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24B1 -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24B1
KR100765324B1 KR1020060011357A KR20060011357A KR100765324B1 KR 100765324 B1 KR100765324 B1 KR 100765324B1 KR 1020060011357 A KR1020060011357 A KR 1020060011357A KR 20060011357 A KR20060011357 A KR 20060011357A KR 100765324 B1 KR100765324 B1 KR 10076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g
oob
top box
modu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178A (ko
Inventor
정춘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3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는 DSG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DSG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1 전원 스위칭부; OOB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OOB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2 전원 스위칭부; 및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OOB 방식과 DSG 방식을 다 지원하는 셋톱박스는 여러 개의 발열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방식의 부품들에게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셋톱박스의 발열 및 전력 소비를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Integration settop_box for supporting DSG mode AND OOB mod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플렉서 20 : 스플리터
30 : DSG 모듈 31 : DSG 다운 스트림 튜너
32 : DSG 업 스트림 앰프 33 :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
40 : OOB 모듈 41 : OOB 다운 스트림 튜너
42 : OOB 업 스트림 앰프 43 :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
100 : 제 1 전원 스위칭부 200 : 제 2 전원 스위칭부
300 : 모드 제어부
본 발명은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에는 전송매체에 따라 디지털 지상방송과 디지털 위성방송 및 케이블 디지털 방송 등이 있다. 이중, 케이블 디지털 방송의 시스템은 각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System Operator, SO)들이 케이블 TV의 프로그램, 컨텐츠(Content), 기타 데이터들을 제작하거나 제작자로부터 공급받아 이를 가입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가입자는 셋톱박스를 통해 케이블 TV 방송국에서 전달되는 프로그램이나 기타 데이터들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시청 가능한 디지털 방송의 정보, 인증 정보 등을 가입자에게 다운 스트림 하기 위한 하향 "정보 채널"과 가입자가 "디지털 방송 정보 ", "인증 정보", 등의 정보들을 업 스트림하기 위한 상향 "정보 채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픈 케이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채널 정보(케이블 방송의 채널 정보, 프로그램 지도, 이벤트 정보 등)를 제공하는 SI(Service Information) 서버; 특정 서비스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락 받은 가입자에게만 허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CA(Conditional Access : 수신제한) 서버; 상기 SI 서버와 CA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부가적인 데이터를 각각의 상향/하향 "정보 채널"을 통해 가입자의 셋톱박스와 업/다운 스트림을 수행하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각 채널에 할당하여 공급하는 방송 서버; 및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하향 "방송 채널"을 통해 가입자의 셋톱박스로 단방향 다운 스트림을 수행하는 방송용 헤드엔드를 포함하는 방송국 측과, OOB 방식 또는 DSG 방식의 업/다운 스트림을 제공하는 셋톱박스를 구비하는 사용자측으로 구현된다.
이 때, 상기 DSG 방식의 업/다운 스트림을 이용하는 셋톱박스는 DSG 다운 스트림 튜너, QAM 처리부와, MPEG 디코더, AC-3 디코더, DSG 수신기를 포함하는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와, "방송 요청 정보", "인증 정보" 등 각종 정보 데이터를 상기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상기 CMTS로 업 스트림하는 DSG 업 스트림 앰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DSG 방식의 업/다운 스트림을 이용하는 셋톱박스에서 업 스트림 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라는 방식을 이용하고, 다운 스트림 방 식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그리고, 업 스트림 속도의 경우, 6MHz대의 대역폭을 모두 이용하면 10Mbps를 이용할 수 있지만, 잡음이나 기타 여러 가지 영향을 받는 까닭에 6MHz를 모두 사용하지 못하고 약 2.4Mbps를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 모뎀의 업 스트림 속도가 다운 스트림 속도보다 느린 것은 바로 잡음 때문이다.
한편, 상기 DSG 방식의 셋톱박스에서 사용되는 다운 스트림은 현재 널리 쓰이는 64QAM 방식을 이용하며, 최대 약 30Mbp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중 케이블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부호화 규격 등에 근거하여 각 채널별 프로그램들의 정보량을 고 능률적으로 압축하며, 각 전송 매체별 디지털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다수의 채널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고 능률적으로 다중화 하여 단방향 다운 스트림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방송용 채널"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고 능률적으로 다중화 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영상 및 음성 압축 기술은 세계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가 표준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변조방식은 디지털 방식의 하나인 QAM 방식으로 전송할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따라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한정된 전송대역 안에서 보다 고능률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64QAM(64-state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디지털 주파수 변조기술은 주로 동축케이블 망에서 다운 스트림에 사용되며, 단일 6MHz 채널 상에서 최고 28Mbps까지 지원한다.
따라서, 오픈 케이블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서처럼 다량의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채널들을 방송할 수 있다. 즉, 최대 750MHz까지 주파수 대역에서 한 "방송용 채널" 당 6MHz ∼ 30MHz를 사용하며, 단방향 다운 스트림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상기 OOB 방식을 이용하는 셋톱박스는 OOB 다운 스트림 튜너와, QAM 처리부, MPEG 디코더, AC-3 디코더, 및 OOB 수신기를 포함하는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와, OOB 업 스트림 앰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OB 방식을 이용하는 셋톱박스에서 사용하는 업 스트림 방식은 그 속도가 1.544/3.088 Mbps이며, 다운 스트림 방식의 속도는 1.544/3.088 Mbps이다. 그리고, 지원하는 표준은 코어 호스트이며, 인터넷 액세스는 불가능하고, 현재 사용되는 표준은 OCAP 1.0이며, 프로토콜은 DVS167/DVS178을 사용하고 있다. 주요 사용 지역은 미국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닥시스보다는 기능과 속도가 떨어지는 `대역외 채널(OOB ; Out Of Band)'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다. OOB는 송출시스템(헤드엔드)과 셋톱박스 사이의 제어 접근 프로그램 정보 등의 데이터 교환이 오디오/비디오 채널 외의 대역외채널을 통해 이뤄진다.
이렇듯 두 개의 방식 즉, DSG 방식과 OOB 방식의 셋톱박스가 각각 구현됨으로써 DSG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OOB 방식을 이용하는 셋톱박스를 사용할 수 없으며, OOB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DSG 방식 을 이용하는 셋톱박스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DSG 방식과 OOB 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셋톱박스를 구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DSG 방식과 OOB 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하는 셋톱박스는 DSG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DSG 모듈과 OOB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OOB 모듈이 하나의 셋톱박스에 모두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서버에서 제공되지 않는 모듈에도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되고 셋톱박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OOB 방식과 DSG 방식을 통합하여 설계한 케이블 셋톱박스에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일 측면에 따르면, DSG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DSG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1 전원 스위칭부; OOB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OOB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2 전원 스위칭부; 및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는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DSG 모듈의 DSG 다운 스트림 튜너, DSG 업 스트림 앰프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마다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는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OOB 모듈의 OOB 다운 스트림 튜너, OOB 업 스트림 앰프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마다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DSG 방식이면, 제 2 전원 스위칭부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판단 단계에서 OOB 방식이면, 제 1 전원 스위칭부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DSG 모듈;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OOB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DSG 모듈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OOB 모듈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SG 모듈은 상기 모드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DSG 다운 스트림 튜너, DSG 업 스트림 앰프,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OOB 모듈은 상기 모드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OOB 다운 스트림 튜너, OOB 업 스트림 증폭기,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DSG 방식이면, OOB 모듈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OOB 모듈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판단 단계에서 OOB 방식이면, DSG 모듈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DSG 모듈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인용한 시스템으로써 아래 시스템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과 OOB(Out Of Band)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는 제 1 전원 스위칭부(100), 제 2 전원 스위칭부(200) 및 모드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디플렉서(10), 스플리터(20), DSG 다운 스트림 튜너(31), DSG 업 스트림 앰프(32)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33)를 구비한 DSG 모듈(30)과 OOB 다운 스트림 튜너(41), OOB 업 스트림 앰프(42)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43)를 구비한 OOB 모듈(40)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상기 DSG 모듈(30)은 케이블을 통해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와 디플렉서(10)와 스플리터(20)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스플리터(20)를 통해 수신되는 다운 스트림 데이터를 구분하는 DSG 다운 스트림 튜너(31);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부터 상기 튜너를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 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처리 기능과, 상기 QAM 처리 기능을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엠펙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TV로 전송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딩 기능과; 상기 QAM 처리 기능을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AC-3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TV로 전송하는 AC-3 디코딩 기능과; 상기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부터 다운 스트림되는 "방송 정보", "유료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인증 정보" 등 각종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DSG 처리 기능 등을 처리하는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33); 및 "방송 요청 정보", "인증 정보" 등 각종 정보 데이터를 상기 디플렉서(10)를 통해 상기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 업 스트림하는 DSG 업 스트림 앰프(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OB 모듈(40)은 케이블을 통해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와 디플렉서(10)와 스플리터(20)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스플리터(20)를 통해 수신되는 다운 스트림 데이터를 구분하는 OOB 다운 스트림 튜너(41);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부터 상기 튜너를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QAM 처리 기능과, 상기 QAM 처리 기능을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엠펙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TV로 전송하는 MPEG 디코딩 기능과; 상기 QAM 처리 기능을 통해 다운 스트림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AC-3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TV로 전송하는 AC-3 디코딩 기능과; 상기 지역 케이 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부터 다운 스트림되는 "방송 정보", "유료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인증 정보" 등 각종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OOB 수신 처리 기능을 가지는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43); 및 "방송 요청 정보", "인증 정보" 등 각종 정보 데이터를 디플레서(10)를 통해 상기 지역 케이블 디지털 방송국의 방송 서버(1)로 업 스트림하는 OOB 업 스트림 앰프(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100)는 DSG 모듈(30)과 연결되며,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DSG 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DSG 모듈(30)의 DSG 다운 스트림 튜너(31), DSG 업 스트림 앰프(32)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3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200)는 OOB 모듈(40)과 연결되며,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OOB 모듈(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OOB 모듈(40)의 OOB 다운 스트림 튜너(41), OOB 업 스트림 앰프(42)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4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100)와 제 2 전원 스위칭부(2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을 판단하고, 방송 서버(1)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200)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1)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100)로 전송한다.
상기한 각 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기능 및 각각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상응하는 동작 위주로 그 동작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DSG 방식과 OOB 방식을 지원하는 셋톱박스는 방송 서버(1)로부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에 따라 상기 셋톱박스에서 동작되는 방식이 결정된다.
즉, DSG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DSG 다운 스트림 튜너(3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DSG 데이터 듀플렉스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한 후 그 정보를 모드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만약, OOB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OOB 다운 스트림 튜너(4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OOB 데이터 듀플렉스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한 후 그 정보를 모드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상기 DSG 모듈(30)을 통해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제 2 전원 스위칭부(200)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200)는 상기 OOB 모듈(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동작되지 않는 OOB 모듈(40)을 오프시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상기 OOB 모듈(40)을 통해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제 1 전원 스위칭부(100)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100)는 상기 DSG 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동작되지 않는 DSG 모듈(30)을 오프(Off)시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한다(S1).
이 때, 상기 판단 단계(S1)에서 DSG 방식이면, 제 2 전원 스위칭부(200)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2).
한편, 상기 판단 단계(S1)에서 OOB 방식이면, 제 1 전원 스위칭부(100)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3).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는 DSG 모듈(30), OOB 모듈(40), 모드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DSG 모듈(30)은 DSG 다운 스트림 튜너(31), DSG 업 스트림 앰프(32),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3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OOB 모듈(40)은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OOB 다운 스트림 튜너(41), OOB 업 스트림 증폭기,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DSG 모듈(30)은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된다.
그리고, 상기 OOB 모듈(40)은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된다.
또한,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을 판단하고, 방송 서버(1)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DSG 모듈(30)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1)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OOB 모듈(40)로 전송한 다.
상기한 각 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기능 및 각각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상응하는 동작 위주로 그 동작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드 제어부(300)가 어떤 모듈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DSG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방송 서버(1)일 경우,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상기 DSG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며, OOB 방식을 지원하는 방송 서버(1)일 경우 상기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OOB 모듈(40)을 통해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방송 서버(1)가 DSG 방식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상기 DSG 모듈(30)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OOB 모듈(40)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OOB 모듈(40)은 셧 다운된다.
따라서, 상기 셋톱박스는 사용되지 않는 OOB 모듈(40)이 자체적으로 셧 다운 됨으로서 전원 절약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서버(1)가 OOB 방식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상기 OOB 모듈(40)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상기 모드 제어부(300)는 DSG 모듈(30)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모드 제어부(30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DSG 모듈(30)은 셧 다운된다.
따라서, 상기 셋톱박스는 사용되지 않는 DSG 모듈(30)이 자체적으로 셧 다운 됨으로써 전원 절약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한다(S100).
이 때, 상기 판단 단계(S100)에서 DSG 방식이면, OOB 모듈(40)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OOB 모듈(40)을 오프(off)시킨다(S200).
한편, 상기 판단 단계(S100)에서 OOB 방식이면, DSG 모듈(30)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DSG 모듈(30)을 오프(off)시킨다(S3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OOB 방식과 DSG 방식을 다 지원하는 셋톱박스는 여러 개의 발열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방식의 부품들에게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셋톱박스의 발열 및 전력 소비를 줄여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과 OOB(Out Of Band) 방식을 지원하는 셋톱박스에 있어서,
    DSG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DSG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1 전원 스위칭부;
    OOB 모듈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OOB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2 전원 스위칭부; 및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스위칭부는,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DSG 모듈의 DSG 다운 스트림 튜너, DSG 업 스트림 앰프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 마다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스위칭부는,
    구동 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OOB 모듈의 OOB 다운 스트림 튜너, OOB 업 스트림 앰프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 마다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4. DSG 방식과 OOB 방식을 지원하는 셋톱박스에서 전원 관리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DSG 방식이면, 제 2 전원 스위칭부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OOB 방식이면, 제 1 전원 스위칭부에 전원 공급 제어신 호를 전송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6. DSG 방식과 OOB 방식을 지원하는 셋톱박스에 있어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DSG 모듈;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OOB 모듈; 및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DSG 모듈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OOB 방식이면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OOB 모듈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SG 모듈은,
    상기 모드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DSG 다운 스트림 튜너, DSG 업 스트림 앰프, 및 DSG 데이터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OOB 모듈은,
    상기 모드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셧 다운(Shutdown)되는 OOB 다운 스트림 튜너, OOB 업 스트림 증폭기, 및 OOB 데이터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9.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과 OOB(Out Of Band) 방식을 지원하는 셋톱박스에서 전원 관리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방식이 DSG 방식인지 OOB 방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DSG 방식이면, OOB 모듈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OOB 모듈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OOB 방식이면, DSG 모듈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DSG 모듈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KR1020060011357A 2006-02-06 2006-02-06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KR10076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57A KR100765324B1 (ko) 2006-02-06 2006-02-06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57A KR100765324B1 (ko) 2006-02-06 2006-02-06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78A KR20070080178A (ko) 2007-08-09
KR100765324B1 true KR100765324B1 (ko) 2007-10-09

Family

ID=3860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57A KR100765324B1 (ko) 2006-02-06 2006-02-06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39B1 (ko) * 2007-04-12 2008-10-02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디지털 방송 및 ip 방송의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공청방송과 공청방송에서 양방향 통신지원을 위한 ip미디어 게이트웨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77A (ko) * 1996-12-11 1998-10-07 윤종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및 방법
KR100388013B1 (ko) 2000-11-15 2003-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터렉티브 시.에이.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인터럽트제어방법
KR20050015593A (ko) * 2003-08-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200385300Y1 (ko) 2005-01-17 2005-05-27 (주) 유티유 일체형 디지털 오픈 케이블 방송용 양방향 통신을 위한 내장형 dsg모듈
KR20050103411A (ko) * 2004-04-26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방송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77A (ko) * 1996-12-11 1998-10-07 윤종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및 방법
KR100388013B1 (ko) 2000-11-15 2003-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터렉티브 시.에이.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인터럽트제어방법
KR20050015593A (ko) * 2003-08-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20050103411A (ko) * 2004-04-26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방송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85300Y1 (ko) 2005-01-17 2005-05-27 (주) 유티유 일체형 디지털 오픈 케이블 방송용 양방향 통신을 위한 내장형 dsg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78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738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l channel insertion in an all-digital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US85941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IP multicasting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20060130110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PEG-2 A/V data using cable modem
US7203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o-way internet access over a CATV network with channel tracking
US200600959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igital stream data to a user terminal
CA2797695C (en) Multi-mode modem
WO2009105237A1 (en) Multi-stream premises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a content-based network
KR20070012130A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인터페이스 방법
WO2014008585A1 (en) Digital satellite broadcast program distribution over multicast ip broadband networks
US8544051B1 (en) Broadcast solution for cable IPTV
US7774818B2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utilizing limited bandwidth of a communications network to deliver programming content
KR100763577B1 (ko)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mpeg-2 a/v 데이터 수신 장치
KR100765324B1 (ko)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을지원하는 통합 셋톱박스 및 그 셋톱박스에서 전원 제어방법
KR101024025B1 (ko) 디지털 케이블방송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EP1161083A1 (en) Improvements to broadcast data receiver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100716166B1 (ko) 닥시스 셋톱박스 게이트 방식과 대역외 채널 방식의 업 스트림이 가능한 통합 셋톱박스
KR2010004389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튜너 제어 방법
KR101517501B1 (ko)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2995B1 (ko) 광동축 혼합망에서 케이블모뎀에 의한 독립적인 채널 변경 기능을 사용하는 아이피티브이 방송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32226A1 (en) Local Digital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Cable
JP2004511138A (ja) Catvシステム
KR101186119B1 (ko) 아이피 멀티캐스트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데이터 전송 방법
WO2017133785A1 (en) Sat-ip server provided with power utilization enhancement function
US20110296483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11780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