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538U -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 Google Patents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538U
KR19980057538U KR2019970001768U KR19970001768U KR19980057538U KR 19980057538 U KR19980057538 U KR 19980057538U KR 2019970001768 U KR2019970001768 U KR 2019970001768U KR 19970001768 U KR19970001768 U KR 19970001768U KR 19980057538 U KR19980057538 U KR 199800575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oller
rice grain
grain
rotat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학
Original Assignee
신수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학 filed Critical 신수학
Priority to KR2019970001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538U/ko
Publication of KR19980057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38U/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미기를 구성하는 벼 공급 회전원판에 대해 벼 낱알을 공급하는 로울러 외면에, 회전원판 내에 형성된 익편(impeller)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을 형성함으로써, 벼 낱알 공급구를 통해 투입되는 벼 낱알을 회전되는 원판내의 익편에 원활하게 공급게 함으로써 벼의 정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미기(A)의 내부에 회전원판(4)을 마주보며 대향 설치되는 벼 낱알 공급로울러(1)를 구성함에 있어,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판(4) 내부에 형성된 익편(2)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3)을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로울러이다.

Description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제 1 도의 (가)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인 로울러의 사시도
(나)는 본 고안의 로울러에 대해 대향 설치되는 회전원판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 상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로울러4 : 회전원판
2 : 익편3 : 공급홈
본 고안은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미기를 구성하는 벼 공급 회전원판에 대해 벼 낱알을 공급하는 로울러 외면에, 회전원판 내에 형성된 익편(impeller)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을 형성함으로써, 벼 낱알 공급구를 통해 투입되는 벼 낱알을 회전되는 원판내의 익편에 원활하게 공급게 함으로써 벼 낱알에 대한 정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도정(搗精)을 위해 사용되는 정미기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원판의 내부중공부에는 다수의(본예에서는 3개) 익편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벼 낱알들을 케이싱 내벽에 타격함으로써 현미와 왕겨로서 분리하여 정미토록 하는 것인 바, 이때 정미기의 벼 낱알 공급구로부터 회전원판내로 투입되는 벼 낱알들의 투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회전원판의 대향측에 벼 낱알 공급로울러를 마주보고 설치 사용하고 있는 것인 바, 지금까지 상기 벼 낱알 공급로울러는 로울러 외면에 형성된 벼 낱알 공급홈의 수가 회전원판내에 중공부에 형성된 익편의 수와는 무관하에 획일적으로 2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울러 외면의 벼 낱알 공급홈을 통해 회전원판내로 투입되는 벼 낱알이 회전원판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형성된 3개의 익편에 골고루 공급되질 못하고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익편에만 집중되게 되므로 회전원판에 있어 벼 낱알이 집중 투입되는 익편에는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정미효율의 저하를 초래함과 동시에 회전되는 원판의 익편일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등 정미기의 사용수명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정미기의 회전원판에 벼 낱알을 공급하기 위해 원판을 마주보고 그 대향측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벼 낱알 공급로울러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벼 낱알 공급로울러의 외면에, 회전원판에 형성되어 이는 익편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을 형성함으로써 정미를 위해 회전원판 내로 공급되는 벼 낱알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정미기의 사용효율을 높임으로써 정미처리량을 늘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회전원판의 익편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아 정미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한 정미기의 벼 낱알 공급로울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미기(A)의 내부에 회전원판(4)을 마주보며 대향 설치되는 벼 낱알 공급로울러(1)를 구성함에 있어,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원판(4)의 익편(2)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3)을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로울러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a는 회전원판 중앙에 형성되는 연통공, 5는 정미기의 케이싱, 6은 정미기의 하우징, 7은 벼 낱알 투입구, 8은 상기 공급홈(3)을 축에 고정하기 위한 부심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로울러의 실시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로울러(1)는, 정미기 일측의 하우징(6) 내부에, 케이싱(5)내에 설치된 회전원판(4)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원판(4) 중앙의 연통공(4a)을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정미기(A)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하우징(6) 일측에 형성된 벼 낱알 투입구(7)를 통해 정미를 위한 벼 낱알들을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벼 낱알들은 본 고안의 벼 낱알 공급로울러(1) 외면에 다수형성된 공급홈(3)을 타고 회전원판(4)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원판(4) 중앙에 형성된 연통공(4a)으로 투입되어, 회전원판(4)의 내부 중공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되는 회전원판(4) 내부로 유입된 다수의 벼 낱알들은 회전원판(4) 내부에 다수 형성된 익편(2)의 존재에 의해 그대로 회전원판(4) 외부로 튕겨나가 케이싱(5) 내면과 부딪치면서 벼 낱알이 왕겨와 현미로 분리되게 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정미기(A)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 본 고안의 벼 낱알 공급로울러(1)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공급홈(3)의 형상을 본 예에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하에 변형실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로울러에 의하며, 정미기에 설치되는 회전원판 내에 형성된 익편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을 그 외면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전원판과 마주보며 설치된 상태에서 벼 낱알 공급구를 통해 투입 공급되는 벼 낱알들을 회전원판 내부에 익편에 골고루 분배 공급하게 함으로써 익편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정미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정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정미기(A)의 내부에 회전원판(4)을 마주보며 대향 설치되는 벼 낱알 공급로울러(1)를 구성함에 있어,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판(4) 내부에 형성된 익편(2)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급홈(3)을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로울러.
KR2019970001768U 1997-02-05 1997-02-05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KR199800575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68U KR19980057538U (ko) 1997-02-05 1997-02-05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68U KR19980057538U (ko) 1997-02-05 1997-02-05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38U true KR19980057538U (ko) 1998-10-15

Family

ID=6968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768U KR19980057538U (ko) 1997-02-05 1997-02-05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5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62B1 (ko) 정미기
CA1234323A (en)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KR101342998B1 (ko) 절삭 링 및 이를 구비한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1596908B1 (ko)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US3441227A (en) Refiner feeder
KR100325405B1 (ko) 정곡기
US4515075A (en) Rice polishing machine
US8702476B2 (en) Machine for centrifugally shooting abrasives
KR20210135133A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JP3864367B2 (ja) 精殻機
RU2352397C2 (ru) Измельчающий валик
KR19980057538U (ko) 정미기용 벼 낱알 공급 로울러
US4051773A (en) Milling roll
WO2021225273A1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KR102587357B1 (ko) 절삭형 건식 세미기
KR100356531B1 (ko) 타공 금망에 의한 저압력 정미 장치
KR102512511B1 (ko) 정미기용 밀링롤
JP3129316U (ja) 精米装置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JPS6346115Y2 (ko)
JP7033947B2 (ja) 籾摺装置
KR200200702Y1 (ko) 조립성을 향상한 송풍팬
KR200167771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JP2007260597A (ja) 竪型精米装置
KR200203708Y1 (ko) 현미 및 정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