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135A - 압축 데이터의 에러 체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데이터의 에러 체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135A
KR19980064135A KR1019970068692A KR19970068692A KR19980064135A KR 19980064135 A KR19980064135 A KR 19980064135A KR 1019970068692 A KR1019970068692 A KR 1019970068692A KR 19970068692 A KR19970068692 A KR 19970068692A KR 19980064135 A KR19980064135 A KR 1998006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data
compressed data
disk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987B1 (ko
Inventor
기하라노부유끼
이노우에히라꾸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6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13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72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 G11B2020/18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using a cross-interleaved Reed Solomon [CI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에러 정정은 해당 디스크 매체로부터 섹터에서 판독된 후, 에러 검출 회로에서와 에러 정정 회로에서 모두 압축 데이터에 대해 에러 검출을 한번 실행한 데이터에 대해 시도되고, 이중 에러 정정 처리로도 에러를 정정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포인터(C2P0)에 따라 디스크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함으로써, 압축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데이터 에러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디스크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축 데이터의 에러 체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여러 기록/재생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니 디스크 시스템이라는 상품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음악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그러한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디스크에 대해 음성 데이터가 적절하게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 이 디스크를 재생함으로써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그 재생음에 음 단절 등의 이상이 없으면 그 디스크에는 데이터 기록이 적합하게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의 체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재생 도중의 음성 신호의 이상(abnormal)을 발견하지 못하고 들을 가능성이 적지 않게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그러한 판단 결과는 반드시 신뢰성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1매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해 전부 체크하고자 하면, 최대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약 60분 내지 70분 정도에 걸쳐 재생음을 계속 들을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미니 디스크 상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체크할 때에도, 체크를 종료하는데는 일반적으로 몇분이 소요된다. 즉, 체크를 종료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고신뢰성을 가지면서 단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체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가 적절하게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체크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에러 체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키;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해 내기 위한 헤더; 및
이 헤더로부터 판독된 압축 데이터에 부가된 에러 정정 부호에 따른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기
를 포함하며, 에러 체크 모드가 키에 의해 지시될 때, 헤드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해 내고 에러 검출기는 에러 검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압축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에러 검출기로부터의 검출된 에러 정보에 따라 판별하여, 압축된 데이터에 대해 에러 체크를 실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의 (a)는 광자기 디스크 상의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의 개략도.
도 3의 (b)는 1 클러스터가 링킹 데이터의 4 섹터 및 메인 데이터의 32 섹터를 갖는 36 섹터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3의 (c)는 1 사운드 프레임이 쌍을 이루는 두 섹터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3의 (d)는 1 사운드 프레임이 11 사운드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3의 (e)는 1 사운드 그룹이 우측 채널 데이터 및 좌측 채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EFM ACIRC 디코더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에러 체크 모드시 제1 실시예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에러 체크 모드시 제2 실시예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3 : 광학 헤드
6a : 자기 헤드
8 : 인코더/디코더부
11 : 시스템 컨트롤러
11a : RAM
12 : 메모리 컨트롤러
13 : 버퍼 메모리
14 : 인코더/디코더부
19 : 조작부
20 : 표시부
27 : 죠그(jog) 다이얼
29 : 편집 키
31 : 예스키
40 : 디스크 체크키
51 : 2진화 회로
52 : 레지스터
53 : EFM 복조부
54 : PLL 회로
55 : 싱크 검출부
56 : 타이밍 발생기
58 : RAM
59 : 어드레스 발생부
60 : 기록 베이스 카운터
61 : 판독 베이스 카운터
68 : ECC 처리부
69 :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SE: C2PO 에러 신호
이하, 본 발명의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에서, 광자기 디스크(미니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고, 이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것을 기록 재생 장치로 한다.
실시예는 다음 순서로 설명하고자 한다.
1. 판독 재생 장치의 구성
2. 클러스터 포맷
3. 인코더/디코더부의 구성
4. 디스크 체크 모드 시의 처리 동작
(4-a. 제1 예)
(4-b. 제2 예)
1. 판독 재생 장치의 구성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미니 디스크에 대한 판독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판독 재생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판독 재생 장치의 전면 패널에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인 표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부(20)에는 데이터를 기록/판독하는 디스크의 동작 상태, 트랙 번호, 기록 또는 재생 시간, 편집 동작 상태, 재생 모드 등이 표시된다. 또한, 디스크에 문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은 입력된 문자 정보 뿐만 아니라,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문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체크 모드에 의해 얻어진 체크 결과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 키(33)는 판독 재생 장치의 전원 온/오프의 조작을 위해 설치된다.
또한, 판독 재생 장치의 전면 패널에는 판독 재생 장치에 디스크를 삽입하거나, 이젝트 키(34)의 조작에 따라 판독 재생 장치 자체로부터 디스크를 이탈시키는데 사용된 디스크 삽입부(22)가 설치된다.
또한, 이 전면 패널에는 기록/재생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수단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이들 수단으로 재생 키(24), 일시 정지 키(23), 정지 키(25), 녹음 키(26),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AMS(오토 뮤직 센서) 조작 다이얼(27; 이하, 죠그(jog) 다이얼이라 함), 고속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는 서치 키(28) 등이 설치된다. 이들 키는 음성 신호의 기록/재생 동작에 관한 기본적인 것이다.
죠그 다이얼(27)은 회전시 AMS 조작을 지시하는 조작부로서 작용한다. 하지만, 편집 모드의 하나인 문자 입력 모드(디스크 또는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에서, 죠그 다이얼(27)의 회전 조작이 문자 선택을 위해 문자 부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스크롤한다.
죠그 다이얼(27)의 중심부는 억압(push) 조작 가능하다. 중심부가 억압 조작될 때, 죠그 다이얼(27)은 디스크명 입력 모드,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 프로그램 설정 모드, 및 멀티 액세스 설정 모드 등에서의 엔터 키로서 작용한다. 죠그 다이얼(26)의 억압 조작은 재생 키(24)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생 조작을 겸하도록 해도 좋다.
이들의 조작 수단에 부가하여, 판독 재생 장치에는 숫자 키(39)가 설치된다.
이 숫자 키(39)는 예를 들면 1 키에서부터 25 키, 및 26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25 키가 설치된다.
숫자 키(39)는 프로그램 번호를 직접 선택하는 경우와 프로그램 재생 모드 또는 멀티 액세스 재생 모드에서의 트랙 번호를 선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편집 모드의 조작을 위한 키로서 편집 키(29), 예스 키(30), 캔슬 키(31)가 설치된다.
편집 키(29)는 각종 편집 모드의 호출 및 종료의 조작을 위해 이용된다. 예스 키(30) 및 캔슬 키(31)는 편집 중의 조작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예스 키(30)는 엔터 조작으로서 사용되고 캔슬 키(31)는 취소 조작으로서 이용된다.
편집 모드로서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 프로그램명 등의 입력 문자에 사용되는 프로그램명 입력 모드, 디스크에 대해 디스크명 등의 입력 문자에 사용되는 디스크명 입력 모드, 등록되어 있는 문자 정보를 소거하는데 사용되는 명칭 소거 모드, 1개의 프로그램을 복수의 프로그램으로 분할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모드, 복수의 프로그램을 1개의 프로그램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 모드, 및 프로그램을 소거하는데 사용되는 소거 모드 등이 있다.
판독 재생 장치에는 재생 모드의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 키 즉, 연속 재생 키(35), 프로그램 키(36), 셔플 키(shuffle key: 37), 멀티 액세스 키(38)가 설치된다.
이들의 키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모드로서 연속 재생 모드, 프로그램 재생 모드, 셔플 재생 모드 또는 멀티 액세스 재생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체크 키(4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이 디스크 체크 키(40)의 조작과 병용하여 디스크를 재생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디스크 체크 모드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디스크 체크 모드란,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정 처리 시의 에러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크에 데이터가 적당하게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기측에서 판단할 수 있는 모드이다. 그 판단 결과를 예를 들어, 표시부(20)에 표시한다고 하는 동작이 행해지는 모드이다. 또, 이러한 디스크 체크는 소정 조작에 따라서 전 데이터에 대한 체크와 트랙 단위에서의 체크 모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디스크 체크 모드에 의해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체크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장(expand) 처리 이전에 데이터를 체크함으로써, 체크 시간은 최종적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소요되는 통상의 재생 시간보다 짧다. 또, 이 체크 모드 시에서는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조작 수단을 판독 재생 장치의 전면 패널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적외선을 이용하여 리모트 커맨더(remote commander)에 의해 판독 재생 장치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그 리모트 커멘더 상에 이들의 조작 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니 디스크 판독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시에 광학 헤드(3)에 의해서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3)는 기록시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광을 출력한다. 재생시에는 자기 커어 효과(magnetic kerr effect)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광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러한 레이저 출력으로 인해, 광학 헤드(3)에는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빔 분할기,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탑재되어 있다. 대물 렌즈(3a)는 2축 기구(4)에 의해서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촉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디스크(1)를 끼워 광학 헤드(3)와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헤드(6a)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6a)는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자기 디스크(1)에 인가한다.
광학 헤드(3) 전체 및 자기 헤드(6a)는 쓰레드 기구(thread mechanism: 5)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재생 동작에 의해서,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1)로부터 검출된 정보는 RF 증폭기(7)에 공급된다. RF 증폭기(7)는 공급된 정보의 연산 처리에 의해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룹 정보[광자기 디스크(1)에 프리(pre)-그룹(워블링:wobbling 그룹)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 위치 정보] GFM 등을 추출한다.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되어, 그룹 정보 GFM은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에 서보 구동 신호는 물론,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컨트롤러(11)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및 액세스 지령, 및 스핀들 모터(2)의 회전 속도 검출 정보 등에 의해 각종 서보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2축 기구(4) 및 쓰레드 기구(5)를 제어하여 포커스 및 트래킹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스핀들 모터(2)를 일정 선속도(CLV: 제어 선속도)로 제어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0)는 공급된 그룹 정보 GFM을 디코드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 어드레스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1)에 공급되어 각종 제어 동작에 이용된다.
재생 RF 신호에 대해서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EFM(Eight-Fourteen demodulation Coding) 복조,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등의 디코딩 처리가 행해지지만, 이 때 어드레스 및 서브-코드 데이터 등도 추출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1)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EFM복조 및 ACIRC 등의 디코딩 처리된 섹터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2)에 의해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다. 또, 광학 헤드(3)에 의한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및 광학 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13)까지의 계통에서의 재생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 41Mbit/sec이다. 통상, 이러한 판독/전송 동작은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가 0.3Mbit/sec로 전송되는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음성 압축 처리에 대한 신장 및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여 44.1㎑ 샘플링 및 16비트 양자화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서 재생될 수 있다.
이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1)에서 이퀄라이징, 반향, 게인 등의 조정 처리가 행해진 후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5)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단자(16)로부터 소정의 증폭 회로기로 공급되어 재생 신호로서 출력된다. 예를 들면, L(좌측), R(우측)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출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1)는 소위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 등으로 형성되어 각종 다양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모드의 음향 설정에서의 이퀄라이징 처리뿐만 아니라 서서히 게인(출력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등의 처리 등도 가능하다.
또, 이러한 처리부를 D/A 변환기(15)의 후단에 설치하여 신호의 아날로그 처리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좋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는 입력 단자(17)에 공급된 기록 신호(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8)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된 후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되어 음성 압축 인코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설치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서 압축된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2)에 의해서 일단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되고 소정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부(8)에 보내진다. 그리고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CIRC 인코딩, EFM 복조 등의 인코드 처리된 후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인코드 처리된 기록 데이터에 따라서 자기 헤드(6a)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자기 헤드(6a)에 의한 N 또는 S 극성의 자계 인가를 실행시킨다. 이 때, 시스템 컨트롤러(11)는 광학 헤드에 대해 기록 레벨의 레이저광을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조작부(19)는 사용자 조작에 제공되는 부위를 도시하고 이것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조작 키 또는 다이얼에 상당한다. 이들의 조작 키나 다이얼에 의한 조작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1)에 공급되고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조작 정보에 따라 해당 항목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 재생 장치의 케이스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표시 동작은 시스템 컨트롤러(11)에 의해서 제어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CPU, 프로그램 ROM, RAM, 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디스크 체크 모드의 기능을 실현 가능하도록 시스템 컨트롤러(11)가 구성되고 있다.
2. 클러스터 포맷
먼저, 클러스터라는 단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동작의 단위가 되는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트랙으로서는 클러스터 CL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1 클러스터가 기록 시간의 최소 단위가 된다. 1 클러스터는 내주 및 외주 길이 간의 차이분에 의존한다 해도, 2 내지 3주회 트랙분에 상당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클러스터 CL은 섹터 SFC내지 SFF가 되는 4 섹터의 링킹 영역과 섹터 S0내지 S1F로 도시된 32 섹터의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섹터는 2352 바이트로 형성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섹터 SFC내지 SFF의 4 섹터는 서브 데이터의 기록이나 링킹 영역 등으로서 이용되어 TOC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기록은 32 섹터의 메인 데이터 영역에서 행해진다.
또, 어드레스는 1 섹터마다 기록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는 사운드 그룹이라는 단위로 더욱 세분화되어, 쌍을 이루는 2섹터가 11 사운드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 S0등의 짝수 섹터와, 섹터 S1등의 홀수 섹터의 연속하는 2개의 섹터에 사운드 그룹 SG0내지 SG0A가 포함되는 상태가 되고 있다. 1 개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형성되어 있고, 11.61msec의 시간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량이 된다.
1개의 사운드 그룹 SG 내에는 데이터가 L 채널과 R 채널로 나누어져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는 L 채널 데이터 L0와 R 채널 데이터 R0로 구성되고, 사운드 그룹 SG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으로 구성된다.
또, L 채널 또는 R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 사용되는 212 바이트 영역을 사운드 프레임이라고 부르고 있다.
3. 인코더부/디코더부의 구성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디코더부(8)로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디코더부(8)은 EFM 복조 및 ACIRC(Advanced Interleave + CIRC) 디코딩을 행한 후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RF 증폭기(7)로부터의 재생 RF 신호 출력은 2진 변환기(51)에서 2진화되어 레지스터(52)를 통해 EFM 복조부(53)에 공급되어 EFM 복조된다. 즉, RF 신호는 14-8로 변환된다.
2진 변환기(51)의 출력은 PLL 회로(54)에 공급되어 EFM 신호에 동기한 클럭을 생성한다.
싱크 검출부(55)에서는 EFM 신호의 프레임 싱크가 검출된다. 그리고, 싱크 검출부(55)는 드롭 아웃이나 지터의 영향으로 데이터 중에 동일한 프레임 싱크 패턴이 검출되거나 본래의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해서 프레임 싱크 검출을 위한 윈도우를 보호함과 동시에 프레임 싱크 패턴의 보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어떤 기간에 걸쳐 프레임 싱크 패턴이 적절하게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 보호 및 프레임 싱크 패턴의 보간 처리를 정지하여 재동기(re-sync)를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레지스터(52)는 싱크 검출부(55)의 출력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
EFM 복조부(53)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버스(57)를 통해 RAM(58)에 입력된다.
어드레스 발생부(59)는 멀티플렉서(62, 67)로부터의 출력되는 각종 요구에 따라 기록/판독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기록 베이스 카운터(60) 및 판독 베이스 카운터(61)의 출력들은 멀티플렉서(62)에 의해 선택되어 어드레스 발생부(59)에 공급된다.
또한, RAM 기록 요구 발생부(64), RAM 판독 요구 발생부(65), C1/C2 요구 발생부(66)의 각 출력은 멀티플렉서(67)에 의해 선택되어 어드레스 발생부(59)에 공급된다.
기록 베이스 카운터(60) 및 판독 베이스 카운터(61)는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카운트하는 것이고, EFM 복조 데이터의 RAM(58)으로의 기록에는 기록 베이스 카운터(60)가 이용된다. 기록 베이스 카운터(60)는 싱크 검출부(55)에 의해서 검출된 프레임 싱크를 카운트한다.
RAM 기록 요구 발생부(64)는 싱크 검출부(55)에 의해서 검출된 프레임 싱크에 따라 기록 요구를 발생시킨다. 즉, RAM(58)으로의 기록 동작은 EFM 신호에 동기한 PLL계의 클럭에 의해서 실행된다.
판독 베이스 카운터(61)는 수정계(quartz oscillator)가 안정된 클럭을 발생시키는 타이밍 발생기(56)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한다. 또한, RAM 판독 요구 발생부(65), C1/C2 요구 발생부(66)에도 타이밍 발생기(56)로부터의 클럭이 공급되고 이에 따른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RAM(58)으로부터의 판독 신호 동작은 안정화 클럭에 의해서 실행되게 된다. EFM 신호에 동기한 PLL계의 클럭은 디스크 회전의 서보계의 혼란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을 안정화 클럭에 의해서 데이터를 RAM(58)으로부터 판독하는 것으로 RAM(58)은 시간축 보정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RAM(58)의 용량으로부터 시간축 보정에도 한계가 있고, 예를 들면, 기록 베이스 카운터(60)와 판독 베이스 카운터(61)의 차가 ±5 프레임 이상이 되면, 다른 데이터를 손상시켜 재생음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카운터 모니터(63)로 카운트 값의 감시를 행하고, 기록 베이스 카운터(60)와 판독 베이스 카운터(61)의 차가 ±4 프레임을 초과하면 기록 베이스 카운터(60)에 판독 베이스 카운터(61)의 값이 셋트되도록 하고 있다.
ECC 처리부(68)에서는 RAM(58)에 축적되어 있는 EFM 디코드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러 정정 부호로서 ACIRC(Advanced Interleave + CIRC)를 이용하게 된다.
ACIRC를 이용한 에러 정정 처리는 이미 알려져 있듯이 C1 계열 및 C2 계열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이다. ECC 처리부(68)는 예를 들면, EFM 디코드 데이터에 대해 C1 계열에 의한 에러 검출을 행하고 C1 계열 내에서 에러 정정이 가능하면 이 단계에서 에러 정정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C1 계열에 의해서도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C2 계열에 의한 에러 검출을 행하고, C2 계열에 의한 오류 정정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도록 된다. 또, C2 계열에 의한 에러 검출 처리에 의해서도 오류 정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EFM 디코드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시예의 ECC 처리부(6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 정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EFM 디코드 데이터에 대해 정정 불능인 것을 도시하는 C2P0 에러 플래그가 세트되지만, 이 도면에 도시하는 ECC 처리부(68)에서는 상기 C2P0 에러 플래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C2P0 에러 신호 SE를 컨트롤러 인터페이스(69)를 통해 시스템 컨트롤러(11)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1)에서는 디스크 체크 모드일 때는 수신된 C2P0 에러 신호 SE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크에 데이터가 적절하게 기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크 체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 인터페이스(69)는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11)에 대한 제어 신호 및 각종 다른 정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ECC 처리부(68)에서 에러 정정이 실시된 음성 데이터는 레지스터(70)로부터 출력 컨트롤러(71)를 통해 출력된다. 이 음성 데이터 출력은 도 2에 도시한 메모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서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다.
4. 디스크 체크 모드 시의 처리 동작
(4-a. 제1 예)
이하,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디스크 체크 모드 시의 제1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플로우차트는 이 디스크 체크 모드 시에서의 시스템 컨트롤러(11)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크 체크 모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스텝 S101로 진행하여 디스크 체크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후술하는 재시도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n에 대해 n=0으로 설정한 후에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 이 경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은 섹터 단위(도 3참조)에서 순차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 섹터 단위로 판독한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13)로 기록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스텝 S104에서는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섹터 단위의 각 데이터에 대해 에러 검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이 에러 검출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디코더부(8) 내의 ECC 처리부(68)에 있어서 행해진다.
이 디스크 체크 모드 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부(14)에는 공급하지 않도록 된다. 즉, 디스크 체크 모드 시에서는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대해 인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 신장 처리를 실시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처리는 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1)에 대한 판독 동작은, 통상 재생 시간과 같이 인코더/디코더부(14)측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0.3Mbit/sec)를 고려한 타이밍에 의한 간헐적인 판독을 행할 필요는 없고 연속적 혹은 통상 재생시보다 빠른 타이밍에 의한 간헐적인 데이터 판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정한 데이터량에 대한 데이터 판독에 요하는 시간은 통상 재생시보다 빠르게 되게 되고 그 결과, 디스크 체크에 요하는 시간도 통상 재생 시간과 비교하여 대폭 단축되게 된다.
상기 스텝 S104에 계속하여 스텝 S105에서는 스텝 S104에서의 섹터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에러 검출 결과로서 정정 불능의 결과를 도시하는 C2P0 에러 신호 SE(도 4참조)가 ECC 처리부(68)로부터 시스템 컨트롤러(112)에 전송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여기서, 시스템 컨트롤러(11)가 C2P0 에러 신호 SE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해당 섹터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적당한 기록이 디스크에 대해 행해짐에 따라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는 디스크 체크해야 할 기록 데이터를 형성하는 전 섹터에 대한 체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별한다. 또, 이 스텝에서는 디스크 모드로 하는 조작시에서 디스크에 기록된 전 데이터를 체크하도록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디스크에 기록된 전 섹터의 체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예를 들면, 트랙 단위로 체크하도록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디스크 체크해야 할 트랙을 형성하는 전 섹터에 관한 에러 검출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게 된다.
스텝 S106에서 에러 검출 처리해야 할 섹터가 아직 남아 있다고 판별된 경우, 스텝 S107로 진행하여 다음 섹터의 개시 위치로부터 데이터 판독이 되도록 디스크(1)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실행한 후 스텝 S102의 처리로 복귀하도록 된다.
이에 대해 스텝 S106에서 전 해당 섹터의 에러 검출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 디스크 체크의 결과로서 디스크에 적당하게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에 기인한 판독 에러(이후, 이것을 「디스크 에러」라 함)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결과 출력 형태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0)에서 디스크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를 봄으로써, 디스크 체크 모드에 의해 체크한 디스크의 전 데이터 혹은 트랙 단위의 데이터가 전부 적당하게 기록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의 표시 형태는 여기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스텝 S105에서 ECC 처리부(68)로부터 C2P0 에러 신호 SE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9 이후의 처리로 이행한다.
우선, 스텝 S109에서는 변수 n에 대해 n=n+1로 증가되고, 계속되는 스텝 S110에서 이 변수 n이 미리 설정된(preset) 수 m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n=m)가 판별된다. 프리세트 수 m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행되는 재시도 동작의 제한 횟수에 대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재시도 횟수를 L로 하면 프리세트 수 m은 m=L-1로 표현된다.
스텝 S110에서 n=m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11로 진행하여 먼저 스텝 S103으로써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섹터와 동일한 섹터의 선두 위치로 액세스시키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스텝 S112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는 스텝 S103의 처리로 복귀하고 재차 이 동일 섹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여 스텝 S104에 의해 에러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이 디스크 체크 모드 시의 재시도 동작이 된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방법으로 재시도 동작을 행하는 이유는 검출된 정정 불능 에러가 디스크에 데이터가 적당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점(디스크 에러) 때문이 아니라, 어떠한 외란 등에 의해서 생긴 판독/재생 장치에서의 재생계의 부적합한 데이터 재생 동작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이며, 재시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재생계의 동작을 안정화시켜 데이터가 적당하게 판독될 수 있는 것에 의한다.
결국, 프리세트 수 m은 적절한 판독 동작을 복귀시키는데 충분한 상기 재시도 동작 횟수를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스텝 S110에서 변수 n이 프리세트 수 m에 도달하였다고(n=m) 판별된 경우에는 검출 결과로서 디스크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확정하여 스텝 S112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디스크 체크의 결과로서 디스크 에러가 존재한 것을 도시하는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런 표시를 봄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크 체크를 행한 해당 디스크에 데이터가 적당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고, 실제로 디스크의 기록 데이터를 음성으로서 출력한 경우에는 음 단절 등의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112 혹은 스텝 S108에 의한 디스크 체크 결과의 출력 제어를 종료한 후에는, 이 루틴을 벗어남으로써 디스크 체크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4-b. 제2 예)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제2 디스크 체크 모드 시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 디스크 체크 모드 동작은 디스크 에러의 검출을 일단 확정하면 디스크 에러의 존재 결과를 출력하여 데이터 판독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에 대해, 제2 디스크 체크 모드 동작에서는 일단 디스크 에러가 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고 해도 판독 동작을 계속하여 해당 디스크 데이터(섹터)에 대해 전부 에러 검출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검출된 디스크 에러는 에러 개소 정보를 포함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제2 디스크 체크 모드시의 시스템 컨트롤러(11)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루틴에서, 스텝 S201, 스텝 S203 내지 S208 및 스텝 S212 내지 S214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은 각각 도 5에 도시한 스텝 S101, 스텝 S103 내지 S107 및 스텝 S109 내지 S111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스텝 S201에서 디스크 체크 모드가 된 경우에는 계속해서 스텝 S202에서 디스크 에러의 검출 횟수에 대응하는 변수 E에 대해 E=0으로 설정하여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으로부터 스텝 S206에까지 이르는 처리를 거쳐 스텝 S206에서 ECC 처리부(68)로부터의 C2P0 에러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212에서의 변수 n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거쳐서 스텝 S213으로 진행한다.
이 제2 디스크 체크 모드에서는 스텝 S213에서 n=m이라고 해서 재시도 횟수를 종료하여 해당 섹터에 대해 디스크 에러 있다고 확정한 경우에는 스텝 S215로 진행하여 변수 E를 증가시켜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어느 섹터에 대해 디스크 에러가 검출되었다고 해도 디스크 체크해야 할 모든 해당 데이터(모든 섹터)에 대한 에러 검출 처리를 종료할 때까지 디스크로부터 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계속 실행하게 된다.
또한, 이 제2 디스크 체크 모드에서는 스텝 S207에서 디스크 체크해야 할 전 섹터에 대한 에러 검출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209로 진행하여 디스크 에러의 검출 횟수인 변수 E에 대해 E≥1인지 즉, 지금까지의 디스크 체크 동작으로서 한번이라도 디스크 에러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별한다.
변수 E에 대해 E≥1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 디스크 에러가 없다는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 실행한다. 이에 대해, 변수 E에 대해 E≥1이라고 판별된 경우, 디스크 에러가 있다는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 실행한다. 이 경우, 단순히 디스크 에러가 있다는 결과를 도시하는 표시뿐만 아니라, 변수 E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크 에러 개소수 및 디스크 에러의 검출된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의 표시 형태도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컨트롤러(11)가 디스크 에러의 판단을 행하기 위해서 C2P0 에러 신호 SE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ECC 처리부(68)에서는 에러 검출 처리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예를 들면, 2중 정정을 요구하는 C1 에러나 4중 정정을 요구하는 C2 에러 등의 플래그가 생성되지만 시스템 컨트롤러(11)가 이들의 플래그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로 입력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얻어지는 에러율을 참조하여 디스크 에러의 판단을 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체크 모드 시에서의 디스크(1)의 회전 구동 속도는 통상 재생 시간과 마찬가지인 1배속인 것을 전제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음성 신호를 적당하게 출력하는 것은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정의 배속도에 의해 데이터가 디스크(1)로부터 판독되고, 버퍼 메모리(13)로의 데이터 기록/판독 제어 및 디코더부(8)의 데이터 처리 동작도 이 배속 판독 속도에 대응하는 클럭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체크에 소요되는 시간은 더욱 큰폭으로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미니 디스크 시스템 이외의 각종 데이터 재생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적용가능한 재생 장치에서 본 발명은 신장 처리 이전의 단계에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크 체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유효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할 때에 얻어지는 에러 검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적당하게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어진 음성 신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자신이 판단하는 경우보다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해당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이 압축 데이터에 대해 신장 처리하기 이전에 실행되는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에러 검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적당하게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실제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된 음성 신호 등에 의해 확인하는 경우보다 단시간에 그 판단 결과를 얻게 된다. 통상, 미니 디스크의 경우, 데이터를 최대 74분까지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장 후에 행해진 종래의 에러 체크에서는 총 74분이 걸린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 데이터에 대한 에러 체크는 약 15분 내에 에러 체크를 종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

  1. 압축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체크 장치에 있어서,
    에러 체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판독해 내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압축 데이터에 부가되는 에러 정정 부호에 따라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에러 체크 모드가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압축 데이터를 판독해 내고 상기 에러 검출 수단은 에러 검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압축 데이터가 상기 해당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기록되지의 여부를 상기 에러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검출 에러 정보에 따라 판단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에 대해 에러 체크를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체크 장치.
  2. 압축 데이터가 해당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체크 방법에 있어서,
    에러 체크 모드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해당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판독해 내는 단계;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데이터에 부가되는 에러 정정 부호에 따라 에러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에러 체크 모드가 상기 지시 단계에서 지시될 때, 상기 압축 데이터는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에러 검출 단계에서 검출됨으로써, 상기 압축 데이터가 상기 해당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검출된 에러 정보에 따라 판단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에 대해 에러 체크를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체크 방법.
KR1019970068692A 1996-12-16 1997-12-15 압축데이터의에러체크방법및장치 KR10055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252796A JP3787934B2 (ja) 1996-12-16 1996-12-16 再生装置
JP96-352527 199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35A true KR19980064135A (ko) 1998-10-07
KR100554987B1 KR100554987B1 (ko) 2006-05-24

Family

ID=184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692A KR100554987B1 (ko) 1996-12-16 1997-12-15 압축데이터의에러체크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51710A (ko)
JP (1) JP3787934B2 (ko)
KR (1) KR100554987B1 (ko)
CN (1) CN110032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067B1 (ko) * 2006-07-06 2007-07-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 재생 시스템의 리셋 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3286A1 (de) * 1997-03-29 1998-10-01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r CD-Wiedergabe mit veränderbarer Geschwindigkeit oder Richtung
KR102081980B1 (ko) 2012-10-08 2020-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 수행 방법
US10445519B2 (en) * 2017-08-29 2019-10-1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resistant to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0878A (ja) * 1985-10-04 1987-04-1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装置
JP3163686B2 (ja) * 1991-10-08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KR100263682B1 (ko) * 1992-05-22 2000-08-01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 기록 장치
US5633841A (en) * 1992-05-25 1997-05-27 Sony Corporation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rotection of previously recorded data
JP3233234B2 (ja) * 1992-09-07 2001-11-2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JP3431030B2 (ja) * 1992-11-12 2003-07-2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199082B2 (ja) * 1992-11-18 2001-08-13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3546432B2 (ja) * 1992-12-04 2004-07-28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
DE69434692T2 (de) * 1993-01-06 2007-03-29 Sony Corp. Aufzeichnungsmethode für Aufzeichnungsmedium
TW223171B (en) * 1993-01-06 1994-05-01 Sony Co Ltd Playback method and device
JP3438747B2 (ja) * 1994-06-29 2003-08-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46902B1 (ko) * 1994-09-16 1998-10-15 김광호 엠피이지 스트림 재생장치 및 방법
JP3486988B2 (ja) * 1994-10-19 2004-01-1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AU700070B2 (en) * 1995-05-16 1998-12-17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ata formats, and data recording medium
JPH09153273A (ja) * 1995-11-29 1997-06-1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067B1 (ko) * 2006-07-06 2007-07-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 재생 시스템의 리셋 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320C (zh) 2003-01-29
US5951710A (en) 1999-09-14
KR100554987B1 (ko) 2006-05-24
JP3787934B2 (ja) 2006-06-21
JPH10177771A (ja) 1998-06-30
CN1195851A (zh)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567B1 (ko) 버스트컷팅영역에기록되어있는정보들을디코딩하기위한동기정보검출방법
US5224087A (en) Apparatus for recording compressed digital information to an optical disc
KR100288461B1 (ko) 데이타기록 및 재생방법
JP3318841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5343456A (en)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US6035433A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rror correcting system and a data recording medium
AU2003211981B8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EP1187129A2 (en) Data record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ccessing method, and accessing apparatus
US5325371A (en) Coding/decoding apparatus
KR100358606B1 (ko) 디스크기록재생장치
KR20040000306A (ko)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와 기록매체의 재생방법및 재생장치
US5917782A (en) Method of reproducing high-speed audio data by a CD-ROM player
KR100554987B1 (ko) 압축데이터의에러체크방법및장치
JP2001167510A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557033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nd of reproduction of main data recorded on information record medium, and system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 medium
KR100696352B1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JP2656915B2 (ja) エラー訂正装置
JP4000425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JP4214861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146877B2 (ja) デコーダ及び再生装置
JPH087497A (ja) 再生装置
JP4114967B2 (ja) 再生装置
JPH1116289A (ja) 記録装置
JPH08255427A (ja) 記録装置
JPH11126423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