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760A -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760A
KR19980064760A KR1019970075359A KR19970075359A KR19980064760A KR 19980064760 A KR19980064760 A KR 19980064760A KR 1019970075359 A KR1019970075359 A KR 1019970075359A KR 19970075359 A KR19970075359 A KR 19970075359A KR 19980064760 A KR19980064760 A KR 1998006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pc
housing
contact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지뉴마슈지
Original Assignee
오울플링프랭크에이
더휘테이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울플링프랭크에이, 더휘테이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울플링프랭크에이
Publication of KR1998006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고밀도 FPC에 적용하는 FPC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FPC 콘넥터(20)는 하우징(30)의 개구 내벽의 일측에 따른 복수의 비임형의 제 1 콘택트(50)와 타측에 따른 거의 μ자형의 제2 콘택트 (60)를 포함한다. 이 μ자형의 제2 콘택트(60)의 거의 U자 형부의 슬라이더(40)의 설편(45)을 FPC(10)의 피접속단부에 같이 삽입한다. FPC(10)의 피접속단부의 2 열의 도체단부(12, 13)에 각각 콘택트(60) 및 제1 콘택트(50)의 접점(65, 53)을 접촉시킨다.

Description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본 발명은 플랙시블 기판(FPC)의 도체 단부를 접속하는 FPC용 전기 콘넥터(이하 FPC 콘넥터라고 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 FPC에 적합한 FPC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을 가지는 얇은 절연 기판의 한쪽면(또는 양면)에, 예를들어, 엣징 기법에 의해서 다수의 평행한 도체로(導體路)가 형성된 FPC가 개발되어 여러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FPC는 개별도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다수의 도체로가 고밀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얇은 형이기 때문에 점유 공간이 작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복잡한 위치 관계인 또는 상호간에 이동하는 유니트간의 상호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등 여러 가지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FPC를 회로기판의 회로패턴등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FPC 콘넥터가 사용된다. 이와같은 FPC 및 FPC 콘넥터는 민생용 전자기기나 사무용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민생용 전자기기, 특히 액정, 플라즈마, 또는 EL(엘렉트로 루미네세스)를 사용하는 평형(플랙트) 디스플레이 등에서는 다수의 전극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필요가 있으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등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고성능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다수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가진다. 그래서 FPC의 도체로는 더욱더 고핏치 고밀화되어가며 현재 0.3mm 핏치의 FPC도 시판되고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FPC 콘넥터는 예를들어 일본 실공평 3-228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FPC 콘넥터는 하우징의 개구에 따라서 대략 음차형 접촉부를 가지는 콘택트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음차형 접촉부에는 FPC의 일단(피접속단)이 절연성 슬라이드와 같이 삽입되며, FPC의 표면의 일단에 형성된 도체 단부(또는 접속 팩트)를 콘택트의 접점에 압압해서 접촉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FPC 콘넥터는 도체로의 간격(핏치)이 1mm 정도의 저밀도 FPC 콘넥터로서 적합하나, 상술한 것과 같은 0.5mm 이하의 고밀도 FPC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FPC 콘넥터 자체에 대한 소형화의 요구가 강하며 콘택트의 탄성이 충분치 않으므로 고신뢰성의 접속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FPC에 적용 가능하며 고신뢰성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소형의 FPC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의 평면에 거의 평행으로 위치된 다수의 도체로에 접속되는 2열의 도체단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내에 배설된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로서 다음의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콘택트는 하우징의 한쪽에 따라서 기립하는 비임의 자유단 근방에서 접점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택트와 하우징의 다른 쪽에 따라서 기립하며 거의 μ자 형으로 절곡된 자유단 근방에 접점이 형성된 거의 μ자형의 복수의 제 2 콘넥터를 가지며, 이들 제2 콘택트의 접점이 플랙시블 기판의 각각 다른 열의 도체 단부에 접촉된다. 환언하면은, 콘택트로서 비임상 및 거의 μ자형의 2종의 콘넥터가 각각 하우징의 다른 열에 배설하므로써 상술한 플랙시블 기판에 효과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는 가요성 기판의 한쪽면에 거의 평행으로 위치된 다수의 도체로에 접속된 도체단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내에 배설된 것이며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콘택트는 하우징내에서 기립하며 거의 U자형으로 절곡되는 U자 형부의 자유단 근방에 접점이 형성되며 이 U자 형부에 플랙시블 기판의 피접속단부와 가동설편을 삽입해서 플랙시블 기판의 도체 단부와 접점과를 접속한다. 환언하면은 콘택트는 전체로서 거의 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FPC 콘넥터로 접속되는 FPC의 단부 평면도를 표시하며 도 1(A)는 인라인형 도체단부, 도 1(B)는 스태거형 도체단부를 가진 것을 각각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며, 도 2(A)는 평면도를 도 2(B)는 도 2(A)의 선 B-B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며, 도 3(A)는 상면도를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의 선 B-B 및 선 C-C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FPC 콘넥터에 사용하는 콘택트의 사시도로서 도 4(A)는 비임형의 제1 콘택트를, 도 4(B)는 거의 μ자형의 제2 콘택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FPC 콘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FPC 콘넥터에 의해서 접속되는 FPC의 단부를 표시한다. 이 FPC는 피접속단에 2열로 도체단부(또는 접속 팻트)를 가진다. 도 1(A)의 FPC(10)는 그 일단측(도면중 상단)(11)에 배치된 제 1 열의 도체단부(12a-12n)와, 일단 상기 일단(11)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열의 도체단부(13a-13n)가 가요성 절연 필름 기판(14)상에 피착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체단부들(12 및 13)은 각각 거의 일정간격으로 평행배치된 다수의 도체로(15)의 1개마다 교대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 1 도체단부(12a-12n)와 제 2 도체단부 (13a-13n)와는 각각 일선상에 배치되며 FPC(10)은 인라인형 도체단부를 갖는다.
도 1 (B)는 다른 FPC(10')를 표시한다. 여기서 (A)와의 상이점은 제 1 열의 도체단부(12'a - 12'n)가 제 2 열의 도체단부(13'a-13'n)와 인라인이 아니고, 교대로 오프세트된 스태거 배치이다. 이점을 제외하고 (A)의 FPC 10과 동일하므로 대응소자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에 도 2 (A) 및 (B)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FPC 콘넥터(2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FPC 콘넥터(20)는 도 1 (A)의 FPC(10)을 위한 것이다. 도 2(A)는 FPC 콘넥터 20의 평면도이며, (B)는 도 2 (A)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FPC 콘넥터(20)는 대략 중앙을 따른 개구부를 가지는 내부 하우징(30)과, 이 내부 하우징(30)의 외측에 습동가능하게 배치된 거의 중앙의 FPC 삽입개구(41)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40)및 내부 하우징(30)의 양측벽(31, 32)에 따라서 각각 배설된 제1 콘택트(50) 및 제2 콘택트(60)을 가진다.
내부 하우징(30)의 제 1 측벽(31)을 따라 복수의 비임형(한쪽 지지 양상)의 제 1 콘택트(50)가 기립배설된다. 각 제1 콘택트(50)는 내부 하우징(30)의 저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출하는 표면실장 (SMT)형 납땜다리 (또는 테일)(51), 비임의 기부에 있어서 내부하우징(30)의 격벽 (도시않함)에 물려들어가는 버-브가 형성된 유지부(52), 자유단(54) 및 내부하우징(30)의 개구방향으로 굴곡된 접점 (53)을 가진다. 그리고 도 2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50) 및 자유단(54)은 내부하우징(30)의 상부 개구(33)에 삽입되며, 제 1 콘택트(50)가 그 탄성한계를 넘어서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저지한다.
내부하우징(30)의 다른 쪽의 내벽(32)를 따라서, 복수의 제 2 콘택트(60)가 일정간격으로 제 1 콘택트(50)와 동일한 면에 배설된다. 이 제 2 의 콘택트 (60)는 SMT 납땜다리(61), 유지부(62), 내벽(32)에 따라서 기립하는 기립부(63), 이 기립부(63)의 선단에서 절곡된 거의 U자 형부(64), 이 U자 형부(64)의 자유단 (66)의 근방에 형성된 접점(65)를 갖춘다. 즉, 제2 콘택트(60)는 전체로서 거의 μ자형이다.
외부 하우징(40)은 도 2 (B)중 실선으로 표시하는 최종위치와 FPC(10)의 피접속단부(11)을 삽입하는 파선으로 표시하는 임시위치간에서 상하로 습동가능하다. 이 외부 하우징(40)은 FPC(10) 삽입용의 테이퍼가 붙은 가늘고 긴 개구(41)가 거의 중앙에 형성된 상부(42), 양측부(43, 44) 및 내부하우징(30)의 개구에 삽입되는 설편(45)을 갖추고 있다. 이 설편(45)의 선단(46)은 외부하우징(40)의 최종 위치에서 제2 콘택트(60)의 거의 U자 상부(64)의 바닥과 거의 일치한다.
여기에서, 제 1 콘택트(50)의 접점(53) 및 제2 콘택트(60)의 접점(65)은 각각 FPC(10)의 제 2 열의 도체단부(13a-13n) 및 제 1 열의 도체단부(12a-12n)과 접속하도록 양 접점(53, 65)의 간격 D1 및 도중의 규격 D2의 FPC(10)의 도체단부 (12, 13)에 따라서 정한다.
그리고, 도 2 (B)에서 분명하듯이, 비임형의 제 1 콘택트(50)의 유효 스프링장을, 예를들어 약 4mm로 하므로써, 제1 콘택트(50)는 필요로하는 충분한 탄성을 얻을수가 있다. 그러나 제 2 콘택트(60)는 하우징(30)의 저면 즉, 취부면에 극히 가까우므로 보통의 비임 형상으로는 충분한 탄력을 얻을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콘택트(60)를 거의 μ자상으로 하므로써 유효 스프링장을 크게 하며 필요로하는 충분한 탄성을 얻을수가 있는 점에 주목해야 된다. 그리고 제 2 콘택트(60)의 거의 U자 형부(64)내에 FPC(10)의 피접속단부와 외부하우징(40)의 설편(45)을 삽입하므로써 FPC(10)의 제 1 열의 도체단부(12)와 접점(65)와의 고신뢰성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은, 도 3 (A) 내지 (C)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FPC 콘넥터(20)'는 도 1(B)의 FPC(10)'용 콘넥터이며 도 2 의 FPC 콘넥터(20)와 흡사하므로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B)의 FPC(10')의 도체단부(12', 13')는 상호 오프셋트한 스태거 배치이다. 따라서 제 1 콘택트(50')와 제2 콘택트(60')도 스태거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3 (A)는 도 2 (A)와 동일한 FPC 콘넥터(20')의 평면도이다. 도 3 (B) 및 (C)는 각각 도 3 (A)의 선 B-B 및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러므로 도 3 (B)에서는 제 1 콘택트(50')가 보이나 제2 콘택트(60')는 접점(65')가 일부 보일 뿐이다. 그리고 다른쪽 도 3 (C)에서는 제 2 콘택트(60')의 전체가 보이나 제 1 콘택트(50')는 그 접점(53')가 일부 보일 뿐이다.
도 2 및 도 3의 유사성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도 2의 FPC 콘넥터(20)에서 언급한 작용효과는 도 3의 FPC 콘넥터(20')에도 적용된다.
도 4 는 도 2 및 도 3의 FPC 콘넥터(20, 20')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비임상의 제 1 콘택트(50, 50')를 표시하며, 도 4 (B)는 거의 μ자형의 제2 콘택트(60, 60')를 표시한다. 이들 콘택트(50, 60)는 탄성 금속판의 타발 절곡 가공에 의해서 종래의 기법 및 설비로 제조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4에 있어서는 각각 캐리아스트립 CS(carrierstripCS)도 표시되어 있지만 조립시에는 적당한 공구에 의해서 캐리아스트립 CS로부터 절단하는 것은 종래의 콘택트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제 3 실시예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내부 하우징(30), 비임형 제1 콘택트(50) 및 거의 μ자형 제2 콘택트(60)을 사용하는 점에서는 도 2 및 도 3의 FPC 콘넥터(20, 20')와 동일하다. 주요 상이점은 외부하우징(40)에 있다. 이 외부하우징(40)은 개구(41)를 가지는 정벽 (42)와 한쪽의 측벽(43)과 설편(45)룰 가진다. 즉, 측벽을 한쪽에만 형성해서 전체를 소형화 하고 있다. 이 측벽(43)과 내부하우징(30)의 대향면에는 요철계합부를 형성해서 상호 랫치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FPC 콘넥터(20)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40)은 한쪽에만 외측벽을 가지며, 외부하우징(30)의 한쪽의 측벽(32)의 외면의 돌기(38)과 요철 계합하는 요부가 회부하우징 (40)의 측벽에 형성되며, 외부하우징(40)을 내부 하우징(30)에 대해서 최종 위치에 유지한다. 그리고 제1 콘택트(50)의 자유단(54)은 내부 하우징(30)의 정벽의 하향 철부 (36)내에 유지되며 이와 같이 제 2 콘택트(60)의 자유단(66)도 내부하우징(30)에 형성된 요(凹)부(37)내에 유지되며, 과도한 변형 또는 구부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6 중에는 FPC 콘넥터(20)에 접속되는 FPC(10) 및 이 FPC 콘넥터(20)을 부착함과 동시에 FPC(10)의 도체로와 상호 접속되는 회로기판(70)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6 중 제1 콘택트(50)와 제 2 콘택트(60)와는 상호 일부 겹쳐져서 접속되는 것과 같이 표시하고 있으나 양 콘택트(50, 60)과는 상호 도면의 법선 방향으로 옵셋트 되있다. 그리고 FPC(10)의 FPC 콘넥터(20)에 삽입 접속되는 단부의 이면에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판(19)로 이타(裏打)되어 있으며 FPC 콘넥터(20)로의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있음은 종래의 FPC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FPC 콘넥터의 몇가지 실시예를 도시하여 상술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발명은 비임형 제1 콘택트와 거의 μ자형 제2 콘택트를 사용하는 여러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FPC 콘넥터는 기판에 대해서 수평으로 부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FPC 콘넥터에 의하면은, 비임형의 제1 콘택트와 거의 μ자형의 제2 콘택트를 사용하며 이들 양 콘택트의 접점을 FPC의 삽입 방향에 상호 쉬프트 또는 옵셋트 하고 있으므로 FPC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2열로 배치한 FPC의 도체단부와 효과적으로 접속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비임형의 제1 콘택트는 물론 μ자형의 제2 콘택트도 충분히 큰 탄성을 유하므로 소형 FPC 콘넥터라고 해도 FPC의 도체 단부에 고신뢰성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부가적으로 각 콘택트의 자유단은 하우징의 요부(凹部) 또는 개구에 들어가며, 그 구부러진 범위를 제한하므로써 탄성 한계를 넘는 커다란 구부림이 발생하지 않고 다수회의 삽발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FPC 콘넥터에 의하면은 습동하는 외부 하우징 또는 슬라이드의 설편은 FPC 단부와 같이 제2 콘택트의 μ 자부 내에 설편과 같이 삽입되므로 하우징의 저면의 접점 위치가 가까워도 FPC와 제2 콘택트간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8)

  1. 가요성 기판의 한쪽면에 거의 평행으로 위치된 다수의 도체로가 2열로 형성된 도체 단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배열된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전기 하우징의 한쪽에서 기립하는 비임의 자유단 근방에 접점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전기 하우징의 다른쪽에서 기립하는 거의 μ자상의 자유단 근방에 접점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택트를 교대로 배치해서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의 전기의 접점을 상기 다른 열의 도체 단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2.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유지하는 내부 하우징과 이 내부 하우징에 대해서 가동하는 외부 하우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3. 상기 제1 콘택트의 자유단은 전기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4. 상기 외부 하우징은 전기 플랙시블 기판 삽입 개구에 접속되는 설편을 가지며 이 설편과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의 상기 접점간에 상기 플랙시블 기판의 단부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5.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설변은 상기 제 2 콘택트의 기립부와 상기 접점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3 또는 4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6. 상기 제 1 콘택트의 상기 접점은 상기 제 2 콘택트의 상기 접점보다도 전기 플랙시블 기판의 삽입단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7.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는 전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출되는 납땜다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6 항의 어느 일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8.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의 대향면에는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의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KR1019970075359A 1996-12-27 1997-12-27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KR19980064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58208 1996-12-27
JP35820896A JP3395824B2 (ja) 1996-12-27 1996-12-27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760A true KR19980064760A (ko) 1998-10-07

Family

ID=1845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359A KR19980064760A (ko) 1996-12-27 1997-12-27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0950A (ko)
JP (1) JP3395824B2 (ko)
KR (1) KR19980064760A (ko)
TW (1) TW395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8983B2 (ja) * 1998-09-30 2003-0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TW420419U (en) * 1998-12-28 2001-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387528B2 (ja) * 1999-12-16 2009-12-16 Smk株式会社 コネクタ相互接続構造
JP2001176588A (ja) * 1999-12-17 2001-06-29 Fci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0318980A1 (de) * 2003-04-26 2004-11-1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ckverbinder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lektronischer Komponenten
US7690923B2 (en) 2008-02-13 2010-04-0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Two-sided FPC-to-PCB compression connector
JP5288851B2 (ja) * 2008-03-21 2013-09-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57592B2 (ja) * 2010-02-03 2012-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665184B2 (ja) * 2011-01-14 2015-02-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照明装置
JP6786356B2 (ja) * 2016-10-31 2020-1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7338696U (zh) * 2017-06-28 2018-05-08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小型化高速插卡式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3193A (en) * 1984-08-13 1986-09-23 Tritec, Inc. Board-ope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869672A (en) * 1989-04-17 1989-09-26 Amp Incorporated Dual purpose card edge connector
US4934961A (en) * 1988-12-21 1990-06-19 Burndy Corporation Bi-level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52936A (en) * 1990-10-26 1991-10-01 Amp Incroporat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5848920A (en) * 1996-07-16 1998-12-15 Molex Incorporated Fabrication of electrical terminals for edge card connectors
JP3424150B2 (ja) * 1996-12-27 2003-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9176A (ja) 1998-07-21
JP3395824B2 (ja) 2003-04-14
TW395068B (en) 2000-06-21
US6000950A (en) 199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695Y1 (ko) 코넥터
KR0148608B1 (ko) 개량된 카드 엣지 콘넥터
US6821158B2 (en) Connector
KR100531061B1 (ko) 증가된 정전 용량을 가지는 터미널을 구비한 커넥터
US763210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040072467A1 (en) Flexible electrical connector, connection arrangement including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or, a connector receiver for receiving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or
EP0231975B1 (en) Clamping contact element, and edge connector made up of several of such clamping contact elements, for the connection of conductors
US5478248A (en)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JPH1021981A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6368156B1 (en) Audio jack conveniently and reliably mounted on a circuit board
JP3134262U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668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424150B2 (ja) 電気コネクタ
US3905670A (en) Actuated printed circuit connector
JPH05275146A (ja) 回路パネル用ソケット
US7112072B2 (en)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92273B1 (en) Straddle mount connector
KR19980064760A (ko)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US7226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461194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for signal contacts
KR960016024A (ko) 표면실장형 컨넥터 및 그 전기 콘택트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62802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rows of terminals
JPH07230858A (ja) 可動型コネクタ
JP2586390Y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