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900A -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900A
KR19980067900A KR1019970004252A KR19970004252A KR19980067900A KR 19980067900 A KR19980067900 A KR 19980067900A KR 1019970004252 A KR1019970004252 A KR 1019970004252A KR 19970004252 A KR19970004252 A KR 19970004252A KR 19980067900 A KR19980067900 A KR 1998006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ood
grain
wave
stagg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722B1 (ko
Inventor
요시오 무라이
Original Assignee
요시오 무라이
호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815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679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오 무라이, 호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오 무라이
Priority to KR101997000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7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02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with non-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6Machines for smoothing and subsequent thickn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14Other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목재, 특히 엇갈린 나뭇결이 생기는 나무종류로서, 실제에는 엇갈린 나뭇결이 없는 목재로, 곧은 줄무늬 나뭇결 따기에 의하여, 엇갈린 나뭇결(파도형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등)이 곧은 줄무늬 나뭇결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된 판자를 얻는다.
파도형의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을 가진 칼날형을 설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특히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파도형칼날면을 가진 칼날형을 사용하여, 목재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 나뭇결이 되도록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고, 이어서 얻어진 표면이 기복하는 판자를 열고정 또는 열압죔에 의하여 평활하게 함으로써,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판자의 곧은 줄무늬 나뭇결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한다.

Description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 특히 주름무늬라고 불리는 일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판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 말하면, 이러한 엇갈린 줄무늬를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판자는 목재(대부분은 천연목재)를 제재하여 얇은 시이트재(두께 약 0.2~0.5mm)로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절삭가공에는 통상 슬라이서, 로우터리 레이스 등의 판자절삭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판자절삭기는 목재를 쪼개기 위한 부품으로서 칼날형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칼날형으로서는 종래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은 칼날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 이렇게 가공된 판자는 일반적으로 종이, 부직포 등을 뒤에 대어 붙여서 판자시이트로 만들며, 그리고 건축용, 가구용 및 차량내장용 등의 표면 화장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천연의 수목중에는 단면(보통, 곧은 줄무늬 나뭇결)에 있어서 목공업계에서 주름무늬라고 불리는 일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것이 몇가지 있다. 예를 들면, 주름무늬라고 불리는 일종의 교차 나뭇결을 볼 수 있고, 또 마호가니에 있어서는 돗자리 주름무늬라고 불리는 일종의 파도형무늬 나뭇결을 볼 수 있다. 기타, 단풍나무, 낙엽송, 아프리칸 마호가니 등에 있어서도 각종의 엇갈린 줄무늬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엇갈린 줄무늬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종류의 나무에만 한정된 부위에서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의장적으로 뛰어난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목재는 희소가치가 있어서 매우 존중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목재자원의 고갈화에 따라 의장적·공예적 가치가 높은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특히, 파도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등)이 있는 나무의 목재를 입수하기가 차츰 어려워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의장적으로 또 공예적으로 뛰어난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는 거래시장에서 점점 귀중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재, 특히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 생기는 나무인데도 실제로는 엇갈린 줄무늬가 없는 목재에 적당한 가공에 의하여 엇갈린 줄무늬가 곧은 줄무늬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된 판자를 얻는 것을 최대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신규의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 및 그 판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의 신규의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를 얻는데 필요불가결한 요소(구체적으로는 판자절산기의 칼날형)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의 과제는 이하의 기재 및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1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를 등배로 촬영한 사진.
도 2 는 도 1의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에 사용된 목재플리치(flitch)를 등배로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를 등배로 촬영한 사진.
도 4는 도 3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에 사용된 목재플리치를 등배로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를 등배로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판자절삭기의 칼날형(形)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슬라이서(slicer)를 사용하여 절삭가공에 의하여 곧은 줄무늬 나뭇결 판자를 만드는 과정도.
도 8은 하프로우터리를 사용하여 절삭가공에 의하여 곧은 줄무늬 나뭇결 판자를 만드는 과정도.
도 9는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1실시예의 칼날형의 일부를 특히 날끝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다른 실시예의 칼날형의 일부를 특히 날끝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또다른 실시예의 칼날형의 일부를 특히 날끝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또다른 실시예의 칼날형의 일부를 특히 날끝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교차줄무늬를 가진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을 그린 모식도.
도 14는 파도무늬를 가진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을 그린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칼날형2 : 파도형의 칼날면
3 : 날끝4 : 선단 가장자리
5 : 산부6 : 골짜기부
7 : 슬라이서8 : 목재플리치
9 : 절삭면11 : 하프로우터리
h(h1, h2, h3) : 파도형의 높이L(L1, L2, L3, L4) : 파도형의 간격
A : 골짜기부를 연결하는 선α : 편향각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혀 뜻밖에 파도형의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을 가진 칼날형을 설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목재플리치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도록(이른바, 곧은 줄무늬 따기로)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고, 이어서 얻어진 표면이 기복이 있는 판자를 열고정 또는 열압죔에 의하여 평활하게 함으로써, 주름무늬라는 일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파도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및 기타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판자의 곧은 줄무늬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연구를 다시 깊이하여, 판자절삭기에 설비한 칼날형으로서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상으로 변위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파도형 날면을 가진 칼날형을 사용하는 방법이 엇갈린 줄무늬의 부가에 있어서 편리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명확히는, 본 발명은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엇갈린 줄무늬, 예를 들면 파도형무늬, 교차무늬, 나선무늬 또는 사주무늬 등이 인공적으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를 종이·부직포 등의 섬유질 시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뒤에 대고 붙여서 이루어지는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시이트에도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파도형의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을 가진 칼날형을 구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특히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상으로 변위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파도형 날면을 가진 칼날형을 사용하여, 목재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도록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고, 이어서 얻어진 표면에 기복이 있는 판자를 열고정 또는 열압죔에 의하여 평활하게 함으로써, 엇갈린 줄무늬를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를 가진 판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칼날형, 즉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칼날형으로서, 칼날형의 날끝은 파도형의 날면을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특히 그 날끝은 그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상으로 변위하고, 또한 그 파도형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를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기 위한 칼날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더 자세히 말하면 다음의 특징(1)~(4)중 어느 하나를 가진 칼날형에 관한 것이다.
(1) 파도형의 칼날면이 파도형의 간격도 또 파도형의 높이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규칙적으로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다.
(2) 파도형의 날면이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나,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도록,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다.
(3) 파도형의 칼날면이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으나, 또한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다.
(4) 파도형의 칼날면이 파도형의 간격과 높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날끝을 가진다.
[실시예]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란, 일반적으로 목재의 단면에 있어서, 목재세포의 배열(나뭇결)이 나무축 또는 목재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아닌 경우의 나뭇결을 가리키며, 나뭇결이 나무축 또는 목재축방향과 평행인 곧은 줄무늬 나뭇결과 대비된다.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로서는, 예를 들면 사주나뭇결, 나선나뭇결(나뭇결이 나무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뻗어 있다), 교차나뭇결(나선나뭇결이 주기적으로 반대방향이 되어, 나뭇결이 교차한다) 및 파도형 나뭇결(파도형의 나뭇결이 나타나있다)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중, 의장적 내지 공예적 가치가 높은, 목공업계에서 주름무늬(오글무늬라고도 한다)라는 일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 존재한다. 이러한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은 낙엽송, 칩엽수, 마호가니, 아프리카 마호가니, 나왕 등의 천연수목의 단면(보통, 곧은 줄무늬)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그 나무의 보통의 곧은 줄무늬와는 달리, 짙은 색조의 부분과 연한 색조의 부분이 치우쳐 나타나고, 대부분은 서로 교대로 반복되어 연륜모양과는 다른 농담모양(진하고 연한 무늬모양)이 그 곧은 줄무늬 나뭇결에 부가되며, 또한 그 곧은 줄무늬 나뭇결과 일체가 되어 형성된 나뭇결을 가진다.
상기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에는 나무종류에 따라서는 입체감이 있는 뛰어난 나뭇결무늬를 만들어내는 것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곧은 줄무늬 판자에 형성된 교차무늬 나뭇결(주름무늬라고도 한다)이 그예에 해당한다.
도 13에 도시된 나뭇결무늬는 입체감이 매우 풍부하며,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마치 날카로운 줄과 날카로운 홈이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같이 보이는 것이다.
또, 상기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에는 보는 사람이 판자를 보는 각도에 따라서, 진하고 연한 무늬모양이 변화하는 것이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곧은 줄무늬 판자에 형성된 파도형무늬(돗자리 주름무늬라고도 한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특히 그 무늬가 생기는 나무의 목재로서 실제에는 엇갈린 줄무늬가 없는 것에 대하여, 그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란, 천연의 나무에서 생기는 교차무늬 나뭇결, 파도무늬 나뭇결 등, 각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의 모두를 포함한다.
목재판자는 천연목의 판자이든, 또는 인공판자이든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판자의 제조방법은 원료인 목재로서 천연목의 통나무, 목재플리치에도, 또는 인공플리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재의 나무종류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임의이나, 보다 바랍직하기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 생기는 종류의 나무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한 나무중에서, 판자화장재의 용도, 소비자의 기호취향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국산재로서는 낙엽송, 노송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벗나무, 느름나무, 먹감나무, 칠엽수, 단풍나무, 녹나무, 계수나무, 홰나무, 황목 등 ; 외국산재로서 화이트 시카모아, 로우즈우드, 치이크, 마호가니, 아프리칸 마호가니, 나왕, 메란치, 흑단, 자단, 아메리칸 블랙월너트, 카린, 제부라우드, 망가시로, 브라질리안 로우즈, 바시몬, 실버로우즈, 팔마, 실키오오크, 실버하트, 타이완쿠스, 체리, 밀톨, 마그노리아, 흑레오, 백레오, 사페리, 부빈카, 마코레, 마드로우너, 메이플, 클라로월너트, 아쉬, 겐로간 등이다.
특히, 유리한 것으로는 낙엽송, 칠엽수, 녹나무, 화이트 시카모아, 마호가니, 아프리칸 마호가니, 나왕, 메란치, 게론간 등의 상대적으로 빈번히 엇갈린 줄무늬가 생기는 종류의 나무를 들 수 있다.
판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목재의 플리치 등을 슬라이서, 하프로우터리 또는 로우터리 레이스 등의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절삭 가공함으로써, 즉 판자절삭기에 설비된 칼날형에 의하여 두께 약 0.2~0.5mm의 얇은 시이트재로 잘라냄으로써 만들어진다. 이 절삭가공 방식의 하나로서, 목재를 절삭면(절삭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판자의 표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는 방향으로 절삭하는 곧은 줄무늬 따기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이 곧은 줄무늬 따기 방식의 절삭가공에 있어서, 종래에는 없었던 특수한 형태의 칼날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칼날형은 일반적으로 폭(날끝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절삭기에 부착되는 쪽의 끝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이 약 5~30cm, 길이 날끝이 뻗은 길이방향의 길이)는 약 50~500cm를 가진 금속재(강재)이지만, 본 발명의 신규의 칼날형은 파도형의 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을 가진 것이다.
날끝이 파도형의 날면으로 된 본 발명의 칼날형은 이것을 설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목재를 곧은 줄무늬 따기 방식으로 절삭가공할 때, 날끝이 직선상으로 된 칼날형을 사용한 경우와는 다르게, 목재플리치 등이 쪼개지는 부위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에 대하여 강약의 불균일(분포)이 생기고, 또한 이 응력의 강약 불균일은 칼날형의 길이방향에 걸쳐 퍼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것이 요인이 되어 절삭된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곧은 줄무늬 판자의 보통의 나뭇결과는 달리, 진한색부분과, 연한색부분이 교대로 반복되어, 연륜모양과는 다른 진하고 연한 무늬모양이 그 곧은 줄무늬 나뭇결에 부가되고, 또한 그 곧은 줄무늬 나뭇결과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직선상이 아닌 날끝을 가진 칼날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평 6-15612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기재된 칼날형은날과날이 서로 엇갈려 있어서,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칼날형이고, 날끝의 형상에 관하여,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그러한 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칼날형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상기의 공보에 기재된 칼날형을 사용하여 목재의 절삭가공을 하여도, 엇갈린 줄무늬 나무결을 가진 판자는 얻어지지 않는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의 공보는 엇갈린 줄무늬를 인공적으로 부가하는 기술에 관하여 일체의 제안 및 시사를 주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일본국 특개 평 6-15612호 공보는 본 발명에 대하여 아무런 계기 내지 기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칼날형에 있어서, 칼날면의 형태가 파도형인 한, 기본적으로는 임의이고, 만들어내려고 하는 엇갈린 줄무늬의 종류(예를 들면, 교차무늬 또는 파도무늬)에 따라 또는 엇갈린 줄무늬의 형태(예를 들면, 진하고 연한무늬모양에 있어서 진한색부분 및 연한색부분의 폭은 어느 정도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파도형의 형상 및 파도형의 간격 등이 적절히 결정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칼날형에 있어서의 파도형 칼날면은 파도형의 간격(파도의 산부와 인접산부와의 간격 또는 골짜기부와 인접 골짜기부와의 간격)이 약 2~10mm의 범위에 있고, 또 파도형의 높이(파도의 산부와 골짜기부의 거리(칼날형의 폭방향에 있어서의))가 약 2~15mm의 범위에 있다.
또, 일반적으로 칼날면의 파도형이 날카로운(경사가 급한)것은 교차무늬 나뭇결의 형성에 유리하고, 한편 칼날면의 파도형이 완만한(경사가 완만한)것은 파도형무늬 나뭇결의 형성에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날면의 형태는 임의라고는 하지만, 천연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에 보다가까운 나뭇결을 형성하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판자절삭기에 설비하는 칼날형으로서는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파도형칼날면을 가진 칼날형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칼날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한 (1)파도형의 간격 및 파도형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 (2)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으나,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는 것, (3)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으나,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는 것, 및 (4) 파도형의 간격도 파도형의 높이도 일정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칼날형은 일반적으로 하프로우터리에 있어서는 10°내지 20°, 보통 15°전후의 바이어스각을 갖게하여 하프로우터리의 칼날형태(台)에 부착(죄어부착)된다. 또, 슬라이서에 있어서도 칼날형은 이러한 바이어스각을 갖도록 칼날형태에 부착되며, 또한 슬라이서의 경우에는 칼날형은 절삭시에 고정된 목재플리치에 대하여 직진하는 것은 아니고, 비스듬히(일반적으로, 각도 5°내지 40°의 경사방향으로)슬라이도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 칼날형은 상기의 파도형의 칼날면을 가짐과 동시에, 그 파도형의 칼날면이 칼날형의 이동궤적 및/또는 바이어스각에 대응하도록 편향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절삭되는 목재플리치는 판자절삭기(슬라이서)에 칼날형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20°내지 35°, 보통 25°정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각종의 칼날형을 설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목재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 나뭇결이 되도록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는 것을 제 1단계로 하는 것이고, 그리고, 그 방법은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표면이 기복하는 판자를 열고정 또는 열압죔에 의하여 평활히 하는 것을 제 2의 단계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열고정은 통상 열로울을 사용하여 온도 : 약 100~150℃, 압력 : 약 5~10kg/cm2의 조건으로 행하여진다. 열로울은 2개의 로울 1쌍이라도 좋으나, 캘렌디 로울과 같이 복수개의 로울을 조합하여 복수회의 열고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열압죔은 통상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온도 : 약 100~150℃, 압력 : 약 5~10kg/cm2, 및 시간 : 약 1~2분의 조건으로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는 판자자체의 형태인 채로도 이용가능하나, 그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를 종이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질 시이트로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뒤를 대어 붙임으로써,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시이트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종이로서는 화지(일본지), 한지(창호지), 양지(중질지, 상질지 등), 판지(크래프트지) 및 수지함침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부직포로서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큐풀러 등을 원료섬유로 하는 부직포가 사용된다. 또한, 합성수지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쇄상폴리올레핀이나 환상폴리올리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공중합체수지도 포함)로 된 필름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각종의 판자시이트에도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는 목질적층체의 표면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판자는 특히 하기 2종의 적층체의 표면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 판자/종이 또는 부직포/합성수지필름/종이 또는 부직포의 적층체
합성수지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쇄상폴리올레핀이나 환상폴리올레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공중합체수지도 포함)로 된 필름이 사용되고, 또 종이 또는 부직포로서는 상기와 똑같은 것이 이용된다.
○ 판자/종이 또는 부직포/합성수지필름/금속박/합성수지필름/종이 또는 부직포의 적층체
금속박으로서는 철박, 알루미늄박, 스테인레스 스틸박이 사용되고, 또 종이 또는 부직포 및 합성수지필름으로서의 상기와 똑같은 것이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판자시이트는, 예를 들면 하기의 기재의 위에 붙여서, 여러가지 목질제품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 굴곡가능한 두꺼운 섬유질시이트
이 섬유질시이트는 두꺼운 가요성 유연재료로서, 특히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적합하다. 시이트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양지, 화지, 한지, 판지, 직포 및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 발포수지시이트
발포수지시이트로서는 발포폴리우레탄 또는 발포폴리스틸렌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좋은 것은 발포폴리스틸렌이다.
○ 목질합판
목질합판으로서는 종래보다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3층합판, 5층합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 중질섬유판자(medium density fiber board)
중질섬유판자는 그 두께, 섬유의 종류 및 밀집도 등에 대하여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 무지질판자
무기질판자로서는 석고보드, 규산칼슘판자, 섬유혼입 규산칼슘판자, 섬유혼입 석고보드, 유리섬유 혼입무기질·페놀수지 발포판자 또는 유리섬유·수산화 알루미늄 혼입 페놀수지 발포판자 및 발포콘크리트 등도 이용가능하다.
○ 유리판자
판유리로 된 것은 표면이 평탄하므로, 더욱 좋다.
○ 합성수지판자
합성수지판자로서는, 예컨대 멜라민수지판자, ABS 수지판자, 폴리우레탄 수지판자, 에폭시 수지판자, 아크릴 수지판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에폭시수지 등을 목재 등에 함침시킨 판자도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판자시이트, 그리고 이들을 사용한 목질적층체 및 목질제품은 신규의 화장재이고, 목조건축물, 콘크리트 건조물 등의 천장, 내벽 및 바닥의 표면에 붙이는 내장재로서, 또 가구, 일상샐활용품, 집기, 가전제품(예를 들면, 텔레비캐비넷 등) 및 사무용품 등의 표면피복재로서, 또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멘트 패널 등의 교통기관의 내장재로서, 또는 악기(예를 들면, 기타, 피아노 등)의 표면제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라고 생각되는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의 판자(나무종류 실버하트, 곧은줄 나뭇결, 두께 0.3mm)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 판자의 제조에 실버하트의 목재플리치의 도 1에 대응하는 부위의 곧은 나뭇결 표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사진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1의 판자는 돗자리 주름무늬 나뭇결이라고 불리는 파도형무늬 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가되고, 또한 그것이 본래의 실버하트의 곧은 줄무늬 나뭇결과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실시예의 판자(나무종류 사페리, 곧은줄 나뭇결, 두께 0.3mm)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이 판자의 제조에 사용된 사페리의 목재플리치의 도 3에 대응하는 부위의 곧은 줄 나뭇결의 표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사진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2의 판자는 실시예 1과 똑같이, 파도형무늬 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가되고, 또한 그것이 본래의 사페리 곧은줄 나뭇결과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실시예의 판자(나무종류 화이트 시카모아, 곧은줄 나뭇결, 두께 0.3mm)를 도시한 것이다.
이 사진에서 실시예 3의 판자는 교차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가되고, 또한 그것이 본래의 화이트 시카모아 곧은줄 나뭇결과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각종의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이 방법에 사용된 판자절삭기(슬라이서)의 칼날형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형(1)은 파도형의 날면(2)이 칼날형(1)의 길이방향(도면중, X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3)을 가진다. 날끝(3)의 선단 가장자리(4)가 칼날형(1)의 폭방향(도면중, Y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함으로써, 파도형의 날면(2)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형(1)에 있어서의 파도형 날면(2)은 파도형의 간격(파도의 산부(5)와 인접한 산부(5')와의 간격 또는 골짜기부(6)와 인접한 골짜기부(6')와의 간격)이, 예를 들면 약 7~8mm이고, 파도형의 높이(파도의 산부(5)와 골짜기부(6)의 거리)가 예를 들면 약 5~6mm이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그 파도형의 날면(2)은 길이쪽(X)방향으로 연속하여 각 파형의 골짜기부(6)가 칼날형(1)의 길이쪽(X)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도 6중, 쇄선(A))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칼날형(1)은 그 파도형의 날면이 칼날형(1)의 바이어스 각 및 칼날형(1)의 경사지게 이동하는 곡선궤적에 대응하도록, 칼날형의 폭(Y)방향에 대하여 각도 α만큼 비스듬히 편향한 경사면을 이룬다. 따라서, 선단 가장자리(4)에 있어서의 파도형과 기단쪽의 파도형과는 위상이 각도(α)만큼 어긋나 있다.
그리고, 같은 실시예의 하프로우터리용 칼날형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의 파도형의 날면을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파도형의 날면이 칼날형의 바이어스각에 상당하는 각도(편향각(α)) 만큼 비스듬히 편향한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상기의 칼날형을 설비한 2종류의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각각 목재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도록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였다. 하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서(7)를 사용하여 원료이 목재플리치(8)(이것은 노우즈바대(10) 등의 위에 눌려 있다)를 수평으로 화살표(P)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칼날형(1)에 의하여 플리치(8)를 절삭면(9)이 곧은 줄무늬가 되도록 나뭇결에 따라 절삭하고(즉, 칼날형(1)의 절삭방향과 플리치(8)의 목재 방사조직의 방향이 예각을 이루는 배치로 절삭하고), 그리고 예를 들면 두께 0.3mm의 판자를 얻었다.
또, 하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로우터리(11)를 사용하여 원료의 목재플리치(8)(이것은 채크(12)에 의하여 부착고정되어 있다)를 화살표(Q)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칼날형(1)에 의하여 플리치(8)를 절삭면(9)이 곧은 줄무늬 나뭇결이 되도록 결에 따라 절삭하며, 예를 들면 두께 0.3mm의 판자를 얻었다. 그리고, 도면중 13은 노우즈바를 표시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는 얻어진 표면이 기복하는 단판을 3~4개의 열로울을 사용하여 온도 : 약 120℃, 압력 : 약 7~8kg/cm2의 조건으로 열고정시킴으로써, 그 표면을 평활히 하였다. 또는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상기의 판자를 온도 : 약 130℃, 압력 : 약 8kg/cm2, 시간 : 약 1분의 조건으로 열압죔함으로써,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상기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판자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파도형무늬 나뭇결과 같은, 또는 도 5에 도시한 교차무늬 나뭇결과 같은 각종의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곧은 줄무늬 나뭇결의 판자였다.
[실시예 5 내지 8]
이들 실시예는 엇갈린 나뭇결을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는데 적합한 몇가지 칼날형을 도 9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칼날형(1a 내지 1d)은, 모두 파도형(즉, 날끝(3)의 선단 가장자리(4)가 칼날형의 폭(Y)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하는 형상)의 날면(2)이 칼날형(1)의 길이(X)방향으로 연속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6)가 칼날형(1)의 길이(X)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직선(A)상의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 5의 칼날형(1a)은 파도형의 날면(2)이 파도형의 간격(L)도, 또 파도형의 높이(h)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규칙적으로 반복형성된 날끝(3)을 가진다. 이 칼날형(1a)은 돗자리 주름무늬 나뭇결이라고 불리는 파도형 줄무늬 나뭇결을 인공적으로 판자표면에 부가하는데 적합하다.
또,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6의 칼날형(1b)은 파도형의 날면(2)이 파도형의 간격(L)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한 파도형의 높이는 h1, h2와 각각 다르도록, 반복형성된 날끝(3)을 가진다. 이 칼날형(1b)도 또 상기의 파도형 나뭇결과 비슷한 파도형 나뭇결을 인공적으로 판자표면에 부가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 7의 칼날형(1c)은 파도형의 칼날면(2)이 파도형의 높이(h)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한 파도형의 간격은 L1, L2, L3와 각각 다르도록 반복형성된 날끝(3)을 가진다.
또,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 8의 칼날형(1d)은 파도형의 날면(2)이 파도형의 간격은 L1, L2, L3, L4와 각각 다르도록, 그리고 파도형의 높이는 h1, h2와 각각 다르도록 반복형성된 날끝(3)을 가진다.
이들 칼날형(1c, 1d)은 호랑이 주름무늬 라고 불리는 교차나뭇결을 인공적으로 판자표면에 부가하는데 적합하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의 칼날형(1a 내지 1d)은 모두 파도형의 날면(2)이 칼날형의 바이어스각에 대응하도록 각도(α)만큼 (예를 들면, 15°의 각도만큼) 편향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다. 또, 파도형의 날면(2)은 칼날형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도록 적당한 각도만큼 편향한, 또는 적당한 곡선궤적에 따라 편향한 경사면을 이루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이들 칼날형(1a 내지 1d)을 구비한 판자절삭각(슬라이서, 하프로우터리)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 기재한 수순에 따라 곧은 줄무늬 나뭇결 따기의, 즉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는 절삭가공을 하였던 바, 각각 나뭇결이 다르지만, 모두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파도형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등이 부가된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곧은 줄무늬 판자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나선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파도형무늬 나뭇결등, 여러가지 종류의 엇갈린 나뭇결이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된 판자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목재 특히 엇갈린 나뭇결이 생기는 나무종류로서, 실제에는 엇갈린 나뭇결이 없는 목재로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된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평활한 판자를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칼날형은 이것을 사용하여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가 되도록 목재의 절삭가공을 함으로써, 그 절삭가공과 동시에 엇갈린 나뭇결(나선무늬, 교차무늬, 파도형무늬 등)을 만들 수 있는 곧은 줄무늬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곧은 줄무늬 나뭇결 판자의 표면에 엇갈린 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파도무늬 나뭇결, 교차무늬 나뭇결, 나서무늬 나뭇결 또는 사주무늬 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곧은 줄무늬 나뭇결 판자는 천연나무의 판자 또는 인공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자.
  4. 파도형의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날끝을 가진 칼날형을 설비한 판자절삭기를 사용하여, 목재를 절삭면이 곧은 줄무늬 나뭇결이 되도록 바라는 두께로 절삭가공하고, 이어서 얻어진 표면이 기복하는 판자를 열고정 또는 열압죔에 의하여 평활하게 함으로써, 엇갈린 나뭇결을 곧은 나뭇결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칼날형의 날끝의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으로 변위하고, 또한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파도형 날면을 가진 칼날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를 종이, 부직포 등의 섬유질사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합성수지필름으로 뒤를 대어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시이트.
  7. 판자절삭기에 설비되는 칼날형으로서, 칼날형의 날끝은 파도형의 날면을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판자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부가하기 위한 칼날형.
  8. 제 7 항에 있어서, 칼날형의 날끝은 그 선단 가장자리가 칼날형의 폭방향으로 파도형상으로 변위하고, 또한 그 파도형 칼날면이 칼날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각 파도형의 골짜기부가 칼날면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9. 제 8 항에 있어서, 파도형의 날면이 파도형의 간격도 파도형의 높이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규칙적으로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10. 제 8 항에 있어서, 파도형의 날면이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도록 하여,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11. 제 8 항에 있어서, 파도형의 날면이 파도형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파도형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반복형성된 날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12. 제 8 항에 있어서, 파도형의 날면이 파도형의 간격과 높이가 모두 일정하지 않도록,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날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파도형의 날면이 칼날형의 이동궤적 및/또는 바이어스각에 대응하도록 편향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형.
KR1019970004252A 1997-02-13 1997-02-13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252A KR100357722B1 (ko) 1997-02-13 1997-02-13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252A KR100357722B1 (ko) 1997-02-13 1997-02-13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900A true KR19980067900A (ko) 1998-10-15
KR100357722B1 KR100357722B1 (ko) 2003-02-11

Family

ID=4938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252A KR100357722B1 (ko) 1997-02-13 1997-02-13 엇갈린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32B1 (ko) * 2001-04-25 2003-02-25 문승규 나무 돗자리용 나무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798A (ko) * 1974-05-01 1975-11-1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32B1 (ko) * 2001-04-25 2003-02-25 문승규 나무 돗자리용 나무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722B1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1681B2 (ja) 交走木理を有する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661688A (en) Composite board laminate
US642887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wood products from engineered wood products
US5098762A (en) Plywood
US6162312A (en) Method of making a resin impregnated composite wood product from waste, scrap, and used wood
EP2344309A1 (en) Manufactured wood product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JP4154792B2 (ja) 造作部材
EP0592347B1 (en) Method of making a molded wooden panel for decorative coverings
US3441959A (en) Textured panel and process of producing same
US6298888B1 (en) Cross-grained vene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9980067900A (ko) 엇갈린 줄무늬 나뭇결을 가진 판자 및 그 제조방법
JP3733509B2 (ja) 交走木理を有する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6011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wood products from engineered wood products
JP3965632B2 (ja) 単板化粧シートおよび該単板化粧シートが貼着された単板化粧板
KR100717125B1 (ko) 모자이크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E19708268C2 (de) Verfahren und Messer zur Herstellung eines Querfaserfurniers
CN2156006Y (zh) 装饰板块
CN1404972A (zh) 人造木刨切单板制作新工艺
ITRM970149A1 (it) Impiallacciatura a grana incrociata e metodo per produrla
DE19708196C2 (de) Querfaserfurnier und Furniertafel
EP3159166B1 (de) Dekorativer schichtstoff aus harzimprägnierten papierlag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2285331Y (zh) 小径木拼花胶合板
JP2012041796A (ja) フローリング材
JP2007313874A (ja) 木質系床材とその製造方法
CN2277884Y (zh) 具定向粒片板的复合夹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817

Effective date: 200604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817

Effective date: 200604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525

Effective date: 200612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16

Effective date: 200705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522

Effective date: 200707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28

Effective date: 2007092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716

Effective date: 201103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13

Effective date: 2011040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