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008A - 지붕판넬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지붕판넬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008A
KR19980065008A KR1019980022315A KR19980022315A KR19980065008A KR 19980065008 A KR19980065008 A KR 19980065008A KR 1019980022315 A KR1019980022315 A KR 1019980022315A KR 19980022315 A KR19980022315 A KR 19980022315A KR 19980065008 A KR19980065008 A KR 1998006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roof panel
movable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775B1 (ko
Inventor
김서운
Original Assignee
김서운
주식회사 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운, 주식회사 기린산업 filed Critical 김서운
Priority to KR101998002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7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775B1/ko

Link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지붕판넬은 인접하는 판넬과의 접속부위에 부분적으로 상, 하부표면의 금속판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상부표면, 하부표면 및 지지고정용 형강에 이르기까지 스크류 체결공를 형성한 다음 이를 통해 고정스크류를 체결 고정하여 서로 접속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이러한 이유로 비, 바람을 동반하는 우천시에는 빗물의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판넬접속부를 통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빗물이 판넬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판넬에 미치는 온도에 의해 신축과 팽창의 반복에 의해 스크류가 헐거워져 판넬의 고정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고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붕판넬간의 이음매를 제거하고, 지붕판넬에 미치는 온도에 의해 판넬에 신축, 팽창이 발생하여도 이러한 신축, 팽창력에 따라 지붕판넬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지붕판넬 시공구조
본 발명은 곡선 지붕판넬에 있어 길이 방향으로 지붕의 이음매를 없게 하면서 지붕판넬에 가하여지는 온도차에 의하여 지붕이 팽창하여도 지붕이 이 팽창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지붕판넬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판넬은 인접하는 판넬과의 접속부위에 부분적으로 상, 하부표면의 금속판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상부표면, 하부표면 및 지지고정용 형강에 이르기까지 스크류 체결공을 형성한 다음 이를 통해 고정스크류를 체결 고정하여 서로 접속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이러한 이유로 비, 바람을 동반하는 우천시에는 빗물의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판넬접속부를 통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빗물이 판넬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판넬에 미치는 온도에 의해 신축과 팽창의 반복에 의해 스크류가 헐거워져 판넬의 고정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고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붕판넬간의 이음매를 제거하고, 지붕판넬에 미치는 온도에 의해 판넬에 신축, 팽창이 발생하여도 이러한 신축, 팽창력에 따라 지붕판넬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요홈이 형성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아코덱크 또는 나무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체결구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동일한 길이와 한정된 높이를 갖는 지주의 상부에는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요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외측면에는 각각 끝단이 윗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판넬지지대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요홈과 일치하는 걸림 조인트로 이루어진 가동지지대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요홈에 상기 가동지지대의 걸림 조인트가 양측방으로 슬라이드이동은 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동지지대의 절곡단에는 이와 대응하게 상기 지붕판넬의 양단을 절곡시킨 절곡면을 그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형상의 캡을 씌워 통상의 체결구로 상기 캡을 통해 상기 지붕판넬의 상기 절곡면이 각각 상기 가동지지대의 절곡단을 가압고정하면서 상기 가동지지대의 요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하는 구조로 시공함으로서 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참고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 참고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걸림요홈 11:고정플레이트
12:체결구 13:지주
18:걸림 조인트 19:가동지지대
20,20':절곡면 22:캡
본 발명은 통상의 조립식 건물 또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건물의 지붕구조체에 아코텍크 또는 나무바닥등과 같은 바탕재(1)를 설치하여 지붕판넬(2),(2')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요홈(10)이 형성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1)를 상기 아코덱크 또는 나무바닥 등과 같은 바탕재(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체결구(12)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동일한 길이와 한정된 높이를 갖는 지주(13)의 상부에는 내측면에 나사부(15)가 형성된 요부(14)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외측면에는 각각 끝단이 윗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16),(16')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판넬지지대(17),(17')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요홈(10)과 일치하는 걸림 조인트(18)로 이루어진 가동지지대(19)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요홈(10)에 상기 가동지지대(19)의 걸림 조인트(18)가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은 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통상의 체결구(12)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붕판넬(2)(2')의 설치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쪽 바닥면을 짧게 형성하며,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절곡단(16),(16')에는 이와 대응하게 상기 지붕판넬(2),(2')의 양단을 절곡시킨 절곡면(20),(20')을 그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형상의 캡(22)을 씌워 통상의 체결구(12)로 상기 캡(22)을 통해 상기 지붕판넬(2),(2')의 상기 절곡면(20),(20')이 각각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절곡단(16),(16')을 가압고정하면서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요부(14)에 형성된 나사부(15)에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1)는 상기 걸림요홈(10)이 통상의 체결구(12)의 체결위치의 오차를 흡수 할 수 있도록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홈(11a)을 구성하여 상기 바탕재(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체결구(12)로 고정되고,
가동지지대(19)의 요부(14)는 통상의 체결구(12)의 체결위치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15)의 상부 양측면에 경사각에 의한 열림각(15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공구조 즉, 상기 지붕판넬(2),(2')의 타단은 다음 번의 시공시에 상기와 동일한 시공구조에 의하여 시공됨으로서 일련의 지붕판넬(2),(2')의 설치에 의한 지붕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붕판넬 시공구조에 대한 작용 및 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지붕판넬(2)과 다른측에서 시공되는 지붕판넬(2')은 ∩형상의 캡(22)에 의하여 씌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붕판넬(2)과 다른측에서 시공되는 지붕판넬(2')은 겹쳐지는 형태로 설비되는 것도 아니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빗물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지붕판넬(2),(2')간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더욱더 효과적으로 외부에서 침투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 바람 등에 의하여 역류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상기 지붕판넬(2)과 다른측에서 시공되는 지붕판넬(2')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 가동지지대(19)를 구성하고 있는 지주(13) 및 이의 상부에 구성된 판넬지지대(17),(17')의 절곡단(16),(16')에 각각 캡(22)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악천후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빗물이 흘러들거나 스며드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지붕판넬(2),(2')에는 조석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수축과 팽창이 반복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때, 종래와 같이 지붕판넬(2),(2')이 바탕재(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붕판넬(2),(2')에 미치는 수축과 팽창에 의해 지붕판넬(2),(2')과 바탕재(1)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구의 해지 등으로 인해 지붕판넬(2),(2')이 바탕재(1)에서 이탈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바탕재(1)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1)에 형성된 걸림요홈(10)상에 지붕판넬(2),(2')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동지지대(19)의 걸림 조인트(18)가 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붕판넬(2),(2')의 신축과 팽창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동지지대(19)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붕판넬(2),(2')은 가동지지대(19)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게된다.
결국 온도변화에 따른 지붕판넬간의 슬라이드현상을 방지하여 특히 강풍에 의한 날림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 외부의 기온차이에 의한 온도변화로 인해 지붕판넬의 신축과 팽창 시에 이를 흡수하도록 상기 지붕판넬을 신축 및 팽창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지붕판넬의 시공수명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고,
시공 후에는 지붕판넬간의 이음매를 제거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빗물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지붕판넬간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더욱더 효과적으로 외부에서 침투되는 빗물의 차단효과와 외관미의 상층효과가 있게 되며,
또한 비, 바람 등에 의하여 역류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상기 지붕판넬과 다른측에서 시공되는 지붕판넬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 가동지지대를 구성하고 있는 지주 및 이의 상부에 구성된 판넬지지대의 절곡단에 각각 캡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악천후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빗물이 흘러들거나 스며드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Claims (4)

  1. 통상의 조립식 건물 또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건물의 지붕구조체에 아코텍크 또는 나무바닥등과 같은 바탕재(1)를 설치하여 지붕판넬(2),(2')을 시공함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1)를 상기 아코덱크 또는 나무바닥(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체결구(12)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동일한 길이와 한정된 높이를 갖는 가동지지대(19)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지붕판넬(2),(2')의 양단이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캡(22)을 씌워 통상의 체결구(12)로 상기 캡(22)을 통해 상기 지붕판넬(2),(2')을 가압고정하면서 상기 가동지지대(19)에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넬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요홈(10)을 형성하고 통상의 체결구(12)의 체결위치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홈(11a)을 구성하여 상기 바탕재(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체결구(12)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넬 시공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대(19)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동일한 길이와 한정된 높이를 갖는 지주(13)와, 그 상부에는 내측면에 통상의 체결구(12)의 체결위치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면에 경사각에 의한 열림각(15a)을 갖는 나사부(15)가 형성된 요부(14)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외측면에 각각 끝단이 윗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16),(16')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패널지지대(17),(17')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요홈(10)과 일치하는 걸림 조인트(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넬 시공구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는 요홈(10)에 상기 가동지지대(19)의 걸림 조인트(18)가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이동은 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통상의 체결구(12)가 체결된 상태에서 지붕판넬(2)(2')의 설치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쪽 바닥면을 짧게 형성하며,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절곡단(16),(16')에는 이와 대응하게 상기 지붕판넬(2),(2')의 양단을 절곡시킨 절곡면(20),(20')을 그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캡(22)을 씌워 통상의 체결구(12)로 상기 캡(22)을 통해 상기 지붕판넬(2),(2')의 상기 절곡면(20),(20')이 각각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절곡단(16),(16')을 가압고정하면서 상기 가동지지대(19)의 요부(14)에 형성된 나사부(15)에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넬 시공구조.
KR1019980022315A 1998-06-15 1998-06-15 지붕판넬 시공구조 KR10027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315A KR100278775B1 (ko) 1998-06-15 1998-06-15 지붕판넬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315A KR100278775B1 (ko) 1998-06-15 1998-06-15 지붕판넬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08A true KR19980065008A (ko) 1998-10-07
KR100278775B1 KR100278775B1 (ko) 2001-01-15

Family

ID=6590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315A KR100278775B1 (ko) 1998-06-15 1998-06-15 지붕판넬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271B1 (ko) 2013-05-30 2013-08-19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KR101951648B1 (ko) * 2018-06-05 2019-02-25 주식회사 디자인기린 지붕, 벽패널 전후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내진패널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775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775B1 (ko) 지붕판넬 시공구조
JP4530219B2 (ja) 屋外構造物
KR100511475B1 (ko) 건물 지붕판넬 연결용 신축 크립
JPH09317012A (ja) 軒庇構造
JPH031942Y2 (ko)
JP4813417B2 (ja) 屋根および屋根の施工方法
JP2747229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の入隅部用施工方法
JP2506043B2 (ja) タイルブロック製屋根
JPS5869954A (ja) 屋根側部装置
JPH083252B2 (ja) 縦葺き屋根の外設取付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3037524B2 (ja) 横葺パネル構造材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横葺パネル構造材
JP6863790B2 (ja) 雪止具、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S6246734Y2 (ko)
KR20024152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팬션 조인트
JP2555923Y2 (ja) 採光用天窓の水切構造
JPH033781B2 (ko)
JPH031943Y2 (ko)
JP2500054B2 (ja) 屋根材の接続構造
JP6871033B2 (ja) 雪止部材、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H0126804Y2 (ko)
KR200183999Y1 (ko) 수밀 설계된 금속기와 고정구
JPS6327649A (ja) 歩行用屋根
JP2513511B2 (ja) ユニット型横葺き屋根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H0311293Y2 (ko)
JP2020041394A (ja) 簡易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