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656A -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656A
KR19980057656A KR1019960076955A KR19960076955A KR19980057656A KR 19980057656 A KR19980057656 A KR 19980057656A KR 1019960076955 A KR1019960076955 A KR 1019960076955A KR 19960076955 A KR19960076955 A KR 19960076955A KR 19980057656 A KR19980057656 A KR 19980057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lack matrix
transparent substrate
liquid crystal
matri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현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7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656A/ko
Publication of KR1998005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56A/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1투명기판상에 적색, 청색 및 녹색 칼라필터와 투명전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제2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투명기판상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재필름, 광흡수층, 완충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너필름에 에너지원을 조사하여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투명기판과 제2투명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셀갭을 유지할 수 있어서 광투과 및 산란 특성이 우수하며 균일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기로는 셀 갭의 불균일과 스페이서의 비고착에 의한 막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화상표시소자로서 열전자방출 및 형광물체의 발광을 이용한 음극선관, 음극선관의 원리와 유사하지만 전자방출을 하는 음극이 실선구조로 되어 있고 전체적인 형태가 주로 평판형으로 되어 있는 형광표시관, 액정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대전된 양 전극사이에서의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 등이 있다.
상기 화상표시소자중 액정표시소자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중량이 가볍고 크기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는 전자계산기의 소형 표시부에서 노트북 컴퓨터의 대형 표시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액정표시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상에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칼라필터와 블랙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칼라필터층 (12) 및 투명전극층 (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기판 (11)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되어 있는 하부기판 (15)상에는 투명전극층 (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 하 기판 (11) 및 (15)사이의 공간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층 (16)을 갖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17)은 상기 상, 하 기판 (11) 및 (15)사이의 간격을 일정두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두 개의 전극사이에 광학적 이방성 특징을 갖는 액정 조성물을 삽입한 다음, 외부의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액정의 배열이 변화하면서 입사광이 차단 또는 투과되는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구동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해보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층에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표시소자의 액정층 내부로 입사하는 광이 차단 또는 투과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되는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외부인가 전압의 크기 및 두 전극사이의 거리 (즉, 셀갭)에 따라 표시소자의 제반특성이 변화된다. 즉, 전극사이에 인가하는 외부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액정의 전기 광학적인 특성이 변화하여 광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액정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이 인가되는 외부 전압의 크기와 두 전극간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셀 갭의 두께가 불균일하면 외부 전압에 대한 액정의 반응이 달라지고 부위별로 투과율이 달라지게 되어 표시소자로서 부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셀 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액정표시소자 제조시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인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두 전극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구형 또는 실린더형의 스페이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투명전극층이 형성된 제1기판상에 도포한 다음, 이 기판상에 제2기판을 올려 놓는다. 이 때 상기 두기판의 가장자리에는 실란트를 도포한 다음, 열 또는 광을 조사하면서 두 기판을 가압접착함으로써 셀겝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 방법에 따라 셀갭을 형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스페이서층은 진공분위기하에서 스페이서 물질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용제에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을 기판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도포과정에서 기판위에 스페이서가 산발적으로 도포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스페이서가 뭉쳐서 스페이서의 밀도가 기판 전면적에 걸쳐 균일하지 못하면 셀갭이 불균일해져 화소결함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둘째, 셀갭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의 밀도가 높을수록 유리하다. 그런데, 이렇게 스페이서의 밀도가 높아지면 후에 휘도의 손실과 광산란으로 인한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원인이 된다.
셋째, 스페이서가 셀 갭내에서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서 액정 주입시 스페이서가 유동하기 때문에 기판상에 형성된 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도 2는 블랙 매트릭스 및 칼라필터로 이루어진 칼라필터층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패널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서 칼라필터층은 먼저 기판 (21)상에 블랙 매트릭스 (22)를 형성한 다음, 그 블랙 매트릭스층 (22) 사이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 (23), (24) 및 (25)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에서 블랙 매트릭스는 상술한 바와 칼라필터 형성이전에 형성할 수도 있고, 컬러 필터이후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패널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기판 (31)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 (33), (34) 및 (35)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각 칼라필터사이에 블랙 매트리스 (32)를 형성한다.
블랙 매트릭스는 혼색 방지 및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한 안료분산법과 전기도금기법을 이용한 전착법 및 착색층이 도포된 막에 강한 에너지빔을 조사하여 소망하는 형상을 형성시키는 전사법 등으로 제조된다.
상기 방법중 리소그래피법에 따르면 제조공정이 매우 길고 복잡하고, 노광 및 현상공정중 먼지 등에 의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고청정도의 환경이 요구된다.
블랙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서, 레이저에 의한 전사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염료나 안료 등의 전사될 물질이 도포된 층을 포함하는 도너필름 (donor film)으로부터 피전사물질을 수용체쪽으로 원하는 패턴대로 밀어내어 상기 수용체상으로 전사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레이저 전사법은 인쇄, 조판, 사진 등과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법에서는 피전사체를 전사하는데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전사할 수 있는 도너필름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 도너필름은 피전사물질의 종류, 피전사물질이 도포된 층의 두께 물성 및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진다.
도너필름은 통상 기재필름위에 피전사물질로 된 주층과 전사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보조층으로 구성된다. 이 때 보조층은 광흡수층(light absorbing layer)과 가스 생성층(gas producing layer)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보조층으로서, 상기 광흡수층과 가스 생성층중 어느 층을 선택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전사 메카니즘이 달라진다. 즉, 보조층으로서 가스 생성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평형 프로세스(non-equilibrium process)에 의한 메카니즘으로 전사가 진행되는 데 반하여, 보조층으로서 광흡수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형 프로세스(equilibrium process)에 의한 메카니즘으로 전사된다.
블랙 매트릭스 형성시, 종래에는 주로 보조층으로서 가스 생성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스 생성층은 광을 흡수하여 열분해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수소 또는 질소 가스의 폭발력에 의하여 전사시키고자 하는 물질을 수용체상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방법에 따르면, 공정진행속도가 빠르고 전사하고자 하는 물질의 선택 범위가 넓지만, 정밀한 전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밀한 전사가 가능한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방법에 대한 본원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셀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스페이서의 비고착에 의하 막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광산란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기판상에 칼라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레이저 전사법에서 사용되는 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칼라필터층11, 15... 투명기판
13, 14... 투명전극층16... 액정층
17... 스페이서
67... 블랙 매트릭스층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제1투명기판상에 적색, 청색 및 녹색 칼라필터와 투명전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제2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투명기판상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재필름, 광흡수층, 완충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도너필름에 에너지원을 조사하여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투명기판과 제2투명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a) 제2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투명기판상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재필름, 광흡수층, 완충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도너필름에 에너지원을 조사하여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투명기판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패턴사이에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를 각각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한 다음, 이 기판을 상기 제2투명기판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평형 물리적 프로세스(equilibrium physical process)에 의한 전사 메카니즘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프로세스 진행속도가 비평형 물리적 화학적 프로세스(non-equilibrium physical chemical process)보다 느린 편이고 전사후에 열처리가 필요하지만 정밀한 전사가 가능하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의 두께가 0.5 내지 2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블랙 매트릭스층의 두께가 0.5μm미만이면,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져서 구동이 어렵고, 블랙 매트릭스층의 두께가 20μm를 초과하면 액정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고전압을 인가해야 하고 액정을 구동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블랙 매트릭스층은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폴리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폴리머로는 실리콘 폴리머, 불소 폴리머,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머, 에폭시 폴리머, 폴리올레핀,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및 페놀 수지중에서 선택된 폴리머를 사용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층은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광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 하 기판 접합시 광 또는 열을 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게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판의 전면에서 에너지원을 가하는 방법이나 기판의 후면에서 에너지원을 가하는 방법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개시제로는 아조기, 디설파이드기, 퍼옥사이드기 등과 같이 불안정한 작용기를 갖는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서 광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있으며, 열중합 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페놀, 이미다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광투과율이 90% 이상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광흡수층은 광 또는 열을 흡수하여 전사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층은 Al, Bi, Sn, In 및 Zn중에서 선택된 금속이나, Al, Bi, Sn, In, Zn, Ti, Cr, Mo, W, Co, Ir, Ni, Pd, Pt, Cu, Ag, Au, Zr 및 Fe중에서 선택된 금속 산화물 또는 그 황화물, 일반적인 염료(dye)나 안료(pigm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완충층은 상기 광흡수층의 열을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사질산펜타에리트리트(PETN), 트리니트로톨루엔(TNT)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너지원으로는 레이저빔, 고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 플래쉬 램프(flash lam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레이저 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에너지원으로부터 고출력의 레이저빔 (41)이 방출된다. 에너지원으로는 Nd/YAG와 같은 고출력의 고체 레이저, CO2, CO와 같은 가스 레이저 또는 다이오드와 결합된 Nd/YAG(Diode-coupled Nd/YAG) 등이 사용된다. 방출된 레이저빔은 빔 스플리터 (42)를 거쳐서 동일한 세기를 지닌 여러개의 빔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빔을 여러개의 빔으로 나누어 각각의 형상에 따라 세기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물질을 전사한다.
여러개의 빔으로 나누어진 레이저빔은 전사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모듈레이터 (43)에서 세기비가 조절된 후 접속광학계 (44)를 거쳐 광섬유 (45)를 통하여 전사시킬 물질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 (46)상으로 조사된다. 이 때 도너필름 (46)중 빛을 받은 부분에 도포된 형광체 물질만이 수용체 (47)상에 전사된다. 이 때 스테이지 (48)의 움직임은 물질의 형상에 따라 빔 다발의 세기를 조절해주는 레이터(raiter) (49)와 함께 컴퓨터 (50)에 의하여 제어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랙 매트릭스층 전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재필름 (51)상에 광흡수층 (52), 완충층 (53) 및 블랙 매트릭스층 (54)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도너 필름 (55)을 제조한다. 이 도너필름 (55)을 기판 (56)상의 원하는 위치 상부에 설치한 다음, 상기 기재필름쪽에서 에너지원을 조사한다. 조사된 에너지는 전사장치 (57)를 거쳐 기재필름 (51)을 통과하여 광흡수층 (52)을 활성화시키면, 이 광흡수층 (52)으로부터 열이 생성된다. 이렇게 발생된 열은 완충층 (53)을 거쳐 전달되어 기판 (56)상에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사과정을 거친후에는 전사된 블랙 매트릭스층을 고형화, 고착화시키기 위하여 열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에서 블랙 매트릭스의 전사는 한 번 또는 다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사하는 블랙 매트릭스 등에 있어서는 한 번에 필요한 두께를 전사할 수도 있고,여러번 반복에 의하여 전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정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한 번에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블랙 매트릭스층 (67)을 갖는 투명기판 (61)상에 블랙 매트릭스층 (67) 사이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 (62)를 각각 형성한다. 그 후, 그 칼라필터 (62) 상부에 투명전극층 (63)을 형성한다. 이 기판을 투명전극층 (64)이 형성된 다른 투명기판 (65)와 접합하여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66)은 액정층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불투명한 격벽구조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층 (67)은 스페이서 역할을 겸하므로 스페이서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셀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로서 갖는 본래의 기능 즉, 혼색방지 및 고휘도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고 있다.
종래의 스페이서 산포 방식에서 발생되는 스페이서의 뭉침 현상이 없어지므로 균일한 셀갭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광투과 및 산란 특성이 우수하며 균일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판 가열 압차공정시 발생하는 스페이서에 의한 전극 손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액정 주입시 발생하는 막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겸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스페이서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 방법은 FLC, STN, TFT, MIN, TN, PLASTIC LCD 등의 제조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a) 제1투명기판상에 적색, 청색 및 녹색 칼라필터와 투명전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제2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투명기판상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재필름, 광흡수층, 완충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도너필름에 에너지원을 조사하여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투명기판과 제2투명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상에 형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사이 및 그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액정층내의 영역내에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이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실리콘 폴리머, 불소 폴리머,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머, 에폭시 폴리머, 폴리올레핀,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이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 광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기판의 적어도 한쪽면에 광 또는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의 전면방향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너지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의 후면방향에서 에너지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의 두께가 0.5 내지 2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이 Al, Bi, Sn, In 및 Zn중에서 선택된 금속, Al, Bi, Sn, In, Zn, Ti, Cr, Mo, W, Co, Ir, Ni, Pd, Pt, Cu, Ag, Au, Zr 및 Fe중에서 선택된 금속 산화물 및 그 황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이 사질산펜타에리트리트 및 트리니트로톨루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이 레이저빔, 고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xenon lamp) 및 플래쉬(flash) 램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4. (a) 제2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투명기판상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재필름, 광흡수층, 완충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도너필름에 에너지원을 조사하여 블랙 매트릭스층을 전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투명기판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패턴사이에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를 각각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한 다음, 이 기판을 상기 제2투명기판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상의 소정영역과 그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액정층내의 영역에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이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실리콘 폴리머, 불소 폴리머,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머, 에폭시 폴리머, 폴리올레핀,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이 카본 및 흑연중에서 선택된 물질, 광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기판의 적어도 한쪽면에 광 또는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의 전면방향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너지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투명기판의 후면방향에서 에너지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의 두께가 0.5 내지 2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이 Al, Bi, Sn, In 및 Zn중에서 선택된 금속, Al, Bi, Sn, In, Zn, Ti, Cr, Mo, W, Co, Ir, Ni, Pd, Pt, Cu, Ag, Au, Zr 및 Fe중에서 선택된 금속 산화물 및 그 황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이 사질산펜타에리트리트 및 트리니트로톨루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이 레이저빔, 고압수은등, 크세논 램프(xenon lamp) 및 플래쉬(flash) 램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60076955A 1996-12-30 1996-12-30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57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55A KR19980057656A (ko) 1996-12-30 1996-12-30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55A KR19980057656A (ko) 1996-12-30 1996-12-30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56A true KR19980057656A (ko) 1998-09-25

Family

ID=6639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55A KR19980057656A (ko) 1996-12-30 1996-12-30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6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37A (ko) * 1998-09-25 2000-04-15 손욱 액정디스플레이용 블랙매트리스 형성방법
KR20030047132A (ko) * 2001-12-07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스페이서 형성방법
KR100471390B1 (ko) * 1997-06-26 2005-09-0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방법
KR100674763B1 (ko) * 2004-12-03 2007-01-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형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패턴 형성 기판의 제조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26254B1 (ko) * 2003-12-26 2007-06-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측면광 차단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160025252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미뉴타텍 금속 페이스트, 금속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투명 전극 기판 및 투명 전극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90B1 (ko) * 1997-06-26 2005-09-0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방법
KR20000021037A (ko) * 1998-09-25 2000-04-15 손욱 액정디스플레이용 블랙매트리스 형성방법
KR20030047132A (ko) * 2001-12-07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스페이서 형성방법
KR100726254B1 (ko) * 2003-12-26 2007-06-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측면광 차단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0674763B1 (ko) * 2004-12-03 2007-01-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형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패턴 형성 기판의 제조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25252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미뉴타텍 금속 페이스트, 금속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투명 전극 기판 및 투명 전극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8077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10338428B2 (en) Quantum dot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948577A (en)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JP563424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7024228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N109917587B (zh) 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JP2001083524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に用いるビーズ入りスペーサー形成材、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KR19980057656A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TWI271554B (en) A method for forming color filters in flat panel displays by inkjetting
US2007022973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ed thereby
KR19980017847A (ko) 컬러 액정표시소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17846A (ko) 액정표시소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11329235A (ja) 表示素子用蛍光膜の製造方法
CN107908048B (zh) 一种隔垫物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H10142417A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197718A (ja) 液晶表示用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液晶表示用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該カラーフィルターを具備する液晶パネル
JP2001083525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4957057B2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09003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2004325736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KR100445024B1 (ko) 표시소자용형광막의제조방법
JPH07244213A (ja)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形成用樹脂
JPH10138635A (ja) 反応性可塑剤による熱画像安定化方法
JPH1073708A (ja) 熱転写によってカラーフィルタアレイを作成する方法
KR100429827B1 (ko) 고분자/액정 복합막을 갖는 액정표시소자 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