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139U -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 Google Patents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139U
KR19980062139U KR2019970006445U KR19970006445U KR19980062139U KR 19980062139 U KR19980062139 U KR 19980062139U KR 2019970006445 U KR2019970006445 U KR 2019970006445U KR 19970006445 U KR19970006445 U KR 19970006445U KR 19980062139 U KR19980062139 U KR 199800621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bobbin
inlet
notch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중
Original Assignee
김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중 filed Critical 김희중
Priority to KR2019970006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139U/ko
Publication of KR19980062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139U/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섬유 제조시 고속방사 되는 필라멘트가 권취된 만관상태의 보빈을 공보빈으로 자동교환 해주는 과정에서 필라멘트가 파지구에 확실하게 파지되도록 하면서도 절단이 용이 하도록 하는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 보빈(100)의 일단부 근처 외주면에 사도입구(10)와 이 사도입구(10)의 연장상에 사파지구(12)가 구비되고, 이의 사파지구(12)와 이 사도입구(10)의 일측면에 돌출편(22)이 형성되고, 돌출편(22)과 동일부위의 타측면에 압착부(24)가 구비되는 노치(2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본 고안은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를 재질로 하여 제조된 보빈의 단부 근처에 보빈의 원주방향에 따라 설치된 필라멘트 파지구(把持溝)를 개선하므로써, 고속방사시에 권취된 만관(full bobbin)을 공관(Empty bobbin)으로 자동교환 해주는 과정에서 필라멘트가 파지구에 확실하게 파지되도록 하면서도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는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 제조시에 2,500-4,000m/min의 방사속도 POY(partially oriented yarn)나 4,000-5,000m/min의 방사속도 SDY(spin-draw yarn)와 같이 고속 방사에 의해 필라멘트를 직접 보빈에 권취하는 경우 필라멘트가 방사공정에서 직접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만권(滿捲)상태의 보빈에서 공(空)보빈으로 자동교환 될때에는 일시적으로 권취되기 시작하는 필라멘트가 늘어져 필라멘트를 잡아 줄 수가 없는 경우 권취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보빈상에 필라멘트를 확실하게 파지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만권보빈에 공보빈으로 교활될 때에 보빈상에 필라멘트가 파지되지 아니하면 진공정(前工程)에서 고속(高速)으로 공급되는 많은 양의 필라멘트가 권취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다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라멘트의 단부를 파지고정하기 위하여 보빈의 일단부 근처 외주면에 파지부를 설치하고, 이 파지부에 필라멘트가 파지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도 1참조)
상기의 파지부는 양측면이 큰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이의 일측면에는 노치(notch)를 형성시켜 돌기편이 구비되도록 하는 사도입구와 이 사도입구의 연장상에 양측면이 작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노치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편은 일단 사도입구에 들어가서 걸린 필라멘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상당한 도움이 되지만 돌기편이 있는 곳에서는 사도입구의 폭이 좁아져서 필라멘트가 사도입구에 들어가기가 어렵고, 특히 필라멘트가 굵을 수록 사도입구에 들어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파지 성공확률은 더욱 낮아지는 것이다.
또한, 세(細)번수의 필라멘트를 권취할 경우에 사도입구에 충분히 도입되지 않고 파지구에 파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필라멘트가 절단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속으로 권취되는 각종 굵이의 필라멘트를 사도입구에 충분히 도입된 상태에서 파지를 확실히 하도록 하면서도 파지와 동시에 필라멘트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보빈의 일단부 근처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구 일측면에 돌출편을 형성시키고, 타측면에는 압착부가 구비되는 노치(notch)를 형성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권취용 보빈을 펼친 상태도.
(가)는 노치부 확대 상세도.
(나)는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권취용 보빈을 펼친 상태도.
(가)는 A부 확대 상세도.
(나)는 B-B선 단면도.
(다)는 C-C선 단면도.
(라)는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권취용 보빈10:사도입구
12:사파지구20:노치
22:돌출편24:압착부
계속해서 본 고안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본체(100)는 종이를 재질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면에 필라멘트를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 근처 외주면에는 종래와 같이 권취되는 필라멘트가 안내되도록 양측면에 큰 곡면이 형성되고 소정깊이로 이루어지는 사도입구(10:絲導入溝)와 이 사도입구(10)의 연장상에 권취되는 필라멘트가 파지되도록 양측면에 작은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와 동일한 깊이로 이루어지는 사파지구(12:絲把持溝)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파지구(12)의 일측면에는 돌출편(22)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22)과 동일부위의 타측면에는 압착부(24)가 구비되는 노치(20:notch)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24)는 외주면으로부터 큰 곡면(사도입구(10)의 측면에 형성된 곡면과 거의 동일함)을 이루면서 사파지구(12)의 내측으로 압착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고속으로 권취되는 필라멘트가 만권상태의 보빈에서 공보빈으로 자동교환 되어 권취되기 시작할 때 필라멘트는 사도입구(10)에 충분히 안내 삽입된 상태에서 권취되기 시작하여 사파지구(12)에서 파지되고, 사파지구(12)에서 파지되어 권취가 진행되는 필라멘트는 돌출편(22)의 안내에 따라 노치(20)쪽으로 밀리게 되고 압착부(24)의 순간적인 장력감소 작용으로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어 후단부의 사파지구(12)에 깊숙이 삽입되어 짐과 동시에 노치(20)의 손상없이 필라멘트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필라멘트가 권취되기 시작하는 사도입구(10)의 선단에서 부터 파지구(12)의 노치(20)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권취되는 필라멘트가 사도입구(10)에서 충분히 안내 삽입되고 파지구(12)에서 확실하게 파지되도록 하여 만권상태의 보빈에서 공보빈으로의 자동교환이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권취되는 필라멘트의 굵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부가 필라멘트의 장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상부로의 이탈을 방자하여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절단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노치가 파지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권취되는 필라멘트에 의한 공기저항, 가이드로울러에 의한 접촉저항, 기계회전에 따른 진동, 보빈의 치수정밀도, 강도 및 회전등의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아니하므로 원만한 권취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0)의 일단부 근처 외주면에 사고입구(10)와 이 사도입구(10)의 연장상에 사파지구(12)가 구비되는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에 있어서,
    상기 사파지구(12)의 일측면에 돌출편(22)에 형성되고, 이 돌출편(22)과 동일부위의 타측면에 압착부(24)가 구비되는 노치(2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KR2019970006445U 1997-03-31 1997-03-31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KR199800621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45U KR19980062139U (ko) 1997-03-31 1997-03-31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45U KR19980062139U (ko) 1997-03-31 1997-03-31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139U true KR19980062139U (ko) 1998-11-16

Family

ID=6968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445U KR19980062139U (ko) 1997-03-31 1997-03-31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1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9368T3 (es) Transportador de hilo.
US3814347A (en) Starting device for yarn carrier
KR19980062139U (ko) 필라멘트 권취용 보빈
US5791574A (en) Yarn bobbin with improved snagger
KR970061748A (ko) 권취팩키지의 불필요한 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S265841B1 (en) Cylindrical body especially core
JPH05246628A (ja) 糸条巻取り用二重ボビン
US20090173814A1 (en) Yarn carrier
JPS6260783A (ja) 溝付ボビン
JPH0543140A (ja) 糸条巻取り用ボビン
JPH0355582Y2 (ko)
JPH07309537A (ja) 糸条巻取り用紙管
KR970003366Y1 (ko) 고속방사용 금속재 보빈
JPH0750382Y2 (ja) 糸条巻取り用把持具付紙管
JP2537729Y2 (ja) 糸条巻取用ボビン
JPS6126298Y2 (ko)
JPS5848291Y2 (ja) 切り欠ぎ付ボビン
JPH0324544Y2 (ko)
JPH0330378Y2 (ko)
JPH0338218Y2 (ko)
JPS61145087A (ja) 糸巻き用ボビンの製造方法
JPH05270744A (ja) 糸条巻取り用ボビンの製造方法
KR100308095B1 (ko) 실감기용종이실패
JP2507085Y2 (ja) 糸巻き用ボビン
JPH05195341A (ja) ロービングフレーム用プレッサ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