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623A -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 Google Patents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623A
KR20080084623A KR1020080021424A KR20080021424A KR20080084623A KR 20080084623 A KR20080084623 A KR 20080084623A KR 1020080021424 A KR1020080021424 A KR 1020080021424A KR 20080021424 A KR20080021424 A KR 20080021424A KR 20080084623 A KR20080084623 A KR 2008008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terminal
long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고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with provision for mounting or arranging electrical conducting means or circuits on or along the arm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11B21/21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with provision for maintaining desired spacing of head from record carrier, e.g. fluid-dynamic spacing, sli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3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8Second PCB mounted on first PCB by inserting in window or holes of the first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7Using mechanical means for positioning, alignment or registration, e.g. using rod-in-hole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배선 패턴 수를 증가시키면서, 협소한 스페이스에서의 배선 패턴의 접속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의 결합부에,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한다. 그 때문에, 배선 패턴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또한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배선 패턴, 자기 헤드, 단자부

Description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 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MAGNETIC HEAD ACTUATOR ASSEMBLY, MEMORY DEVICE, LONG TAIL SUSPENSION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롱테일 서스펜션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속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여러 가지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에 대한 소형화, 고성능화 등의 요구에 따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의 배선 패턴은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자기 디스크 장치가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는, 새로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배선 패턴을 증설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기능으로서는, 예컨대, 헤드에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히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헤드를 열팽창시켜, 헤드와 자기 기억 매체의 거리를 제어한다.
자기 디스크 장치의 헤드 스택 어셈블리는, 헤드 서스펜션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롱테일 서스펜션을 구비한다. 이 롱테일 서스펜션이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접속됨으로써, 헤드 슬라이더에 라이트 전류나 센스 전류가 공급된다. 여기에서, 롱테일 서스펜션상의 배선 패턴과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의 배선 패턴과의 접속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속에 관한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는 하기의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2071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764호 공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새로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배선 패턴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사이즈는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배선 패턴의 폭을 좁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배선 패턴의 폭을 좁게 하면, 각각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위치맞춤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결과, 위치맞춤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증대, 위치맞춤의 정밀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배선 패턴 수를 증가시키면서, 또한, 협소한 스페이스에서의 배선 패턴의 접속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의 결합부에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 또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단자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아암을 적어도 구비한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피결합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 또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단자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아암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의해 기억 매체의 정보에 대응하여 액세스를 행하는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에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피결합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 또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제2 단자부를 갖는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단자부의 면과 상기 제2 단자부의 면의 단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롱테일 서스펜션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의 접속을 각각에 형성된 구멍과 돌출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한다. 그 때문에, 배선 패턴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또한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하드디스크 구동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한 구체예인 HDD(Hard Disc Drive)(100)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HDD(100)는 예컨대 평평한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으로 구획된 상자형의 케이스(12)를 구비한다. 케이스(12)는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주조에 의해 성형된다. 케이스(12)에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접합됨으로써 수용 공간이 밀폐된다.
수용 공간에는 1장 이상의 자기 디스크(13)가 수용된다. 자기 디스크(13)는 스핀들 모터(14)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스핀들 모터(14)는 예컨대 5400 rpm, 7200 rpm, 10000 rpm이나 15000 rpm과 같은 고속도로 자기 디스크(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수용 공간에는 헤드 스택 어셈블리(15)가 더 수용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15)는 캐리지(16)를 구비한다. 캐리지(16)는 캐리지 블록(17)을 구비한다. 캐리지 블록(17)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支軸; 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리지 블록(17)에는, 지축(18)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캐리지 아암(19)이 구획된다. 캐리지 블록(17)은 예컨대 압출 성형에 의해 알루미늄으로 성형된다.
각 캐리지 아암(19)의 선단에는, 캐리지 아암(19)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가 부착된다.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의 전단(前端)에는 자기 디스크(13)의 표면을 향하여 가압력이 작용한다.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의 전단에는 부상 헤드 슬라이더(23)가 고정된다.
부상 헤드 슬라이더(23) 상에는, 이른바 자기 헤드, 즉 전자(電磁) 변환 소자(도시되지 않음)가 탑재된다. 이 전자 변환 소자는, 예컨대, 박막 코일 패턴으로 생성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자기 디스크(13)에 정보를 기록하는 박막 자기 헤드와 같은 기록 소자와, 스핀 밸브막이나 터널 접합막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자기 디스크(13)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거대 자기 저항 효과 소자나 터널 접합 자기 저항 효과 소자(tunnel magneto-resistance effect element)와 같은 판독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에는, 전자 변환 소자에 인접하여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히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자기 헤드가 열적으로 팽창하여,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의 부상량을 제어할 수 있다.
자기 디스크(13)가 회전함으로써 표면에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에는 부력 및 부압이 작용한다. 부력 및 부압과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균형이 잡힘으로써, 자기 디스크(13)의 회전중에 부상 헤드 슬라이더(23)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계속 부상할 수 있다.
캐리지 블록(17)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24)가 연결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24)에 의해 캐리지 블록(17)은 지축(18)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캐리지 블록(17)의 회전에 의해, 캐리지 아암(19) 및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가 요동할 수 있다.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의 부상중에 지축(18) 둘레로 캐리지 아암(19)이 요동하면, 부상 헤드 슬라이더(23)는 자기 디스크(13)의 반경 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다. 부상 헤드 슬라이더(23)가 이동함으로써, 자기 헤드는 목표 기록 트랙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15)는 캐리지(16)의 기부단(基部端)인 캐리지 블록(17)상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프린트(FPC) 기판 유닛(25)을 구비한다. FPCB 유닛(25)은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을 구비한다. 메인 FPCB(26)는 예컨대 접착제에 의 해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은 금속판의 표면에 부착되면 된다. 금속판은 나사에 의해 캐리지 블록(17)에 고정된다. 또한, 금속판은 나사 고정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에 설치한 핀과,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의 단자와의, 예컨대, 접착이나 솔더 접합에 의해서도 고정할 수 있다.
메인 FPCB(26)에는, 헤드 IC(집적 회로), 즉 전치 증폭기 IC(28)가 실장되어 있다. 자기 정보의 판독시에는, 전치 증폭기 IC(28)로부터 판독 소자에 센스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자기 정보의 기록시에는, 전치 증폭기 IC(28)로부터 기록 소자에 라이트 전류가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전치 증폭기 IC(28)로부터 히터에 히터 제어용의 전류가 공급된다. 또, 전치 증폭기 IC(28)에는, 케이스(12)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소형의 회로 기판(29)을 통하여 센스 전류나 라이트 전류, 히터 제어용의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센스 전류나 라이트 전류, 히터 제어용의 전류의 공급시에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사용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헤드 스택 어셈블리(15)의 확대도이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은 일단이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에 고정되어 있다. 롱테일 서스펜 션(32)상의 배선 패턴은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에 접속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은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에 예컨대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롱테일 서스펜션(32)의 테일부는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의 외측에 배치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의 테일부는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로부터 캐리지 아암(19)의 측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캐리지 아암(19)은, 롱테일 서스펜션(32)을 아암 평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아암의 측면에 받아들이는 홈(33)을 구비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의 테일부는 캐리지 블록(17)상의 메인 FPCB(26)에 연결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의 테일부에는 선단편(先端片)이 구획된다. 각 선단편은 케이스(12)의 저면에 평행한 가상 평면을 따라서 확대된다. 이렇게 해서 선단편은 메인 FPCB(26)에 대하여 수직 자세를 확립한다. 여기에서는, 예컨대 4개의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케이스(12)의 저면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확대도 Ⅰ)
도 3은 도 2에서 동그라미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FPCB(26)의 표면에는 예컨대 6개의 제1 단자(36)가 노출된다. 제1 단자(36)에는 Cu와 같은 도전 재료가 사용된다. 제1 단자(36)는 메인 FPCB(26)상의 배선 패턴(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배선 패턴은 전치 증폭기 IC(28)에 접속된다. 한편, 롱테일 서스펜션(32)의 표면에는 예컨대 6개의 제2 단자(37)가 노출된다. 제2 단자(37)에는 Cu와 같은 도전 재료가 사용된다. 제2 단자(37)는 롱테일 서스펜션(32)상의 배선 패턴(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각각의 제2 단자(37)는 대응하는 제1 단자(36)에 접속된다. 제1 및 제2 단자는 예컨대, 솔더(38)에 의해 접합된다. 이렇게 해서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되고, 부상 헤드 슬라이더(23) 및 회로 기판(29)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단자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6개 이상의 다수의 단자를 갖는 협소 영역에서의 배선 접속에 특히 유효하다. 또, 6개 이상의 단자의 예로서는, 헤드 슬라이더에 히터 외에, 디스크에 대한 접촉 검출 센 서나 진동 검출 센서를 탑재한 경우 등이 고려된다.
도 4는 롱테일 서스펜션(32)을 도시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은 단자부(70)와, 테일부(72)와, 서스펜션(22)으로 구성된다.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21)는 캐리지 아암(19)의 선단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4)와, 베이스 플레이트(44)에 접속되는 탄성 변형부(45), 탄성 변형부(45)에 접속되는 로드 빔(46)을 구비한다. 로드 빔(46)의 선단에는 부상 헤드 슬라이더(23)가 부착된다. 로드 빔(46)은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의 부상력과 균형이 잡히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킨다. 탄성 변형부(45)에는 굽힘력이 부여된다. 이 굽힘력이 발생함으로써, 로드 빔(46)의 전단에는 자기 디스크(13)의 표면을 향하는 가압력이 부여된다.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에는, 라이트 전류, 센스 전류나 히터 제어용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층(310)이 접속된다.
(롱테일 서스펜션 Ⅰ)
도 5는 도 3의 롱테일 서스펜션(32)을 도시한다. 도 5의 롱테일 서스펜션(32a)의 분해도를 도 6에, 도 5의 롱테일 서스펜션(32b)의 분해도를 도 7에 도시한다. 또,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의 단자부(70) 및 테일부(72)를 나타내고 있고, 부상 헤드 슬라이더(23)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a)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박판(302)과,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절연층(304), Cu와 같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층(310)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보호층(308)을 구비한다. 금속 박판(302)의 좌측면(326)의 방향으로,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 층(308)이 순차 적층된다. 또, 각 층은 예컨대 접착제로 접합된다.
금속 박판(302)은 단자부(70)의 테일부(72)와 반대 방향의 단부에, 메인 FPCB(26)와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돌출부(302a)를 갖는다. 돌출부(302a)는 메인 FPCB(26)와 접합할 때에, 롱테일 서스펜션(32)으로부터, 메인 FPCB(26)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메인 FPCB(26)의 구멍(27a)에 돌출부(302a)가 삽입되면, 롱테일 서스펜션(32)은 테일부(72)의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겨짐으로써, 구멍(27a)과 결합한다. 돌출부(302a)의 구멍(27a)과 접하는 변에는, 메인 FPCB(26)에 의해 테일부(72)와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은 테일부(72)의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겨짐으로써, 제1 단자(36)와 제2 단자(37)는 위치맞춤된다. 단자부(70)의 돌출부(302a)와 반대 방향의 단부에는 단차(312)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312)는 롱테일 서스펜션(32)과 메인 FPCB(26)를 접합할 때에, 잡는 부분이다. 단자부(70)를 직접 만지면 자기 헤드가 정전 파괴되어 버리기 때문에, 단차(312)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312)와 부상 헤드 슬라이더(23) 사이에는 제1 돌기부(314)가, 그리고 제1 돌기부(314)와 부상 헤드 슬라이더(23) 사이에는 제2 돌기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부(314) 및 제2 돌기부(316)는, 롱테일 서스펜션(32)으로부터 메인 FPCB(26)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1 돌기부(314)와 제2 돌기부(316)가 형성되어 있는 변과 대향하는, 테일부(72)의 변에는 제3 돌기부(318)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04)에는 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0)는 롱테일 서스펜션(32)으로부터 메인 FPCB(26)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도전층(310)은 단자부(70)로부터 테일부(7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에 접속된다. 도전층(310)의 단자부(70)에는 제2 단자(3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37)는 돌출부(302a)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단자(37)의 간격은, 롱테일 서스펜션(32)이 메인 FPCB(26)와 접합되었을 때에, 제2 단자(37)가 제1 단자(36)와 접촉하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보호층(308)의 테일부(72)에는 오목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2)는 보호층(308)이 절연층(304) 및 도전층(310)에 적층되었을 때에, 오목부(320)와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보호층(308)의 폭은 도전층(310)의 배선 패턴을 덮을 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70)의 테일부(72)와 반대 방향의, 보호층(308)의 단부(324)는, 보호층(308) 및 도전층(310)이 절연층(304)에 적층했을 때에, 도전층(310)의 제2 단자(37)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b)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박판(302)과,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을 구비한다. 금속 박판(302)의 좌측면(326)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이 순차 적층된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FPCB Ⅰ)
도 8은 도 3의 메인 FPCB(26)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FPCB(26)는 제1 평면부(56a) 및 제2 평면부(56b)를 갖는다. 캐리지 아암(19)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는, 제1 평면부(56a) 및 제2 평면부(56b)의 단에는, 제1 단자(36)가 예컨대 6개 형성된다. 제1 평면부(56a) 및 제2 평면부(56b)에 의해 만들어지는 홈(34)에는,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적어도 2개 삽입된다. 그 때문에, 홈(34)의 폭은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적어도 2개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평면부(56a) 및 제2 평면부(56b)의 폭은, 캐리지 아암(19)에 의해 만들어지는 폭에 따라 결정된다.
메인 FPCB(26)에는, 상술한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와 결합 가능한 구멍(27a)을 예컨대 4개 갖는다. 구멍(27a)은 전치 증폭기 IC(28)와 제1 단자(36) 사이에서, 구멍(27a)에 롱테일 서스펜션(32)의 돌출부(302a)가 삽입됨으로써, 제1 단자(36)의 중심과, 제2 단자(37)의 중심이 각각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멍(27a)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가 결합함으로써, 제1 단자(36)의 면과 제2 단자(37)의 면은 개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접촉한다. 또, 제1 단자(36)의 폭은 제2 단자(37)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으며, 제1 단자(36)와 제2 단자(37)가 접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1 단자(36)의 간격은 제2 단자(37)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36)의 면의 단과 제2 단자(37)의 면이 접촉해도 좋고, 제2 단자(37)의 면의 단이 제1 단자(36)의 면과 접촉해도 좋다.
(결합의 상세 Ⅰ)
도 9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와 구멍(27a)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의 X방향, 즉 캐리지 아암(19)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P1)는 구멍(27a)의 X방향의 길이(D1)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가 구멍(27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P3로 나타낸 길이는 D3로 나타낸 길이보다도 길고, 메인 FPCB(26)와 롱테일 서스펜션(32) 사이에는 간극이 남겨져 있다. 여기에서, D3로 나타낸 길이는 구멍(27a)의 단부와 도 8에 도시된 코너(58)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이다.
도 10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와 구멍(27a)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위치 결정용 돌출부(302a)의 Z방향, 즉 캐리지 아암(19)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길이(P2)는, 도 10의 (b)에 도시한 구멍(27a)의 Z방향의 길이(D2)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롱테일 서스펜션은 센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단자, 라이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단자, 합계 4개의 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예컨대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자를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및 롱테일 서스펜션(32)에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롱테일 서스펜션(32)의 사이즈 변경의 유무에 관계없이,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및 롱테일 서스펜션(32)의 접합시에, 롱테일 서스펜션(32)은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에 대하여,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자의 위치 결정 방법은, 캐리지(16)상에서의 단자의 접합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롱테일 서스펜션(32)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를 형성하고, 메인 FPCB(26)에 상기 돌출부에 결합 가능한 구멍을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 나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실시예 2에서는, 메인 FPCB(26)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를 형성하고, 롱테일 서스펜션(32)에 상기 돌출부에 결합 가능한 구멍을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리지 어셈블리 Ⅱ)
도 11은 도 1에서 도시한 헤드 스택 어셈블리(15)의 확대도이다. 메인 FPCB(26) 및 롱테일 서스펜션(32)에 설치된 단자의 수 이외는,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확대도 Ⅱ)
도 12는 도 11에서 동그라미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메인 FPCB(26)는 위치 결정용 돌출부(27b)를 갖는다. 또한, 메인 FPCB(26) 및 롱테일 서스펜션(32)에 설치된 단자의 수는 각각 4개로 되어 있다. 이들 이외의 구성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롱테일 서스펜션(32)을 도시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은 단자부(70)와, 테일부(72)와, 서스펜션(22)으로 구성된다. 단자의 수 및 금속 박판(302)의 형상 이외는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금속 박판(302)의 형상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롱테일 서스펜션 Ⅱ)
도 14는 도 12의 롱테일 서스펜션(32)을 도시한다. 도 14의 롱테일 서스펜션(32c)의 분해도를 도 15에, 도 14의 롱테일 서스펜션(32d)의 분해도를 도 16에 도시한다. 또,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서의 단자부(70) 및 테일부(72)로 나타 낸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c)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박판(302)과,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을 구비한다. 금속 박판(302)의 좌측면(326)의 방향으로,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이 적층된다. 금속 박판(302)의 단자부(70)에는, 메인 FPCB(26)에 형성된 위치 결정 가능한 돌출부(27b)와 결합 가능한 구멍(302b)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04)의 단자부(70)에도 구멍(302b)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 박판(302)에 절연층(304)이 적층됨으로써, 각각의 층에 형성된 구멍(302b)이 겹쳐진다. 금속 박판(302)에 절연층(304), 도전층(310), 보호층(308)이 적층되면, 제2 단자(37)는 구멍(302b)과 단차(31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d)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박판(302)과,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을 구비한다. 금속 박판(302)의 좌측면(326)과 반대의 방향으로, 절연층(304), 도전층(310) 및 보호층(308)이 적층된다. 부상 헤드 슬라이더(23)와 반대 방향의, 금속 박판(302)의 단부와 단차(312) 사이에는, 구멍(302b)이 형성된다. 절연층(304)에는, 절연층(304)이 금속 박판(302)에 적층되었을 때에, 금속 박판(302)의 구멍(302b)과 겹쳐지는 위치에 구멍(302b)이 형성된다. 금속 박판(302)에, 절연층(304), 도전층(310), 보호층(308)이 적층되면, 제2 단자(37)는, 단자부(70)의 테일부(72)와 반대 방향의, 금속 박판(302)의 단부와 구멍(302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메인 FPCB Ⅱ)
도 17은 도 12의 메인 FPCB(26)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FPCB(26)는 제1 평면부(56c) 및 제2 평면부(56d)를 갖는다. 제1 평면부(56c) 및 제2 평면부(56d)의 양단에는, 제1 단자(36)가 예컨대 4개 형성된다. 제1 평면부(56c) 및 제2 평면부(56d)에 의해 만들어지는 홈(34)에는,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적어도 2개 삽입된다. 그 때문에, 홈(34)의 폭은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적어도 2개 삽입할 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평면부(56c) 및 제2 평면부(56d)의 폭은 캐리지 아암(19)에 의해 만들어지는 폭에 따라 결정된다.
메인 FPCB(26)에는, 상술한 구멍(302b)과 결합 가능한 돌출부(27b)를 예컨대 4개 갖는다. 4개의 돌출부(27b) 중, 예컨대 2개는, 제1 단자(36)와 전치 증폭기 IC(28)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다른 2개의 돌출부(27b)는, 제1 단자(36)를 가로질러 전치 증폭기 IC(28)와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돌출부(27b)는 메인 FPCB(26)와 롱테일 서스펜션(32)이 접합할 때에, 메인 FPCB(26)로부터 롱테일 서스펜션(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롱테일 서스펜션(32)의 구멍(302b)에 돌출부(27b)가 삽입되면, 롱테일 서스펜션(32)이 테일부(72)의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겨짐으로써, 돌출부(27b)는 구멍(302b)에 결합한다. 구멍(302b)의 돌출부(27b)와 접하는 변에는, 돌출부(27b)에 의해 테일부(72)와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롱테일 서스펜션(32)은 테일부(72)의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겨짐으로써, 제1 단자(36)와 제2 단자(37)는 위치맞춤된다.
돌출부(27b)에 구멍(302b)이 결합함으로써, 제1 단자(36)의 면과 제2 단자(37)의 면은 개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접속된다. 또, 제1 단자(36)의 폭은 제2 단자(37)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으며, 제1 단자(36)와 제2 단자(37)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36)의 간격은 제2 단자(37)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36)의 중심과, 제2 단자(37)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돌출부(27b)와 구멍(302b)이 형성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결합의 상세 Ⅱ)
도 18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27b)와 구멍(302b)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돌출부(27b)의 X방향, 즉 캐리지 아암(19)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Q2)는, 도 18의 (b)에 도시한 구멍(302b)의 X방향의 길이(D3)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용 돌출부(27b)의 Y방향, 즉 메인 FPCB(26)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길이(Q1)는, 구멍(302b)의 Y방향의 길이(D4)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멍(302b)에, 위치 결정용 돌출부(27b)가 삽입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로부터 생성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바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 기판(50)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볼록부(52)가, FPC 기판(50)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53)에 결합함으로써, 배선 패턴(51)이 수평 방향으로 접촉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례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과 헤드 슬라이더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분해도 Ⅰ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분해도 Ⅱ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메인 FPCB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Ⅰ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Ⅱ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헤드 스택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과 헤드 슬라이더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분해도 Ⅰ이다.
도 1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롱테일 서스펜션의 분해도 Ⅱ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메인 FPCB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결합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Ⅰ이다.
도 19는 FPC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케이스 13: 자기 디스크
14: 스핀들 모터 15: 헤드 스택 어셈블리
16: 캐리지 17: 캐리지 블록
18: 지축 19: 캐리지 아암
21: 헤드 서스펜션 어셈블리 22: 서스펜션
23: 부상 헤드 슬라이더 24: 보이스 코일 모터
25: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유닛 26: 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7a: 구멍 27b: 돌출부
28: 전치 증폭기 IC 32: 롱테일 서스펜션
32a: 롱테일 서스펜션 32b: 롱테일 서스펜션
32c: 롱테일 서스펜션 32d: 롱테일 서스펜션
33: 홈 34: 홈
36: 제1 단자 37: 제2 단자
38: 솔더 44: 베이스 플레이트
45: 탄성 변형부 46: 로드 빔
50: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51: 배선 패턴
52: 위치 결정용 볼록부 53: 위치 결정용 오목부
56a: 제1 평면부 56b: 제2 평면부
56c: 제1 평면부 56d: 제2 평면부
58: 코너 70: 단자부
72: 테일부 100: HDD
302: 금속 박판 302a: 위치 결정용 돌출부
302b: 위치 결정용 구멍 304: 절연층
308: 보호층 310: 도전층
312: 단차 314: 제1 돌기부
316: 제2 돌기부 318: 제3 돌기부
320: 오목부 322: 오목부
324: 단부 326: 좌측면

Claims (8)

  1. 자기 헤드 어셈블리와,
    상기 자기 헤드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자기 헤드 어셈블리에 접속되는 단부와, 제1 결합부와 제1 단자를 갖는 단부를 구비한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단자 근방의 부분이 삽입되는 홈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단자와,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갖는 캐리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결합부는 홈이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2 결합부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결합부는 돌출부이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2 결합부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4. 제1 단자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아암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의해 기억 매체의 정보에 대응하여 액세스를 행하는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에,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피결합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 또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6. 일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타단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롱테일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의 상기 타단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상의 결합부에,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롱테일 서스펜션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위치맞춤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테일 서스펜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 또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테일 서스펜션.
  8. 제1 단자부를 갖는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제2 단자부를 갖는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KR1020080021424A 2007-03-14 2008-03-07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KR20080084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5738 2007-03-14
JP2007065738A JP2008226385A (ja) 2007-03-14 2007-03-14 ロングテールサスペンション、ヘッドスタックアセンブリ、記憶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合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23A true KR20080084623A (ko) 2008-09-19

Family

ID=3976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24A KR20080084623A (ko) 2007-03-14 2008-03-07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25439A1 (ko)
JP (1) JP2008226385A (ko)
KR (1) KR20080084623A (ko)
CN (1) CN101266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4346B1 (en) * 2008-08-20 2016-04-2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ead stack assembly with a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a mouth centered between arms
US8279560B1 (en) 2009-03-04 2012-10-0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ead stack assembly with suspension tail bond alignment by solder pin
US8068314B1 (en) * 2009-03-18 2011-11-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ead stack assembly with suspension tails extending into interfering slits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US8467153B1 (en) * 2010-10-29 2013-06-1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flexure tail with folded bond pads
US8295014B1 (en) 2010-10-29 2012-10-2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flexure tail with transverse flying leads
US8320084B1 (en) 2010-10-29 2012-11-2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flexure tail with features to facilitate bonding
US8325446B1 (en) 2010-10-29 2012-12-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flexure tail with features to facilitate bonding
US9633680B2 (en) 2010-10-29 2017-04-2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ead suspension having a flexure tail with a covered conductive layer and structural layer bond pads
US8477459B1 (en) 2010-10-29 2013-07-0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flexure tail with dual conductive layers and features to facilitate bonding
US8295013B1 (en) 2010-10-29 2012-10-2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stack assembly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with heat transfer limiting features
US8760812B1 (en) 2011-12-20 2014-06-2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gimbal assembly having a jumper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overlap region
US8665566B1 (en) 2011-12-20 2014-03-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uspension tail design for a head gimbal assembly of a hard disk drive
US8611052B1 (en) 2012-03-27 2013-12-1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components of a head stack assembly of a hard disk drive
US9335950B2 (en) 2013-03-15 2016-05-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ultiple stream compression and formatting of data for data storage systems
US9448738B2 (en) 2013-03-15 2016-09-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mpression and formatting of data for data storage systems
US9274978B2 (en) 2013-06-10 2016-03-0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igration of encrypted data for data storage systems
US9330695B1 (en) 2013-12-10 2016-05-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suspension tail with a noble metal layer disposed on a plurality of structural backing islands
US8934199B1 (en) 2014-03-31 2015-01-1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ead suspension tail with bond pad edge alignment features
US11430474B1 (en) * 2021-04-23 2022-08-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ard disk drive suspension tail having narrowing ti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687A (en) * 1997-08-25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ducer suspension system
JP3437837B2 (ja) * 2001-02-02 2003-08-18 株式会社東芝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これを備えたヘッド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26385A (ja) 2008-09-25
CN101266800A (zh) 2008-09-17
US20080225439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4623A (ko) 자기 헤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기억 장치, 롱테일서스펜션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합체
JP4060810B2 (ja) 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6992864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nit contributing to reliable soldering and suppression of increased temperature
US6826016B2 (en) Head suspension assembly and magnetic disk apparatus comprising the head suspension assembly
US10811041B2 (en) Magnetic disk drive including actuator assembly, flexible print circuit board and control circuit board
JP4109654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用の可撓性印刷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5174454A (ja) 回転円板形記憶装置
CN111696592B (zh) 磁盘装置
JP2021044036A (ja) 接続デバイスおよびディスク装置
US11257515B1 (en) Disk device
JP5469484B2 (ja) 近接場光利用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記録再生装置
JP4331738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配列方法
US20100238594A1 (en) Head suspension assembly and storage device
JP2008065952A (ja) 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およびフレキシャ並びに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
US6781795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head actuator provided with the same, and disk drive
KR10093064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US20090268417A1 (en) Storage apparatus and printed wiring board unit
JPH103758A (ja) ディスク装置
JP2007004877A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筐体装置
US7420784B2 (en) Rotating disk storage device with high rigidity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8031439B2 (en) Head stack assembly including a swing arm having a bobbi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conductive traces attached to the bobbin, and hard disk drive comprising the same
JP2008041215A (ja) 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
US20090231761A1 (en) Head suspension assembly and storage device
JP4167142B2 (ja) 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28723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ヘッド・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