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812A -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812A
KR19980057812A KR1019960077115A KR19960077115A KR19980057812A KR 19980057812 A KR19980057812 A KR 19980057812A KR 1019960077115 A KR1019960077115 A KR 1019960077115A KR 19960077115 A KR19960077115 A KR 19960077115A KR 19980057812 A KR19980057812 A KR 1998005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ing
operator
control ecu
anch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706B1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70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B60R22/324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triggered by strong traction on the seat belt, e.g. with tempo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적어도 웨빙을 고정하며 마운팅 구멍을 가지는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킹핀 및 리턴 스프링을 내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작동자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자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유지되며,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 에어백 전개신호부, 로드하중감지센서, 시트벨트 버클스위치 및 조작스위치의 개별부품의 입력신호를 받아들여서 처리하기 위한 시트 벨트 콘트롤 ECU와, 웨빙의 움직임에 의한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시트벨트 콘트롤 ECU에 보내기 위한 가변저항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자의 플런저가 시트벨트 콘트롤 ECU의 지시를 받아 자동 또는 수동상태에서 충돌 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지나서 작동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탈출하도록 자동으로 시트벨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플런저를 설치하여 상황발생 시 신속하게 시트벨트를 해제하여 사고차량으로부터 탈출하도록 한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내에는 자동차 주행중 사고발생 시 승객의 2차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벨트, 즉 이른바 안전벨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시트벨트는 급격한 충격에 대비하여 내장이나 가슴부위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며, 주행중에는 운전조작에 불편이 없고, 긴급시에는 확실하게 승객을 보호할 것이 요구된다.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 3점식이 있다.
종래의 시트벨트는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감기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구비하고 있고, 시트벨트 텅 플레이트를 끼워넣고 시트벨트를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금속으로 만든 시트벨트 버클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시트벨트는 일정치 이상의 힘이 작용할 때 벨트의 풀림을 저지하므로서 착용자를 보호한다.
그런데, 상기 구조로 된 종래의 시트벨트는 차량충돌이나 수중에 빠졌을 때 버클의 해제가 신속하게 안되는 관계로 오히려 승객을 구속하여 위험속에 그대로 빠뜨리는 결과로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중에 빠졌을 때나 사고후 신속하게 사고차량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시트벨트의 구속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20 : 작동자
21 : 로킹핀 22 : 플런저
24 : 리턴 스프링 30 : 앵커 플레이트
32 : 가이드 홈 34 : 마운팅 구멍
50 : 시트벨트 콘트롤 ECU 60 :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
62 : 에어백 전개신호부 64 : 로드하중감지센서
66 : 시트벨트 버클스위치 68 : 조작스위치
70 : 가변저항부 80 : 웨빙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는, 적어도 웨빙을 고정하며 마운팅 구멍을 가지는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킹핀 및 리턴 스프링을 내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작동자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자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유지되며,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 에어백 전개신호부, 로드하중감지센서, 시트벨트 버클스위치 및 조작스위치의 개별부품의 입력신호를 받아들여서 처리하기 위한 시트벨트 콘트롤 ECU와, 웨빙의 움직임에 의한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시트벨트 콘트롤 ECU에 보내기 위한 가변저항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자의 플런저가 시트벨트 콘트롤 ECU의 지시를 받아 자동 또는 수동상태에서 충돌 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지나서 작동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탈출하도록 자동으로 시트벨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시트벨트 고정점의 고정판(10)에 전자기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킹핀(21)을 내장한 플런저(22)를 포함하는 작동자(20)를 설치하고 있다. 부호 30은 웨빙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 플레이트이다. 이 앵커 플레이트(30)는 가이드 홈(32)에 끼워져 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상기 플런저(22)의 로킹핀(21)이 상기 앵커 플레이트(30)의 마운팅 구멍(34)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자(20) 내의 리턴 스프링(24)이 밀어내 로킹상태를 이루고 있다.
또, 시트벨트 콘트롤 ECU(50)는 각종의 센서 및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개체별로 각 부품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들면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60), 에어백 전개신호부(62), 로드하중감지센서(64), 시트벨트 버클스위치(66) 및 조작스위치(68) 등이다. 부호 70은 웨빙(80)의 움직임에 의한 전위차를 센서에서 감지하여 시트벨트 콘트롤 ECU(50)에 보내기 위한 가변저항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30)가 가이드 홈(32)에 끼워져 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벨트 콘트롤 ECU(50)에서 신호가 오면 상기 작동자(20)의 전자석이 자화되어 플런저(22)를 X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따라 로킹핀(21)으로부터 앵커 플레이트(30)가 이탈하여 시트벨트는 보디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수동조작 시에는 상기 조작스위치(68)를 온하면 시트벨트 콘트롤 ECU(50)에서는 시트벨트의 착용여부만을 판단하여 예일때 운전자의 시트벨트 버클스위치(66)를 조작할 때만 상기 작동자(20)가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 자동으로 설정하여 놓으면 르트랙터에 부착된 상기 로드하중감지센서(64)에 의하여 웨빙에 걸리는 인장력 정도를 체크하여 시트벨트 콘트롤 ECU(50)에 신호를 보내며 시트벨트 버클의 체결여부,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60)에 의한 물유입 여부, 에어백 전개신호부(62)에 의한 에어백 전개여부 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시트벨트를 해제한다.
이때, 충돌 후(로드감지 또는 에어백 전개 후) 어느 정도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작동자(20)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작동한다.
예를들면, 조작스위치(68) 미작동의 경우, 시트벨트 착용중 로드하중감지센서(64)로부터 설정치 이상의 충격치를 감지하면 상기 시트벨트 콘트롤 ECU(50)에서 승객을 구속하기 위한 지연시간이 지난 후 작동한다.
또,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60)나 에어백 전개신호부(62)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때에도 상기와 같이 작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에 의하면, 작동자의 플런저가 시트벨트 콘트롤 ECU의 지시를 받아 자동 또는 수동상태에서 충돌 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지나서 작동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탈출하도록 자동으로 시트벨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웨빙을 고정하며 마운팅 구멍을 가지는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킹핀 및 리턴 스프링을 내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작동자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자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유지되며, 실내 물유입 감지센서, 에어백 전개신호부, 로드하중감지센서, 시트벨트 버클스위치 및 조작스위치의 개별부품의 입력신호를 받아들여서 처리하기 위한 시트벨트 콘트롤 ECU와, 웨빙의 움직임에 의한 전위차를 상기 시트벨트 콘트롤 ECU에 보내기 위한 가변저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KR1019960077115A 1996-12-30 1996-12-30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KR10024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115A KR100240706B1 (ko) 1996-12-30 1996-12-30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115A KR100240706B1 (ko) 1996-12-30 1996-12-30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12A true KR19980057812A (ko) 1998-09-25
KR100240706B1 KR100240706B1 (ko) 2000-01-15

Family

ID=1949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115A KR100240706B1 (ko) 1996-12-30 1996-12-30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94B1 (ko) * 2013-11-27 2014-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94B1 (ko) * 2013-11-27 2014-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706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4097B1 (en) Vehicle safety restraints
US6808201B2 (en) Occupant sensor
EP1777127B1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US7237799B2 (en) Seat belt system
US7438150B2 (en) Seat belt apparatus
KR100240706B1 (ko)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US4268816A (en) Safety alarm system for an automatic seat belt
US10752202B2 (en) Three-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safety features
KR0157814B1 (ko) 시트벨트의 흉부보호장치 및 작동표시장치
KR100430884B1 (ko) 시트벨트 자동 해제장치
US5478115A (en) Safety mechanism for mechanical trigger device of gas generator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0177426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57812B1 (ko) 시트벨트의 흉부보호장치 및 작동표시장치
KR100239647B1 (ko) 차량의 안전 시트 벨트 장치
KR017742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45389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CN111645623A (zh) 车辆碰撞保护方法、保护装置、安全带及车辆
KR200194110Y1 (ko) 시트벨트 되감김장치
KR017742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200309905Y1 (ko) 에어백 전개판단 제어로직
KR10023964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의 긴급 권취장치
KR0177424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JP2002255011A (ja) 乗員検知システム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