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726U - 거푸집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726U
KR19980062726U KR2019970007097U KR19970007097U KR19980062726U KR 19980062726 U KR19980062726 U KR 19980062726U KR 2019970007097 U KR2019970007097 U KR 2019970007097U KR 19970007097 U KR19970007097 U KR 19970007097U KR 19980062726 U KR19980062726 U KR 19980062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ormwork
base material
ho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filed Critical 박형국
Priority to KR2019970007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726U/ko
Publication of KR19980062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726U/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목적]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동바리없이도 고정슬라브구축용 거푸집틀을 안전하고 간편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거푸집틀용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I빔 또는 H빔 등의 모재(2)와, 와이어 로우프나 스트랜드 와이어 또는 PC 강선 등의 인장재(3)와, 인장재의 양단을 물어 당겨서 긴장시키는 조오(44)가 삽입된 쐐기통(43)을 내장한 긴장구(4)와, 상기 인장재(3)를 중간에서 내뻗듯 끼워서 지지하는 아이 보울트(53)를 기판(51)의 저면에 부착된 단관(52)에 삽입한 받침구(5)와, 긴장구 및 받침구 매달기용 ㄱ자형 고정판(6) 및 보울트(7)를 사용하여 트러형으로 조립한 거푸집틀 받침대이다.

Description

거푸집틀용 받침대
윗층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 거푸집틀(a)은 타설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여러개의 동바리(b)로 거푸집틀(a) 또는 그 밑을 받친가설보(c)의 곳곳을 떠받쳐 놔야 한다. 고공 슬라브를 구축할 때, 동바리는 길어져야 한다.
윗층의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슬라브 거푸집틀 밑을 많은 수의 동바리로 떠받쳐야만 했던 이제까지의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현실적으로 비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바리의 설치와 철거에는 인건비의 지출이 늘고 공기지연에도 영향을 주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에도 배제할 수 없거니와 철거한 동바리에서 못을 빼고 정동하는 뒷정리작업에도 상당한 시간과 품을 할애해야 되기 때문이다. 특히 고공에 설치된 슬라브 거푸집을 받여주는 동바리는 더 길고 작업위치가 높기 때문에 모든 면에서 더 불리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저공은 물론 고공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할때 그 거푸집밑을 동바리로 떠받치던 이제까지의 시공방법에는 어떤 형태로든 일대혁신이 필요하다. 바람직하다면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브 거푸집틀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자재의 재활용이 용이하고, 동바리없이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콘크리트 슬라브용 거푸집틀을 지지하며 또한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는 조립식 트러스형 거푸집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I빔 또는 H빔 등의 모재와, 와이어 로우프나 스트랜드 와이어 또는 PC 강선 등의 인장재와, 인장재의 양단을 물어 당겨서 긴장시키는 긴장구와, 상기 인장재를 중간중간 내뻗쳐 지지하는 받침구와, 긴장구 및 받침구 매달기용 고정판과 체결용 보울트로 구성된 조립식 트러스형 거푸집틀 받침대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 고공에 거푸집틀을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형 거푸집틀 받침대의 사시도.
제3도는 긴장구의 사시도.
제4도는 쐐기통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서 일측 긴장구와 그 쪽에 인접한 받침구를 선택하여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B-B방향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고공 또는 저공에 저푸집틀을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거푸집틀 받침대 2:모재
3:인장재 4:긴장구
5:받침대 6:고정판
7:보울트 22:하부 플랜지
41,51:기판 41a,51a,63:보울트공
42:블럭 42a:쐐기통공
43:쐐기통 43a:조오좌
43b:숫나사 43c:각머리
44:조오 52:단관
53:아이 보울트
제2도에서, 조립식 거푸집틀 받침대(1)는 모재(2)와 인장재(3), 긴장구(4)와 받침구(5), 고정판(6) 및 보울트(7)로 조합되어 있다. 모재(2)는 I빔 또는 H빔이며, 플랜지(21,22)는 뉘어서 사용한다. 상부 플랜지(21)는 거푸집틀을 직접 올려놓거나 거푸집틀을 밑받침 다른 받침대를 밑받치는 것으로, 거푸집틀을 설치하기 전에 양쪽 기둥에다 같은 높이에 미리 부착한 빔받침에 양단을 걸터 앉힌다. 하루 플랜지(22)는 긴장구(4)와 받침구(5)를 매다는데 쓰인다.
인장재(3)는 와이어 로우프나 스트랜드 와이어, PC 강선처럼 큰 인장력에도 늘어나지 않는 선재이며, 조립 후 모재(2)에 대하여 사실상의 트러스 역할을 한다.
제3도에서, 긴장구(4)는 모재의 하부 플랜지(22) 양단 부근에 매달린 상태에서 양측 긴장구에 가로 꿰어진 인장재(3)를 최대한 잡아당겨 물어서 안정시켜 일종의 왯지 블럭이며, 기판(41)의 저면에는 쐐기통을 나사끼움할 쐐기통공의 쇄기통(43)을 외측에서 내측을 보고 나사끼움한다.
여기서, 기판(41)의 폭은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의 폭보다도 약간 넓게하여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에 매달 때 횡부가 하부 플랜지(22)의 상면에 얹히는 고정판(6)의 종부의 하단이 타고 앉아 버틸 수 있게 한다. 또, 기판(41)의 사우 부근에는 매달기용 보울트를 끼우는 보울트공(41a)을 천공한다. 폭방향에 위치한 양측 보울트공(41a)간의 최단거리는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의 폭이상으로 띄워서 보울트(7)을 꿸때 보울트가 하부 플랜지(22)에 걸려 뀀에 방해받는 일이 없도록 한다.
제4도에서, 쐐기통공(42a)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의 후반부를 외측단부의 공정이 크게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조오좌(43a)로 하고, 쐐기통(43)의 외주면에서 대략 전반부에는 상기 쐐기통공(42a)에 틀어박을 수 있게 숫나사(43b)를 형성하며, 외주면의 후단에는 스패너 등의 공구로 틀어죄거나 풀기 쉽게 각머리(43c)를 형성한다. 다시 제3도에서, 조오(44)는 내면에 인장재(3)를 집어무는 물림날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상기 조오좌(43a)에 상응하는 테이퍼로 된 원추관의 원주를 등분한 것이다.
제5도에서 받침구(5)는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상에서 양단부가 긴장구(4)에 물려 긴장된 상태에 있는 인장재(3)의 중간중간을 버텨 지지하는 동시에 긴장상태로 머물게 하는 것으로, 모재(2)의 하부 플랜지(2) 저면에 밀착되는 기판(51)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단관(52)을 직각되게 부착하고, 단관(52)에는 아이 보울트(53)를 헐겁게 끼운 것이다. 상기 기판(51)의 폭도 긴장구(4)의 기판(41)과 마찬가지로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이 폭보다도 약간 넓게 형성하여 모재(2)에 받침구(5)를 매달 때 횡부가 플랜지(22)의 상면에 얹히는 고정판(6)의 종부의 하단을 얹혀 버틸 수 있게 한다. 단관(52)은 아이 보울트(53)의 축을 헐겁게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관이고, 아이 보울트(53)는 인장재(3)를 관통시켜 지지하면서 흡사 인장재(3)를 내뻗듯 받쳐서 인장재(3)가 트러스의 역할을 할 때의 중간받침이다. 아이 보울트(53)는 비단 아이 보울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인장재(3)을 깍지끼움하여 버티게 할 수 있으면 된다. 아이 보울트에서 리드가 배제되어도 좋고, 고무줄 새총같은 Y자형이어도 무방하다.
제2,6도에서, 고정판(6)은 긴장구(4) 또는 받침구(5)를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에 매달 대 사용하는 것으로, 긴 횡수(61)와 짧은 종부(62)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한 후강판제이며, 절곡점에 가까운 횡부(61)상에는 현수용 보울트(7)를 수직으로 꿸 복수의 보울트공(63)을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하면 제2도와 같은 양상이다.
조립순서의 일례를 든다. 먼저,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의 단부에서 보받침에 걸터앉힐 부분의 안쪽에다 긴장재(4)의 기판(41)을 올려대고 그쪽 하부 플랜지(22)위에는 고정판(6)의 횡부(61)를 얹은 다음에 기판(41)과 고정판(6)이 보울트공(41a,63)을 일치시키고 거기다 보울트(7)를 꽂아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긴장구(4)를 매단다. 양쪽 긴장구(4) 사이에 하부 플랜지(22)상에는 상기 요령으로 받침구(5)를 매단다.
인장재(3)의 좌측단을 좌측 긴장구(4)의 쐐기통공(42a) 안쪽에서 받깥쪽으로 끼워 조오(44)에 몰려 놓고, 안징재(3)의 받대쪽 끝을 통하여 받침구(5)와 동수의 아이 보울트(53)를 끼운 다음 각 받침구(5)의 단관(52)마다 당해 아이 보울트(53)를 올려 끼운다.
맨 우측 받침구(5)의 아이 보울트(53)로 꿰낸 인장재(3)이 우측단을 우측 긴장구(4)의 쐐기통공(42a)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끼워 빼서 그 조오(44)에 물린다. 상기와는 역순으로 조립해도 마찬가지다. 이 상태에서 일측 또는 양측 쐐기통(43)을 나사가 빠지는 방향으로 돌지 않을 때까지 튼다. 이에 따라 다소 느슨한 상태였던 인장재(3)가 팽팽히 당겨진다.
이렇게 조립된 거푸집을 받침대(1)는 제7도와 같이 마주보게 세운 양 철골기둥(A)의 보받침(B)에 모재(2)의 양단을 걸터 앉히고 모재(2)의 콘크리트 슬라브구축용 거푸집틀(C)을 설치하든가, 또는 가설보(D)를 얹고 가설보(D) 위에 슬라브구축용 거푸집틀(C)을 설치한다. 가설보(D)도 트러스형 받침대(1)를 사용할 수 있다.
거푸집틀(C)과 철근 그리고 타설한 콘크리트의 하중, 거푸집틀(C)과 가설보(D) 그리고 철근 및 타설 콘크리트의 하중은 수직으로 작용하고, 모재(2)는 휨하중을 받게 된다. 휨하중은 받침구(5)를 거쳐 인장재(3)로 분산된다. 하지만 인장재(3)는 양단이 긴장구(4)에 물려서 늘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인장재(3)는 모재(2)의 처짐에 대한 응력을 발휘한다. 그래서 모재(2)는 거푸집틀-철근-콘크리트, 거푸집틀-철근-콘크리트-가설보의 막중한 하중에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고 너끈히 견뎌낼 수가 있다.
사용후 모재(2)를 다른 용도로 전용할 필요가 있다든가 적재부피, 야적부피를 최소화하려고 보울트(7)를 풀면 간단히 해체된다. 모재(2)가 손상되지 않고도 말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거푸집틀 받침대는 I빔 또는 H빔 등이 모재와, 와이어 로우프나 스트랜드 와이어 또는 PC 강선 등의 인장재와, 인장재의 양단을 물어 당겨서 긴장시키는 긴장구와, 상기 인장재를 중간중간 내뻗쳐 지지하는 받침구와, 긴장구 및 받침구 매달기용 고정판과 체결용 보울트로 구성한 것으로, 트러스형이면서 모재와 긴장구, 받침구, 고정판이 모두 비용접식이므로 조립과 해체가 수월하고, 해체하더라도 I빔 또는 H빔 등의 모재는 물론 다른 구성요소등도 재활용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 해체하여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끼리 분리보관이 가능하므로 모재와 부재를 용접해 만든 콘크리트 슬라브구축을 위한 거푸집틀 받대용 트러스에 비해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들고, 따라서 단위면적당 더 많은 수의 부품을 적재 또는 야적할 수 있다.
더구나 이 거푸집틀 받침대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현장에서 모재의 길이만 정하면 튼튼한 트러스형 거푸집틀 받침대를 간단히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또, 저공이든 고공이든 불문하고 콘크리트 슬라브와 고공 콘크리트 슬라브를 막론하고 동바리없이 안전하게 거푸집틀을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공기단축에도 기여한다.
그리고 이 거푸집틀 받침대는 비단 거푸집틀 받침대 뿐만 아니라 기타 보가설보, 작업대 등에도 두루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윗층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틀을 밑쳐주는 트러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동바리없이도 고저 슬라브구추용 거푸집틀을 안전하고 간편 신속하게 설치할 수있는 한 조립식 트러스형 거푸집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Claims (5)

  1. I빔 또는 H빔 등의 모재(2)와, 와이어 로우프나 스트랜드 와이어 또는 PC 강선 등으로서 조립후 모재에 대하여 트러스의 역할을 하는 인장재(3)와, 인장재의 양단을 무는 조오(44)가 삽입된 쐐기통(43)을 내장하여 인장재를 긴장시킬 수 있게 한 긴장구(4)와, 상기 인장재(3)를 중간에서 걸어받쳐서 지지하는 아이 보울트(53)를 기판(51)의 저면에 부착된 단관(52)에 삽입한 받침구(5)와, 긴장구 및 받침구 매달기용 ㄱ자형 고정판(6) 및 보울트(7)로 구성된 조립식 거푸집틀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구(4)는 기판(41)의 저면에 쐐기통나사끼움용 쐐기통공(42a)을 천공한 블럭(42)을 부착하고, 쐐기통공(42a)에는 원주분할형 조오(44)가 내장된 관모양의 쐐기통(43)을 나사끼움한 조립식 거푸집틀용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기판(41)의 폭은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이 폭보다도 약간 넓고, 사우 부근에 매달기 보울트관통용 보울트공(41a)을 천공한 조립식 거푸집틀용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통(43)은 내측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 조오좌(43a)를 형성하고, 외주면의 전반부에는 숫나사(43b)를 형성하고 후단에는 각머리(43c)을 형성한 조립식 거푸집틀용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51)의 폭은 모재(2)의 하부 플랜지(22)의 폭보다도 약간 넓게 형성하고 사우 부근에는 매달기 보울트용 보울트공(53)을 천공한 조립식 거푸집틀용 받침대.
KR2019970007097U 1997-04-07 1997-04-07 거푸집틀용 받침대 KR19980062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97U KR19980062726U (ko) 1997-04-07 1997-04-07 거푸집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97U KR19980062726U (ko) 1997-04-07 1997-04-07 거푸집틀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726U true KR19980062726U (ko) 1998-11-16

Family

ID=6967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097U KR19980062726U (ko) 1997-04-07 1997-04-07 거푸집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72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83B1 (ko) * 2011-12-23 2013-11-14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무지주 거푸집
CN113047625A (zh) * 2021-02-07 2021-06-29 东南大学 一种适用于承载金属梁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CN113047626A (zh) * 2021-02-07 2021-06-29 东南大学 一种承载式钢筋混凝土板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83B1 (ko) * 2011-12-23 2013-11-14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무지주 거푸집
CN113047625A (zh) * 2021-02-07 2021-06-29 东南大学 一种适用于承载金属梁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CN113047626A (zh) * 2021-02-07 2021-06-29 东南大学 一种承载式钢筋混凝土板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9070B (zh) 用钢柱对钢筋混凝土结构梁进行临时支撑加固的施工方法
CN111441572A (zh) 一种楼承板的倒挂式支撑系统
CN211396814U (zh) 支撑横梁与支撑柱连接稳定的钢架厂房
US6779629B2 (en) Rebar anchorage system for horizontal lifeline
US4607470A (en) Pre-stressed construction element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9980062726U (ko) 거푸집틀용 받침대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JP3602479B2 (ja) 橋梁床版用型枠の取付構造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100760332B1 (ko) 캔틸레버형 가설재, 이를 이용한 구조물 축조방법 및 이의해체방법
KR20020053795A (ko) 지붕슬래브의 거푸집 받침장치
CN219654287U (zh) 辅助拆除支模体系的支撑连接结构
JPH09195506A (ja) 梁型枠支持装置
JP3168459B2 (ja) 仮設建築物の組立屋根装置
JP7313910B2 (ja) 手摺装置
KR100360037B1 (ko) 교량용 상부받침 지지장치
CN220789467U (zh) 桥梁t梁加固的施工平台
KR102394128B1 (ko)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CN207109580U (zh) 一种桥梁模数式伸缩装置的锚固结构
KR200367071Y1 (ko) 교량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100667164B1 (ko) 체결봉이 매설된 피.에스.시(psc)빔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