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173A -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173A
KR19980061173A KR1019960080543A KR19960080543A KR19980061173A KR 19980061173 A KR19980061173 A KR 19980061173A KR 1019960080543 A KR1019960080543 A KR 1019960080543A KR 19960080543 A KR19960080543 A KR 19960080543A KR 19980061173 A KR19980061173 A KR 1998006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racket
torque rod
disposed
frame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8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173A/ko
Publication of KR1998006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173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100), 이 기저브라켓트의 좌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우측프레임(101, 102), 상기 좌우측프레임(101, 102)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우측리어액슬(103, 104),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우측프레임(101, 102)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우측상단토오크로드(105, 107),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우측프레임(103, 104)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우측하단토오크로드(106, 108),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완충부재(109), 상기 좌우측하단토오크로드(106, 108)와 완충부재(109) 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1·2보강판(109)으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109)에 의해 험로 주행시 또는 하중 적재시 축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부품수가 절감됨은 물론 조립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의 일측 끝단이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에 취부됨으로 인해 좌우측리어액슬(102, 104)의 승하강궤적이 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완충부재에 의해 축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부품수의 절감 및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좌측하단 토오크로드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가 기저브라켓트에 취부되어 현가기능수행시 리어액슬의 승하강궤적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 주행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써, 그 구성은,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스프링과, 이 코일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오버와,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위암 및 로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리어현가장치에 있어서, 대형트럭에서는 2축식 리어현가장치가 사용되는 바, 그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1)와, 이 기저브라켓트(1)에 이퀄라이저회전축(2)을 매개로 배설되도록 된 이퀄라이저멤버(3)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의 좌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측프레임(4)과, 이 좌측프레임(4)의 하단에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측리어액슬(5)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우측프레임(6)과, 이 우측프레임(6)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우측리어액슬(7)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와 좌측프레임(4)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상단토오크로드(8)와, 상기 이퀄라이저멤버(3)와 좌측프레임(4)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하단토오크로드(9)와, 상기 이퀄라이저멤버(3)와 우측프레임(6)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상단토오크로드(10)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와 우측프레임(6)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하단토오크로드(11)와, 상기 이퀄라이저멤버(3)와 좌측하단토오크로드(9)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고정부재(12)를 매개로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9)에 취부되어 진동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된 제 1 완충부재(13) 및, 상기 이퀄라이저멤버(3)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11)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고정부재(14)를 매개로 상기 우측하단토오크로드(11)에 취부되어 진동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된 제 2 완충부재(1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 및 차축이 받는 반동회전력등은 좌우측의 토오크로드(8, 9, 10, 11)를 거쳐 좌우측의 프레임(5, 6)에 전달됨으로써 용이하게 흡수 또는 분산됨과 더불어 제 1·2완충부재(13, 15)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어현가장치에 의하면, 험로 주행시 또는 하중 적재시 축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별도의 이퀄라이저회전축(2)과 이퀄라이저멤버(3)가 배설됨으로인해 부품수가 증가되어 조립성의 저하 및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좌측하단토오크로드(9)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11)의 일측 끝단이 상기 이퀄라이저멤버(3)에 취부됨으로 인해 좌우측리어액슬(5, 7)의 승하강궤적이 불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험로 주행시 또는 하중 적재시 축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1개의 완충부재를 기저브라켓트에 배설함으로 인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조립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좌측하단토오크로드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의 일측 끝단이 상기 기저브라켓트에 취부됨으로 인해 좌우측리어액슬의 승하강궤적이 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에 따른 리어현가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현가장치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저브라켓트101 : 좌측프레임
102 : 좌측리어액슬103 : 우측프레임
104 : 우측리어액슬105 : 좌측상단토오크로드
106 :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7 : 우측상단토오크로드
108 :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9 : 완충부재
110 : 제 1 보강판111 : 제 2 보강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 이 기저브라켓트의 좌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측프레임, 이 좌측프레임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측리어액슬, 상기 기저브라켓트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우측프레임, 이 우측프레임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우측리어액슬,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좌측프레임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상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좌측프레임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하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우측프레임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상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우측프레임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하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완충부재,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와 완충부재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1 보강판, 상기 우측하단토오크로드와 완충부재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2 보강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현가장치의 구조도로서, 본 발명의 리어현가장치가,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100)와, 이 기저브라켓트(100)의 좌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측프레임(101)과, 이 좌측프레임(101)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측리어액슬(102)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우측프레임(103)과, 이 우측프레임(103)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우측리어액슬(104)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측프레임(101)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상단토오크로드(105)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측프레임(101)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우측프레임(103)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상단토오크로드(107)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우측프레임(103)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완충부재(109)와,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완충부재(109) 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1 보강판(110) 및, 상기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와 완충부재(109) 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2 보강판(11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 및 차축이 받는 반동회전력등은 좌우측의 토오크로드(105, 106, 107, 108)를 거쳐 좌우측의 프레임(101, 103)에 전달됨으로써 용이하게 흡수 또는 분산됨과 더불어 완충부재(109)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에 배설된 완충부재(109)에 의해 험로 주행시 또는 하중 적재시 축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별도의 이퀄라이저회전축과 이퀄라이저멤버가 배설된 종래의 리어현가장치보다 부품수가 절감됨은 물론 조립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의 일측 끝단이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에 취부됨으로 인해 좌우측리어액슬(102, 104)의 승하강궤적이 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어현가장치가,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 이 기저브라켓트의 좌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측프레임, 이 좌측프레임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측리어액슬, 상기 기저브라켓트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우측프레임, 이 우측프레임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우측리어액슬,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좌측프레임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상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좌측프레임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하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우측프레임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상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와 우측프레임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하단토오크로드, 상기 기저브라켓트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완충부재,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와 완충부재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1 보강판, 상기 우측하단토오크로드와 완충부재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2 보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험로 주행시 또는 하중 적재시 축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부품수가 절감됨은 물론 조립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와 우측하단토오크로드의 일측 끝단이 상기 기저브라켓트에 취부됨으로 인해 좌우측리어액슬의 승하강궤적이 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형트럭에서 사용되는 2축식 리어현가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이루도록 된 기저브라켓트(100)와, 이 기저브라켓트(100)에 좌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좌측프레임(101)과, 이 좌측프레임(101)의 하단에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좌측리어액슬(102)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차체에 취부되도록 된 우측프레임(103)과, 이 우측프레임(103)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우측리어액슬(104)과,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측프레임(101)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상단토오크로드(105)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좌측프레임(101)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우측프레임(103)의 상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상단토오크로드(107)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와 우측프레임(103)의 하단부사이에 양끝단이 취부되도록 된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와, 상기 기저브라켓트(100)의 하단 소정부위에 배설되도록 된 완충부재(109)와, 상기 좌측하단토오크로드(106)와 완충부재(109) 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1 보강판(110) 및 상기 우측하단토오크로드(108)와 완충부재(109)사이에 배설되도록 된 제 2 보강판(1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019960080543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9980061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543A KR19980061173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543A KR19980061173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173A true KR19980061173A (ko) 1998-10-07

Family

ID=6642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543A KR19980061173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1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425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9980061173A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00261426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00261424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20015027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9990024369A (ko) 강성 보강구조의 세미 트레일리 암 브라켓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KR200274549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82684B1 (ko)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부의 고정구조
KR0145652B1 (ko)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19990056793A (ko)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KR19990029628U (ko) 어퍼 아암바와 캠버심 및 어퍼 콘트롤 아암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9980049880U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KR19980064650U (ko)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
KR20050045743A (ko) 리어 서스펜션
KR19980040149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안티 피치바
KR19990059800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