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022B1 - 수도물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도물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022B1
KR100985022B1 KR1020100045679A KR20100045679A KR100985022B1 KR 100985022 B1 KR100985022 B1 KR 100985022B1 KR 1020100045679 A KR1020100045679 A KR 1020100045679A KR 20100045679 A KR20100045679 A KR 20100045679A KR 100985022 B1 KR100985022 B1 KR 10098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osing member
opening
water extraction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현
Original Assignee
권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현 filed Critical 권우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022B1/ko
Priority to CN201080060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686814A/zh
Priority to PCT/KR2010/009623 priority patent/WO201108393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수도꼭지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 일측에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단부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본체 밖으로 배치되는 스틱부재; 및 상기 출수공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가 출수공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및 이전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수월하며, 수도물의 사용이 편리하고, 전원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물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수도물 절수장치{Apparatus for water saving}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이전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수월하며, 수도물의 사용이 편리하고, 전원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물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은 취수장에서 취수를 한 다음, 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수도관의 가장 말단에는 수도물의 흐름을 단속(on-off)시키는 밸브 역할을 하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어, 수도꼭지의 레버를 돌림으로써, 수도물을 틀거나 잠글 수 있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수도꼭지에 근접된 경우 수도물이 나오다가, 손이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멀어지면 수도물이 잠기도록 하는 절수밸브(節水 Valve)가 제안되었으나, 설치 및 이전이 어려우며, 전원을 추가로 사용하므로 전기료가 추가될 뿐만 아니라, 손이 수도꼭지로부터 멀어지는 즉시 물이 멈추지 않고, 일정시간동안 더 흘러나오므로 물이 낭비되며,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이전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수월한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터치로써 물이 나오도록 하여, 수도물의 사용이 편리한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즉시 물이 흘러나오도록 하는 반면, 물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즉시 물의 흐름을 멈출수 있어, 물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구성요소가 최소한으로 소요되어, 제작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수도꼭지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상에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단부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스틱부재; 및 상기 출수공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를 가압하면서,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출수공을 막는다.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하여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의 일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던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출수공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출수공개 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는 상기 출수공개폐부재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출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봉; 및 상단면은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면은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 상측에 배치되는 개폐부재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 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가 출수공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테두리부가 상기 본체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걸림턱 상측에 안착되는 스틱부재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 지지구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를 밀면서,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출수공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본체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하여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출수공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지 지구를 가압하여,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지지구 및 스틱부재지지구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지지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의 저면에 배치되며, 저면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제3 걸림턱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2 출수공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이 설정된 구간 상승하고, 상기 제2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열리게 한다.
상기 개폐부재지지구의 저면은 위로 오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꼭지의 하단부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설치 및 이전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수월한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꼭지 부분에 손을 가볍게 터치하는 것으로서 수도물이 나오도록 하고, 반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터치되어 있는 손을 수도꼭지로부터 멀리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수도물의 사용이 편리한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이 수도꼭지 부분에 접근했는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또는 수도물유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성요소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전원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이 수도꼭지 하단부의 스틱부재를 손으로써 가볍게 터치함과 동시에 출수공으로부터 수도물이 나오고, 반대로 터치된 스틱부재로부터 손을 뗌과 동시에 나오던 물이 즉시 멈춤으로써, 물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요소가 적게 사용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물유로를 통과하는 수도물이 개폐부재지지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포말이 생성되어, 높은 수압이 개폐부재지지구 등에 균일하게 걸리어서, 수압에 의하여 스틱부재지지구가 급격한 힘을 받지 않음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를 지속할 수 있어, 토출되는 수도물이 고르게 아래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스틱부재가 초기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스틱부재가 중간 정도로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스틱부재가 최대한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스틱부재의 제2 걸림턱이 본체 하단의 제1 걸림턱에 걸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7은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개폐부재 지지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수도물이 개폐부재 지지구의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포말이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도물 절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100)는 수도꼭지 하단(2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0); 타단부가 본체(10) 밖으로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Ha)에 의해 터치되는 스틱부재(20); 및 상기 사용자의 손(Ha)에 의해 스틱부재(20)가 터치된 때에는 출수공(14)을 개방하여 수도물 유로(13)를 통하여 수도물이 흐르도록 하는 출수공개폐부재(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100)는,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2)가 수도꼭지 하단(2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13)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13) 일측에 출수공(14)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일단부는 상기 본체(10)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본체(10) 밖으로 배치되는 스틱부재(20); 및 상기 출수공(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30); 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20)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가 상기 출수공(14)을 개방하고, 스틱부재(20)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가 출수공(14)을 막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일단부는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출수공(14)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봉(50); 상단면은 상기 지지봉(5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면은 상기 스틱부재 (20)의 일단부 상측에 배치되는 개폐부재지지구(60); 및 상기 스틱부재(2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테두 리부가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걸림턱(15) 상측에 안착 되는 스틱부재지지구(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20)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지지구(70)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를 들어올리면서, 개폐부재지지구(60)와 지지봉으로 연결된 출수공개폐부재(30)가 들어올려져서 상기 출수공(14)을 개방하고, 스틱부재(20)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가 출수공(14)을 막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틱부재지지구(70)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형상의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재지지구(70)는 상기링과 제1축으로써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링과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측은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으로써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틱부재지지구(70)가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안착되도록 제1걸림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링, 제1축 및 제2축으로써 자이로스코프 형태의 구조를 통해 스틱부재지지구(70)가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틱부재지지구(70)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를 들어올리 면서, 출수공개폐부재(30)가 상기 출수공(14)을 개방함에 따라 수도물이 수도물유 로(13)를 통과하여 출수공(14) 밖으로 토출되고, 반대로 스틱부재(20)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가 출수공(14)을 막게 됨에 따라 토출되던 수도물이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틱부재(20)가 자중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20)의 타단부도 원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10)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 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의 상측면을 가압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 0)에 의해서, 상기 스틱부재(20)는 타단부가 더욱 확실하게 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코일스프링(Sc)으로서, 내측에는 지지봉(50)이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출수공개폐부재(30)의 상측면의 테두리부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스틱부재(20)의 일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스틱부재지지 구(70)의 테두리부는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걸림턱(15)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 및 스틱부재지지구(7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Ho)이 형성되어 있어, 수도물유로(13)를 통과하는 수도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특히, 수도물유로(13)를 통과하는 수도물이 개폐부재지지구(6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Ho)을 통과하면서 포말이 생성되는데, 이로써 높은 수압이 개폐부재지지구(60) 등에 균일하게 걸리도록 하여, 수압에 의하여 스틱부재지지구 (70)가 급격한 힘을 받지 않음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를 지속할 수 있어, 토출되는 수도물이 고르게 아래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수공개폐부재(30)는 구형상(球形狀)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가 놓여지는 출수공(14)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면은 경사지게 구성되어, 스틱부재(20)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되는 개폐부재지지구(60)에 의하여 승강되는 출수공개폐부재(3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살펴본다.
우선,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던 스틱부재(20)의 일측이 사용자의 손(H a)에 의하여 최초로 터치되게 되면, 스틱부재(20)가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는 스틱부재지지구(70)가 비스듬하게 놓이면서, 스틱부재지지구(70)의 경사진 상단부 가 개폐부재지지구(60)에 터치되고, 이에 따라 구형상(球形狀)의 출수공개폐부재 (30)가 비로소 출수공(14)을 개방하면서 물이 토출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Ha)에 터치되어 상기 스틱부재 (20)가 더욱 기울어 지게 되면, 구형상(球形狀)의 출수공개폐부재(30)는 더욱 상승하게 되어, 출수공(14)을 통하여 토출되는 물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스틱부재(20)에 가하는 터치력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틱부재(2 0)가 연직방향으로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14)을 통하여 토출되던 물의 흐름이 멈춰진다.
도 4, 도 9 및 도 10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살펴본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7은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개폐부재 지지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수도물이 개폐부재 지지구의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포말이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9 및 도 10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100a)는,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 (12a)가 수도꼭지 하단(2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13a)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13a) 중간에 출수공(14a)이 경사 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본체(10a; 101a,101b); 일단부는 상기 본체(10a)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본체(10a) 밖으로 배치되며, 상부 외주면을 따라 제2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있는 스틱부재(20a); 및 상기 출수공 (14a)의 상방에 배치되며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출수공개폐부재(30a; 301a, 302a);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재(20a)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출수공 개폐부재(30a)가 상기 출수공(14a)을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스틱부재 (20a)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z)가 출수공(14)을 단계별로 막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일단부는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1a)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경사지게 구성되는 상기 출수공(14a)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a)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봉(50a); 상단면은 상기 지지봉(50a)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면은 상기 스틱부재(20a)의 일단부 상측에 배치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Hoa)이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지지구(60a); 및 상기 스틱부재(20a)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테두리부가 상기 본체(10a)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걸림턱(15a) 상측에 안착되는 스틱부재지지구(70a);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스틱부재(20a)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지지구 (70a)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a)를 들어올리면서, 이중구조의 출수공개폐 부재(30a)가 상기 출수공(14a)을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스틱부재(20a)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이중구조의 출수공개폐부재(30a)는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출수공(14a)을 단계적으로 막게 된다.
따라서, 스틱부재지지구(70a)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a)를 들어올 리면서, 출수공개폐부재(30a)가 상기 출수공(14a)을 단계별로 개방함에 따라 수도물이 수도물유로(13a)를 통과하여 출수공(14a) 밖으로 토출되고, 반대로 스틱부재(20a)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개폐부재(30a)가 출수공(14a)을 막게 됨에 따라 토출되던 수도물이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틱부재(20a)가 자중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스틱부재(20a)의 타단부도 원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10a)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 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a)의 상측면을 가압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 0a)에 의해서, 상기 스틱부재(20a)는 타단부가 더욱 확실하게 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a)는 코일스프링(Sc)으로서, 내측에는 지지봉(50a)이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출수공개폐부재(30a) 상측면의 테두리부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지지구(60) 및 스틱부재지지구(7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Hoa,Hob)이 형성되어 있어, 수도물유로(13a)를 통과하는 수도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특히, 수도물유로(13a)를 통과하는 수도물이 개폐부재지지구(60a)에 형성되 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Hoa)을 통과하면서 포말이 생성되는데, 이로써 높은 수 압이 개폐부재지지구(60a) 등에 균일하게 걸리도록 하여, 수압에 의하여 스틱부재 지지구 (70a)가 급격한 힘을 받지 않음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를 지속할 수 있어, 토출되는 수도물이 고르게 아래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수공개폐부재(30a)는 이중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출수공개폐부재(30a)가 놓여지는 출수공(14a)을 이루는 내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스틱부재(20a)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되는 개폐부재지지구(60a)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승강되는 출수공개폐부재(30a)는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스틱부재가 단계별로 경사짐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수도물 절수 터치스틱에 있어서, 스틱부재가 초기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스틱부재가 중간 정도로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스틱부재가 최대한 경사진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스틱부재의 제2 걸림턱이 본체 하단의 제1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우선,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던 스틱부재 (20a)의 일측이 사용자의 손(Ha)에 의하여 최초로 터치되게 되면, 스틱부재 (20a)가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는 스틱부재지지구(70a)가 비스듬하게 놓이면서, 스틱부재지지구(70a)의 경사진 상단부가 개폐부재지지구(60a)의 오목하게 이루어진 저면에 터치되고, 이에 따라 이중구조의 출수공개폐부재(30a)가 비로소 내주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진 출수공 (14a)을 개방하면서 물이 토출되기 시작된다.
이때, 초기에는 단면이 역삼각형인 제1 출수공개폐부재(301a)만이 들어올려 지면서, 단면이 역삼각형인 제2 출수공개폐부재(302a)와 상기 제1 출수공개폐부재 (301a)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수도물이 아래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한다.(도 5 참고)
또한, 상기 스틱부재(20a)의 일측이 사용자의 손(Ha)에 의하여 조금 더 터치 되게 되면, 제1 출수공개폐부재(301a)가 들어올려지면서, 제2 출수공개폐부재(30 2a)와 상기 제1 출수공개폐부재 (301a) 사이의 틈새가 더 벌어지면서, 더 많은 수도물이 아래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도 6 참고)
그리고, 상기 스틱부재(20a)의 일측이 사용자의 손(Ha)에 의하여 조금 더 터치되면, 제1 출수공개폐부재(301a)가 들어올려 지다가, 지지봉(50a) 외주 면에 구비된 제3 걸림턱(501a)이 제2 출수공개폐부재(302a)와 접촉된 후, 함께 상승 되는데, 이때에는 제2 출수공개폐부재(302a)와 내주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출수공(14a)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물의 양이 급격하게 아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도 7 참고)
그리고, 스틱부재(20a)의 일측을 사용자가 손(Ha)으로써 터치함과 동시에 살짝 들어올리게 되면, 스틱부재(20a)의 제2 걸림턱(21a)이 본체(10a) 하단의 제1 걸림턱(15a)에 걸리는데, 이때에는 상기 걸림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한, 사용자가 손(Ha)으로써 상기 스틱부재(20a)를 더 이상 터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수도물이 지속적으로 토출된다.(도 8 참고),
이와 같이, 제1 출수공개폐부재(301a)가 들어올려지고나서, 제3 걸림턱 (50a)에 의하여 비로소 제2 출수공개폐부재(302a)가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고압으로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출수공개폐부재가 부하를 받음에 따라 개폐가 잘 이루어 지지 않거나, 급격하게 개폐됨에 따라 출수공개폐 부재의 작동에 따른 자세가 흐트러지면서, 지지봉(50a)의 중심선이 본체(10a) 내주면의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본체(10a)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지지봉(50a)의 상단부를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16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스틱부재(20a)의 제2 걸림턱(21a)을 본체(10a) 하단의 제1 걸림턱 (15a)으로부터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틱부재(20a)가 연직방향으로 원 위치됨에 따라, 출수공(14a)이 막힘에 따라, 토출되던 물의 흐름이 멈춰진다.
또한, 하단부의 내경 또는 외경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수도꼭지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수도꼭지 하단(20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일명, 아답터라 칭함)를 더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0a,101a,101b : 본체 11,11a : 입수공
12,12a : 연결구 13,13a : 수도물유로
14,14a : 출수공 15,15a : 제1 걸림턱
16a : 가이드부 20,20a : 스틱부재
21a : 제2 걸림턱 30,30a,301a,301b : 출수공개폐부재
40,40a : 탄성부재 50,50a : 지지봉
50a : 제3 걸림턱 60,60a : 개폐부재지지구
70,70a : 스틱부재지지구 100, 100a : 수도물 절수장치
200 : 수도꼭지 201 : 수도꼭지 하단
Ho : 관통공 Ha : 손
Sc : 코일스프링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수도꼭지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상에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출수공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공개폐부재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스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본체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하여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던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막는, 수도물 절수장치.
  4.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수도꼭지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상에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출수공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
    일단부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공개폐부재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스틱부재; 및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출수공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출수공개폐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상기 출수공을 막는, 수도물 절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수도물 절수장치.
  6. 상단부 중앙에 입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가 수도꼭지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가 관통되어 수도물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도물유로상에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출수공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공개폐부재;
    일단부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스틱부재;
    일단부는 상기 출수공개폐부재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출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봉; 및
    상단면은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면은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 상측에 배치되는 개폐부재지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막는, 수도물 절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테두리부가 상기 본체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걸림턱 상측에 안착되는 스틱부재지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스틱부재지지구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지지구를 밀면서,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상기 출수공을 막는, 수도물 절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수도꼭지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하여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개폐부재가 복귀하여 상기 출수공을 막는, 수도물 절수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지지구를 가압하여, 상기 스틱부재의 타단부가 원 위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수도물 절수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지지구 및 스틱부재지지구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지지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수도물 절수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개폐부재의 저면에 배치되며, 저면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제3 걸림턱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2 출수공개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이 설정된 구간 상승하고, 상기 제2 출수공개폐부재가 상기 출수공을 열리게 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지지구의 저면은 위로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수도물 절수장치.

KR1020100045679A 2010-01-05 2010-05-14 수도물 절수장치 KR10098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606897A CN102686814A (zh) 2010-01-05 2010-12-31 自来水节水装置
PCT/KR2010/009623 WO2011083937A2 (ko) 2010-01-05 2010-12-31 수도물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41 2010-01-05
KR20100000341 2010-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022B1 true KR100985022B1 (ko) 2010-10-07

Family

ID=4313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79A KR100985022B1 (ko) 2010-01-05 2010-05-14 수도물 절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85022B1 (ko)
CN (1) CN102686814A (ko)
WO (1) WO2011083937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55A2 (ko) * 2011-10-17 2013-04-25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KR101273400B1 (ko) 2013-01-08 2013-06-11 주식회사 피씨아이 수전과 절수기 연결용 커넥터
KR101444222B1 (ko) * 2011-10-17 2014-10-01 권우현 수돗물 절수장치
KR200478532Y1 (ko) 2014-01-21 2015-10-26 류동주 수도물 절수 장치
DE102022113519A1 (de) 2022-05-30 2023-11-30 Neoperl Gmbh Sanitäres Einsetzte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0987U1 (ru) * 2017-01-23 2018-07-05 Малхозов Мусса Фуад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ономии водопроводной воды
RU2694623C1 (ru) * 2018-06-15 2019-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ар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работы насадки,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кран или смеситель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RU2690429C1 (ru) * 2018-06-18 2019-06-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ар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Насадка на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или смеситель
RU2708993C1 (ru) * 2018-08-30 2019-12-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ран
CN111577944B (zh) * 2019-02-15 2021-05-14 风映有限公司 任意方向触碰开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72U (ko) * 1989-08-31 1991-04-18
JPH0357094U (ko) * 1989-10-12 1991-05-31
JP2003138615A (ja) * 2001-11-07 2003-05-14 Phoenix:Kk 水道蛇口の手動開閉機構及び水栓金具
EP1582636A1 (en) * 2004-03-29 2005-10-05 Chih-Hung Kao Valve for a water fauc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4267C2 (de) * 1986-02-12 1996-08-22 Klaus Prenzler Vorrichtung zur Durchflussmengenbegrenzung, Dosierung und Beimischung von Flüssigkeiten oder Gasen
CN2054131U (zh) * 1989-09-08 1990-03-07 任福仲 延时自闭式自洁水龙头
CN1140812A (zh) * 1995-07-18 1997-01-22 沈仲山 摆控式多段龙头开关
JP3040772U (ja) * 1997-02-21 1997-08-26 株式会社アイテック 流量調節弁
JP3573196B2 (ja) * 1999-04-05 2004-10-06 株式会社北新工業販売 節水弁及び節水装置
CN2481769Y (zh) * 2001-05-18 2002-03-13 林声雁 一种新型节水器
US6739572B2 (en) * 2002-07-18 2004-05-25 Chung-Shan Shen Timing lock device for a faucet
KR200412302Y1 (ko) * 2005-11-14 2006-03-27 이승연 수도의 절수장치
KR100848466B1 (ko) * 2007-05-11 2008-07-25 유통희 수도의 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72U (ko) * 1989-08-31 1991-04-18
JPH0357094U (ko) * 1989-10-12 1991-05-31
JP2003138615A (ja) * 2001-11-07 2003-05-14 Phoenix:Kk 水道蛇口の手動開閉機構及び水栓金具
EP1582636A1 (en) * 2004-03-29 2005-10-05 Chih-Hung Kao Valve for a water fauce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55A2 (ko) * 2011-10-17 2013-04-25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WO2013058555A3 (ko) * 2011-10-17 2013-06-13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KR101444222B1 (ko) * 2011-10-17 2014-10-01 권우현 수돗물 절수장치
KR101273400B1 (ko) 2013-01-08 2013-06-11 주식회사 피씨아이 수전과 절수기 연결용 커넥터
KR200478532Y1 (ko) 2014-01-21 2015-10-26 류동주 수도물 절수 장치
DE102022113519A1 (de) 2022-05-30 2023-11-30 Neoperl Gmbh Sanitäres Einsetz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37A3 (ko) 2011-10-13
CN102686814A (zh) 2012-09-19
WO2011083937A2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022B1 (ko) 수도물 절수장치
CN102859085B (zh) 带有可调节高度的喷口的龙头
US8056836B2 (en) Swinging switching structure of outlet device
CN106140504B (zh) 一种组合花洒及其切换出水的方法
CN205413398U (zh) 一种组合花洒
KR101444222B1 (ko) 수돗물 절수장치
CN214682333U (zh) 一种双复位的多功能节水厨房花洒
CN112871484A (zh) 一种双复位的多功能节水厨房花洒
CN106088254A (zh) 一种水龙头
US8769735B2 (en) Drainage device for kitchen and bath facilities
CN103623948B (zh) 一种水路切换机构
CN205604362U (zh) 一种水龙头
CN107386371B (zh) 盥洗装置
CN208121909U (zh) 一种马桶排水按钮装置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CN208251695U (zh) 防溅水的移动盥洗室结构
CN2809355Y (zh) 一种隐藏式脚踏控制装置
KR101325014B1 (ko) 가정용 절수기
KR20200137684A (ko) 하수배관 관통기구
KR100433184B1 (ko) 버튼식 샤워기용 절수기
KR200241646Y1 (ko) 막힘 없는 세면대 배수 밸브
CN209100440U (zh) 一种新型的防脱出机构
CN2646244Y (zh) 可变换冲水水量的节水器
CN202402772U (zh) 节水卫生水龙头
CN108978798B (zh) 一种一体化常流式盥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