의 재료로서 폴리에테르 이미드를 사용했는데, 베이스 필름 및 보강 필름의 재료는 임의이다. FPC 케이블의 베이스 필름 및 보강 필름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보강판을 베이스 필름 및 보강 필름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FPC 케이블과 보강판을 보강 필름을 거쳐 부착한 적층 구조로 했으나, 표면에 패드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부착부(113) 등에 있어서는 보강 필름과 보강판을 FPC 케이블을 거쳐 부착한 적층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FPC 케이블과 보강 필름과 보강판을 각각 1층씩 적층한 구조로 했으나, 이들 적층 수 및 적층 순서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2층의 FPC 케이블과 2층의 보강 필름을 부착하여 이 부착부의 양면에 각각 보강판을 부착해도 된다.
그리고, FPC 케이블, 보강 필름 및 보강판의 형상은 도6 내지 도10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요성 케이블에 보강 필름을 미리 부착해 두고 이 부착부에 또 다시 보강판을 부착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판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요성 케이블의 보강판에 대한 회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를 사용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인클로우저 케이스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보강 필름의 부착부에 상기 보강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띠 형상의 가요부의 양단에 각각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 필름 및 상기 보강판이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이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두께의 3배 내지 5배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베이스 필름과 상기 보강 필름의 각각이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에테르 이미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보강 필름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
  6. 가요성 케이블에 보강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과,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 필름의 부착부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가요성 케이블과 보강 필름의 부착부에 위치 결정 구멍을 마련하는 공정을 또한 포함하고,
    보강판을 부착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부착부의 상기 위치 결정 구멍과 보강판에 마련된 위치 결정 구멍이 일치하도록 상기 부착부에 보강판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보강판을 부착하는 상기 공정은,
    평탄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을 상기 부착부의 위치 결정 구멍 및 보강판의 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에 보강판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 방법.
  9. 디스크 기록 매체와,
    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상에 정보를 기입 또는 그곳으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변환기 헤드를 지지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및 상기 캐리지가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인클로우저 케이스와,
    상기 캐리지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는,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보강 필름의 부착부에 상기 보강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띠 형상의 가요부의 양단에 각각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 필름 및 상기 보강판이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제1 부착부에 부착된 보강판이 상기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고,
    제2 부착부에 부착된 보강판이 상기 인클로우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19970060225A 1997-01-24 1997-11-15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262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11061 1997-01-24
JP1106197 1997-01-24
JP9203310A JPH10269720A (ja) 1997-01-24 1997-07-29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97-203310 1997-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094A true KR19980070094A (ko) 1998-10-26
KR100262679B1 KR100262679B1 (ko) 2000-08-01

Family

ID=2634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25A KR100262679B1 (ko) 1997-01-24 1997-11-15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69720A (ko)
KR (1) KR100262679B1 (ko)
SG (1) SG65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556A (ja) 2003-12-25 2005-07-1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回転円板形記憶装置
KR100674931B1 (ko) 2004-12-31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유연성 인쇄 회로와 액츄에이터아암의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JP2006286446A (ja) * 2005-04-0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の形成方法ならびに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に取り付けられる部品の固定方法
KR101251665B1 (ko) * 2006-12-13 201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US8144431B2 (en) 2007-04-04 2012-03-27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Flex cable assembly for vibration reduction in HDD applications
US9286924B1 (en) 2014-12-03 2016-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Flexible printed circuit assembly an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CN107787117A (zh) * 2016-08-30 2018-03-09 江苏华神电子有限公司 Fpc板补强贴合治具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5714A1 (en) 1999-06-22
JPH10269720A (ja) 1998-10-09
KR100262679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2195B1 (en) Carriage structure for a disk drive
JP2744889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構造
US20070177308A1 (en) Disk device
US10811041B2 (en) Magnetic disk drive including actuator assembly, flexible print circuit board and control circuit board
KR20080084623A (ko)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JP2005174454A (ja) 回転円板形記憶装置
KR100528335B1 (ko) 스핀들 모터용 가요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드라이브
CN112562751B (zh) 连接器件以及盘装置
KR100262679B1 (ko)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384848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H0755687Y2 (ja) 磁気ディスクのための磁気ヘッド装置
US6781795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head actuator provided with the same, and disk drive
JPH09251627A (ja) 磁気ディスク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
US1179095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etal member and screw that attaches connector and metal member to housing
US7420784B2 (en) Rotating disk storage device with high rigidity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H0362389A (ja) ノートブックタイプの電子機器
JP365845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6267040A (ja) 磁気ヘッドユニット
JPH09251733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331858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装置
JP2001148188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9128912A (ja) ディスク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構造
JP2001292526A (ja) 接続ケーブルを用いた接続装置
JPH0445197Y2 (ko)
JP4273656B2 (ja)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装置及び光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