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750A -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750A
KR19980057750A KR1019960077052A KR19960077052A KR19980057750A KR 19980057750 A KR19980057750 A KR 19980057750A KR 1019960077052 A KR1019960077052 A KR 1019960077052A KR 19960077052 A KR19960077052 A KR 19960077052A KR 19980057750 A KR19980057750 A KR 1998005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child
pediatric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750A/ko
Publication of KR1998005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750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 양측 중앙부에 보호부를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시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시 시트에 착석한 소아를 보호할 수 있는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쿠션 하단에 수직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보호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는 차량에 충돌이 가해질 때 상기 보호부를 전방 선회시켜 시트에 착석한 소아가 전방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후면에 수납홈을 다수 형성하는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에 소아를 탑승시킬 때에 시트에 일체로 보호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소아보호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도 소아가 전/좌/우측으로 급속히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아를 보호할 수 있어서 이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본 발명은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 양측 중앙부에 보호부를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시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시 시트에 착석한 소아를 보호할 수 있는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이용되고 있는 시트(seat)는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승차실 내의 배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프론트 시트)및 뒷 좌석(리어 시트)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벤치 시트와 각각 분리되어 착석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트 시트로 분류한다.
또한 시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승객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허리 및 등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으로 구성되며, 시트 백 상부에 안전 보조용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운전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 레스트(head rest)가 포함된 구조도 있다.
이러한 시트 내부에는 프레임 파이프와, 와이어 스프링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판으로 골격을 이루는 시트 프레임과, 발포고무재로 시트내에 채워지는 시트 패드,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패드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직물지인 시트 패브릭 및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리프트와, 운전자가 최적의 운전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 하부에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시트 어져스터(seat adjuster), 상기 시트 백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휴식 또는 시트를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레버(reclining lever)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트쿠션, 시트 백과 헤드 레스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도1을 참고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승객의 대퇴부(엉덩이에서 허벅지까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10)과, 상기 시트 쿠션(10)의 후단 상부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객의 허리 및 등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백(20)과, 상기 시트 백(20)의 상단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객의 머리부분을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 백(20)은 내부에는 골격을 이루는 시트 프레임과, 발포고무재로 시트 백내에 채워지는 시트 패드,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패드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시트 패브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시트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최적의 운전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10) 후단 상부에 구비된 시트 백(20)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시트 쿠션(20) 하부에 구비되어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시트 어져스터(도시생략)를 작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성인의 신체를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에는 별도의 보호구 등을 시트에 안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등받이 양측 중앙부에 보호부를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시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시 시트에 착석한 소아를 보호할 수 있는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시트 41 : 쿠션
43 : 등받이 45 : 보호부
47 : 수납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쿠션 하단에 수직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보호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는 차량에 충돌이 가해질 때 상기 보호부를 전방 선회시켜 시트에 착석한 소아가 전방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후면에 수납홈을 다수 형성하는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에 소아를 탑승시킬 때에 별도의 소아보호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도 소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본 고안에 따른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차량용 시트(40)의 쿠션(41) 하단에 수직 형성된 등받이(4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등받이(43) 양측에는 보호부(45)가 힌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보호부(45)는 차량에 충돌이 가해질 때 상기 보호부를 전방 선회시켜 시트에 착석한 소아가 전방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보호부(45)를 전방으로 선회시킬 시 각종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47)을 다수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아를 시트(40)에 착석시킨 후 보호부(45)를 전방으로 대략 90°정도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상기 시트(40)에 착석한 소아가 전방 내지 좌/우측방향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것을 상기 보호부(45)에 의해 방지하여 소아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부(45)의 수납홈(47)에는 각종 수납물을 고정시켜 둘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에 소아를 탑승시킬 때에 시트에 일체로 보호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소아보호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도 소아가 전/좌/우측으로 급속히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아를 보호할 수 있어서 이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쿠션 하단에 수직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보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차량에 충돌이 가해질 때 상기 보호부를 전방 선회시켜 시트에 착석한 소아가 전방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후면에 수납홈을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 보호용 시트 안전장치.
KR1019960077052A 1996-12-30 1996-12-30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KR1998005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52A KR19980057750A (ko) 1996-12-30 1996-12-30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52A KR19980057750A (ko) 1996-12-30 1996-12-30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750A true KR19980057750A (ko) 1998-09-25

Family

ID=6639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052A KR19980057750A (ko) 1996-12-30 1996-12-30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11B1 (ko) * 2005-03-25 2007-03-26 이창남 말뚝 뺀 구멍을 채우는 연약지반 수평다짐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11B1 (ko) * 2005-03-25 2007-03-26 이창남 말뚝 뺀 구멍을 채우는 연약지반 수평다짐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505A (en) Head restraint for passenger vehicles
US3722951A (en) Vehicle passenger safety device
US3627379A (en) Backrest for a seat especially of a motor vehicle
NO821747L (no) Barnesete for personbil
CA2147049A1 (en) Seat
GB2154131A (en) Child's vehicle seat
US3366417A (en)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back
EP0602935B1 (en) Infant-care apparatus
KR20010015233A (ko) 컨버터블 헤드레스트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19980057750A (ko) 소아 보호용 시트안전 장치
EP1948471A2 (en) Seat for vehicles
US3515434A (en) Seat arrangement
JP3272916B2 (ja) 育児器具の座席
JP2001010379A (ja) 自動車用のシート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JPS634655Y2 (ko)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0138702Y1 (ko) 유아 보호 시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9980068835A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헤드폼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9980022542U (ko) 탑승자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리어시트
KR19980049945U (ko) 암레스트가 형성된 차량용 리어시트
KR19980024030U (ko) 다목적용 시트를 구비한 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