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185A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7185A KR19980067185A KR1019970003080A KR19970003080A KR19980067185A KR 19980067185 A KR19980067185 A KR 19980067185A KR 1019970003080 A KR1019970003080 A KR 1019970003080A KR 19970003080 A KR19970003080 A KR 19970003080A KR 19980067185 A KR19980067185 A KR 199800671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frame
- positioning pin
- picker
- transfer
- vacuum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1 process auto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리드 프레임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관을 갖는 픽커와, 상기 픽커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커에 위치 결정 핀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말단부가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가이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의 형상이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상단부에 스프링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리드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리드 프레임 이송시 발생되는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여 이송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 공정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 프레임 의 가이드 홀에 삽입될 때 위치 결정 핀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리드 프레임을정확한 위치에 배열시키는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패키지 제조 공정은 반도체 칩을 내부와 외부로부터 전기적인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성형 수지로 봉지하는 성형(molding) 공정을 포함한다. 성형 공정이 완료된 리드 프레임은 절단/굴곡(trim/form) 공정을 거쳐 외부 접속 단자인 리드의 형태를 결정짓게 된다. 보통 리드 프레임은 매거진이라는 적재 용기에 담겨져 다음에 진행될 공정의 설비까지 운반된다. 성형 공정이 완료되어 매거진에 담겨진 리드 프레임은 자동 이송 장치에 의해서 절단/굴곡 장치의 공급 레일에 이송된다.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자동 이송 장치로 하는 것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 생산성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고, 특히 사람의 정전기 방전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며 작업속도가 규칙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동 이송 장치는 진공 흡착 방식을 이용하는 것과 미끄러짐 방식을 이용하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리드 프레임의 이송에 사용되는 것은 주로 진공 흡착 방법을 이용한 이송 장치가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진공 흡착을 이용한 이송 장치를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굴곡 장치로 리드 프레임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100)는 흡착 수단(200)과 이송 수단(300)을 구비한다. 흡착 수단(200)은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적재 용기(500)에서 집어 올리고 절단/굴곡 장치(400)의 공급 레일(410) 부분에 놓아준다. 이송 수단(300)은 흡착 수단(200)을 적재 용기(500)에서 공급 레일(410)까지 이송시켜 준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적재 용기에서 리드 프레임을 집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제 2도를 참조하여 흡착 수단(200)을 설명하면, 흡착 수단(200)은 고정 수단(210)과 픽커(2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고정 수단(210)에 픽커(250)가 삽입되어 고정 나사(212)로 고정된다. 픽커(250)는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 흡착관(270)과 그 진공 흡착관(270)이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픽커 몸체(260)를 갖는다. 진공 흡착관(270)은 픽커 몸체(260)의 상부에 볼트(262)와 결합되어 튜브(264)로 진공 펌프(도시 안됨)와 연결된다. 그리고, 그 진공 흡착관(270)은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의 패키지 몸체(12)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고정 나사(212)로 고정 수단(210)에 고정되어 있다.
흡착 수단(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적재 용기(500)에 적대된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은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하나씩 상부로 상승시켜 주는 엘리베이터(600)에 담겨져 있다. 이때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은 성형 공정을 거쳐 패키지 몸체(12)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송바(310)로 연결된 이송 수단(300)에 의해 진공 흡착관(270)이 패키지 몸체(12)에 닿도록 흡착 수단(200)이 하강된다. 진공 흡착관(270)의 말단부가 패키지 몸체(12)에 닿으면 진공 펌프(도시 안됨)에 의해 진공 흡착관(270)이 패키지 몸체(12)를 진공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바(310)에 연결된 이송 수단(300)이 흡착 수단(200)을 상승시키면, 흡착 수단(200)이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진공 흡착한 상태로 상승하게 되어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은 적재 용기(500)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적재 용기(500)에서 집어올려진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이송 수단(300)에 의해 절단/굴곡 장치의 공급레일(410)까지 이송된다.
상기한 흡착 수단을 갖는 이송 장치는 수작업에 의한 불량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작업 속도를 규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송 장치는 리드 프레임을 집어 올릴 때 적재 용기에 놓여진 상태 그대로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집어 올린다. 만약,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위치가 틀어진 상태라도 그 상태로 절단/굴곡 장치의 공급 레일까지 이송된다. 따라서, 절단/굴곡 장치의 공급 레일에 정해진 위치에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놓지 못함으로써 절단/굴곡 공정의 진행에 차질이 발생되며 이러한 공정 진행의 차질은 공정 자동화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시 발생되는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고 리드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아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공정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굴곡 장치로 리드 프레임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적재 용기에서 리드 프레임을 집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흡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흡착 수단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절단/굴곡 장치로 리드 프레임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드 프레임 스트립12 : 패키지 몸체
14 : 사이드 레일16 : 가이드 홀
100 :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200 : 흡착 수단
210 : 고정 수단212 : 고정 나사
220 : 가이드 블록250 : 픽커
260 : 픽커 몸체262 : 볼트
264 : 튜브270 : 진공 흡착관
280 : 위치 결정 핀300 : 이송 수단
310 : 이송 바400 : 절단/굴곡 장치
410 : 공급 레일500 : 적재 용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는 리드 프레임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관을 갖는 픽커와, 상기 픽커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커에 위치 결정 핀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말단부가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가이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의 형상이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상단부에 스프링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흡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흡착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픽커 몸체(260)에 두 개의 위치 결정 핀(280)이 진공 흡착관(270)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위치 결정 핀(280)은 진공 흡착관(270)의 끝단보다 아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핀(280)은 상단부에 충격 완화용 스프링(1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위치 결정 핀(280)은 픽커 몸체(260)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핀(280)의 끝단은 라운드(round) 처리 되어 있어서 삽입이 시작될 때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에 힘을 주지 않게 된다. 고정 수단(210)의 양측면에는 고정 나사(212)로 픽커 몸체(260)가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절단/굴곡 장치로 리드 프레임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착 수단(200)이 하강하면 패키지 몸체(12)의 상면에 진공 흡착관(270)의 말단부가 접촉되기 전에 먼저 가이드 블록(150)이 위치가 틀어진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바로잡는다. 그 후에 픽커(250)의 위치 결정 핀(280)이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의 양쪽 사이드 레일(14)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홀(16) 부분에 삽입된다. 위치 결정 핀(280)의 상부에는 도 4에서 나타나 있듯이 스프링(110)이 결합되어 있어서 위치 결정 핀(280)이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의 가이드 홀(16)에 삽입될 때 무리한 힘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에 전해지는 힘이 약화되어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진공 흡착관(270)의 말단부가 패키지 몸체(12)의 상면에 접촉되는 순간에 위치 결정 핀(280)은 적재 용기(500)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 스트립(10)들 중에서 최상위에 있는 리드 프레임 스트립(100)의 가이드 홀(1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로 리드 프레임 스트립(10)을 흡착하여 상승과 이동으로 작업 위치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착 수단이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집어 올리기 위하여 하강할 때 가이드 블록이 잘못 놓여진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바로잡아 주고, 다음에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리드 프레임 스트립이 배치된 상태로 이송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 핀은 상부에 결합된 스프링에 의해 리드 프레임의 가이드 홀에 삽입될 때 리드 프레임 스트립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 장치의 구조에 따르면, 리드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리드 프레임 이송시 발생되는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여 이송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 공정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Claims (2)
- 리드 프레임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관을 갖는 픽커와, 상기 픽커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커에 위치 결정 핀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말단부가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가이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의 형상이며, 상기 위치 결정 핀의 상단부에 스프링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핀의 끝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3080A KR19980067185A (ko) | 1997-01-31 | 1997-01-31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3080A KR19980067185A (ko) | 1997-01-31 | 1997-01-31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7185A true KR19980067185A (ko) | 1998-10-15 |
Family
ID=659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3080A KR19980067185A (ko) | 1997-01-31 | 1997-01-31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67185A (ko) |
-
1997
- 1997-01-31 KR KR1019970003080A patent/KR199800671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8235B1 (ko) | 부품장착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232260B1 (ko) | 테스트 소켓 및 그를 이용한 모듈 테스트 장치 | |
KR100290733B1 (ko) |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 |
US5760481A (en) | Encapsulated electronic component containing a holding member | |
KR101841414B1 (ko) |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 제조장치 | |
KR20070097239A (ko) |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스트립 로케이션 장치 및 방법 | |
KR19980067185A (ko)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이송 장치 | |
KR0164038B1 (ko) |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리드 프레임 스트립 이송 장치 | |
KR100223093B1 (ko) | 수평식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 |
KR20090076010A (ko) | 칩 트레이 공급장치 | |
KR101380818B1 (ko) | 반도체 제조 공정용 스트립 언로딩장치 | |
KR19980076142A (ko) | 반도체 패키지용 스트립을 이송하는 장치 | |
KR20020066794A (ko) | 이중 버퍼영역을 갖는 웨이퍼링 핸들러 | |
KR200197169Y1 (ko) |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 |
KR100204403B1 (ko) | 콘택 테스터를 구비한 이삽입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정 방법 | |
KR100431185B1 (ko) | 반도체 칩 패키지의 언로딩 장치 및 방법 | |
KR0120490Y1 (ko) | 반도체 제조장비에 있어서의 튜브 오정렬 검지장치 | |
KR100594748B1 (ko) |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 |
JP2985532B2 (ja) | Icデバイスの移載方法 | |
JP4354204B2 (ja) | 部品試験装置 | |
KR200221960Y1 (ko) | 다이본더의 리드 프레임 피딩장치 | |
KR100199853B1 (ko) | 작업 대기중인 매거진을 고정하는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매거진 교체 방법 | |
JPH05113466A (ja) | Icデバイスの試験測定装置 | |
KR19990036744U (ko) | 인쇄회로기판의 언로더 | |
JP2961584B2 (ja) | 電子部品のベース部押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