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377A -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77A
KR19980063377A KR1019970033501A KR19970033501A KR19980063377A KR 19980063377 A KR19980063377 A KR 19980063377A KR 1019970033501 A KR1019970033501 A KR 1019970033501A KR 19970033501 A KR19970033501 A KR 19970033501A KR 19980063377 A KR19980063377 A KR 1998006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control unit
uni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806B1 (ko
Inventor
천종옥
허문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600648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46510A/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806B1/ko
Priority to US08/961,659 priority patent/US5999829A/en
Priority to BR9713904-1A priority patent/BR9713904A/pt
Priority to DE69730529T priority patent/DE69730529T2/de
Priority to RU99115775/09A priority patent/RU2161862C1/ru
Priority to PCT/KR1997/000219 priority patent/WO1998026518A1/en
Priority to AU50685/98A priority patent/AU715984B2/en
Priority to EP97913500A priority patent/EP0965183B1/en
Priority to JP10526514A priority patent/JP2000505976A/ja
Priority to IL12232797A priority patent/IL122327A/xx
Publication of KR1998006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77A/ko
Publication of KR10026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회로.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력증폭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와,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에 연결되어 강전계지역과 약전계지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거나, 주파수 변조 모드나 부호분할 다중 접속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회로에 이용.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한국내에서는 종래 부호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 방식과 신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방식과의 연동, 미국에서는 종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방식과 US(United States) PCS방식과의 연동, 유럽에서는 종래 GSM(Groupe Speciale Mobile)방식 혹은 상기 GSM을 1,800MHz 대역에 적용한 DCS(Digital Communication System) 1800방식과의 연동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동방식을 듀얼밴드(dual band) 방식이라 한다. 다시 말해서, 듀얼밴드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두 방식, 즉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연동시키는 방식이다.
여기서 CDMA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한 것은 디지털 시스템이라 하고,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이하 FM라 한다)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한 것을 신형 이동전화 서비스(이하 AMPS라 한다) 시스템이라 한다. 그리고 CDMA 셀룰러 시스템은 실제 사용할 때 아날로그 시스템과 듀얼(dual)모드로 사용된다. 즉 CDMA 모드 뿐만 아니라 AMPS 모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듀얼 모드 전화기로 설계되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한다.)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IC들은 전원공급부(1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주로 배터리로 구현되므로, 이하 배터리라 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10)의 전원은 상기 다수의 IC들에 필요한 전원보다 높은 전원으로 설정된다. 또한 전력증폭부(30)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과 상기 다수의 IC들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은 소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배터리(10)의 출력전압은 7.2V이고 상기 전력증폭부(30)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은 5V이며, 상기 다수의 IC들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은 3.3V이다. 그래서 배터리(10)에서 7.2V의 전압을 공급하면 직류-직류(이하 DC-DC라 한다.) 컨버터(20)에서는 이를 받아 전력증폭부(30)의 요구전압인 5V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력증폭부(30)에서는 이를 받아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그리고 선형 레귤레이터(40)에서는 상기 DC-DC 컨버터(20)에서 출력된 5V의 전압을 받아 다수의 IC들에게 필요한 전원인 3.3V의 전압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IC들은 상기 3.3V의 전원을 인가 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은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전압분배저항 R1과 R2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전압분배저항 R1과 R2의 크기는 전력증폭부(Power Amp)의 요구전압인 5V의 전압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력증폭부(30)의 요구전압은 FM 방식에서는 4.7V이고, 상기 FM 방식에 비해 선형성 및 포화(Saturation) 특성이 요구되는 CDMA 방식에서는 5V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CDMA 방식에 맞는 5V의 전압이 전력증폭부(30)로 공급되도록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두 전압분배 저항을 설정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FM/CDMA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FM 모드 방식에서는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위치에 따라 가까운 곳인 강전계지역에서는 저출력으로도 통신할 수 있으며, 반대로 먼 곳인 약전계지역에서는 고출력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강전계지역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레벨은 평균적으로 저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는 약전계지역의 경우만을 고려하여 전력증폭부의 요구전압을 5V로 설정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저출력일 때에는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어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저출력일 때에도 고정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의 온도를 상승시켜 회로 전체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듀얼모드에 따라 전력증폭부의 필요 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절전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DC-DC컨버터의 출력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절전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력증폭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와,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에 연결되어 강전계지역과 약전계지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거나, 상기 듀얼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신전계강도 검출부와, 전원공급부와,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상기 제1모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1과정과, 제2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상기 제2모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신전계강도 검출부와, 전원공급부와,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중일 경우에 수신전계강도를 검출하여 이를 설정된 제1기준과 비교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강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강전계지역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약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약전계지역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전원공급 조절부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전계강도에 따라 절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절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은 상기한 듀얼밴드 방식중에서 모두 적용 가능하나 FM을 제1모드로 하고 CDMA를 제2모드로 한 듀얼모드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요지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등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른 각종 변수 및 기타 데이터등을 저장하는 램(RAM)과, 전화번호 및 시스템의 파라메터들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을 포함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키입력부(80)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이루어져 외부의 키조작에 의해 해당 키데이터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듀플렉서(60)는 안테나(7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분으로 전달하고 송신부분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70)로 전달한다. 수신전계강도(이하 RSSI라 한다) 검출부(50)는 안테나(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RSSI를 검출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전원공급부(10)는 배터리로서, 전원공급 조절부(20)를 거쳐 각 IC들과 전력증폭부(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는 제어부(40)로부터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받아 전원공급을 조절한다. 전력증폭부(30)는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에 의해 조절된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증폭한 후 듀플렉서(6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전원공급 조절부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로서,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전원공급 조절부(20)에서 조절한 후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공급 조절부(20)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와, 전원공급부(10)에 연결되어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22)로부터의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출력전원을 조절한 후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22)는 상기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과 접지단에 직렬로 연결된 전압분배 저항(R1, R2, R3, R4)과,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 사이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는 NPN 트랜지스터인 제1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3저항(R3)과 제4저항(R4) 사이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는 NPN 트랜지스터인 제2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SSI에 따라 절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2와 상기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00단계에서 통화중일 경우에 제110단계에서 RSSI 검출부(50)에서는 RSSI를 검출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20단계에서 제어부(40)는 상기 RSSI 검출부(50)에서 검출된 값이 제1기준 보다 강한 값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RSSI의 값이 강하면 강전계지역이고, 상기 RSSI 값이 약하면 약전계지역이므로, 이에 따라 전력증폭부(30)의 전력 증폭 값을 조절하기 위한 일정한 기준값을 설정하는데 이값이 제1기준이 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CDMA에서는 RSSI가 -80dBm이면 송신출력레벨은 7dBm정도면 기지국과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때에 전력증폭부(30)에서는 송신 신호들을 4V의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런데 CDMA에서 RSSI가 -90dBm이면 송신출력레벨을 17dBm정도로 설정해야만 되므로 이때에 전력증폭부(30)에서는 5V의 전력으로 송신 신호들을 증폭해서 출력해야만 기지국과의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예의 경우에 제1기준을 RSSI가 -80dBm인 경우로 설정하면 약 1V의 소비전력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20단계의 판정 결과 RSSI 검출 값이 제1기준보다 강한 값인 경우에는 제130단계에서 제어부(40)는 제1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전원공급 조절부(20)로 출력한다. 이때에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제1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받아 제2트랜지스터가 온되어 전압분배는 제3저항(R3)과 제4저항(R4)만으로 이루어져 DC-DC 컨버터(21)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피드백 전압(Vfb)을 형성한다. 그러면 DC-DC 컨버터(21)에서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받아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1)에서 출력하는 출력전압은 4V로, 이는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0단계의 판정 결과 RSSI 검출 값이 제1기준보다 약한 값인 경우에는 제140단계에서 제어부(40)는 제2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전원공급 조절부(20)로 출력한다. 이때에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제2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받아 제2트랜지스터가 오프되어 피드백 전압은 4개의 전압분배 저항(R1, R2, R3, R4)의 전압 분배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면 DC-DC 컨버터(21)에서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받아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1)에서 출력하는 출력전압은 5V로, 이는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절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2와 상기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듀얼모드에서 사용하기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200단계에서 제어부(40)는 키입력부(80)의 조작을 감지하여 FM 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제210단계에서 제3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전원공급 조절부(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제3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받아 제1트랜지스터가 온되어 피드백 전압은 3개의 전압분배 저항(R2, R3, R4)만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DC-DC 컨버터(21)에서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받아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1)에서 출력하는 출력전압은 4.7V로, 이는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CDMA 모드 설정키를 조작할 경우 상기 제200단계에서 FM 모드 설정 신호는 입력되지 않고 제220단계에서 제어부(40)는 CDMA 모드 설정 신호를 입력할 것이다. 그러면 제230단계에서 제어부(40)는 제4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전원공급 조절부(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20)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제4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받아 제1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며 피드백 전압은 4개의 전압분배 저항(R1, R2, R3, R4)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DC-DC 컨버터(21)에서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받아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전력증폭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1)에서 출력하는 출력전압은 5V로, 이는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 모드 설정키를 조작할 경우 제240단계에서 제어부(40)는 키입력부(80)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 모드 설정신호를 입력하여 제250단계에서 RSSI 검출부(50)를 통해 검출된 CDMA의 RSSI를 입력한다. 그리하여 제260단계에서 제어부(40)는 CDMA의 RSSI 검출 값이 제2기준보다 강한 값인지를 비교하여 판정한다. 여기서 제2기준값은 아주 약한 약전계지역으로 CDMA 방식을 통해서는 통화를 할 수 없는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값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260단계의 판정 결과 제2기준보다 강하면 CDMA 모드이므로 제어부(40)는 상기 제230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기준보다 약하면 FM 모드이므로 제어부(40)는 상기 제210단계를 수행한다.
구 분 제어부 출력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 DC-DC 컨버터 출력
TR 동작 전압분배 저항
RSSI 강전계 제1전원공급 제어신호 TR2 R3,R4 4V
약전계 제2전원공급 제어신호 오프 R1,R2,R3,R4 5V
모드 FM 제3전원공급 제어신호 TR1 R2,R3,R4 4.7V
CDMA 제4전원공급 제어신호 오프 R1,R2,R3,R4 5V
상기한 표 1은 상기한 도 4와 상기한 도 5을 바탕으로 상기한 도 3의 회로의 동작을 정리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 회로도이다. 도 6은 상기한 도 3의 구성과 대부분이 같고, 다만 다른 부분은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22)로서,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는 NPN 트랜지스터인 제3트랜지스터(TR3)와, 3개의 전압분배 저항 (R5, R6, R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3개의 전압분배 저항(R5, R6, R7)은 상기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과 접지단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는 상기 제5저항(R5)과 제6저항(R6) 사이에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된다. 그리고 DC-DC 컨버터(21)의 피트백 전압라인은 상기 제6저항(R6)과 제7저항(R7) 사이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도 6에서는 상기한 도 4와 상기한 도 5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되지 못하며, 다만 둘중의 하나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 전압분배 저항은 출력전압에 맞게 재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CDMA 모드나 송신출력레벨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DC-DC 컨버터(21)가 5V를 출력하도록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제3트랜지스터(TR3)가 오프되므로, 피드백 전압을 형성하는 3개의 전압분배 저항(R5, R6, R7)은 이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FM 모드시나 송신출력레벨을 약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DC-DC 컨버터(21)가 4.7이나 4V를 출력하도록 제3트랜지스터(TR3)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되어, 피드백 전압을 형성하는 전압분배는 2개의 전압분배 저항(R6, R7)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이에 맞게 상기 제7저항을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 회로도이다. 도 7은 상기한 도 6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도 3의 구성과 대부분이 같고, 다만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22)만 다르다. 여기서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22)는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는 PNP 트랜지스터인 제4트랜지스터(TR4)와, 3개의 전압분배 저항 (R8, R9, R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트랜지스터(TR4)는 컬렉터단이 피드백 전압라인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고 베이스단이 제11저항(R11)을 사이에 두고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어 피드백 전압을 조절한다. 상기 3개의 전압분배 저항 (R8, R9, R10)은 DC-DC 컨버터(21)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두 전압분배 저항(R8, R9)과, 상기 피드백 전압라인과 제4트랜지스터(TR4)의 컬렉터단 사이에 접속된 제10저항(R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피드백 전압라인은 상기 두 전압분배 저항(R8, R9) 사이의 접점과 상기 제10저항(R10)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어 DC-DC 컨버터(21)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도 7도 상기한 도 6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도 4와 상기한 도 5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되지 못하며, 다만 둘중에 하나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 전압분배 저항은 출력전압에 맞게 재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CDMA 모드나 송신출력레벨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DC-DC 컨버터(21)가 5V를 출력하도록 제어부(40)는 제4트랜지스터(TR4)를 오프하므로 피드백 전압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전압분배 저항(R8, R9)은 이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FM 모드시나 송신출력레벨을 약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DC-DC 컨버터(21)가 4.7이나 4V를 출력하도록 제4트랜지스터(TR4)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온되므로 전압분배는 세 개의 전압분배 저항(R8, R9, R10)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이에 맞게 상기 제10저항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한 설명에서 5V나 4V나 4.7V는 하나의 예를 든 경우로 구체적인 한정 값이 아니며, 본 발명은 전력증폭부의 요구전압이 다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전계지역에서 사용이 많은 경우에 전력증폭부를 통해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로인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온도상승요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M모드에서 전력증폭부를 통해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FM모드일 때에 전력증폭부의 효율 특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8)

  1. 전력증폭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와,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에 연결되어 제1모드나 제2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가 주파수 변조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가 부호분할 다중 접속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전력증폭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와,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에 연결되어 강전계 지역과 약전계 지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조절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전력증폭부로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전압으로 출력하는 제5, 제6, 제7전압분배저항과,
    컬렉터단이 상기 제5전압분배저항과 제6전압분배저항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3개의 전압분배저항의 전압분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엔피엔형인 제3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강전계지역에서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약전계 지역에서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8, 제9전압분배저항과,
    상기 제8, 제9전압분배저항 사이의 접점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 전압단으로 가는 라인에 접속된 제10전압분배저항과,
    컬렉터단이 상기 제10전압분배저항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고, 베이스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어 상기 3개의 전압분배저항의 전압분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피엔피형인 제4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강전계지역에서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약전계 지역에서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1. 전력증폭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와,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에 연결되어 강전계지역과 약전계지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거나, 듀얼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조절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전력증폭부로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제2, 제3, 제4전압분배저항과,
    컬렉터단이 상기 제1전압분배저항과 제2전압분배저항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고, 베이스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1, 제2전원공급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4개의 전압분배저항의 전압분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엔피엔형인 제1트랜지스터와,
    컬렉터단이 상기 제2전압분배저항과 제3전압분배저항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고, 베이스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3, 제4전원공급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4개의 전압분배저항의 전압분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엔피엔형인 제2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 제어신호는 강전계지역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트랜지스터를 온시키는 신호이고,
    상기 제2전원공급 제어신호는 약전계지역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신호이고,
    상기 제3전원공급 제어신호는 제1모드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를 온시키는 신호이고,
    상기 제4전원공급 제어신호는 제2모드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5. 수신전계강도 검출부와, 전원공급부와,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상기 제1모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1과정과,
    제2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상기 제2모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가 주파수 변조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가 부호분할 다중 접속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자동으로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부호분할 다중 접속의 수신전계강도를 검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검출된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제2기준보다 강하면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검출된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제2기준보다 약하면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수신전계강도 검출부와, 전원공급부와,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조절한 후 상기 전력증폭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조절부를 구비한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절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중일 경우에 수신전계강도를 검출하여 이를 설정된 제1기준과 비교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강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강전계지역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약하면 상기 전력증폭부에 약전계지역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33501A 1996-12-11 1997-07-18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KR10026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501A KR100266806B1 (ko) 1996-12-11 1997-07-18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US08/961,659 US5999829A (en) 1996-12-11 1997-10-31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RU99115775/09A RU2161862C1 (ru) 1997-07-18 1997-11-10 Сх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используемой портативным радиотелефоном
DE69730529T DE69730529T2 (de) 1996-12-11 1997-11-10 Schaltkreis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die bei einem mobiltelefon benutzt wird
BR9713904-1A BR9713904A (pt) 1996-12-11 1997-11-10 Circuito para controle de potência, e, processo de controle de potência usado por um radiotelefone portátil
PCT/KR1997/000219 WO1998026518A1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AU50685/98A AU715984B2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EP97913500A EP0965183B1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JP10526514A JP2000505976A (ja) 1996-12-11 1997-11-10 携帯用無線端末機の電源調節装置及び方法
IL12232797A IL122327A (en) 1996-12-11 1997-11-27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6-64385 1996-12-11
KR19960064385 1996-12-11
KR1019960064385 1996-12-11
KR1996-64868 1996-12-12
KR1019960064868 1996-12-12
KR1019960064868A KR19980046510A (ko) 1996-12-12 1996-12-12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KR1019970033501A KR100266806B1 (ko) 1996-12-11 1997-07-18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77A true KR19980063377A (ko) 1998-10-07
KR100266806B1 KR100266806B1 (ko) 2000-09-15

Family

ID=2734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501A KR100266806B1 (ko) 1996-12-11 1997-07-18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99829A (ko)
EP (1) EP0965183B1 (ko)
JP (1) JP2000505976A (ko)
KR (1) KR100266806B1 (ko)
AU (1) AU715984B2 (ko)
BR (1) BR9713904A (ko)
DE (1) DE69730529T2 (ko)
IL (1) IL122327A (ko)
WO (1) WO19980265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97B1 (ko) * 2006-01-06 2007-04-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모드 제어 장치
KR100765324B1 (ko) * 2006-02-06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KR100833523B1 (ko) 2006-12-29 200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0163A1 (fr) * 1997-02-25 1998-08-28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e telecommunication muni d'un dispositif de reconnaissance de peripheriques
KR100573988B1 (ko) * 1997-12-12 2006-04-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통신 장치
KR100241780B1 (ko) * 1997-12-16 2000-02-01 윤종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US6169886B1 (en) * 1998-11-02 2001-01-02 Motorola, Inc. Power amplifier control according to a delayed waveform suitable for use in a communication device
US6608997B1 (en) * 1998-11-04 2003-08-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the power level of a transmitted signal
US6377784B2 (en) * 1999-02-09 2002-04-23 Tropian, Inc. High-efficiency modulation RF amplifier
US6748246B1 (en) 2000-07-05 2004-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technology in a multi-mode terminal
FR2813487B1 (fr) * 2000-08-31 2002-11-29 Cit Alcatel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amplification du signal emis par un terminal mobile permettant d'augmenter l'autonomie dudit terminal mobile
US6760604B2 (en) * 2001-01-29 2004-07-06 Motorola, Inc. Portable radio transceiver having shared power source for audio and RF amplifiers
JP2003078957A (ja) 2001-08-31 2003-03-14 Nec Corp 複合情報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
JP3958066B2 (ja) * 2002-02-21 2007-08-1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信出力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US20070060074A1 (en) * 2002-03-07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efficiency modulating RF amplifier
DE10307426B4 (de) * 2003-02-21 2006-06-14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Funksignalen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zur Frequenzumsetzung in einer Verstärkungseinrichtung
KR100556909B1 (ko) * 2003-11-07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파워앰프모듈 전원회로
KR100595652B1 (ko) * 2004-02-12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7102442B2 (en) * 2004-04-28 2006-09-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terminal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with transmit power amplifier input power regulation
DE102004041421C5 (de) * 2004-08-27 2011-08-18 Techem Energy Services GmbH & Co. KG, 6576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unkübertragung von Daten
CN100366125C (zh) * 2004-09-20 2008-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模移动终端与移动网络交互的方法
US7899482B2 (en) * 2005-02-02 2011-03-01 Nec Corporation Transmission power target value variab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45639A4 (en) * 2005-02-02 2010-09-08 Nec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CONTROL OF TRANSMISSION POWER TARGET VALUE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KR100849326B1 (ko) * 2006-11-21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폰의 소비 전력 제어 장치
US8150339B2 (en) * 2007-11-05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able-level voltage supplies for multimode communications
DE102008044845B4 (de) * 2008-08-28 2015-04-09 Epcos Ag Bias-Netzwerk
US20130093385A1 (en) * 2011-10-14 2013-04-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de changing power control
CN102523353A (zh) * 2011-12-29 2012-06-27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具有双信号处理模块的移动终端及通信方法
WO2014066647A1 (en) * 2012-10-24 2014-05-01 Marvell World Trade Ltd. Dynamic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CN104602332A (zh) * 2013-10-31 2015-05-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射功率控制处理方法、装置及终端
WO2023075773A1 (en) * 2021-10-28 2023-05-04 Zeku, Inc. Power tracking at a radio frequency chip based on a two-dimensional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WO2023176684A1 (ja) * 2022-03-15 2023-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キャパシタ及び電源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7886A (en) * 1971-11-08 1972-10-10 Us Navy Solid state 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power amplifier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
US5203020A (en) * 1988-06-14 1993-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930007110A (ko) * 1991-09-25 1993-04-22 정용문 이동 통신 휴대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및 회로
US5345598A (en) * 1992-04-10 1994-09-06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Duplex power control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071582B2 (ja) * 1992-11-09 2000-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効率の調整方法
US5423078A (en) * 1993-03-18 1995-06-06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power amplifier for analog and digital cellular telephones
US5422931A (en) * 1993-09-22 1995-06-06 Hughes Aircraft Company Dual mode portable cellular telephone having switch control of the rf signal path to effectuate power savings
JP3103712B2 (ja) * 1994-03-14 2000-10-3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電力増幅器及び増幅方法
JP2581445B2 (ja) * 1994-04-28 1997-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ー電話装置
DE4426255C2 (de) * 1994-07-25 1998-07-30 Siemens Ag Mobile Funksende-/Funkempfangseinrichtung, insbesondere Mobilteil eines Schnurlostelefons
JPH08139632A (ja) * 1994-11-15 1996-05-31 Uniden Corp 狭帯域通信装置
JPH08204587A (ja) * 1995-01-23 1996-08-09 Fujitsu Ltd 携帯電話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97B1 (ko) * 2006-01-06 2007-04-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모드 제어 장치
KR100765324B1 (ko) * 2006-02-06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KR100833523B1 (ko) 2006-12-29 200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6518A1 (en) 1998-06-18
IL122327A (en) 2000-11-21
US5999829A (en) 1999-12-07
AU715984B2 (en) 2000-02-10
BR9713904A (pt) 2000-02-29
AU5068598A (en) 1998-07-03
IL122327A0 (en) 1998-04-05
JP2000505976A (ja) 2000-05-16
EP0965183A1 (en) 1999-12-22
DE69730529T2 (de) 2005-02-03
DE69730529D1 (de) 2004-10-07
EP0965183B1 (en) 2004-09-01
KR100266806B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806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US5613229A (en) Voltage and current mode power regulator
US82089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5758269A (en) High-efficient configurable power amplifier for use in a portable unit
US7809411B2 (en) Power sav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US8116703B2 (en) Wireless transmitter calibration using device receiver
KR199900739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CN101110620A (zh) 一种动态调整移动终端发射功率的方法及其终端
US20100329165A1 (en) Wireless la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85087A (en) Roaming control method for digital mobile telephone
US20030022687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2163498C (en) Voltage and current mode power regulator
RU2161862C1 (ru) Сх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используемой портативным радиотелефоном
US20050221871A1 (en) Circuit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3911Y1 (ko) 이중모드/삼중모드이동단말기의전원제어장치
KR100652142B1 (ko)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KR100429509B1 (ko)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57078A (ko) 지에스엠 단말기의 전력제어 장치
KR1004561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고출력증폭기출력조절장치
KR100279374B1 (ko) 무선모뎀의 전원회로
KR1006732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00955B1 (ko) 디 이 씨 티 베이스 스테이션의 알 에프 모듈 제어장치
KR19980046510A (ko)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JP2003069440A (ja) 携帯電話機
KR20020090752A (ko) 앰프스 모드 폰의 수신대기 시 전류소모 감소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