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032U -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032U
KR19980066032U KR2019970010391U KR19970010391U KR19980066032U KR 19980066032 U KR19980066032 U KR 19980066032U KR 2019970010391 U KR2019970010391 U KR 2019970010391U KR 19970010391 U KR19970010391 U KR 19970010391U KR 19980066032 U KR19980066032 U KR 19980066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ap
oil supply
fuel
hol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201997001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032U/ko
Publication of KR19980066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32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탱크에 적용되는 연료캡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캡 본체의 중앙에 주유용 건(GUN)이 통과될 수 있는 주유용 통공을 관통 형성하되 이의 내부에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시 폐쇄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는 가동연료캡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주유시에는 주유용 건에 밀려 주유용 통공을 개방시키고 주유용 건을 뽑으면 자동적으로 주유용 통공을 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유시 번거롭고 연료캡을 뽑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급유가 가능토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탱크에 적용되는 연료캡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캡 본체의 중앙에 주유용 건(GUN)이 통과될 수 있는 주유용 통공을 관통 형성하되 이의 내부에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시 폐쇄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는 가동연료캡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주유시에는 주유용 건에 밀려 주유용 통공을 개방시키고 주유용 건을 뽑으면 자동적으로 주유용 통공을 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유시 번거롭고 연료캡을 뽑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급유가 가능토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탱크에 적용되는 연료캡은 단순히 탱크의 연료주입구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뚜껑부는 연료주입구를 막아주도록 막혀 있는 구조로서 이는 다음과 같은 취급상의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 주유시마다 일일이 뚜껑부를 돌려 체결부가 연료주입구에서 이탈, 분리되도록 하여야 하고 주유후에도 다시 분리시킨 연료캡을 결합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취급이 매우 번거롭고 이로인해 주유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는 것이며,
⊙ 또한 분리된 연료캡을 차량의 지붕이나 연료탱크의 도에 설치되는 걸고리에 걸어둔 다음 연료를 급유하게 되는 것으로 지붕이 오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많아 차량의 외관을 불결하게 하였던 것이며,
⊙ 때때로 주유소의 주유원이 연료 주입이 완료된 다음, 연료캡을 닫지 않고서 연료탱크의 도어를 닫아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서 연료캡이 열려진 상태로 자동차가 주행하여서 주행시에 연료탱크의 연료가 출렁거리면서 차체의 표면이나 차체 내부패널등으로 흘러넘치는 경우가 발생되어서 부품을 오염, 손상시키거나 연료가 누출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캡 본체의 중앙에 주유용 건(GUN)이 통과될 수 있는 주유용 통공을 관통 형성하되 이의 내부에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시 폐쇄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는 가동연료캡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주유시에는 주유용 건에 밀려 주유용 통공을 개방시키고 주유용 건을 뽑으면 자동적으로 주유용 통공을 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유시 번거롭게 연료캡을 뽑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급유가 가능토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요부 절개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캡2 : 뚜껑부
3 : 결합부4 : 주유용 통공
5 : 경사면6 : 가동 연료캡
7 : 힌지부8 : 밀폐용 패킹
9 : 고정핀10 : 토션 스프링
뚜껑부(2)와 일체로 숫나사부(3')가 형성된 결합부(3)를 구비하는 공지의 연료캡(1)에 있어서; 상기 연료캡(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연부에 하향으로 확개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5)을 구비하는 주유용 통공(4)과; 고정핀(9)에 의해 상기 주유용 통공(4)의 상측내면에 장착되는 힌지부(7)와 외연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밀폐용 패킹(8)을 일체로 구비하는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유용 통공(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가동 연료캡(6)과; 상기 고정핀(4)에 끼워져 탄발설치되며 가동 연료캡(6)에 폐쇄방향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10)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는 오링이고, (21)는 자동차 연료탱크이며, (22)는 연료주입구이고, (23)는 주유용 건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료캡(1)은 기존의 연료탭과 같이 도 3에서와 같이 결합부(3)를 자동차 연료탱크(11)의 연료주입구(12)에 나사 체결시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3의 실선 상태는 주유하기 전의 상태로서 토션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가동 연료캡(6)이 주유용 통공(4)을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이며, 이 때 밀폐용 패킹(8)이 주유용 통공(4)상측단의 경사면(5)에 밀착되게 있게 되는 것이므로 연료의 누유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주유를 위하여 주유용 건(23)을 주유용 통공(4)으로 밀어 넣으면 가동 연료캡(6)이 밀려나면서 가상선과 같이 힌지부(7)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주유용 통공(4)을 개방시켜 주유용 건(23)이 진입되도록 하므로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주유가 완료되어 주유용 건(7)을 주유용 통공(4)에서 뽑아내면 가동 연료캡(6)은 토션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부(7)를 중심으로 상향 이동되어 주유하기전의 상태와 같이 주유용 통공(4)을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주유시 일일이 뚜껑부를 돌려 결합부가 연료주입구에서 이탈, 분리시킬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므로 주유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주유후에도 다시 분리시킨 연료캡을 결합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취급에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연료캡을 풀어내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와 같은 차량 지붕의 오염이나 연료 주입이 완료된 다음 연료캡을 닫지 않고 연료탱크의 도어를 닫아버리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뚜껑부(2)와 일체로 숫나사부(3')가 형성된 결합부(3)를 구비하는 공지의 연료캡(1)에 있어서;
    상기 연료캡(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연부에 하향으로 확개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5)을 구비하는 주유용 통공(4)과;
    고정핀(9)에 의해 상기 주유용 통공(4)의 상측내면에 장착되는 힌지부(7)와 외연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밀폐용 패킹(8)을 일체로 구비하는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유용 통공(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가동 연료캡(6)과;
    상기 고정핀(4)에 끼워져 탄발설치되며 가동 연료캡(6)에 폐쇄방향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10)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KR2019970010391U 1997-05-12 1997-05-12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KR199800660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91U KR19980066032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91U KR19980066032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32U true KR19980066032U (ko) 1998-12-05

Family

ID=6967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391U KR19980066032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03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4286A1 (en) Seal device for a tank filler neck in vehicles
KR19980066032U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EP2431209B1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fuel tank of vehicles
KR19990024941A (ko) 차량의 연료주입장치
KR19980021837U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캡
KR10046280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캡
KR100941091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KR200190137Y1 (ko) 자동차의연료필러도어(fuel filler door of automobile)
KR970001514Y1 (ko) 연료주입구의 마개보관구조
JPH0737970Y2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給油口密封装置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JPH0245067Y2 (ko)
KR100452726B1 (ko) 주유시 필러도어 주변의 오염방지장치
JPH0451157Y2 (ko)
KR19990019247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개폐 확인장치
KR100199811B1 (ko) 연료주유구커버와 주유구캡일체형 개, 폐장치
KR100427940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JPH03204511A (ja) 石油燃焼機器の給油装置
KR19990026446U (ko) 자동차의 분실방지용 연료캡
KR19980035704U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캡장치
KR20030073201A (ko) 부착식 자동차연료캡
KR19980030597U (ko) 자동차의 분실방지 연료캡
KR19980041703U (ko)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