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162U -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162U
KR19980059162U KR2019970008940U KR19970008940U KR19980059162U KR 19980059162 U KR19980059162 U KR 19980059162U KR 2019970008940 U KR2019970008940 U KR 2019970008940U KR 19970008940 U KR19970008940 U KR 19970008940U KR 19980059162 U KR19980059162 U KR 19980059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ing
water
inclined surface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6196Y1 (ko
Inventor
고조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고조 기무라
아이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조 기무라, 아이테크 (주) filed Critical 고조 기무라
Publication of KR19980059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자유롭게 또한 간단히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난류(亂流)의 발생을 극히 억제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고안에서 유량조절밸브(70)은 케이싱(71)과, 스토퍼(72)와, 수나사(73)와, 구체(74)와, 용수철(75)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체(74)와 스토퍼(72)는 첵 밸브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의 개방구(77)의 개방되는 수나사(73)를 회전조작함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제 1 의 개방구(76)로부터 유입한 물은 구체(74)의 구면을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하여, 제 2 의 개방구(77)로부터 밸브의 밖으로 방출된다.

Description

유량조절밸브
본 고안은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관내에 설치되어 물의 방출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유량조절밸브는 「절수밸브」라고도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의 수도꼭지 부근에는 예를 들면 핸들식의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있고, 이 개폐펄프의 조작에 의해서 수도꼭지로부터 원하는 양의 물을 방출한다. 이러한 수도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가령 얼마 안되는 물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이따금 개폐밸브를 크게 열어, 다량의 물을 쓸데없이 방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물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도관에 절수밸브를 설치한다고 하는 연구가 종래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도 13 및 도 14 는 이와 같은 절수밸브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절수밸브(1)는 예를 들면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관의 수도꼭지 부근에 설치된다. 절수밸브(1)는 속이 빈 케이싱(2)과, 금속제구체(16)와, 용수철(17)을 구비한다. 케이싱(2)의 상단에는 개방구(2a)를 가지는 날밑부재(20)가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2)은 통형상부(19)와, 테이퍼부(18)와, 저벽(2b)을 포함한다. 테이퍼부(18)에는 물의 출구가 되는 개방구(4)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16) 및 용수철(17)은 케이싱(2)내에 수용되어 있다. 날밑부재(20)의 저부(底部)는 통형상부(19)내에 끼워져 들어가고, 구체(16)가 상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용수철(17)은 구체(16)와 저벽(2b)의 사이에 배치되고, 구체(16)를 밑에서 지탱하고 있다. 테이퍼부(18)의 내부면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쇠퇴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개방구(14)는 이 테이퍼형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것 같은 태양으로 절수밸브(1)를 사용한 경우,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은 화살표(5)에 따라서 절수밸브(1) 내로 보내진다. 물이 절수밸브(1)내로 보내지면, 구체(16)는 수압에 의해서 눌려져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가이, 구체(16)가 테이퍼부(18)가 접촉하게 된다. 물은 구체(16)와 테이퍼부(18)의 간극을 통하여 개방구(4)로부터 절수밸브(1)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절수밸브(1)의 경우, 개방구(4)의 개방도에 의해 방출유량이 좌우된다. 개방구(4)의 개방도는 구(16)와 테이퍼부(18)와의 접촉위치에 의해서 결정되는 테이퍼부(18)의 내면의 경사각도가 수직에 근접하게 되면, 구체(16)와 테이퍼부(18)의 접촉위치는 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개방구(4)의 개방도는 커진다. 한편, 테이퍼부(18)의 내면의 경사각도가 수평방향에 근접하게 되면, 구체(16)와 테이퍼부(18)의 접촉위치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개방구(4)의 개방도는 보다 작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절수밸브(1)의 경우, 테이퍼부(18)의 내면의 경사각도를 다르게 함에 따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수밸브(1)에서는 테이퍼부(18)의 내면의 경사각도에 의해서 거의 일의적(一義的)으로 절수밸브(1)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이 결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복수의 장소에서 물의 조임량을 다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테이퍼부(18)의 내면의 경사각도를 다르게 한 복수종류의 절수밸브를 준비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하여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물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도관내에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로서, 케이싱과, 경사면체와, 수나사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측벽과 저벽을 구비하고, 상단에 물의 출입구가 되는 제 1 의 개방구를 가지며, 측벽에 물의 출입구가 되는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를 가진다. 경사면체는 제 2 의 개방구의 개방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케이싱내에 배치되고, 제 1 의 개방구측으로 향하는 정점과, 이 정점에서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져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수나사를 케이싱에 설치된 암나사에 나사결합하여, 경사면체를 밑에서 지탱한다. 수나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경사면체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폐색되는 상기 제 2 의 개방구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상기 고안에 의하면, 단지 수나사의 위치를 조절하기만 해도, 제 2 의 개방구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유량이 다른 복수의 장소가 있더라도, 같은 구조의 유량조절밸브를 복수개 준비해 두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경사면체가 제 1 의 개방구측으로 향하는 정점에서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져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의 개방구에서 유입한 물은 경사면을 따라서 제 2 의 개방구까지 유연하게 흐른다. 따라서, 난류(亂流)의 발생이 극히 방지되어, 희망하는 유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는 수나사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체를 수나사의 상단에 고정해두면, 유량조절밸브의 방향을 역회전시키더라도 사용가능하게 된다.
유량조절밸브를, 통상의 방식과는 역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에 넣는 다면,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진다.
즉, 케이싱의 측벽은 제 1 의 개방구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직경이 축소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가지는 테이퍼부와, 테이퍼부의 내면의 하단부에서 똑바르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면을 가지는 통형상부를 가진다. 경사면체의 하단부는 통형상부의 내면에 밀접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케이싱의 저벽이 제 1 의 개방구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싱은 수도관의 수도꼭지 부근에 설치된다. 경사면체는 테이퍼부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경사면체의 하단부와 테이퍼부의 내면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물의 유량조정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방향과는 반대의 상태로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물은 수평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제 1 의 개방구에서 방출되게 되어, 상방에서 본 경우에, 조절밸브로부터의 방수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손을 씻는 곳등에 상기한 바와 같은 태양으로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면, 손을 씻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절수효과도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의 저벽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수나사의 저면에는, 관통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렌치를 받아들이기 위한 렌치구멍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수나사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의 경사면은 구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는 원뿔 또는 각뿔형상을 가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의 경사면은 오목한 만곡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는 구체이고, 수나사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상기의 경우, 케이싱에는, 구체가 제 1 개방구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구체와 수나사의 사이에, 구체를 스토퍼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용수철이 배치된다. 그리고, 구체와 스토퍼가 첵 밸브기능을 수행하도록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절수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절수밸브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절수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은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은 경사면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경사면체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 은 종래의 절수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낸 절수밸브의 단면도.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낸 절수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경사면체31:절수밸브
32:케이싱33:수나사
70:유량조절밸브71:케이싱
72:스토퍼73:수나사
74:구체75:용수철
76:제 1 의 개방구77:제 2 의 개방구
79:렌치구멍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과 관계되는 유량조절밸브(절수밸브:31)는 하나의 부품에 의해 성형되는 원통형의 케이싱(32)을 구비한다. 케이싱(32)의 측벽에는, 물의 출입구가 되는 개방구(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32)의 저벽을 관통하도록 나사(3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를 사용하여, 유량조절밸브(32)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싱(32)의 상단에는 개방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2)은 테이퍼부(36)와 통형상부(37)를 포함한다. 테이퍼부(36)는 개방구(32a)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직경이 축소하면서 연장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가지며, 통형상부(37)는 상기의 테이퍼 형상의 내면의 하단부에서 똑바르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면을 가진다. 케이싱(32)의 저벽(32b)에는, 나사홈이 새겨진 관통구멍(38)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38)에, 나사(33)가 나사부착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33)의 두부(33a)상에는 제 1 의 개방구(32a)측으로 향하는 정점과, 이 정점에서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34)를 향하여 경사져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면체(3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체(30)의 경사면은 구면이다.
경사면체(30)의 하단테두리은 통형상부(37)의 내면에 밀접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사면체(30)는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34)를 부분적으로 패색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절수밸브(3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사용시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화살표(35)를 따라서 물이 제 1 의 개방구(32a)에서 절수밸브(31)내로 보내진다. 또한, 도시한 절수밸브(31)의 경우, 경사면체(30)가 나사(33)의 두부에 고정되고, 나사(33)가 케이싱(32)에 나사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수밸브(31)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물이 반대의 방향에서 흐르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 의 화살표(35)로 나타내는 것같이, 개개방구(32a)를 통해서 케이싱(32)내로 보내진 물은 경사면체(30)의 경사면을 따라서 방향전환하여, 개방구(34)를 통하여 밸브의 밖으로 방출된다. 이때, 개방구(34)를 통해서 방출되는 물의 유량은 경사면체(30)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경사면체(30)의 위치는 나사(33)를 회전조작함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나사(33)를 회전조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방구(34)의 실질적인 개방구량(개방도)을 조절할 수 있다.
나사(33)를 회전조작함에 의하여 물의 유량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1 종류의 밸브(31)를 다수 준비해 두면, 다른 유량을 필요로 하는 몇갠가의 장소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밸브내에 유입한 물은 경사면체(30)이 경사면에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하여 흐르기 때문에, 난류(亂流)의 발생을 극히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희망하는 유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나사(33)의 나사부의 길이(L)는 케이싱(32)의 저면(32c)에서의 통형상부(37)의 높이(H)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도 2 에 나타나는 상태와는 역회전한 상태(수도관내에서 케이싱(32)의 저벽(32b)을 상류측에 배치한 상태)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3 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相當)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나사(33)의 두부(33a)와, 케이싱(32)의 저벽(32b)과의 사이에, 용수철(40)이 개재하고 있다. 용수철(40)은 나사(33)의 두부(33a)를, 케이싱(32)의 저벽(32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용수철(40)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나사(33)와 케이싱(32)의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4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나사(33)에 나사부착되는 암나사(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나사(39)는 케이싱(32)의 저면(32c)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33)를 회전조작한 경우의 공동회전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암나사(3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나사(33)를 케이싱(32)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사(33)의 느슨함이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관통구멍(38)의 내면에 반드시 나사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청구항 1 에 있어서의 「암나사」는 도 4 에 나타나고 있는 암나사(39)의 내면의 암나사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의 형태 4]
도 5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32)이 저면(32c)에 오목부(4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2)내에 암나사(39)가 끼워져 들어간다. 여기에서, 오목부(42)의 측벽은 암나사(39)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함에 의해 암나사(39)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싱(32)의 저벽(32b)의 일부를, 암나사 지지부(41)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 4 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의 형태 3의 경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케이싱(32)의 저면(32c)에 오목부(42)를 설치하였지만, 케이싱(32)의 저면(32c)의 주변부를 하방으로 수직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결과로서 암나사(39)를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에, 도 6 및 도 7 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5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절수밸브(31)를, 실시의 형태 1 의 경우와는 상하 역회전시킨 상태로 사용한다. 도 6 을 참조하여, 케이싱(32)의 저벽(32b)를 개방구(32a)보다도 수도관의 상류측에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물은 화살표(35)를 따라서 개방구(34)로부터 케이싱(32)내로 들어가고, 개방구(32a)로부터 유출한다. 이때, 도 6 에 나타나는 것같이, 나사(33)의 두부(3a) 및 경사면체(30)는 테이퍼부(36)내에 배치된다. 경사면체(30)의 하단테두리와 테이퍼부(36)의 간극이 작은 경우에는 이 간극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커지고, 이 때문에, 물은 수평방향으로 넓어지게 되는 절수밸브(1)로부터 유출한다. 결국, 절수밸브(1)의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물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이 작기 때문에 물의 유량은 작게 억제된다.
한편, 상기의 간극을 크게함에 의해 물의 유량을 증대시키는 것은 가능하게 되지만, 방출되는 물의 넓이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작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감안하여, 본 실시의 형태 5 에 있어서의 절수밸브(1)는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손 씻는 곳의 수도관(14)의 수도꼭지에 설치되는 속이 빈 수도꼭지 쇠붙이(13)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수도꼭지 쇠붙이(13)를 통해서 방출되는 물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손을 씻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수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에, 도 8 을 사용사여,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6 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수밸브(51)는 케이싱(52)과, 수나사(53b)와, 경사면체(50)를 구비한다. 케이싱(52)의 상단에는 개방구(52a)가 형성되고, 측벽에도 복수의 개방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52)은 테이퍼부(56)와, 통형상부(57)와, 저벽(52b)을 가진다.
경사면체(50)는 구면의 형태로 되어있는 경사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의 개방구(52a)를 통해서 절수밸브(51)내로 유입한 물은 경사면체(50)의 경사면을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하여, 제 2 의 개방구(54)로부터 밸브의 밖으로 나간다. 이 경사면체(50)는 수나사(53b)의 상면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케이싱(52)의 통형상부(57)의 내면에는, 수나사(53b)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57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52)의 저벽(52b)에는 관통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나사(53b)의 저면에는 수나사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렌치구멍(53c)의 형성되어 있다. 렌치구멍(53c)은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육각구멍이지만, 원 이외의 형상이면 다른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수나사(53b)를 회전조작하는 때에는, 렌치(도시하지 않음)를 케이싱(52)의 저벽(52b)의 관통구멍(58)을 통해서 렌치구멍(53c)내에 끼워 넣고, 이 렌치를 회전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수나사(53b)가 회전하고, 케이싱(52)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경사면체(50)도 이것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방구(54)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도 9 에 있어서,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 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경사면체(60)는 구체이고, 수나사(53b)의 상면에 예를 들면 용접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렌치구멍(53c)에 렌치를 끼워 넣어 수나사(53b)를 회전조작하면, 구체(60)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구(54)의 개방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8]
도 10 에 나타내는 절수밸브(70)는 케이싱(71)과, 케이싱(71)의 상단에 끼워진 스토퍼(72)와, 케이싱(71)의 하방부분의 내면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수나사(73)와, 구체(74)와, 용수철(75)을 구비한다.
스토퍼(72)는 물의 유입구가 되는 제 1 의 개방구(76)를 가진다. 케이싱(71)은 물의 유출구가 되는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77)를 가진다. 수나사(73)의 상면에는 용수철(75)의 하방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것같이, 케이싱(71)의 저면에는 관통구멍(80)이 형성되고, 수나사(73)의 저면에는 렌치구멍(79)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72)는 케이싱(71)내에 수용된 구체(74)가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용수철(75)은 구체(74)를, 스토퍼(72)에 접촉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74)와 스토퍼(72)는 첵 밸브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 1 의 개방구(76)로부터 제 2 의 개방구(77)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하지만, 그 반대의 흐름은 저지한다.
다음에, 도 10 에 나타낸 절수밸브(7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이 제 1 개방구(76)를 통하여 케이싱(71)내로 유입하면, 구체(74)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구체(74)는 케이싱(71)의 내벽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73)의 상면에 접촉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물은 구체(74)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지 않은 제 2 의 개방구(77)의 영역을 통하여 방출된다. 제 2 의 개방구(77)의 개방도는 구체(74)의 정지위치(수나사(73)와 접촉하여)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케이싱(71)의 저벽의 관통구멍(80)을 통해서 렌치구멍(79)내에 끼워 넣은 렌치에 의해서 수나사(73)를 회전조작하면, 제 2 의 개방구(77)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제 1 의 개방구(76)를 통하여 유입한 물은 구체(74)의 구명을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되어 제 2 의 개방구(77)에 이르기 때문에, 난류의 발행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희망하는 유량을 얻을 것이 용이하다.
도 10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구체(74)와 스토퍼(72)가 첵 밸브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도 11 은 경사면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싱에 나사결합하여 설치되는 수나사(90)의 두부에는 사각뿔의 형태로 되어있는 경사면체(91)가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체(91)의 4개의 측면은 각각, 케이싱의 측벽에 설치된 물의 유출구가 되는 4개의 개방구에 마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케이싱의 제 1 의 개방구에서 유입한 물은 경사면체(91)의 측면을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각 대응하는 개방구에서 밸브의 밖으로 방출된다.
도 11 에 나타낸 경사면체(91)는 사각뿔의 형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삼각뿔등의 다른 각뿔이라도 되고, 또한 원뿔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10]
도 12 는 경사면체의 또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싱에 나사결합하여 부착되는 수나사(92)의 상면에는 오목한 만곡면을 가지는 경사면체(93)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경사면체(93)의 정점측에서 유입한 물은 오목한 만곡면을 따라서 유연하게 방향전환되어 유출구가 되는 개방구로 향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가지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균등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 라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내용없음

Claims (9)

  1. 수도관내에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측벽과 저벽(低劈)을 구비하고, 상단에 물의 출입구가 되는 제 1 의 개방구를 가지며, 상기 측벽에 물의 출입구가 되는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제 2 의 개방구의 개방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의 개방구측으로 향하는 정점(頂點)과, 이 정점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의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져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면체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암나사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경사면체를 밑에서 지탱하는 수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체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폐색되는 상기 제 2 의 개방구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체는 상기 수나사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측벽은 상기 제 1 의 개방구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직경이 축소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가지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내면의 하단부에서 똑바르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면을 가지는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면체의 하단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내면에 밀접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싱의 저벽이 상기 제 1 의 개방구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은 상기 수도관의 수도꼭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체는 상기 테이퍼부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경사면체의 하단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내면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물의 유량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저벽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수나사의 저면(底面)에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렌치를 받아들이기 위한 렌치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체의 경사면은 구면(球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체는 원뿔 또는 각뿔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체의 경사면은 오목한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체는 구체이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구체가 상기 제 1 개방구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와, 상기 수나사의 사이에는 상기 구체를 상기 스토퍼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용수철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체와 상기 스토퍼는 첵 밸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KR2019970008940U 1997-02-21 1997-04-28 유량 조절 밸브 KR2001561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18 1997-02-21
JP1997000918U JP3040772U (ja) 1997-02-21 1997-02-21 流量調節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62U true KR19980059162U (ko) 1998-10-26
KR200156196Y1 KR200156196Y1 (ko) 1999-10-01

Family

ID=1148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940U KR200156196Y1 (ko) 1997-02-21 1997-04-28 유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40772U (ko)
KR (1) KR2001561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9679A1 (ja) * 2009-03-26 2010-09-30 Takano Masaaki 節水コマ
KR100985022B1 (ko) * 2010-01-05 2010-10-07 권우현 수도물 절수장치
KR101292866B1 (ko) * 2010-09-19 2013-08-02 박은태 유체배출장치
JP2012132275A (ja) * 2010-12-24 2012-07-12 Ryobi Ltd ドアクローザ
US10415902B2 (en) * 2016-12-09 2019-09-17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oling tower water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6196Y1 (ko) 1999-10-01
JP3040772U (ja) 1997-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685B2 (en) Faucet end piece
JPH0654029B2 (ja) トイレットタンクフロ−ト弁組立体
US6027044A (en) Constant flowrate water saving valve and shower head using the same
US5142714A (en) Whirlpool nozzle
CA2759415A1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JP2007298171A (ja) サニタリーフィッティング用の内部ハウジングと、サニタリーフィッティング
KR19980059162U (ko) 유량조절밸브
US4497444A (en) Shower head
US5182820A (en) Nozzle mountings
US10022734B2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JP3198049B2 (ja) 整流型定流量節水弁装置
US5110088A (en) Water-control stopper
US4757841A (en) Spout with readily serviceable flow control
JPH0754700Y2 (ja) 流量調節節水弁
JP3580466B2 (ja) 水栓の吐水口
JP3025904U (ja) 流量調節開閉栓用節水弁
JPH09165805A (ja) 流量調節用の節水弁
US6213154B1 (en) Volume adjustable faucet
JP2639634B2 (ja) 加圧式無段階調節型定流量節水バルブ
JP2005336758A (ja) 埋込式水栓
US4213711A (en) Fluid mixing devices
RU20013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расхода воды
KR20170011030A (ko) 절수형 수전 카트리지
KR101857349B1 (ko) 수전용 카트리지
KR200236050Y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