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609U -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 Google Patents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609U
KR19980061609U KR2019970005861U KR19970005861U KR19980061609U KR 19980061609 U KR19980061609 U KR 19980061609U KR 2019970005861 U KR2019970005861 U KR 2019970005861U KR 19970005861 U KR19970005861 U KR 19970005861U KR 19980061609 U KR19980061609 U KR 199800616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b
rear seat
head res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5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609U/ko
Publication of KR19980061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609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뒷좌석에 탑승하는 동승객이 편안하게 착석하도록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에 돌출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가 형성되어 승객의 머리 및 허리, 등부분을 받쳐주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부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수용홀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에 수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되게 이루어진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 중간에 가변형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뒷좌석에 3인탑승시 가운데 착석한 승객이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편리하게 머리를 받쳐주므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신체적인 피로감이 저감됨은 물론 승차시의 안락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예기치 못했던 충돌사고시 머리가 견고하게 받쳐주므로 치명적인 상해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되어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본 고안은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 사이 중간부분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가변형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뒷좌석에 3인탑승시 가운데 위치된 승객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이용되고 있는 시트(seat)는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승차실 내의 배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프론트 시트) 및 뒷 좌석(리어 시트)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벤치 시트와 각각 분리되어 착석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트 시트로 분류한다.
상기 프론트 시트는 운전자가 최적의 운전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 하부에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시트 어져스터(seat adjuster)와, 상기 시트 백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휴식 또는 시트를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레버(reclining lever)장치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시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승객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허리 및 등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elt)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백 상부에 안전 보조용으로 돌출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한쌍의 헤드 레스트(head res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 중앙부에는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동시켜 인출/수납되는 암 레스트가 구비된 리어 시트도 있다.
상기한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과 시트 백 내부에는 골격을 이루는 시트 프레임과, 발포고무재로 시트내에 채워지는 스ㅌ 패드와,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패드의 표면이 덮어지게 직물지로 이루어진 시트 패브릭(seat fabric)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리어 시트를 도 1을 참고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뒷좌석 탑승객의 대퇴부(엉덩이에서 허벅지까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11)과, 상기 시트 쿠션(11)의 후단 상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승객의 허리 및 등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백(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 백(12)은 내부에는 골격을 이루는 시트 프레임과, 발포고무재로 시트 백내에 채워지는 시트 패드,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패드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직물지인 시트 패브릭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백(12)의 상단 양측부에는 탑승한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백(12)의 중앙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동시켜 인출/수납되는 암 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뒷좌석 탑승자가 최적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버튼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시트 쿠션(11)이 전/후 슬라이딩되므로 시트 쿠션(11)의 위치 및 시트 백(12)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파워 시트(power seat/전동식 시트)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리어 시트는 시트 백 상단부 양측에 각각 돌출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뒷좌석에 세명의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가운데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 레스트가 없어 편안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여 신체적인 피로감이 높아져 승차시의 안락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충돌사고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목디스크 부분이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 사이 중간부분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가변형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뒷좌석에 3인탑승시 가운데 위치된 승객이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며 선택적인 사용으로 평상시 미 사용시에는 후방시계 확보함은 물론 사용할 때에는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 유지로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리어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서브 헤드 레스트의 가변 쿠션부 배면에 부착 고정되고 가변 고정수단이 구비된 가이드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시트12 : 시트 백
12a: 헤드 레스트12b: 수용홀
12c: 상/하단고정홈20 : 서브 헤드 레스트
21 : 가변쿠션부21a: 손잡이홈
22 : 가변고정부22a: 탄성체
22b: 고정구23 : 가이드판
23a: 요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뒷좌석에 탑승하는 동승객이 편안하게 착석하도록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에 돌출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가 형성되어 승객의 머리 및 허리, 등부분을 받쳐주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부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수용홀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에 수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되게 이루어진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브 헤드 레스트는 상기 시트 백의 상단부 중간부분에 절개된 수용홀에 삽지되게 이루어진 형상으로 정면 하단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된 가변쿠션부와, 상기 가변쿠션부가 외부로 이탈됨을 막으며 수직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 안내지지되게 배면에 부착 고정되고 하부 일측에 가변고정수단이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고정수단은 가이드판의 배면 하부 일측에 요홈이 형성되고, 그 요홈에 탄성체 및 고정구가 순차적으로 수용 지지되며 상기 시트 백의 수용홀 내부 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단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 중간에 가변형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뒷좌석에 3인탑승시 가운데 착석한 승객이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편리하게 머리를 받쳐주므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신체적인 피로감이 저감됨은 물론 승차시의 안락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예기치 못했던 충돌사고시 머리가 견고하게 받쳐주므로 치명적인 상해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되어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서브 헤드 레스트의 가변쿠션부 배면에 부착 고정되고 가변고정부가 구비된 가이드판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어 시트(10)는 뒷좌석에 탑승하는 동승객이 편안히게 착석하도록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에 돌출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12a)가 형성되어 승객의 머리 및 허리, 등부분을 받쳐주는 시트 백(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시트(10)의 시트 백(12)상단부 중간부분에 소정형상으로 절개되어 수용홀(12b)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12b)에 수납 고정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되게 이루어진 서브 헤드 레스트(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 헤드 레스트(20)는 상기 시트 백(12)의 상단부 중간부분에 절개된 수용홀(12a)에 삽지되게 이루어진 형상으로 정면 하단부에 손잡이홈(21a)이 형성된 가변쿠션부(21)와, 상기 가변쿠션부(21)가 외부로 이탈됨을 막으며 수직 상/하 슬라이딩 안내시 안내지지되게 배면에 부착 고정되고 하부 일측에 가변고정부(22)가 형성된 가이드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고정부(22)는 가이드판(23)의 배면 하부 일측에 요홈(23a)이 형성되고, 그 요홈(23a)에 탄성체(22a) 및 고정구(22b)가 순차적으로 수용 지지되며 상기 시트 백(12)의 수용홀(12b) 내부 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단고정홈(1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헤드 레스트(20) 사용할 때는 먼저 가변쿠션부(21)의 정면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홈(21a)을 파지한 후 수직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이드판(23)에 구비된 가변고정부(22)의 고정구(22c)가 요홈(23a)내에서 탄성적으로 작동되어 시트 백(12)의 수용홀(12b) 내부면에 형성된 하단고정홈(12c)에서 이탈 분리되어 록크 해제되므로 상기 가변쿠션부(21)의 배면에 취부된 가이드판(23)에 의해 가변쿠션부(21)가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슬라이딩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변고정부(22)의 고정구(22b)는 탄성체(22a)에 의해 항상 탄지되므로 상기 수용홀(12b)의 상단고정홈(12c)에 삽지되어 록킹되므로 상기 가변쿠션부(22)가 상부에 위치 고정된다.
또한 상부에 위치 고정된 가변쿠션부(22)를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가변쿠션부(21)를 아래방향으로 눌러주면 수용홀(12b)의 상단고정홈(12c)에서 가변고정부(22)의 고정구(22b)가 이탈 분리되어 록크 해제되므로 상기 가변쿠션부(21)가 시트 백(12)의 수용홀(12b)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다시 하단고정홈(12c)에 상기 고정구(22b)가 삽지되어 록크되어 원위치된다.
상기 시트 백(12)의 수용홀(12b)내에 가변쿠션부(21)가 수용되면 시트 백(12)의 일부분이 되고 상기 가변쿠션부(21)가 상부로 돌출되면 서브 헤드 레스트(20)가 된다.
따라서 리어 시트(10)의 시트 백(12)에 구비된 가변쿠션부(21)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 고정시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평상시에는 후방의 시계확보를 위하여 시트 백(12)의 수용홀(12b)a에 수납시키고 승차실의 뒷좌석에 3인 탑승시 가운데 착석하는 탑승객의 선택에 따라 가변쿠션부(21)로 겸용으로 사용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 중간에 가변형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뒷좌석에 3인탑승시 가운데 착석한 승객이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편리하게 머리를 받쳐주므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신체적인 피로감이 저감됨은 물론 승차시의 안락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예기치 못했던 충돌사고시 머리가 견고하게 받쳐주므로 치명적인 상해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되어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뒷좌석에 탑승하는 동승객이 편안하게 착석하도록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에 돌출된 한쌍의 헤드 레스트가 형성되어 승객의 머리 및 허리, 등부분을 받쳐주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백 상단부 중간부분이 소정형상으로 절개되어 수용홀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에 수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되게 이루어진 서브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헤드 레스트는 상기 시트 백의 상단부 중간부분에 절개된 수용홀에 삽지되게 이루어진 형상으로 정면 하단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된 가변쿠션부와, 상기 가변쿠션부가 외부로 이탈됨을 막으며 수직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 안내지지되게 배면에 부착 고정되고 하부 일측에 가변고정수단이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수단은 가이드판의 배면 하부 일측에 요홈이 형성되고, 그 요홈에 탄성체 및 고정구가 순차적으로 수용 지지되며 상기 시트 백의 수용홀 내부 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단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KR2019970005861U 1997-03-26 1997-03-26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KR199800616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61U KR19980061609U (ko) 1997-03-26 1997-03-26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61U KR19980061609U (ko) 1997-03-26 1997-03-26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09U true KR19980061609U (ko) 1998-11-05

Family

ID=6969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861U KR19980061609U (ko) 1997-03-26 1997-03-26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6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7556A1 (en) Automobile vehicle seat adaptable to accommodate a child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19980061609U (ko) 서브 헤드 레스트 구조를 갖춘 리어 시트
KR100358912B1 (ko) 차량 리어시트의 아암레스트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0147888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사이드부 조절장치
JPH0236753Y2 (ko)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19980049945U (ko) 암레스트가 형성된 차량용 리어시트
KR10046114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JP3272916B2 (ja) 育児器具の座席
JP2023141218A (ja) 車両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00587797B1 (ko) 다목적 차량용 리어시트
KR0140520Y1 (ko) 자동차 시트의 2단 리클라이닝 장치
KR0159211B1 (ko) 자동차 시트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9980077703A (ko) 세퍼레이트 시트의 암레스트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KR980008738A (ko) 보조 시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프런트 시트
JPH093030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構造
KR19980057750A (ko)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KR980008732A (ko) 보조 시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KR19980049949U (ko) 홀더가 형성된 차량용 리어시트
KR19980068835A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헤드폼
JPH11189078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